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676Y1 - 절첩 이동식 농구대 - Google Patents

절첩 이동식 농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676Y1
KR200429676Y1 KR2020060020658U KR20060020658U KR200429676Y1 KR 200429676 Y1 KR200429676 Y1 KR 200429676Y1 KR 2020060020658 U KR2020060020658 U KR 2020060020658U KR 20060020658 U KR20060020658 U KR 20060020658U KR 200429676 Y1 KR200429676 Y1 KR 2004296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hoop
base frame
lif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혁주
Original Assignee
노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혁주 filed Critical 노혁주
Priority to KR2020060020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6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6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6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8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 A63B63/083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with substantially horizontal opening for ball, e.g. for basketball for basket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2063/001Targets or goals with ball-return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대차에 설치되는 이송식 바퀴를 대차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농구대의 이동은 물론 농구대의 설치시 고정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첩 이동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공이 통과되는 링이 전면에 구비된 백보드와, 상기 백보드가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승강프레임과, 하부에 이송용 바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승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회동프레임이 회동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된 백보드의 링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절첩 이동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바퀴가 위치한 베이스프레임 상에 승강로드가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부에는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승강로드 상에는 상기 바퀴를 들어올려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이 탄지되어, 상기 회동되는 회동프레임에 눌려 승강로드가 하강되면서 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이동식 농구대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절첩 이동식 농구대{A basketball post}
도 1은 종래의 절첩 이동식 농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절첩 이동식 농구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인 절첩 이동식 농구대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덜첩 이동식 농구대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절첩 이동식 농구대
110 : 백보드 111 : 링
120 : 승강프레임 130 : 베이스프레임
131 : 바퀴 132 : 승강안내실린더
140 : 회동프레임 141 : 푸쉬돌기편
150 : 회동수단 151 : 회동암
152 : 스크류피스톤 152a : 암나사공
153 : 지지브라켓 154 : 스크류샤프트
154a : 수나사 155 : 구동모터
156 : 유니버셜조인트 157 : 가이드실린더
157a : 중공부 160 : 승강로드
161 : 걸림단턱 170 : 스프링
181 : 힌지축 182 : 힌지축
183 : 힌지축 190 : 받침구
191 : 높이조절편
본 고안은 절첩 이동식 농구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대차에 설치되는 이송식 바퀴를 대차 내외로 출몰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농구대의 이동은 물론 농구대의 설치시 고정 상태를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첩 이동식 농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구대는 네트가 부설된 링을 백보드에 장착하고, 상기 백보드를 지지대로 고정하여 상기 링이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유지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농구대는 상기 지지대를 지면에 세워 고정시키는 고정식과, 또는 필요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절첩하여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절첩 이동식으로 크게 대별되며, 점차적으로 상기 지지대를 절첩하여 이동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절첩 이동식 농구대가 주로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절첩 이동식 농구대의 종래 구성은 대부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보드(11)의 배면 하부에 Y자로 지지되는 상체포스트(12)와 백보드(11) 상부 배면에서 상기 상체포스트(12)의 후방으로 지지되어 역삼각 구조로 고정되는 백프레임(13)과, 그리고 이송용 바퀴(17)를 저부에 갖는 대차인 베이스(14)가 구비되어, 이 베이스(14) 전방으로부터 상체포스트(12)에 연결되는 메인포스트(15)와, 그 후방에 연결되는 리어포스트(16)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절첩 이동식 농구대(10)는 대부분 이송용 바퀴(17)가 항상 지면에 닿도록 노출되어 고정된 구성임으로 별도의 보조 고정수단 없이 농구대(10)를 설치할 경우에는 경기도중 농구대(10)가 작은 충격에도 쉽게 밀려 이동되면서 제 위치를 벗어나기 때문에 경기를 제대로 진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회동프레임의 절첩과 아울러 이송식 바퀴를 대차 내외로 출몰되도록 함으로써 농구대의 설치 및 이동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절첩 이동식 농구대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공이 통과되는 링이 전면에 구비된 백보드와, 상기 백보드가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 는 승강프레임과, 하부에 이송용 바퀴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과 승강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회동프레임과, 상기 회동프레임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회동프레임이 회동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에 장착된 백보드의 링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절첩 이동식 농구대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바퀴가 위치한 베이스프레임 상에 승강로드가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고, 상기 승강로드의 하단부에는 바퀴가 장착되며, 상기 승강로드 상에는 상기 바퀴를 들어올려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이 탄지되어, 상기 회동되는 회동프레임에 눌려 승강로드가 하강되면서 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이동식 농구대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인 절첩 이동식 농구대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절첩 이동식 농구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인 절첩 이동식 농구대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인 덜첩 이동식 농구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절첩 이동식 농구대(100)는 공이 통과되는 링(111)이 전면에 구비된 백보드(110)와, 상기 백보드(110)가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승강프레임(120)과, 하부에 이송용 바퀴(131)가 구비된 대차인 베이스프레임(130)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130)과 승강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회동프레임(140)과, 상기 회동프레임(140)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50)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수단(150)의 작동에 따라 회동프레임(140)이 회동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120)에 장착된 백보드(110)의 링(111)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절첩 이동식 농구대(100)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바퀴(131)가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30) 상에 승강로드(160)가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고, 상기 승강로드(160)의 하단부에는 바퀴(131)가 장착되며, 상기 승강로드(160) 상에는 상기 바퀴(131)를 들어올려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170)이 탄지되어, 상기 회동되는 회동프레임(140)에 눌려 승강로드(160)가 하강되면서 바퀴(131)가 베이스프레임(130) 외부로 노출되어 지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스프링(170)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30) 내부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프레임(140)은 복수개가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프레임(130) 및 승강프레임(120)에 대하여 일정간격을 두면서 전후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양단부가 각각 힌지축(181)(182)에 의해 베이스프레임(130)과 승강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30)의 하부 모서리 부위에는 높이 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상기 베이스프레임(130)을 안정적으로 받쳐 지면에 고정하는 높이조절편(191)이 구비된 받침구(190)가 결합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30)에는 상기 승강로드(160)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 되는 승강안내실린더(132)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승강로드(160) 상에는 상기 스프링(170)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단턱(16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링(170)이 승강로드(160)에 끼워져 양단부가 각각 승강안내실린더(132)의 상면과 승강로드(160)의 걸림단턱(161)에 탄지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동수단(150)은 상기 회동프레임(140)의 단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회동암(151)과, 일단부가 상기 회동암(151)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내부에는 암나사공(152a)이 형성된 스크류피스톤(152)과, 지지브라켓(153)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스크류피스톤(152)의 암나사공(152a)과 체결되는 수나사(154a)가 형성된 스크류샤프트(154)와, 상기 스크류샤프트(154)와 인접된 베이스프레임(130)에 고정 설치되며, 전기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5)와, 상기 구동모터(155)의 축과 스크류샤프트(154)를 상호 연동되도록 결합하는 유니버셜조인트(156)로 구성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회동수단(150)은 상기 지지브라켓(15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스크류피스톤(152)이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부(157a)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57a)의 후단부에는 스크류샤프트(15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가이드실린더(157)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모터(155)에는 전원선(도시 않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모터(155)로 인가되는 전원의 차폐 및 구동모터(155)의 회전방향을 제어하는 스위치 들이 구비된 컨트롤박스(도시 않됨)가 구동모터(155)와 인접된 베이스프레임(130)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승강로드(160)의 상단부를 밀어 하강시키는 회동프레임(140) 부위에는 일정두께의 푸쉬돌기편(141)이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스크류피스톤(152)의 선단부와 회동프레임(140)의 회동암(151)은 힌지축(183)에 의해 상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인 절첩 이동식 농구대(100)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농구대(100)가 도 3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펼쳐져 설치된 상태에서 회동수단(150)의 구동모터(155)가 작동되어 스크류샤프트(154)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피스톤(152)을 전진시켜 회동암(151)을 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되면, 상기 회동프레임(140)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점차적으로 접히다가 이내 회동프레임(140)의 푸쉬돌기편(141)이 승강로드(160)의 상단부를 눌러 하강시키게되고, 동시에 상기 승강로드(160)의 하단부에 장착된 이송용 바퀴(131)는 하강하다가 지면에 접지되면서 베이스프레임(130)을 점차적으로 들어 올려 상기 베이스프레임(130)의 받침구(190)가 지면에서 떨어지게 되어 상기 회동프레임(140) 및 승강프레임(120)이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지면서 농구대의 이동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
또한, 역으로 농구대(100)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혀진 상태에서 회동수단(150)의 구동모터(155)가 작동되어 스크류샤프트(154)가 회전하면서 상기 스크류피스톤(152)을 후퇴시켜 회동암(15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키게되면, 상기 승강로드(160)의 상단부를 누루고 있던 회동프레임(140)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 면서 이내 승강로드(160)의 상단부와 이탈되어 점차적으로 펼쳐져 백보드(110)의 링(111)이 지면에서 일정높이로 유지될 수 있게된다.
이때, 즉 상기 회동되던 회동프레임(140)이 승강로드(160)의 상단부에서 이탈하기 시작할 경우 상기 스프링(170)의 탄성력에 의해 승강로드(160)가 상승함과 동시에 상기 승강로드(160)의 하단부에 장착된 이송용 바퀴(131)가 지면에서 점차적으로 떨어져 상승함과 아울러 베이스프레임(130)의 받침구(190)가 지면에 접지되면서 농구대(100)가 안정적으로 세워져 고정될 수 있게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인 절첩 이동식 농구대는 회동프레임을 접었다 펼쳤다 하는 동작과 더불어 이송용 바퀴가 베이스프레임의 외부로 출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농구대의 설치 및 이동 작업을 신속하게 간편하게 행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공이 통과되는 링(111)이 전면에 구비된 백보드(110)와, 상기 백보드(110)가 선단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승강프레임(120)과, 하부에 이송용 바퀴(131)가 구비된 베이스프레임(130)과, 양단부가 각각 상기 베이스프레임(130)과 승강프레임(12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회동프레임(140)과, 상기 회동프레임(140)을 회동시키는 회동수단(150)으로 이루어져 상기 회동수단(150)의 작동에 따라 회동프레임(140)이 회동되면서 상기 승강프레임(120)에 장착된 백보드(110)의 링(111)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절첩 이동식 농구대(100)에 있어서,
    상기 이송용 바퀴(131)가 위치한 베이스프레임(130) 상에 승강로드(160)가 수직으로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고, 상기 승강로드(160)의 하단부에는 바퀴(131)가 장착되며, 상기 승강로드(160) 상에는 상기 바퀴(131)를 들어올려 지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스프링(170)이 탄지되어, 상기 회동되는 회동프레임(140)에 눌려 승강로드(160)가 하강되면서 바퀴(131)가 지면에 접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이동식 농구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30)에 상기 승강로드(160)가 승강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승강안내실린더(132)가 고정 결합되고, 상기 승강로드(160) 상에는 상기 스프링(170)의 단부가 걸리는 걸림단턱(161)이 형성되며, 상기 스프 링(170)이 승강로드(160)에 끼워져 양단부가 각각 승강안내실린더(132)의 상면과 승강로드(160)의 걸림단턱(161)에 탄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이동식 농구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수단(150)은 상기 회동프레임(140)의 단부에 일체로 연이어 형성된 회동암(151)과, 일단부가 상기 회동암(151)의 단부와 회동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내부에는 암나사공(152a)이 형성된 스크류피스톤(152)과, 지지브라켓(153)에 의해 상기 베이스프레임(13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며 외주연에는 상기 스크류피스톤(152)의 암나사공(152a)과 체결되는 수나사(154a)가 형성된 스크류샤프트(154)와, 상기 스크류샤프트(154)와 인접된 베이스프레임(130)에 고정 설치되며, 전기에 의해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155)와, 상기 구동모터(155)의 축과 스크류샤프트(154)를 상호 연동되도록 결합하는 유니버셜조인트(15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이동식 농구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153)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부에는 스크류피스톤(152)이 이송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부(157a)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157a)의 후단부에는 스크류샤프트(154)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 결합되는 가이드실린더(157)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 이동식 농구대.
KR2020060020658U 2006-08-01 2006-08-01 절첩 이동식 농구대 KR2004296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58U KR200429676Y1 (ko) 2006-08-01 2006-08-01 절첩 이동식 농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58U KR200429676Y1 (ko) 2006-08-01 2006-08-01 절첩 이동식 농구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59742A Division KR100876147B1 (ko) 2007-06-19 2007-06-19 절첩 이동식 농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676Y1 true KR200429676Y1 (ko) 2006-10-26

Family

ID=41778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58U KR200429676Y1 (ko) 2006-08-01 2006-08-01 절첩 이동식 농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67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58B1 (ko) * 2009-04-14 2009-09-25 노정훈 절첩 이동식 농구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358B1 (ko) * 2009-04-14 2009-09-25 노정훈 절첩 이동식 농구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6147B1 (ko) 절첩 이동식 농구대
US20020173408A1 (en) Folding mechanism for an exercise treadmill
KR100919358B1 (ko) 절첩 이동식 농구대
US11814858B2 (en) Movable umbrella base
JP5133674B2 (ja) 転倒防止装置
KR200429676Y1 (ko) 절첩 이동식 농구대
KR101664898B1 (ko) 농구대
KR200443021Y1 (ko) 절첩 이동식 농구대
CN111169234A (zh) 一种拆胎机滑架整体结构及其工作方法
KR100451135B1 (ko) 트랙터용 써레
CN110562215B (zh) 一种装卸装置自升降机构的支撑结构
JP2001213592A (ja) 高所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KR200443010Y1 (ko) 작업용 레일 전동카
KR101911514B1 (ko) 주차용 버팀목 장치
JP3910511B2 (ja) 床下収納庫用開閉蓋の取付構造
KR20090010979U (ko) 이동식 테이블
JP2003312989A (ja) 手動式アウトリガ装置
CN204734904U (zh) 一种跑步机
KR20130032449A (ko) 절첩 이동식 농구대
CN218400857U (zh) 具有升降机构的折叠电动自行车
KR900009770Y1 (ko) 골프백의 차륜절첩장치
JP2016088732A (ja) 高所作業車のジャッキ装置
CN220140188U (zh) 一种山药的无损采挖机
CN210882411U (zh) 一种司钻房随车移运装置
CN220011998U (zh) 一种用于赛车维修的重力自锁式单人快速举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