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0313Y1 -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0313Y1
KR200430313Y1 KR2020060021063U KR20060021063U KR200430313Y1 KR 200430313 Y1 KR200430313 Y1 KR 200430313Y1 KR 2020060021063 U KR2020060021063 U KR 2020060021063U KR 20060021063 U KR20060021063 U KR 20060021063U KR 200430313 Y1 KR200430313 Y1 KR 200430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sprocket
crankshaft
pair
pedal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욱
Original Assignee
김진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욱 filed Critical 김진욱
Priority to KR2020060021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0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0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031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1/00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 B62M11/0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 B62M11/14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 B62M11/16Transmissio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interengaging toothed wheels or frictionally-engaging wheels of changeable ratio with planetary gears built in, or adjacent to, the ground-wheel hub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003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the gear-ratio being changed by inversion of torque direction
    • F16H3/00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the gear-ratio being changed by inversion of torque direction for gearings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 F16H3/4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variable gear ratio or for reversing rotary motion using gears having orbital mo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자전거 본체 프레임(1)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페달암(10, 20)과, 상기 한 쌍의 페달암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30) 및 스프로킷부(40)로 구성된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의 일측 페달암(10)은 크랭크축(30)의 일단을 회전 중심축(31)으로 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타측 페달암(20)은 크랭크축의 타단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일측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일측에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각각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에는 일단이 상기 스프로킷부(40)의 일측에 고정된 동력전달핀(41)이 체결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가해진 동력이 크랭크축(30)의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에 작용되어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부(40)가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켜 주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스프로킷, 회전력증강 구동편, 증속

Description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of bicycle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에 따른 스프로킷부 기어의 회전방향 및 증속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7은 도 6의 J-J`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
도 9는 도 8의 K-K`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자전거 본체 프레임 1a. 관통공
10. 일측 페달암(우 페달암) 13. 회전력증강 구동편
15. 체결공 16. 회전 중심축공
20. 타측 페달암(좌 페달암) 22. 걸림편 체결공
30. 크랭크축 31. 회전 중심축
32. 걸림편 33. 회전력증강 구동편
40. 스프로킷부 41. 동력전달핀
50. 구동드럼 51. 제1 구동 링기어
52. 관통공 56. 개방부
60. 아이들기어부 63. 외측 아이들기어
64. 내측 아이들기어 65. 지지핀
66a, 66b. 아이들기어 고정판 68. 관통공
70. 스프로킷 73. 제2 구동 선기어
78. 관통공
본 고안은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페달링에 의해 페달암에 전달된 동력이 크랭크축 및 스프로킷에 전달되는 동력전달핀이 크랭크축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L)로 이격 연장된 위치에 연결 고정됨으로써,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킬 수 있는 구조로 된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동시에 스프로킷의 제2 구동 선기어의 치차수(반경) 보다 많은 치차수를 갖는 구동드럼의 제1 구동 링기어를 크랭크축에 연결 구동되도록 함으로써 크랭크축이 회전될 때, 적은 힘으로 구동되는 구동드럼의 제1 구동 링기어와 치차 맞물려 연동되는 스프라켓이 적은 힘으로도 보다 많은 회전이 되어 스프로킷에 체인으로 연결된 후륜이 보다 빠른 속도로 주행되는 구조로 된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크랭크축의 일측에 연동된 소정 반경의 스프로킷(플라이휠)이 페달링에 의해 페달을 구동시켜 페달암으로부터 크랭크축에 전달된 동력의 힘으로 회전되는 구조로, 즉 페달링을 통해 페달암에 전달된 동력이 단순히 그대로 크랭크축에 전달되어 스프로킷이 회전되면서 스프로킷과 체인으로 연결된 후륜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구조이다.
특히, 어린이용 자전거의 경우에는 다단 기어변속 장치가 없어 발의 힘으로만 스프로킷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오르막 경사길 등을 주행함에 있어서 많은 힘을 가해야만 했다.
또한, 페달링에 의해 페달암이 1회전되면 그대로 크랭크축에 연결된 스프로킷이 1회전되는 동력전달구조로 빠른 속도를 내기 위해서는 추가로 다단 기어변속장치를 장착해야만 했다.
따라서, 경사길 주행시 소정 반경의 스프로킷을 1회전 시키기 위해서는 크랭크축에 많은 힘을 가해야 하기 때문에 체력소모가 많아 회전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주행 속도도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단 기어변속장치가 장착 자전거의 경우에 경사길 주행시 기어비 변속으로 적은 힘으로 주행을 할 수 있으나 기어비의 변속에 비례해서 주행 속도는 느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페달링을 통해 페달암에 적은 힘을 가해도 페달암과 크랭크축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스프로킷이 용이하게 회전 구동되어 주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간단한 구조로 된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로 다단 기어변속장치를 추가 장착하지 않고도 경사길 주행시에 적은 힘으로 페달링을 해도 용이하게 크랭크축이 회전 구동되 면서도 동시에 크랭크축과 연동되는 스프라켓이 보다 많은 회전이 되어 주행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즉, 배속 주행이 가능한 구조로 된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의 일례로서, 다음의 구성과 효과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I-I`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자전거 본체 프레임(1)의 양측에 장착되어 페달(2a, 2b)에 가해진 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한 쌍의 페달암(10, 20)과, 상기 한 쌍의 페달암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30) 및 스프로킷부(4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프로킷부(40)와 후륜(도시 안함)은 체인(도시 안함)으로 연결 된다.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의 일측 페달암(10)(이하, '우 페달암' 이라 함)은 크랭크축(30)의 일단을 회전 중심축(31)으로 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타측 페달암(20)(이하, '좌 페달암' 이라 함)은 크랭크축의 타단에 끼움고정된다.
이때, 상기 크랭크축 일단의 회전중심축(31)은 우 페달암(10)에 회전자재하게 고정링(38)으로 고정되며, 크랭크축 타단은 좌 페달암(20)에 고정링(38)으로 멈춤 고정된다.
상기 우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일측에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각각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에는 일단이 상기 스프로킷부(40)의 일측에 고정된 동력전달핀(41)이 체결 고정된다.
즉,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은 우 페달암(10)의 회전 중심인 크랭크축(30)의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L)로 이격 연장된 위치의 우 페달암(10) 회전력증강 구동편(13)에 너트(49)로 체결 고정되며, 이때, 상기 우 페달암(10)에 동력이 가해 지면 우 페달암(10)은 크랭크축(30)의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페달(2a)과 함께 단부가 회전되면서 소정 길이(L)로 연장된 회전력증강 구동편(13)이 동력전달핀(41)(회전 동력 작용점)에 걸려 많은 회전 동력이 작용된다.
따라서, 상기 좌 페달암(20)이 크랭크축 타단(회전 동력 작용점)에 회전 동력이 작용되는 힘과 비교하여, 우 페달암(1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3)을 통한 동 력전달핀(41)에 작용되는 힘은 보다 많이 작용된다.
결국,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가해진 회전 동력이 크랭크축(30)의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L)로 이격 연장된 위치의 동력전달핀(41)에 작용되어 크랭크축(30)의 회전이 용이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부(40)가 회전 구동된다.
한편, 상기 우 페달암(10)의 상기 크랭크축(30) 회전 중심축(3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31)이 회전자재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회전 중심축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우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의 중앙에는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이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공(15)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타측 페달암(20)의 상기 크랭크축(30) 타단에 형성된 걸림편(3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편(32)이 끼워져 체결 고정되는 걸림편 체결공(22)이 형성된다.
상기 스프로킷부(40)는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3)과 크랭크축(30)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드럼(50)과, 상기 구동드럼(50)과 치차 연동되는 아이들기어부(60)와, 상기 아이들기어부(60)와 치차 연동되는 스프로킷(70)으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드럼(50)은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2)에 상기 크랭크축(30)이 회전자재하게 삽입되고, 중앙 관통공(52)으로부터 외측방향 일측에는 상기 우 페달 암(10)과 크랭크축(3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에 체결 고정되는 동력전달핀(41)이 돌출 고정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개방부(56)의 테두리 내부 둘레면에는 제1 구동 링기어(51)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들기어부(60)는 상기 구동드럼(50)의 개방부(56)에 삽입되어 제1 구동 링기어(51)에 치차 맞물림되는 외측 및 내측 아이들기어(63, 6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아이들기어부(60)는 상기 구동드럼(50)의 제1 구동 링기어(51)로부터 스프로킷(70)으로 전달되는 회전 동력의 최소화하여, 적은 힘으로도 스프로킷이 회전 구동될 수 있도록 하는 보조 기어의 기능을 한다.
상기 아이들기어부(60)의 외측 및 내측 아이들기어(63, 64)는 상기 외측 및 내측 아이들기어(63, 64)의 양측면에서 결합되는 중앙에 관통공(68)이 형성된 아이들기어 고정판(66a, 66b) 내측면에 돌출된 지지핀(65)에 삽입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드럼(50)의 개방부(56)로 삽입되어 내측면에 면접되는 아이들기어 고정판(66a)의 외측면에는 구동드럼(50)의 회전에 따라 아이들기어 고정판(66a, 66b)이 회전되지 않고 구동드럼(50)의 회전이 원활하게 되도록 볼베어링(67)이 부착된다.
상기 스프로킷(70)은 중앙에 관통공(78)이 형성되고, 상기 아이들기어부(60)의 내측 아이들기어(64)에 치차 맞물림되며 상기 구동드럼(50)의 제1 구동 링기어(51)의 치차수 보다 적은 치차수를 가진 제2 구동 선기어(73)가 내측면에 고정된 다. 따라서, 상기 구동드럼(5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스프로킷(70)이 증속 회전 구동이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의 작동에 따른 스프로킷부 기어의 회전방향 및 증속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의 스프로킷부 기어는 다음과 같이 작동된다.
도 5를 참조하여 한 쌍의 페달암(10, 2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자전거(도시 안함)는 전진하고, 구동드럼(50)의 제1 구동 링기어(51)에 치차 연동되는 스프로킷의 제2 구동 선기어(73)의 치차수가 제1 구동 링기어(51)의 치차수와 비교하여 2배가 적은 경우를 일례로 설명하면, 우 페달암(10)이 시계방향으로 대략 반 바퀴가 회전되면 크랭크축의 회전중심축(31)을 중심으로 우 페달암(1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3)과 크랭크축(3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33)에 동력전달핀(41)으로 체결 고정된 구동드럼(50)의 제1 구동 링기어(51)가 시계방향으로 대략 반 바퀴가 회전된다.
동시에, 상기 제1 구동 링기어(51)와 치차 연동되는 외측 아이들기어(63)가 시계방향으로 수 바퀴가 회전되고 내측 아이들기어(64)는 시계반대방향으로 수 바퀴가 회전된다.
동시에, 상기 내측 아이들기어(64)와 치차 연동되는 스프로킷의 제2 구동 선기어(73)가 시계방향으로 대략 한 바퀴가 회전된다.
따라서, 한 쌍의 페달암(10, 20) 및 크랭크축(30)이 1회전하면 치차 맞물려 연동되는 스프로킷은 2회전하면서 배속 주행이 된다.
한편, 기존의 자전거의 몸체 프레임(1)의 양측에 볼트(88)로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 82b)을 손쉽게 장착 고정 및 탈리할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의 교체가 용이하다.
즉, 상기 자전거 본체 프레임(1)의 관통공(1a)에는 상기 크랭크축(30)의 회전이 원활하도록 볼베어링(81)이 체결되고 양단에는 중앙이 통공된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 82b)이 볼트(88) 고정된다.
이때, 상기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 82b)의 일측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축(83)은 상기 아이들기어부(60)의 아이들기어 고정판(66a, 66b) 및 스프로킷(70) 각각의 관통공(68, 78)에 삽입되어 아이들기어부(60)의 일측 아이들기어 고정판(66a)의 관통공(68)에 용접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아이들기어 고정판(66a, 66b)과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 82b)은 회전 구동됨이 없이 정지 고정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J-J`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상술한 설명 과 중복되는 도면 번호는 동일하게 사용하며 중복 내용은 생략하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한 쌍의 페달암(10, 20)은 크랭크축(30)의 길이방향 양단을 회전 중심축(31, 131)으로 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상기 우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각각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에는 일단이 상기 스프로킷부(40)의 일측에 고정된 동력전달핀(41)이 체결 고정된다.
상기 좌 페달암(2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회전력증강 구동편(123)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좌 페달암(20)의 내측면에는 일측에 동력전달핀(127)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편 체결공(128)이 형성된 회전력증강 구동부재(126)가 체결된다.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부재(126)의 동력전달핀(127)은 상기 좌 페달암(2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23)의 회전 중심축공(125)에 끼우져 너트(129)로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부재(126)의 걸림편 체결공(128)에는 상기 크랭크축(30) 타측에 형성된 걸림편(32)이 끼워져 체결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가해진 동력이 크랭크축(30)의 회전 중심축(31, 131)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에 작용되어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부(40)가 회전 구동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요부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K-K`를 따라 절단한 면을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를 상술한 설명과 중복되는 도면 번호는 동일하게 사용하며 중복 내용은 생략하고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고안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한 쌍의 페달암(10, 20)과, 상기 한 쌍의 페달암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30) 및 스프로킷부(40)로 구성되고, 상기 크랭크축(30)은 중앙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3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의 회전 중심축공(16, 125)과 중공의 크랭크축(30)의 관통공(239)과 스프로킷부(40)의 구동드럼 관통공(52)과 아이들기어 고정판 관통공(68)과 스프로킷 관통공(78)을 통해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는 회전 중심축봉(29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의 회전 중심축공(16, 125)에는 회전 중심축봉(290)의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각각 부시(291)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가해진 동력이 회전 중심축봉(290)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에 작용되어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부(40)가 회전 구동된다.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 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기술 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는 별도로 다단 기어변속장치를 추가 장착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페달링에 의해 페달암에 전달된 동력이 크랭크축 및 스프로킷에 전달되는 동력전달핀을 크랭크축의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소정 길이로 이격 연장된 위치에 연결 고정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을 회전 구동시켜 주행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은 힘으로 회전 구동되는 구동드럼의 제1 구동 링기어를 치차 맞물려 연동되는 스프라켓의 제2 구동 선기어의 치차수 보다 많은 치차수를 갖도록 구비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을 보다 많이 회전시켜 주행 속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의 자전거의 몸체 프레임의 양측에 본체 프레임 고정판을 손쉽게 장착 고정 및 탈리할 수 있어 본 고안에 따른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의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자전거 본체 프레임(1)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페달암(10, 20)과, 상기 한 쌍의 페달암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30) 및 스프로킷부(40)로 구성된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의 일측 페달암(10)은 크랭크축(30)의 일단을 회전 중심축(31)으로 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타측 페달암(20)은 크랭크축의 타단에 끼움고정되고,
    상기 일측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일측에는 회전 중심축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각각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에는 일단이 상기 스프로킷부(40)의 일측에 고정된 동력전달핀(41)이 체결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가해진 동력이 크랭크축(30)의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에 작용되어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부(40)가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로킷부(40)는
    중앙에 형성된 관통공(52)에 상기 크랭크축(30)이 회전자재하게 삽입되고, 중앙 관통공(52)으로부터 외측방향 일측에는 상기 일측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에 체결 고정되는 동력전달핀(41)이 돌출 고정되고, 일측면이 개구된 개방부(56)의 테두리 내부 둘레면에는 제1 구동 링기어(51)가 형성된 구동드럼(50)과;
    상기 구동드럼(50)의 개방부(56)에 삽입되어 제1 구동 링기어(51)에 치차 맞물림되는 외측 및 내측 아이들기어(63, 64)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아이들기어부(60)와;
    상기 아이들기어부(60)의 내측 아이들기어(64)에 치차 맞물림되며 상기 구동드럼(50) 제1 구동 링기어(51)의 치차수 보다 적은 치차수를 가진 제2 구동 선기어(73)가 내측면에 고정된 스프로킷(70);으로 구성되어,
    상기 구동드럼(50)의 회전 구동에 따라 스프로킷(70)이 증속 회전 구동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페달암(10)의 상기 크랭크축(30) 회전 중심축(3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31)이 회전자재하게 끼워져 연결되는 회전 중심축공(16)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의 중앙에는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이 끼워져 체결되는 체결공(15)이 형성되고,
    상기 타측 페달암(20)의 상기 크랭크축(30) 타단에 형성된 걸림편(32)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상기 걸림편(32)이 끼워져 체결 고정되는 걸림편 체결공(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 본체 프레임(1)의 관통공(1a)에는 볼베어링(81)이 체결되고 양단에는 중앙이 통공된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 82b)이 볼트(88) 고정되며,
    상기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 82b)의 일측 본체 프레임 고정판(82a)의 외측면에 돌출 형성된 지지축(83)은 상기 아이들기어부(60)의 외측 및 내측 아이들기어(63, 64)가 내측면에 돌출된 지지핀(65)에 지지되는 아이들기어 고정판(66a, 66b) 및 스프로킷(70)의 관통공(68, 78)에 삽입되어 아이들기어부(60)의 일측 아이들기어 고정판(66a)의 관통공(68)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5. 자전거 본체 프레임(1)의 양측에 장착되는 한 쌍의 페달암(10, 20)과, 상기 한 쌍의 페달암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크랭크축(30) 및 스프로킷부(40)로 구성된 자전거 동력전달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은 크랭크축(30)의 길이방향 양단을 회전 중심 축(31, 131)으로 하여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며,
    상기 일측 페달암(10)과 크랭크축(3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3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각각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이 연장 형성되며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편(13, 33)에는 일단이 상기 스프로킷부(40)의 일측에 고정된 동력전달핀(41)이 체결 고정되고,
    상기 타측 페달암(20)의 일측에는 상기 회전 중심축(131)을 중심으로 외측방향으로 회전력증강 구동편(123)이 연장형성되며 상기 타측 페달암(20)의 내측면에는 일측에 동력전달핀(127)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에 걸림편 체결공(128)이 형성된 회전력증강 구동부재(126)가 체결되고,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부재(126)의 동력전달핀(127)은 상기 타측 페달암(20)의 회전력증강 구동편(123)에 체결 고정되고 상기 회전력증강 구동부재(126)의 걸림편 체결공(128)에는 상기 크랭크축(30) 타측에 형성된 걸림편(32)이 끼워져 체결 고정되어,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가해진 동력이 크랭크축(30)의 회전 중심축(31, 131)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에 작용되어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부(40)가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30)은 중앙 길이방향으로 관통공(239)이 형 성되며,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의 회전 중심축공(16, 125)과 중공의 크랭크축(30)의 관통공(239)과 스프로킷부(40)의 구동드럼 관통공(52)과 아이들기어 고정판 관통공(68)과 스프로킷 관통공(78)을 통해 삽입되어 양단이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회전자재하게 연결되는 회전 중심축봉(290)이 더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페달암(10, 20)에 가해진 동력이 회전 중심축봉(290)을 중심으로 상기 스프로킷부(40)의 동력전달핀(41)에 작용되어 적은 힘으로 스프로킷부(40)가 회전 구동되는 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KR2020060021063U 2006-08-07 2006-08-0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200430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063U KR200430313Y1 (ko) 2006-08-07 2006-08-0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063U KR200430313Y1 (ko) 2006-08-07 2006-08-0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972A Division KR101029114B1 (ko) 2006-08-05 2006-08-05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0313Y1 true KR200430313Y1 (ko) 2006-11-10

Family

ID=4177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063U KR200430313Y1 (ko) 2006-08-07 2006-08-07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031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226B1 (ko) 2010-05-31 2013-01-11 최진만 변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1226B1 (ko) 2010-05-31 2013-01-11 최진만 변속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90655B2 (en) Pedal driven apparatus having a motor
CN1212662A (zh) 自行车的可变的踏板驱动装置
US5324057A (en) Two-wheel drive cycle
EP1620307B1 (en)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bicycle
US9656723B1 (en) Electrical bicycle derailleur
KR970042078A (ko) 자전거의 변환 전진구동 주행장치
JPH01266089A (ja) 自転車の強力駆動装置
US7273123B2 (en) Electric bicycle power structure
KR200430313Y1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KR101029114B1 (ko) 자전거의 동력전달장치
WO2007037993A2 (en) Vehicle propulsion system and vehicles adapted to include propulsion system
KR980001695A (ko) 자전거 구동장치
JP2004075031A (ja) 前輪駆動自転車
US6347803B1 (en) Bicycle with two chain driven differentials
KR200306312Y1 (ko) 동력 연결구조
JP2005145419A5 (ko)
WO2022075374A1 (ja) ペダル動力伝達装置
TWI813246B (zh) 電動助力自行車的動力模組
KR102495338B1 (ko) 유성기어장치와 자석의 자력을 이용한 자전거
JP3113603U (ja) 自転車の強力駆動装置
JP2000318673A (ja) 無チェーン式自転車の動力伝達装置
KR100268131B1 (ko) 자전거 연동장치
KR200185942Y1 (ko) 자전거의 가변식 페달구동장치
GB2439936A (en) Cycle transmission with multiple inputs
CN110588874A (zh) 一种自行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4

Year of fee payment: 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