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653Y1 - 다용도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다용도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653Y1
KR200429653Y1 KR2020060019945U KR20060019945U KR200429653Y1 KR 200429653 Y1 KR200429653 Y1 KR 200429653Y1 KR 2020060019945 U KR2020060019945 U KR 2020060019945U KR 20060019945 U KR20060019945 U KR 20060019945U KR 200429653 Y1 KR200429653 Y1 KR 2004296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pan
base
cover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9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순
김선미
Original Assignee
최병순
김선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순, 김선미 filed Critical 최병순
Priority to KR20200600199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6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6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65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1Integrated lids
    • A47J37/103Broiling- or heating-l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10Frying pans, e.g. frying pans with integrated lids or basting devices
    • A47J37/108Accessories, e.g. inserts, plates to hold food down during fr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면 프라이팬과 누룽지팬 및 직화구이용 냄비 등으로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손잡이를 갖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과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돌출턱을 형성하며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커버팬과; 누룽지를 만들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팬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팬의 돌출턱에 포개지게 되며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누름팬과; 상기 누름팬의 상부에 포개지게 되며, 바닥면에 가열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화기구멍을 형성하고,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직화팬과; 상기 직화팬의 테두리 내측에 걸치는 그릴; 및 상기 베이스팬, 커버팬, 누름팬 및 직화팬의 외측에 상호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 구비한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다용도 조리기구가 개시된다.
다용도 조리기구, 양면팬, 베이스팬, 커버팬, 누름팬, 직화팬

Description

다용도 조리기구{A multipurpose cooking utensil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팬과 커버팬의 작동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팬과 누름팬을 결합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5는 도 4의 작동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직화팬과 커버팬을 결합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7은 도 6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베이스팬 11: 베이스 손잡이
12: 제 1힌지공 13: 결합턱
14: 클립부재 15: 요홈부
20: 커버팬 21: 커버 손잡이
22: 제 1힌지핀 23: 돌출턱
24: 그릴돌기 25: 돌기부
30: 누름팬 31: 누름 손잡이
32: 제 2힌지핀 33: 걸림턱
34: 엠보싱돌기 40: 직화팬
41: 냄비 손잡이 42: 제 2힌지공
44: 화기구멍 45: 요홈부
50: 그릴
본 고안은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실용신안등록 제0380749호를 개량하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양면 프라이팬과 누룽지팬 및 직화구이용 냄비 등으로 더욱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용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방에서 사용하는 다양한 조리기구는 그 각각의 용도 및 기능이 국한되어 있으므로 조리물에 따라 가장 적합한 조리기구를 선택하여 요리를 하게 된다.
예컨대, 양면 프라이팬은 육류나 생선 등의 조리물을 외부와 격리시켜 내부열의 유출을 차단한 상태에서 굽거나 튀기는데 사용되는 것으로, 양쪽을 모두 사용 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도구로 조리물을 일일이 뒤집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누룽지팬은 밥을 그 성형공간에 공급한 후 가열수단으로 성형공간에 열을 전달시킴과 동시에 상부팬을 압착함으로써 밥과는 색다른 풍미의 누룽지를 손쉽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직화구이용 팬은 가열수단에 의해 발생되는 화기가 팬의 바닥에 다수 형성된 화기구멍을 통해 팬 안쪽으로 유입되어 조리물을 직접 가열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위와 같은 양면 프라이팬과 누룽지팬 및 직화구이용 팬은 일상의 주변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제각기 그 고유의 용도 및 특성에 맞는 조리물만을 요리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리상의 목적 및 편의에 따라 해당하는 조리기구를 각각 별도로 구매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구매비용의 과다한 지출이 필연적으로 수반될 수밖에 없어 사용자의 경제적 부담이 가중될 뿐만 아니라, 조리기구의 특성상 여러 종류를 한곳에 비치 및 보관하게 되므로 보관에 따른 공간효율성이 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하나의 조리기구를 통해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손잡이를 갖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과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돌출턱을 형성하며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커버팬과; 누룽지를 만들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팬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팬의 돌출턱에 포개지게 되며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누름팬과; 상기 누름팬의 상부에 포개지게 되며, 바닥면에 가열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화기구멍을 형성하고,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직화팬과; 상기 직화팬의 테두리 내측에 걸치는 그릴; 및 상기 베이스팬, 커버팬, 누름팬 및 직화팬의 외측에 상호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 구비한 힌지수단을 포함하는 다용도 조리기구를 제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개념과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다용도 조리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팬(10), 커버팬(20), 누름팬(30) 및 직화팬(40)은 힌지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먼저, 상기 베이스팬(10)은 테두리를 따라 형성된 운두에 의해 조리공간이 마련되고, 그 운두 내측에는 결합턱(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팬(10)의 외측 테두리단 일측에는 베이스 손잡이(11)가 구비되며, 외측 테두리단 타측에는 커버팬(20) 또는 누름팬(30)이 선택적으로 힌지 결합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제 1힌지공(12)이 양쪽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베이스 손잡이(11)는 베이스팬(10)의 테두리단 일측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지지부에 핀 결합되어 있고, 베이스 손잡이(11)의 외측 단부에는 베이스팬(10), 커버팬(20), 누름팬(30) 및 직화팬(40)을 운반 및 보관 시 보다 안정적인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서로 외력에 의해 쉽게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클립부재(14)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커버팬(20)은 베이스팬(10)과 대칭 형상으로 베이스팬(20) 보다 운두가 높게 형성되며, 그 상부에는 상향으로 돌출턱(23)이, 그 일측에는 커버 손잡이(21)가, 그 타측의 양쪽에는 베이스팬(10)의 외측 테두리단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힌지공(12)과 탈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 1힌지핀(22)이 구비되고, 베이스팬(10)과 결합 시 제 1힌지핀(22)을 축으로 하는 회동에 따라 베이스팬(10)의 조리공간을 커버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힌지핀(22)은 제 1힌지공(12)에 결합시 힌지축의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커버팬(20)의 내측 바닥면에는 일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다수개의 그릴돌기(24)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버팬(20)을 바닥면으로 하여 가열수단을 통해 조리물을 조리 시 상기 그릴돌기(24)가 커버팬(20)과 조리물의 접촉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이 커버팬(20)의 바닥면 눌러 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의 서로 마주보는 테두리 밀착면에는 기밀의 유지를 위해 요홈부(15)와 돌기부(25)가 상호 대응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는 조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조리공간의 내부열, 기름 및 냄새 등이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의 밀착면 틈새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함과 아울러 조리물의 조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누름팬(30)은 그 일측에 베이스팬(10)의 제 1힌지공(12)과 탈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 2힌지핀(32)을 그 반대쪽 측면에는 누름 손잡이(31)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누름팬(30)은 커버팬(20)의 상부에 제공되는 돌출턱(23)에 뒤집힌 상태로 겹쳐질 수 있도록 돌출턱(23)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사용 시에는 베이스팬(10)의 조리공간 내측 테두리면에 제공되는 결합턱(13)에 안착될 수 있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베이스팬(10)과 힌지 결합되며, 상기 제 2힌지핀(3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시 베이스팬(10)의 조리공간에 놓여지는 조리물을 누르면서 압착한다.
여기서, 베이스팬(10)의 조리공간과 누름팬(30)의 바닥면 사이에는 누름 팬(30)에 누르는 힘을 가하더라도 소정의 틈새공간이 유지되도록 상기 결합턱(13)과 대응되는 누름팬(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걸림턱(3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팬(10)의 조리공간에 공급된 조리물과 가압력에 의해 밀착되는 누름팬(30)의 바닥면에는 엠보싱돌기(34)를 형성하여 조리물이 누름팬(3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조리물이 눌려 붙지 않도록 하여 누룽지 등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직화팬(40)은 그 일측에 커버팬(20)의 제 1힌지핀(22)과 탈착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도록 한 쌍의 제 2힌지공(42)을 그 반대쪽 측면에는 냄비 손잡이(41)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직화팬(40)의 바닥면에는 가열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면서 조리과정에서 물이나 기름 따위의 유체가 가열수단으로 흘려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바닥면보다 상향으로 높게 돌출된 위치에 화기구멍(44)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직화팬(40)은 상기 누름팬(30)의 운두에 뒤집어진 상태로 겹쳐질 수 있도록 누름팬(30)의 운두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사용 시에는 커버팬(20)의 제 1힌지핀(22)을 중심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된다.
상기 그릴(50)은 직화팬(40)에 형성된 테두리나 내측 바닥면에 안착시키는 것으로, 찜이나 구이 등의 다양한 요리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그릴(50)은 베이스팬(10)의 내부에 삽입시킨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베이스팬(10), 커버팬(20), 누름팬(30) 및 직화팬(40)은 알루미늄 합금 등의 재질로 하여 다이캐스팅 주조법으로 제조함이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당연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이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베이스팬(10)의 일측 양쪽에 구비된 제 1힌지공(12)과 커버팬(20)의 일측 양쪽에 구비된 제 1힌지핀(22)이 수평상태를 이루도록 근접시킴과 동시에 각각 끼워 넣은 후, 서로 마주보는 양쪽 테두리단을 밀착시키면 상기 제 1힌지핀(22)을 중심축으로 하여 절첩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커버팬(20)의 상부에 제공되는 돌출턱(23)에 누름팬(30)을 뒤집힌 상태로 하여 그 내측면이 안착되도록 하고, 또한 직화팬(40)을 누름팬의 상부에 뒤집어진 상태로 하여 포갬과 동시에 상기 클립부재(14)를 직화팬(40)의 냄비 손잡이(41)에 구속시킴으로써 결합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제공되는 본 고안을 통해 육류 및 생선 등을 조리할 때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팬(20)의 돌출턱(23)에 겹쳐진 누름팬(30)을 분리시킨 다음, 커버팬(20)을 수직방향으로 회동시켜 개방된 베이스팬(10)의 조리공간에 조리물을 올려놓고 다시, 커버팬(20)을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원상태로 밀착되도록 복귀시킨 다음, 가열수단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면 베이스팬(10)으로 열이 전달됨과 동시에 조리물이 조리되게 된다.
이때, 상기 커버팬(20)은 베이스팬(10)의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내부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리물의 조리시간이 단축되게 된 다.
또한, 상기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이 그 위치와 역할을 서로 달리하도록 하여 조리할 수도 있음에 따라 별도의 도구로 조리물을 뒤집을 필요가 없게 된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이 조리물을 외부와 격리시킨 상태를 유지시켜 열이 순환을 하는 복사열이 내부에 전체적으로 가해지므로 조리물이 골고루 잘 익도록 하고, 특히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의 위치와 역할이 바뀌도록 뒤집어 사용함에 따라 손쉽게 조리물의 반대쪽도 구울 수 있으며 생선 등의 조리물 원형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어 요리가 훨씬 돋보이게 된다.
여기서,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을 따로 분리시켜 각각 팬 또는 냄비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고안을 이용해 누룽지를 만들고자 할 때에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팬(20)을 베이스팬(10)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펼친 다음,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어 힌지 연결부가 이탈되도록 하여 각각 분리시킨 후, 이어서 누름팬(30)을 베이스팬(10)에 힌지 결합시킨다.
이때, 누름팬(30)과 베이스팬(10)의 결합은 베이스팬(10)에서 상기 커버팬(20)을 분리할 때의 역순으로 하면 된다.
그 후, 베이스팬(10)을 중심으로 누름팬(30)을 수직방향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베이스팬(10)의 조리공간에 조리물을 적당량 공급하고, 다시 누름팬(30)을 그 누름 손잡이(31)를 이용해 연직방향으로 회동시킴과 동시에 가압하면 가열수단으로부터 베이스팬(10)에 전달되는 열에 의해 조리물이 베이스팬(10)과 누름팬(30) 사 이에서 압착되면서 구워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리물이 가열 및 가압으로 완전히 구워지면 누름팬(30)의 제 2힌지핀(32)을 중심축으로 하여 누름팬(30)이 수직으로 개방되도록 회동시켜 줌에 따라 완성된 조리물을 손쉽게 꺼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팬(10)과 누름팬(30)을 통해 후식 및 간식으로 즐겨 찾는 누룽지를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고안을 이용해 조리물을 직화 방식으로 요리하고자 할 때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화팬(40)을 누름팬(30)에서 이탈시키고, 커버팬(20)을 상술한 바와 동일하게 베이스팬(10)에서 분리시킨 후, 커버팬(20)의 제 1힌지핀(22)을 직화팬(40)의 제 2힌지공(42)에 힌지 결합시킨다. 이러한 결합방법은 상술한 베이스팬(10)과 커버팬(20)을 결합는 방법과 동일하게 하면 된다.
그 후, 직화팬(40)을 중심으로 커버팬(20)을 수직방향으로 개방시킨 상태에서 직화팬(40)의 내측에 그릴(50)을 안착시킨 후, 그릴(50)의 상부에 조리물을 올려놓고, 다시 커버팬(20)을 역방향으로 회동시켜 직화팬(40)을 밀폐시킨 다음, 가열수단을 작동시켜 조리물을 조리하면 된다.
이때, 커버팬(20)은 직화팬(40)의 개방부를 폐쇄시키는 역할을 함으로써 내부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조리물의 조리시간이 단축되게 되고, 아울러 화기구멍(44)은 직화팬(40)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물이 하부로 쉽게 흘려 내리지 않고, 커버팬(20)은 운두가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일정 크기의 조리물도 쉽게 커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직화팬(40)에 물을 약 간 부어 찜 요리 등 다양한 요리를 간편하고 신속하게 완성할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타실시예로 변경할 수 있음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힌지수단을 통해 베이스팬에 커버팬과 누름팬을, 또한 직화팬에 커버팬을 선택적으로 탈착할 수 있으므로 양면팬의 기능을 발휘함은 물론이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밥을 이용해 누룽지도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직화구이용 팬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는 등 여러 가지 용도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팬을 각기 별도로 제조 시와 대비하여 제조공정상의 공수와 원료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에 따른 이윤의 극대화와 생산성의 제고를 도모할 수 있다.
더욱이 각각의 팬을 분리 가능하게 포갤 수 있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 시 그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어, 그에 따른 공간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손잡이를 갖는 베이스팬과;
    상기 베이스팬과 대칭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베이스팬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면에 돌출턱을 형성하며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커버팬과;
    누룽지를 만들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팬에 수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팬의 돌출턱에 포개지게 되며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누름팬과;
    상기 누름팬의 상부에 포개지게 되며, 바닥면에 가열수단으로부터 전달되는 화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다수의 화기구멍을 형성하고, 외측에 손잡이를 구비한 직화팬과;
    상기 직화팬의 테두리 내측에 걸치는 그릴; 및
    상기 베이스팬, 커버팬, 누름팬 및 직화팬의 외측에 상호 선택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각각 구비한 힌지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화팬의 화기구멍은 물이나 기름 등의 유체가 하부로 흘려 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팬의 바닥면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 리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수단은 베이스팬의 외측 선단 양측에 제 1힌지공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팬은 외측 선단 양측에 상기 제 1힌지공에 결합될 수 있는 제 1힌지핀을 형성하고, 상기 누름팬은 외측 선단 양측에 상기 제 1힌지공에 결합될 수 있는 제 2힌지핀을 구비하며, 상기 직화팬은 외측 선단 양측에 상기 커버팬의 제 1힌지핀이 결합될 수 있는 제 2힌지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조리기구.
KR2020060019945U 2006-07-24 2006-07-24 다용도 조리기구 KR2004296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45U KR200429653Y1 (ko) 2006-07-24 2006-07-24 다용도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45U KR200429653Y1 (ko) 2006-07-24 2006-07-24 다용도 조리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653Y1 true KR200429653Y1 (ko) 2006-10-25

Family

ID=4177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945U KR200429653Y1 (ko) 2006-07-24 2006-07-24 다용도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65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20B1 (ko) 2009-05-28 2011-06-13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구이 오븐
KR101902306B1 (ko) * 2017-12-15 2018-09-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 프라이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1220B1 (ko) 2009-05-28 2011-06-13 주식회사 해피콜 직화 구이 오븐
KR101902306B1 (ko) * 2017-12-15 2018-09-28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다공 프라이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883Y1 (ko) 이중구조의 그릴 겸용 냄비
KR200429653Y1 (ko) 다용도 조리기구
KR100647856B1 (ko) 회전식 고기구이장치
CN204318529U (zh) 一种分离式电煎锅
CN105662163B (zh) 可翻掀式蒸盘
KR200380749Y1 (ko) 누룽지 제조용 누름팬을 갖는 양면 프라이팬
KR200390741Y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200318987Y1 (ko) 조리용기
KR20060095421A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CN209750806U (zh) 一种带可换环盘的电饼铛
KR200240903Y1 (ko) 전기쿠커
CN207186509U (zh) 火锅与烧烤一体锅以及一体桌
KR200479981Y1 (ko) 다목적 조리 기구
CN203226633U (zh) 一种多位慢炖锅
KR20040087397A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CN211242974U (zh) 一种具有华夫饼制作功能的空气炸锅
KR200307333Y1 (ko) 양면요리판이 구비된 전기쿠커
KR101467549B1 (ko)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KR200320440Y1 (ko) 다용도 양면조리팬
CN211632878U (zh) 多功能压力空气炸锅
CN220403766U (zh) 一种多功能烹饪设备
CN217937902U (zh) 一种带烧烤及空气炸锅的多功能电锅
CN217013657U (zh) 烹饪器具
KR20100026671A (ko) 조리기구
CN209377318U (zh) 多功能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30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