KR200431204Y1 - 폐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204Y1
KR200431204Y1 KR2020060022228U KR20060022228U KR200431204Y1 KR 200431204 Y1 KR200431204 Y1 KR 200431204Y1 KR 2020060022228 U KR2020060022228 U KR 2020060022228U KR 20060022228 U KR20060022228 U KR 20060022228U KR 200431204 Y1 KR200431204 Y1 KR 2004312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dimentation basin
flow path
wall
path forming
waste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22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종윤
Original Assignee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효림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효림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22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20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2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20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039Settling tanks provided with contact surfaces, e.g. baffles,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5Discharge mechanisms for the sedi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30Control equipment
    • B01D21/307Passive control mechanisms without external energy, e.g. using a floa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of suspended impurities
    • C02F1/5209Regulation methods for flocculation or precipi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고안에 따른 폐수처리장치는, 폐수를 일시 저장하는 장방형의 침전지(110)와, 침전지(110) 바닥에 설치되어 침전되는 슬러지를 흡입 배출시키는 배출오리피스관(120)과, 침전지(110)에 설치되는 구동체인(145)에 의해 이동되면서 침전되는 슬러지를 배출오리피스관(120)으로 이동시키는 플라이트(140)를 포함하고, 침전지(110)의 한쪽 측벽(111) 상부에는 침전지(110)의 바닥과 마주보는 유로형성바닥벽(154)과 측벽(111)과 마주보는 유로형성내벽(155)을 구비하는 유로형성부(150)가 구비되고, 유로형성부(150)에는 침전지(110)로 폐수를 안내하기 위한 유입수로(151)와 슬러지가 제거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수로(153)가 측벽(111)과 유로형성내벽(155)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156)에 의해 나란하게 구획 형성되고, 유입수로(151)의 바닥에는 유입수로(151)를 따라 이동하는 폐수를 침전지(110)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입구(152)가 유입수로(151)를 따라 구비되며, 유로형성내벽(155)이 격벽(156)보다 낮아 유출수로(153)의 수위가 유입수로(151)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어 침전지(110)의 물이 유로형성내벽(155)을 넘어 유출수로(153)로 배출된다.
폐수처리장치, 침전지, 슬러지, 플라이트, 유입수로, 유출수로

Description

폐수처리장치{Apparatus for waste water treatment}
도 1a 및 1b는 종래 폐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침전지 111,112...측벽
113...슬러지배출로 114...확산판
115...경사면 120...배출오리피스관
121...흡입구 130...수직연결관
135...텔레스코픽밸브 140...플라이트
150...유로형성부 151...유입수로
152...유입구 153...유출수로
155...유로형성내벽 156...격벽
본 고안은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슬러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강으로 유기물 및 고형물이 함유된 폐수가 완전히 처리되지 않고 그대로 방출되면 하천이나 강의 바닥에서 유기물 및 고형물이 쌓여 부패하고 이에 의해 2차적인 오염물질이 발생하여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이러한 이유로 공공수역의 수질보전을 위해서 공장이나 사업소 등에서 배출되는 폐수는 여러 가지 법률에 규정된 기준에 도달할 때까지 정화하여 배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폐수의 종류나 내용에 따라 고체/액체분리, 물리화학적 처리, 생물학적 처리, 열처리 등 여러 가지 폐수처리법이 개발되어 있다.
이 중에서 고체/액체분리법은 가장 기본적인 폐수처리방법으로 폐수 속의 슬러지를 분리 회수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고체/액체분리법은 처리비용이 싸고 운전관리도 쉬우므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고체/액체분리법을 이용하는 폐수처리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등록특허 제10-558135호(2004년 04월 23일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폐수처리장치는, 도 1a 및 1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과 같이, 폐수를 일시 저장할 수 있는 장방형의 침전지(10)를 구비하고, 이 침전지(10)에는 다수의 플라이트(20)가 침전지(10)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한 쪽으로 쓸어낼 수 있도록 구동체인에 의해 주행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침전지(10)의 바닥에는 슬러지가 유입될 수 있는 다수의 흡입구를 갖는 복수의 배출오리피스관(30)이 매설되고, 이 배출오리피스관(30)의 일측에는 그 상단이 슬러지배출로(40)까지 연장되는 수직연결관(50)이 연결된다. 수직연결관(50)의 상단에는 토출구(61)와 조절핸들(62)이 구비된 텔레스코픽밸브(60)가 설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 폐수처리장치는, 침전지(10)로 유입된 폐수에 함유되어 있는 무거운 슬러지가 침전지(10) 바닥으로 가라앉으면 복수의 플라이트(20)가 주행하는 구동체인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침전되는 슬러지를 배출오리피스관(30)으로 밀어낸다. 배출오리피스관(30)으로 밀려온 슬러지는 배출오리피스관(30)의 흡입구로 흡입되어 수직연결관(50)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수직연결관(50)을 따라 상승된 슬러지는 텔레스코픽밸브(60)의 토출구(61)로 배출된 후 슬러지배출로(40)를 따라 흘러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폐수처리장치는 침전지(10)로 유입되는 폐수가 도 1(b)의 화살표 A로 표시된 바와 같이, 침전지(10)의 일측에서 플라이트(20)의 이동방향으로 유입되기 때문에, 폐수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폐수유입부에 가까운 배출오리피 스관(30)에는 많은 양의 슬러지가 쌓이게 되는 반면, 폐수유입부와 먼 배출오리피스관(30)으로는 적은 양의 슬러지가 쌓이게 되면서 슬러지의 퇴적형상(S)이 폐수의 유입방향을 따라 점차 낮아지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이, 각 배출오리피스관(30)의 슬러지 유입량이 고르지 않기 때문에, 폐수유입부에 가까운 배출오리피스관(30)은 그 흡입구가 막히기 쉽고, 이로 인해 슬러지 제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폐수의 유출 및 배출 구조를 개선하여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가 복수의 배출오리피스관 중에서 특정 배출오리피스관에 집중되어 유입되지 않고 각 배출오리피스관에서 고르게 유입되어 슬러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폐수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폐수를 일시 저장하는 장방형의 침전지와, 상기 침전지 바닥에 설치되어 침전되는 슬러지를 흡입 배출시키는 배출오리피스관과, 상기 침전지에 설치되는 구동체인에 의해 이동되면서 침전되는 슬러지를 상기 배출오리피스관으로 이동시키는 플라이트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한쪽 측벽 상부에는 상기 침전지의 바닥과 마주보는 유로형성바닥벽과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유로형성내벽을 구비하는 유로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형성부에는 상기 침전지로 폐수를 안내하기 위한 유입수로와 슬러지가 제거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수로가 상기 측벽과 상기 유로형성내벽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에 의해 나란하게 구획 형성되고, 상기 유입수로의 바닥에는 상기 유입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폐수를 상기 침전지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입구가 상기 측벽에 근접하도록 유입수로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유로형성내벽이 상기 격벽보다 낮아 상기 유출수로의 수위가 상기 유입수로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침전지의 물이 상기 유로형성내벽을 넘어 상기 유출수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유입수로 및 유출수로는 폐수 및 배출수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폭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각 유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상기 침전지 내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이 상기 각 유입구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유로형성바닥벽의 하부에는 상기 확산판에 부딪쳐 확산되는 폐수를 침전지의 바닥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입안내판이 상기 침전지의 바닥 쪽으로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산판 하부의 상기 침전지 바닥 일측에는 상기 침전지의 바닥 쪽으로 이동하는 폐수를 상기 측벽의 맞은편 측벽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수로에는 상기 유입구가 막혀 상기 유입수로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상기 유입수로로 유입된 폐수를 상기 침전지로 유입시키기 위한 월류관이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내벽에는 상기 침전지로부터 상기 유출수로로 유입되는 유량이 상기 침전지의 수위에 따라 조절되도록 웨어가 설치되되, 상기 웨어는 상기 유로형성내벽 외측에 상기 유출수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웨어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로형성내벽에는 상기 침전지의 부유물이 상기 유출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웨어가 설치되되, 상기 웨어는 상기 유로형성내벽의 외측에 상기 유출수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웨어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일부를 절개하여 나타낸 절개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는, 폐수를 일시 저장하는 침전지(110)와, 침전지(110)의 바닥에 설치되어 침전되는 슬러지를 흡입 배출시키는 배출오리피스관(120)과, 배출오리피스관(120)의 일측에 연결되어 흡입된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수직연결관(130)과,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오리피스관(120)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침전지(11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플라이트(140)와, 폐수를 침전지(110)로 안내하기 위한 유입수로(151) 및 슬러지가 제거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수로(153)를 형성하는 유로형성 부(150)를 포함한다.
침전지(110)는 장방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일측 상부에는 유로형성부(150)가 구비되며 유로형성부(150)의 맞은편 타측에는 수직연결관(130)을 따라 이동되는 슬러지를 배출시키기 위한 슬러지배출로(113)가 구비된다. 유로형성부(150)가 구비되는 침전지(110)의 측벽(111)에는 복수의 확산판(114)이 유로형성부(150)와 다소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이 확산판(114)들은 후술하게 될 유입수로(151)의 유입구(152)를 통해 침전지(110)로 유입되는 폐수를 확산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침전지(110)의 바닥 일측 모서리부에는 유입구(152)를 통해 바닥 쪽으로 이동하는 폐수를 침전지(110)의 맞은편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115)이 구비된다. 침전지(110)의 바닥 쪽으로 이동하는 폐수는 이 경사면(115)에 부딪쳐 그 이동 방향이 꺾여 맞은편 측벽(112)으로 이동하게 된다.
배출오리피스관(120)은 침전지(110)의 바닥에 복수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각 배출오리피스관(120)에는 침전되는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복수의 흡입구(121)가 구비된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배출오리피스관(120)의 일측에는 배출오리피스관(120)의 상부로 대략 수직을 이루는 수직연결관(130)이 연결된다. 수직연결관(130)에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텔레스코픽밸브(135)가 구비된다. 이 텔레스코픽밸브(135)는 수직연결관(130)을 따라 이동되는 슬러지를 슬러지배출로(113)로 토출시키는 토출구(136)와, 높이 조절을 위한 조절핸들(137)을 구비한다.
복수의 플라이트(140)는 침전지(110)의 내부에 주행 가능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구동체인(145)에 결합되어 구동체인(145)이 주행하면 이동하면서 침전지(110) 의 바닥에 침전되는 슬러지를 배출오리피스관(120) 쪽으로 이동시킨다. 여기에서, 복수의 플라이트(140)를 이동시키는 구동체인(145)의 구체적인 구성이나 작동 방법은 상기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폐수처리장치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로형성부(150)는 침전지(110)의 한쪽 측벽(111) 상부에 구비되고, 유로형성바닥벽(154)와, 유로형성내벽(155)과, 격벽(156)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로형성내벽(155)은 침전지(110)의 측벽(111)과 일정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구비되고, 측벽(111)과 유로형성내벽(155)의 사이에는 격벽(156)이 다소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의해 측벽(111)과 격벽(156) 사이에는 폐수를 침전지(110)로 안내하는 유입수로(151)가 형성되고, 격벽(156)과 유로형성내벽(155)의 사이에는 슬러지가 제거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수로(153)가 형성된다.
유입수로(151)는 급수로(102)와 연결되고 유출수로(153)는 배수로(104)와 연결된다. 유입수로(151)는 폐수의 이동 방향으로 폭이 줄어들고, 유출수로(153)는 폐수의 이동 방향으로 폭이 증가된다. 유입수로(151)에는 폐수를 침전지(110)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입구(152)가 유입수로(151)를 따라 이격 구비되며, 이러한 유입구(152)는 측벽(111)에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유입구(152)는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른 여러 가지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유입수로(151)에는 복수의 월류관(116)이 유입구(152)의 사이 사이에 배치되도록 구비된다. 이들 월류관(116)은 유입구(152)가 막힐 경우에도 유입수로(151)로 유입된 폐수가 침전지(110)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월류관(116)은 유 입수로(151)에 유입될 수 있는 폐수의 최대 수위 즉, 격벽(156)의 높이보다 다소 낮은 높이로 구비된다. 예컨대 유입수로(151)의 유입구(152)가 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슬러지에 의해 막히는 경우, 유입수로(151)로 유입되는 폐수의 수위가 점점 상승하여 월류관(116) 높이가 되면 폐수는 월류관을 통해 침전지(110)로 유입된다. 물론 월류관(116)은 도면과 달리 일부 유입구(152)의 사이만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또 유입수로(151)를 따라 이동하는 폐수는 각 유입구(152)를 통해 침전지(110)의 바닥 쪽으로 유입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유입구(152)의 하부에는 확산판(114)이 구비되어 있어서 각 유입구(152)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는 확산판(114)에 부딪쳐 확산된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유로형성바닥벽(154)의 하부에는 유입안내판(157)이 침전지(110) 바닥 쪽으로 돌출되어 있어서 확산판(114)에 부딪쳐 확산되는 폐수는 유입안내판(157)에 의해 침전지(110)의 바닥 쪽으로 안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확산판(114)은 월류관(116)의 하부에도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침전지(110)의 안쪽으로 배치되는 유로형성내벽(155)은 격벽(156)보다 낮아서 유입수로(151)의 수위가 유출수로(153)의 수위보다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침전지(110)의 물은 유로형성내벽(155)을 넘어 유출수로(153)로 배출된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폐수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급수로(102)를 따라 유입수로(151)로 폐수가 유입되면 유입수로(151)의 각 유입구(152)를 통해 폐수가 침전지(110)로 유입된다. 각 유입수로(151)를 통해 침 전지(110)의 바닥을 향해 유입되는 폐수는 각 유입구(152) 하부에 구비된 확산판(114)에 부딪쳐 좌우로 확산된 후, 유입안내판(157)에 부딪쳐 침전지(110) 바닥 쪽으로 이동된다. 계속해서 침전지(110)의 바닥 쪽으로 이동되는 폐수는 침전지(110) 바닥의 일측 모서리에 구비된 경사면(115)에 부딪쳐 맞은편 측벽(112)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폐수에 포함된 무거운 슬러지는 바닥에 침전되고 슬러지가 제거된 가벼운 물은 침전지(110)의 상부로 상승하여 유로형성내벽(155)을 넘어 유출수로(153)를 따라 배출된다.
이렇게 유입된 폐수가 침전지(110)를 돌아 유출수로(153)로 배출되는 동안, 복수의 플라이트(140)는 구동체인(145)에 의해 이동하면서 침전지(110) 바닥에 침전된 슬러지를 배출오리피스관(120) 쪽으로 밀어낸다. 배출오리피스관(120)으로 이동된 슬러지는 배출오리피스관(120)의 흡입구(121)를 통해 흡입되어 수직연결관(130)으로 이동한다. 수직연결관(130)을 따라 이동하여 슬러지배출로(113)까지 상승된 슬러지는 토출구(136)를 통해 토출되어 슬러지배출로(113)를 통해 배출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150)의 구조를 도시한 도 5와 같이, 유로형성내벽(155)에는 유출수로(153)로 유입되는 유량이 침전지(110)의 수위에 따라 조절되도록 하는 웨어(weir,16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160)는 유로형성내벽(155)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유로형성내벽(155)의 상단 외측에 설치가 되는데, 이러한 웨어(160)의 상단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V'자 노치(161)가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이러한 웨어(160)가 마련된 상태 에서는 침전지(110)의 수위가 낮을 경우 상기 노치(161) 하부의 좁은 부분을 통해 침전지(110)의 배출수가 유출수로(153)로 유입되고, 침전지(110)의 수위가 높을 경우에는 상기 노치(161) 상부의 넓은 부분을 통해 침전지(110)의 배출수가 유출수로(153)로 유입되면서 유출수로(153)로 유입되는 유량이 침전지(110)의 수위에 맞게 조절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로형성부(150)의 구조가 도시된 도 6과 같이, 유로형성내벽(155)에는 다수의 배출공(171)이 형성된 웨어(17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침전지(110)에서 슬러지가 제거된 배출수는 웨어(170)의 배출공(171)을 통해 유출수로(153)로 유입된다. 배출수가 배출공(171)을 통과할 때 배출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들은 배출공(171)을 통과하지 못하고 웨어(170)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유출수로(153)에는 부유물들이 걸러진 배출수만이 유입됨으로써 폐수처리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의하면, 폐수가 유입수로를 따라 침전지의 길이방향으로 구비된 복수의 유입구를 통해 침전지로 유입된 후 침전지를 돌아 침전지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구비된 유출수로로 배출되기 때문에, 슬러지가 특정 부분에 집중되지 않고 복수의 배출오리피스관을 통해 고르게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슬러지가 특정 배출오리피스관에 집중되어 배출오리피스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고, 슬러지 제거 효율이 향상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 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본 고안은 기재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7)

  1. 폐수를 일시 저장하는 장방형의 침전지와, 상기 침전지 바닥에 설치되어 침전되는 슬러지를 흡입 배출시키는 배출오리피스관과, 상기 침전지에 설치되는 구동체인에 의해 이동되면서 침전되는 슬러지를 상기 배출오리피스관으로 이동시키는 플라이트를 포함하는 폐수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침전지의 한쪽 측벽 상부에는 상기 침전지의 바닥과 마주보는 유로형성바닥벽과 상기 측벽과 마주보는 유로형성내벽을 구비하는 유로형성부가 구비되고,
    상기 유로형성부에는 상기 침전지로 폐수를 안내하기 위한 유입수로와 슬러지가 제거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수로가 상기 측벽과 상기 유로형성내벽 사이에 구비되는 격벽에 의해 나란하게 구획 형성되고,
    상기 유입수로의 바닥에는 상기 유입수로를 따라 이동하는 폐수를 상기 침전지로 유입시키기 위한 복수의 유입구가 상기 측벽에 근접하도록 유입수로를 따라 구비되며,
    상기 유로형성내벽이 상기 격벽보다 낮아 상기 유출수로의 수위가 상기 유입수로의 수위보다 낮게 형성되어 상기 침전지의 물이 상기 유로형성내벽을 넘어 상기 유출수로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로 및 유출수로는 폐수 및 배출수의 이동 방향을 따라 폭이 줄어 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유입구의 하부에는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폐수를 상기 침전지 내부로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판이 상기 각 유입구로부터 이격되어 구비되고, 상기 유로형성바닥벽의 하부에는 상기 확산판에 부딪쳐 확산되는 폐수를 침전지의 바닥으로 유도하기 위한 유입안내판이 상기 침전지의 바닥 쪽으로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판 하부의 상기 침전지 바닥 일측에는 상기 침전지의 바닥 쪽으로 이동하는 폐수를 상기 측벽의 맞은편 측벽 쪽으로 유도하기 위한 경사면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수로에는 상기 유입구가 막혀 상기 유입수로의 수위가 상승할 경우 상기 유입수로로 유입된 폐수를 상기 침전지로 유입시키기 위한 월류관이 돌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내벽에는 상기 침전지로부터 상기 유출수로로 유입되는 유량이 상기 침전지의 수위에 따라 조절되도록 웨어가 설치되되,
    상기 웨어는 상기 유로형성내벽 외측에 상기 유출수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웨어의 상단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노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내벽에는 상기 침전지의 부유물이 상기 유출수로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웨어가 설치되되,
    상기 웨어는 상기 유로형성내벽의 외측에 상기 유출수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웨어에는 복수개의 배출공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수처리장치.
KR2020060022228U 2006-08-18 2006-08-18 폐수처리장치 KR2004312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28U KR200431204Y1 (ko) 2006-08-18 2006-08-18 폐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2228U KR200431204Y1 (ko) 2006-08-18 2006-08-18 폐수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204Y1 true KR200431204Y1 (ko) 2006-11-23

Family

ID=41779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2228U KR200431204Y1 (ko) 2006-08-18 2006-08-18 폐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20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0430B1 (ko) * 2012-04-26 2012-10-11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수평집수관 집수장치
KR101235351B1 (ko) * 2012-02-14 2013-02-20 김종인 폐수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351B1 (ko) * 2012-02-14 2013-02-20 김종인 폐수 처리 장치
KR101190430B1 (ko) * 2012-04-26 2012-10-11 한라산업개발 주식회사 수평집수관 집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7241B (zh) 一种可提高有机废水出水质量的二次沉淀池系统及处理方法
CN108379885A (zh) 一种污水沉淀池及其复合流自清的方法
JP2016165701A (ja) 固液分離施設
KR101247585B1 (ko) 경사판형 침전장치의 슬러지 자동배출장치
KR200431204Y1 (ko) 폐수처리장치
CN104291530A (zh) 一种序批式生化污水处理装置及其沉淀排水的方法
KR100441860B1 (ko) 경사판을 이용한 고속 침전지
CN219072151U (zh) 用于钢铁废水的一体化预处理系统
KR100930635B1 (ko) 침전지의 오니처리장치
CN211705996U (zh) 一种矩形高负荷沉降系统
CN211706002U (zh) 一种二沉池用链条张紧装置和沉降系统
CN211752737U (zh) 一种污水处理沉淀池浮泥清除装置
CN112807764B (zh) 一种排泥系统
KR200355219Y1 (ko) 경사판을 이용한 고속 침전지
KR101371321B1 (ko) 오폐수 처리용 침전장치
CN208843825U (zh) 一体式沉淀池
KR100545746B1 (ko) 슬러지의 침전효율과 수처리효율이 우수한 개선된 구조의침전조
CN204996184U (zh) 一种可提高有机废水出水质量的二次沉淀池系统
CN211705995U (zh) 一种二沉池用排泥装置和二沉池沉降系统
KR200327011Y1 (ko) 상,하수 및 폐수 처리장의 무동력 침사 세정 및 분리시스템
CN219469770U (zh) 一种隔油池
CN211198827U (zh) 一种沉淀系统
KR101209755B1 (ko) 경사판형 침전장치의 경사판 세척장치
CN113184942B (zh) 三相分离器
CN213031925U (zh) 一种小型平流沉淀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