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956Y1 - 구두용 탄성굽 - Google Patents

구두용 탄성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956Y1
KR200430956Y1 KR2020060023155U KR20060023155U KR200430956Y1 KR 200430956 Y1 KR200430956 Y1 KR 200430956Y1 KR 2020060023155 U KR2020060023155 U KR 2020060023155U KR 20060023155 U KR20060023155 U KR 20060023155U KR 200430956 Y1 KR200430956 Y1 KR 20043095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coil spring
support
support memb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3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시혁
Original Assignee
권시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시혁 filed Critical 권시혁
Priority to KR2020060023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95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95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95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0Heels with metal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24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21/32Resilient supports for the heel of the foot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38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screws onl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42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 A43B21/437Heels with replaceable or adjustable parts, e.g. top lift with axially-adjustable rod-like top-piece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두 저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구두용 탄성굽의 구조에 있어서, 코일스프링과 높이 조정이 가능한 2단 지지봉로 이루어진 것으로, 2단 지지봉의 상단부는 구두의 저면에 나사 혹은 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지면에 닿는 지지판이 착탈 용이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탄성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이 채용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단부가 구두의 저면에 접하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지지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즉, 2단 지지봉이 코일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한 구조로서 효과적으로 착용자의 하중을 탄력있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보행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탄성굽을 제공하게 된다.
코일스프링, 2단 지지봉, 상단 지지부재, 하단 지지부재, 지지판

Description

구두용 탄성굽{A shoes with springy heel}
도 1은 본 고안인 구두용 탄성굽의 체결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인 구두용 탄성굽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인 구두용 탄성굽의 상세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2단 지지봉 100A : 상단 지지부재 100B : 하단 지지부재
200 : 코일스프링 300 : 지지판
1 : 안내공 2 : 헤드부 3 : 이탈방지돌기
4 : 걸림턱 5 : 고정판 6 : 고정공
7 : 수나사 8 : 암나사 9 : 수나사부
10 : 암나사부 11 : 체결구 12 : 보호판
13 : 체결돌기 14 : 체결홈
본 고안은 구두 저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구두용 탄성굽의 구조에 있어서, 코일스프링과 높이 조정이 가능한 2단 지지봉로 이루어진 것으로, 2단 지지봉의 상단부는 구두의 저면에 나사 혹은 못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지면에 닿는 지지판이 착탈 용이하게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에 탄성을 제공하게 되는 탄성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이 채용되며, 상기 코일스프링은 상단부가 구두의 저면에 접하게 형성되고, 하단부는 지지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즉, 2단 지지봉이 코일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관통한 구조로서 효과적으로 착용자의 하중을 탄력있게 지지할 수 있음은 물론 발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하여 편안한 보행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탄성굽을 제공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신발은 보행시 발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에 착용을 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신발 밑창의 후단부에 굽이 형성되는 신발에 대해 설명을 하고자 한다.
여러 신발 중 샌들이나 구두 종류는 저면의 후단부에 굽이 형성되어 있어 발가락이 위치하는 전반부에 비해 후반부가 굽의 높이만큼 높아진 구조로 되어 있다.
특히, 하이힐(High-heeled shoes)은 굽이 형성된 대표적인 신발로서 굽의 높이가 매우 높기 때문에 이러한 신발을 착용하여 오랜 시간동안 보행을 하게 되면 발에 상당한 무리가 전해질 뿐 아니라 그로 인해 일반 신발 착용시에 비해 육체적 피로가 매우 크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와 형태의 안이 제시되어 있는 바, 신발의 후단부에 탄성수단이 구비된 굽이 형성된 신발에 있어서 대표적인 공지기술을 선정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 2005년 01월 19일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374381 호의 ‘스프링축 구두’와,
B - 2005년 12월 05일에 등록된 실용신안등록번호 제 20-0403451 호의 ‘여성용 완충 신발’로서,
상기 공지기술 중 A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구두굽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을 삽입한 구조로서, 구두굽의 중앙부에 하단부가 개구되게 형성된 삽입홈에 코일스프링이 삽입부착되고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직접 닿는 지지판이 형성되어 있는 구조로 되어 있어 보행시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 보행을 편안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공지기술 중 B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보행시 발뒤꿈치에 가해지는 충격을 탄성력에 의해 감쇄하기 위하여 신발의 후단부에 완충수단이 구비된 고안으로서,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구된 통 형상으로 대향된 둘레면 상단에 직립된 안내구멍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상기 안내구멍의 상하면에 완충부재가 각각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적정 높이만큼 승강할 수 있도록 그 안내구멍 의 내부에 위치되는 핀형상의 걸림돌기가 외주면 상단에 대향된 상태로 각각 마련되는 파이프형상의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되어 상단은 개구되고 하단은 막힌 형상으로 형성되는 고정부재, 상기 하우징 내 천장과 고정부재 내 바닥면에 개재되어 상기 고정부재에 탄성력을 부가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져 보행시 지면과 접촉하는 과정에서 상기 하우징과 승강부재의 내주면 하단에 고정된 고정부재의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어 그 탄성부재에 의해 발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켜 편안한 보행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대표적인 종래 기술로 선정된 고안들을 간략하게 분석해 보면, 신발 저면의 후단부에 형성되는 구두굽의 내부에 홈을 형성하고 이에 탄성수단 혹은 완충수단으로서 코일스프링이 삽입,장착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하단에는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지지판이 고정되어 지지판이 지면에 닿을 때마다 착용자의 하중으로 인해 코일스프링은 탄력있게 신축되어 보행에 도움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구두굽의 내부에 코일스프링이 형성되는 구조이므로, 일반적으로 착용하는 구두굽의 크기에 맞추어 그 내부에 장착하는 것은 장착가능한 크기 뿐만 아니라 그로 인해 제공할 수 있는 탄성력에도 한계가 있다.
또한,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지지판에 있어서, 종래에는 스프링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있는 구조로 인해 지지판이 닳게 되면 구두굽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본 고안은 종래 기술의 취지와 마찬가지로 편안한 보행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나, 그 구조를 달리 한 것으로, 높이 조정이 가능한 원기둥형 2단 지지봉과 코일스프링으로 탄성굽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2단 지지봉의 상단부는 신발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단부에는 지면에 닿는 지지판이 착탈용이하게 체결되며, 여기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 코일스프링은 상단부가 신발의 저면을 받치게 되면서 착용자의 하중을 탄성있게 지지하게 되고,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는 2단 지지봉의 하단에 체결되는 지지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2단 지지봉은 코일스프링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는 상태로 되는 것이다. 여기서 2단 지지봉의 상단부는 신발의 저면에 고정되고 코일스프링의 하단부는 지지판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신발이 지면에 닿아서 착용자의 몸무게에 따른 하중이 가해질 때마다 코일스프링은 그 하중으로 수축을 하게 되며 그에 따라 코일스프링의 하단부와 일체형으로 형성된 하단 지지부재는 올바른 상향으로 승강하게 되어 코일스프링이 흔들리지 않으면서 올바르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여기서, 2단 지지봉은 원기둥형으로써 높이 조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내부가 비어있는 원기둥형의 상단 지지부재와 역시 원기둥형의 하단 지지부재로 형성되는데, 상단 지지부재는 구두의 저면에 고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이탈방지부가 상단에 형성된 하단 지지부재의 헤드부는 상단 지지부재의 내부에 긴밀하게 삽입되어 올바른 상ㆍ하향 승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 지지부재의 하단부에 형성된 안내공을 하단 지지부재의 몸체부는 긴밀하게 드나들 수 있게 되고 걸림턱이 형성되어 하단 지지 부재의 헤드부는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탄성굽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도면에 의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인 구두용 탄성굽의 체결상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구두용 탄성굽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인 구두용 탄성굽의 상세도로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 조정이 가능한 2단 지지봉(100)과 일정한 간격의 강선이 꼬여진 형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는 코일스프링(200)으로써 탄력있는 구두굽을 형성하여 발에 가해지는 충격을 덜어줌으로써 편안한 보행을 제공하게 되는 것으로,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2단 지지봉(100)은 원기둥형상으로서 상단 지지부재(100A)와 하단 지지부재(100B)로 이루어지는데, 상단 지지부재(100A)는 상단부가 신발 저면에 고정이 되고, 하단 지지부재(100B)는 하단부에 지면에 닿는 지지판(300)이 체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상단 지지부재(100A)와 하단 지지부재(100B)는 독특한 체결구조에 의해 높이 조정이 가능한 신축기능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그 체결구조를 자세히 설명하면,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의 상단 지지부재(100A)는 그 하단부에 안내공(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안내공(1)을 긴밀하게 통과할 수 있는 크기로 하단 지지부재(100B)의 몸체부가 형성되고 하단 지지부재의 헤드부(2)는 압핀 형상의 이탈방지돌기(3)가 형성되어 상단 지지부재(100A)의 내부에 긴밀하게 내재되어 있다. 여기서, 하단 지지부재(100B)가 긴밀하게 드나드는 상단 지지부재(100A)의 안내공(1)에는 걸림턱(4)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걸림턱(4)은 하단 지지부재(100B)가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지지봉(100)이 하강하여 지지봉(100)의 전체 길이가 늘어나게 되면 이탈방지돌기(3)가 형성된 헤드부(2)가 걸림턱(4)에 걸리게 되므로 하단 지지부재(100B)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며, 그와는 반대로 수축의 경우에는 헤드부(2)가 상단 지지부재(100A)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을 따라 올라가면서 승강하면 지지봉(100)의 높이는 수축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봉(100)은 2단 외에도 3단 이상의 다단으로 형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2단 지지봉(100)의 상단부는 신발의 저면에 고정되는 바,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지지봉(100)의 상단 외주면에는 고정판(5)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5)에는 수개의 고정공(6)이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이에 수나사(7)와 암나사(8)로서 신발 저면에 고정이 되는 것으로, 신발의 저면 내부에는 저면과 일체형으로 암나사(8)가 하향 개구된 위치로 내장되어 있는 구조로 형성되어 이에 고정판(5)을 대고 고정공(6)을 통하여 수나사(7)를 끼워 고정시키면 2단 지지봉(100)이 신발 저면에 견고하게 고정이 되는 것이다.
또한, 지지봉(100)의 하단에는 지면에 닿는 지지판(300)이 나사로 체결되는 바, 지지봉(100)의 하단에는 수나사부(9)가 형성되어 있고, 이에 부합되는 암나사부(10)가 지지판(300)의 체결구(11)의 중앙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 체결이 용이하게 된다(도 3참조).
이러한 지지판(300)에 코일스프링(200)의 하단이 일체형으로 체결되며, 상기 코일스프링(200)의 상단은 신발의 저면에 접하여 착용자의 하중을 탄력있게 받쳐주는 구조로서, 2단 지지봉(100)은 코일스프링(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상단은 신발의 저면에 고정되고 하단은 지지판(300)이 체결되어 지면을 지지하게 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형성된 본 고안은 착용자가 보행을 할 경우, 그 하중으로 인해 코일스프링(200)이 수축되면 코일스프링(200)의 상단은 구두 저면을 탄력있게 지지하게 되고 코일스프링(200)의 하단은 지면에 닿는 지지판(300)과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일스프링(200)의 수축에 따른 지지판(300)의 이동으로 지지판(300)이 하단에 체결된 2단 지지봉(100)의 하단 지지부재(100B)도 역시 상향으로 승강을 하게 되는데, 이 때 하단 지지부재(100B)의 헤드부(2)는 상단 지지부재(100A)의 내부 공간을 따라 상향 승강하게 되므로 코일스프링(200)은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올바르게 올라갈 수 된다. 또한 반대로 착용자가 보행과정에서 신발을 지면에서 이격시켰을 경우에는 코일스프링(200)은 원래의 상태로 늘어나면서 코일스프링(200)의 하단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지지판(300)도 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300)이 나사체결된 하단 지지부재(100B)도 하향 하강하게 되어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여기서, 하단 지지부재(100B)의 헤드부(2)에는 이탈방지돌기(3)가 형성되어 있고 상단 지지부재(100A)의 하단에는 걸림턱(4)이 형성되어 있어 코일스프링(200)이 수축했다가 원래의 길이로 늘어나는 경우에 하단 지지부재(100B)는 이탈방지돌기(3)가 형성된 헤드부(2)가 걸림턱(4)에 걸리게 됨에 따라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구두굽의 기능을 하게 되는 2단 지지봉(100)의 외부에 코일스프링(200)이 형성됨으로써 종래 일반 구두굽의 내부에 형성된 제한적인 크기와 그에 따른 약한 탄성력보다 나은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오랜시간의 사용에도 탄성도가 감소되지 않고 일정하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판(30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암나사부(10)가 내측에 형성되어 2단 지지봉(100)의 하단에 체결되는 체결구(11)와 그에 일체형으로써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의 보호판(1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체결구(11)의 외주면에는 체결돌기(13)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기(13)가 부합되어 체결되는 체결홈(14)이 보호판(12)의 내측에 형성되어 있어 오랜 사용으로 보호판(12)이 마모되어 교체해야 할 경우에 간편하게 보호판(12)만 교체하여 나머지는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비록 상기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여기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범주와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와 그에 따른 작용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고안고안 탄성굽은 탄성력을 제공하게 되는 코일스프링이 굽역할을 하는 2단 지지봉의 외부에 형성되므로 종래보다 충분히 큰 사이즈의 코일스프링을 장착할 수 있어 보다 풍부한 탄성 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보다 편안한 보행을 제공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코일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밑창이 마모될 경우에도 구두굽 모두를 교체할 필요없이 코일 스프링만 교체하거나 밑창 역할을 하는 보호판만 간편하게 교체하여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코일스프링(200)을 이용한 구두용 탄성굽에 있어서, 코일스프링(200)의 상단부는 신발 저면에 접하고 높이조정이 가능한 2단 지지봉(100)의 상단부는 코일스프링(200)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삽입되어 구두 저면에 나사로 고정되며, 2단 지지봉(100)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닿는 지지판(300)이 나사로 체결되며, 상기 지지판(300)에 코일스프링(200)의 하단부가 일체형으로 체결되어 2단 지지봉(100)의 외부를 감싸듯이 구성하여 구두굽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탄성굽.
  2. 제1항에 있어서, 2단 지지봉(100)는 내부가 비어 있고 하단부에 안내공(1)이 형성된 원통형의 상단 지지부재(100A)와 상단 지지부재(100A)의 내부에 이탈방지돌기(3)가 형성된 헤드부(2)가 내재되고, 하단부에 형성된 안내공(1)을 긴밀하게 드나들게 구성된 하단 지지부재(100B)로 이루어져 높이조정이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단 지지부재(100A)의 상단에는 고정공(6)이 형성된 고정판(5)이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하단 지지부재(100B)의 하단부에는 지면에 닿는 지지판(300)이 나사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탄성굽.
  3. 제1항에 있어서, 지지판(300)은, 암나사부(10)가 내측에 형성되어 2단 지지 봉(100)의 하단에 체결되는 체결구(11)와 그에 일체형으로써 지면에 직접 닿게 되는 내마모성이 좋은 재질의 보호판(1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체결구(11)의 외주면에는 체결돌기(13)가 돌출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기(13)가 부합되어 체결되는 체결홈(14)이 보호판(12)의 내측에 형성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두용 탄성굽.
KR2020060023155U 2006-08-29 2006-08-29 구두용 탄성굽 KR20043095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55U KR200430956Y1 (ko) 2006-08-29 2006-08-29 구두용 탄성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3155U KR200430956Y1 (ko) 2006-08-29 2006-08-29 구두용 탄성굽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2190 Division 2006-08-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956Y1 true KR200430956Y1 (ko) 2006-11-14

Family

ID=417793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3155U KR200430956Y1 (ko) 2006-08-29 2006-08-29 구두용 탄성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95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6217B1 (ko) 걸음걸이 교정을 위한 신발밑창
KR200446957Y1 (ko) 충격흡수 기능을 갖춘 구두 굽
US9015964B2 (en) Shoe heel support device
US20160331077A1 (en) Shock absorbing shoes with improved assembly and operational performance
KR100887625B1 (ko) 충격흡수와 반발탄성이 이루어지는 탄성바닥재 및 이를구비한 신발
KR100975053B1 (ko) 높이 조절용 완충 하이힐
US20100024246A1 (en) Insole with shock-absorbing func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60249708A1 (en) Shoe Heel Cup Protection Device
KR200430956Y1 (ko) 구두용 탄성굽
KR200208464Y1 (ko) 쿠션 신발
KR102450372B1 (ko) 착용이 간편한 신발용 백카운터
WO2012108589A1 (en) Spring cushioned shoe
KR100999901B1 (ko) 스프링 완충력을 갖는 여성용 하이힐
EP3747300A1 (en) Shoe with replaceable heel
CN205321402U (zh) 一种防滑鞋底
KR101079709B1 (ko) 충격 흡수용 구두의 뒷굽
KR102067807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2070314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1217094B1 (ko) 충격흡수 신발
JP2022535313A (ja) ハイヒールに付着する緩衝装置付き衝撃吸収用踵
KR102059159B1 (ko) 충격을 완화해 주는 하이힐 굽
KR101408912B1 (ko) 판 스프링이 구비된 줄넘기화
KR20120003743U (ko) 판 스프링 점핑 신발
KR102106932B1 (ko) 하이힐에 부착하는 충격흡수용 굽
KR101733721B1 (ko) 신발 뒤꿈치용 보강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