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1158Y1 - 교량용 난간 - Google Patents

교량용 난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1158Y1
KR200431158Y1 KR2020060023550U KR20060023550U KR200431158Y1 KR 200431158 Y1 KR200431158 Y1 KR 200431158Y1 KR 2020060023550 U KR2020060023550 U KR 2020060023550U KR 20060023550 U KR20060023550 U KR 20060023550U KR 200431158 Y1 KR200431158 Y1 KR 2004311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vertical
railing
present
longitudin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문식
Original Assignee
(주) 케이 이엔씨
유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케이 이엔씨, 유문식 filed Critical (주) 케이 이엔씨
Priority to KR2020060023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11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11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11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61Supports, e.g.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2Snow fences or similar devices, e.g.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and drifts or side-wind effects
    • E01F7/02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wind, e.g. screens, deflectors or attenuators at tunnel or lock entr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탑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외측을 향하는 양측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난간을 통과하면서 풍속이 현저히 감속될 수 있어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난간, 교량, 풍속, 곡면, 분산

Description

교량용 난간 {bridge's parapet}
도 1 및 도 2는 종래 기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설치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설치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또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탑레일 13 : 바텀레일
14,14' : 수직보강재 142 : 곡면
146' : 경사면
본 고안은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류를 분산시켜 주행중인 차량에 가해지는 풍압을 감소시켜 줌으로써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난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보행인의 추락을 방지함과 동시에 도로를 이탈한 차량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교량의 폭방향 선단쪽에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난간이 설치된다.
종래의 교량용 난간(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의 폭방향 선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주기둥재(11)가 설치되고, 이 주기둥재(11)의 상단부는 탑레일(12)에 의해 연결되어 있음과 함께 주기둥재(11)의 하부는 바텀레일(13)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며 탑레일(12)과 바텀레일(13)은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된 수직보강재(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난간(10)은, 교량의 폭방향 선단부를 차단하고 있는 각 구성부의 연결 구조에 의해 교량 위의 차도를 통과하는 차량이 차도를 이탈하는 경우 추락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교량 위의 인도를 통행하는 보행인이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교량용 난간(10)은 탑레일(12)과 바텀레일(13)를 연결하고 있는 수직보강재(14)가 차량이나 보행인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에만 배려가 이루어져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종래의 수직보강재(14)는, 외부에서 부는 강한 바람이 수직보강재 를 통과하여 곧바로 차량에 가해지게 된다.
따라서, 태풍과 같이 강한 바람이 불 경우 교량을 주행중인 차량에 가해지는 풍압으로 인해, 주행조작이 어려워지거나 심하게는 전복될 위험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강풍이 가해지더라도 난간을 통과하면서 풍속이 감소됨으로써 주행중인 차량이나 사람의 안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한 교량용 난간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의 교량용 난간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탑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외측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용 난간은,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탑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외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1열로 배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2열 이상의 복수열로 배치되되, 각 열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구성부호를 사용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A)은, 전술했듯이,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14)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14)의 상부는 탑레일(12)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13)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것을 기본 구성으로 한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수직보강재(14)는 교량(100)의 외측을 향하는 모서리에 곡면(142)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수직보강재(14)는 단면이 사각형인 봉체로 형성되되, 교량(100)의 외측 모서리부위를 만곡지게 가공하여 곡면(142)이 형성되도록 한다(도 4 참조).
전술한 곡면(142)의 곡률은 풍압을 측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되면 충분하다. 즉, 곡률이 너무 크면 바람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어 난간에 가 해지는 풍압이 커지므로 교량의 안전성을 해칠 수 있으며, 곡률이 너무 작아지면 바람의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분한 풍동시험을 통해 교량(100)이 설치된 지리적의 풍속변화와 교량(100)의 길이 및 난간의 높이 등을 고려하여 가장 적정한 곡률을 도출해 낼 수 있으며, 이는 특정한 수치로 한정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전술한 곡면(142)은 수직보강재(1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정 부위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첨부된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보강재(14')는 단면이 사각형인 봉체로 형성되되, 교량(100)의 외측 모서리부위를 모따기하여 경사면(146')이 형성되도록 한다.
경사면(146')은 수직보강재(14')의 하단에서부터 상단까지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일정 부위만 형성될 수도 있다.
첨부된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설치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교량용 난간의 설치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용 난간(A)의 수직보강재(14)는 교량(100)의 길이방향으로 1열로 배열될 수 있고, 또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량용 난간(A')의 수직보강재(14-1,14-2,…)는 2열 이상의 복수열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보강재(14-1,14-2,…)가 2열 이상의 복수열로 배치될 경우, 수 직보강재(14-1,14-2,…)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시킴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외부의 제1열에 배치된 수직보강재(14-1)에 의해 분산된 바람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와류를 형성하게 되면서 제2열의 수직보강재(14-2)를 통과하는 동안 바람의 분산에 따른 풍속의 감속효과는 더욱 커질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고안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고안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즉,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보강재(14)에 형성된 곡면(142) 또는 경사면(146')은 외측 모서리 뿐 아니라 내측 모서리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난간을 통과하면서 풍속이 현저히 감속될 수 있어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의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발현된다.

Claims (6)

  1.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탑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외측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2.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탑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내·외측 모서리에 곡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3.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탑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외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4. 교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의 수직보강재가 설치되고, 상기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탑레일에 의해 연결되고, 하부는 바텀레일에 의해 연결되어 이루어진 교량용 난간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내·외측 모서리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1열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2열 이상의 복수열로 배치되되, 각 열은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난간.
KR2020060023550U 2006-08-31 2006-08-31 교량용 난간 KR2004311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550U KR200431158Y1 (ko) 2006-08-31 2006-08-31 교량용 난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550U KR200431158Y1 (ko) 2006-08-31 2006-08-31 교량용 난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1158Y1 true KR200431158Y1 (ko) 2006-11-15

Family

ID=41779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550U KR200431158Y1 (ko) 2006-08-31 2006-08-31 교량용 난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115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6936A1 (en) * 2016-07-06 2018-01-10 Abel Alonso González Protective visual and wind barri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66936A1 (en) * 2016-07-06 2018-01-10 Abel Alonso González Protective visual and wind barr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291758A1 (en) Vehicle Head
CA2783834C (en) Eavestrough cover
KR200431158Y1 (ko) 교량용 난간
US4501411A (en) Guardrail for roadway
JP3138408U (ja) 防護柵
KR101749169B1 (ko) 풍압에 의한 파손 방지용 가설인도
CN110306428B (zh)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JP2002266315A (ja) 橋 梁
JP3663544B2 (ja) 橋梁
KR200202334Y1 (ko) 고규격 교량난간 겸용 가드레일
KR20140041186A (ko) 와류형성에 의한 방풍벽
CN210766378U (zh) 桥梁检修车隐形轨道构造
CN112681106B (zh) 一种抑制钢拱桥风致振动的气动结构
JP5791413B2 (ja) 防雪柵
KR200391829Y1 (ko) 기차레일의 연결구조
KR200180112Y1 (ko) 교량용 난간
JPS5817779Y2 (ja) 高欄用防風防雪装置
KR200268165Y1 (ko) 교량 및 고가도로의 낙하 방지 구조물
CN108716195A (zh) 一种市政道路新型减速带
KR200234778Y1 (ko) 과속방지턱
KR200447385Y1 (ko) 복공판
AU2006235940A1 (en) Road safety barrier
KR100959113B1 (ko) 방풍 구조체
CN207812254U (zh) 一种行人过街天桥
JP4295156B2 (ja) 防雪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