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838Y1 -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 Google Patents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838Y1
KR200429838Y1 KR2020060020740U KR20060020740U KR200429838Y1 KR 200429838 Y1 KR200429838 Y1 KR 200429838Y1 KR 2020060020740 U KR2020060020740 U KR 2020060020740U KR 20060020740 U KR20060020740 U KR 20060020740U KR 200429838 Y1 KR200429838 Y1 KR 20042983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or
light emitting
line
induction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유복
이동일
Original Assignee
임유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유복 filed Critical 임유복
Priority to KR2020060020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83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83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83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transformers, impedances or power supply units, e.g. a transformer with a rectifi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난구 유도등이나 복도통로 유도등과 같은 각종 유도등의 전면에 있는 유도그림판을 그 뒷 쪽에서 밝게 비추어주는 유도등용 광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주고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을 향상시켜 주기 위해서 인쇄회로기판(10)에 배열된 교류선(L1),직류선(L2) 및 접지선(L3)상에 여러개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D)가 병렬로 연결된 것에 있어서, 직류선(L2)과 발광다이오드(D)사이에는 제1저항(R1)이 연결되어 있으며, 교류선(L1)과 상기 제1저항(R1)사이에는 제2저항(R2)이 제1저항(R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유도등용 광원조립체임.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와 근접된 인쇄회로기판상에서 전원의 종류에 제한 받음 없이 전압변화와 전류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해주어서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의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유도등, 광원조립체, 인쇄회로기판, 발광다이오드, 제1저항, 제2저항

Description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 Optical assembly for guide lamp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유도등용 광원조립체의 한 실시형태를 보인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유도등용 광원조립체의 회로도.
본 고안은 피난구조 유도등이나 복도유도등과 같은 각종 유도등의 전면에 있는 유도그림판을 그 뒷 쪽에서 밝게 비추어주는 유도등용 광원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휘도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유도등용 광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도등은 상용전원(AC)에서 비상전원(DC)으로 자동전환되며 정전압회로와 인버팅회로등이 포함된 전원공급장치에 의해서 점등되는바, 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하는 종래의 광원조립체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8942호에 제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장치와 리드선으로 연결되는 기판에 단순히 여러개의 고휘도발광 다이오드를 병렬로 연결시켜서 된 것이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광원조립체는 발광다이오드의 조도와 수명이 전류변화와 전압변동에 의해서 큰 영향을 받는 것임에도 불구 하고 발광다이오드와 이격되어 있는 전원공급장치 쪽에서 전류변화와 전압변화를 제어하는 것이어서 그 효과가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교류전원은 직류전원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전압과 전류의 변화가 심한 것임에도 불구 하고 종래의 것은 교류전원의 주파수 특성에 따른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차단시켜 줄 수 없어서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줄 수도 없었을 뿐만 아니라, 발광다이오드의 과열이 초래되어서 발광다이오드의 내구수명이 단축되므로 유지, 보수 비용이 많이 들었었고, 작동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발광다이오드가 배열되는 기판상에서 전류변화와 전압변화를 방지해줌으로써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유도등용 광원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고안을 예시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도 1과 도 2에 예시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10)에 배열된 교류선(L1), 직류선(L2) 및 접지선(L3)상에 여러개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D)가 병렬로 연결되어 있고, 직류선(L2)과 발광다이오드(D) 사이에는 제1저항(R1)이 연결되어 있으며, 교류선(L1)과 상기 제1저항(R1)사이에는 제2저항(R2)이 상기 제1저항(R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서 발광다이오드(D)들이 직류(DC)전원으로 점등될 때에는 제1저항(R1)으로 전압변화와 전류변화를 방지해주고, 발광다이오드(D)들이 직 류(DC) 전원에 비하여 전압변화와 전류변화가 심한 교류(AC) 전원으로 점등될 때에는 직렬로 연결된 제2저항(R2)과 제1저항(R1)으로 전압변화, 전류변화 및 노이즈를 2중으로 방지해 주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압변화와 전류변화에 의해서 조도와 내구수명에 영향을 크게 받는 발광다이오드(D)와 근접하는 인쇄회로기판(10)상의 교류선(L1)과 직류선(L2)에 있는 제1저항(R1)과 제2저항(R2)이 발광다이오드(D)로 공급되는 전압과 전류의 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해 주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3.1V정도의 전압과, 20mA 이하의 전류에서 우수한 조도와 내구성을 갖는 탑(TOP)형 발광다이오드와 같은 고휘도발광다이오드를 광원으로 적용하기에 매우 적합한 장점을 갖게 된다.
본 고안은 발광다이오드와의 근접된 인쇄회로기판 상에서 전원의 종류에 제한 받음 없이 전압변화와 전류변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해주는 것이어서 조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 줄 수 있고, 발광다이오드의 내구성과 작동신뢰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다.

Claims (1)

  1. 인쇄회로기판(10)에 배열된 교류선(L1), 직류선(L2) 및 접지선(L3)상에 여러개의 고휘도 발광다이오드(D)가 병렬로 연결된 것에 있어서, 직류선(L2)과 발광다이오드(D)사이에는 제1저항(R1)이 연결되어 있으며, 교류선(L1)과 상기 제1저항(R1)사이에는 제2저항(R2)이 제1저항(R1)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등용 광원 조립체.
KR2020060020740U 2006-08-02 2006-08-02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KR20042983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40U KR200429838Y1 (ko) 2006-08-02 2006-08-02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740U KR200429838Y1 (ko) 2006-08-02 2006-08-02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838Y1 true KR200429838Y1 (ko) 2006-10-27

Family

ID=41778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740U KR200429838Y1 (ko) 2006-08-02 2006-08-02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83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15086B2 (en) Electronic light generating element light bulb
JP2010009972A (ja) 発光モジュール及び発光装置
US20110037418A1 (en) Led device
JP2014528141A (ja) 位相カット調光器を具備する半導体光源の適合性を改善するための装置
US20150015151A1 (en) Lighting Circuit and Luminaire
JP2014002867A (ja) 点灯装置及び照明器具
ATE382530T1 (de) Elektrische schaltung für led signallampen mit einer schaltschwelle zum umschalten zwischen tages- und nachtbetrieb
JP2012243458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KR101753193B1 (ko) 병렬 연결된 led모듈의 pwm제어를 통한 led등기구의 전류 컨트롤방법
JP2013143372A (ja) 照明回路及びそれを備える照明装置
KR200429838Y1 (ko) 유도등용 광원조립체
JP6156631B2 (ja) 点灯回路及び照明装置
JP2007200684A (ja) 照明装置
JP2012204086A (ja) 固体発光素子ランプ及び照明装置
KR20160021165A (ko) 엘이디 조명등용 인쇄회로기판 패턴과 이를 이용한 엘이디 인쇄회로기판 및 엘이디 조명기기
JP2018045987A (ja) Led補償システム及び制御方法
KR200394040Y1 (ko) Led 스탠드
JP2015041430A (ja) 点灯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照明器具
JP6213864B2 (ja) Led素子を備えた照明装置
KR100953224B1 (ko) 자기식 보조안정기 모듈을 통한 led 형광등
US11490476B2 (en) Solid-state lighting with a luminaire dimming driver
JP2012243456A (ja) 照明装置及び照明器具
JP2018006122A (ja) 点灯装置、照明器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200427667Y1 (ko) 연등회로
JP6431145B2 (ja) Led素子を備えた照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