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67549B1 -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 Google Patents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67549B1
KR101467549B1 KR1020120087965A KR20120087965A KR101467549B1 KR 101467549 B1 KR101467549 B1 KR 101467549B1 KR 1020120087965 A KR1020120087965 A KR 1020120087965A KR 20120087965 A KR20120087965 A KR 20120087965A KR 101467549 B1 KR101467549 B1 KR 101467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frame
container
outer frame
div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20666A (ko
Inventor
최인경
Original Assignee
최인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인경 filed Critical 최인경
Priority to KR1020120087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675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206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06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67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67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02Construction of cooking-vessels; Methods or processes of manufacturing specially adapted for cooking-vess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열원에서 조리가 가능하며 별도로 보관이 가능한 다수개의 분리형 용기를 가진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손잡이(1)와 조리부(2)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손잡이(1)에 결합되어 조리부(2)의 둘레를 이루는 외형프레임(10); 외형프레임(10)의 내측을 가로질러 조리부(2) 내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프레임(20); 구획프레임(20)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에 얹혀지는 다수개의 분할용기(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COOKING UTENSILS WITH SEPARATE CONTAINERS FOR COOKING AND PRESERVATION}
본 발명은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일한 열원에서 여러가지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며 조리된 음식별로 분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조리기구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분할 용기를 갖는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열원에는 한가지의 음식을 조리한다. 하지만, 캠핑을 가는 경우처럼 열원의 수가 제한되어 있고 조리해야 하는 음식이 여러가지인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음식이지만 서로 다른 조리법으로 조리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처럼 단일한 열원에서 복수의 조리를 실행하여야 하는 경우에 적용하기 위해 조리기구내에 구획이 분할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조리기구의 예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86-9435호에 '다목적 프라이판'이 공개되어 있다. 일 고안은 프라이판 본체를 격판으로 구분하여 여러가지 음식을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프라이판 바닥면을 요철로 형성하여 바닥면에서 배출구로 기름 배출을 할 수 있도록 배출구명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조리된 음식은 별도로 꺼내기 쉽도록 분리가능하여야 한다. 위 발명에서와 같이 구분되어 조리된 음식을 개별로 꺼내거나 보관하기 위해서는, 조리된 음식을 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조리기구가 분할 가능한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예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46012호에 '분리형 조리기구'가 공개되어 있다. 이 발명은 하나의 조리기구를 분리가능하도록 하여 하나의 열원으로 동시에 동종 및 이종요리를 각각 수행함과 동시에 선택적으로 조리기구를 분리 및 결합하여 사용하는 분리형 조리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조리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조리부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몸체와 손잡이를 구비하며, 각각의 조리부는 다른 조리부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불어, 위와 같이 조리기구가 분리될 수 있는 것 뿐만 아니라, 조리기구의 조리 기능은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조리용기가 조리기구로부터 분할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동일한 열원에서 여러가지의 음식이 조리 가능하며, 조리된 음식별로 분리 및 보관이 가능하도록 조리기구로부터 분리가 가능한 다수개의 분할 용기를 갖는 조리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손잡이(1)와 조리부(2)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손잡이(1)에 결합되어 조리부(2)의 둘레를 이루는 외형프레임(10); 외형프레임(10)의 내측을 가로질러 조리부(2) 내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프레임(20); 구획프레임(20)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에 얹혀지는 다수개의 분할용기(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외형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고 하부로 만곡 형성되어 분할용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형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구획프레임의 양측면에는 텐션을 지닌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용기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다수개의 분할용기는 각각 폭과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수개의 분할용기는 각각 조리용 뚜껑 및 보관용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보관용 뚜껑의 체결부 내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구획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지 않은 구획격판으로 형성되고, 외형프레임의 일부에는 구획격판이 삽입 지지될 수 있는 쌍으로 된 삽입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구에 의하면 하나의 열원에서 여러가지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다.
조리시간이 서로 다르더라도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다.
같은 종류의 음식을 조리하더라도 기호가 다른 사람들에게 맞춰 다양한 조리법으로 다르게 조리를 할 수 있다.
이미 조리가 된 음식이 담긴 용기만을 별도로 꺼내거나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조리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의 사시도이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적용되는 구이용 그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의 사시도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손잡이(1)와 조리부(2)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손잡이(1)에 결합되어 조리부(2)의 둘레를 이루는 외형프레임(10); 외형프레임(10)의 내측을 가로질러 조리부(2) 내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프레임(20); 구획프레임(20)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에 얹혀지는 다수개의 분할용기(40);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의 사시도이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부분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구는 크게 손잡이(1)와 조리부(2)로 나뉘고, 여기서 조리부는 프레임부(2a)와 용기부(2b)로 나누어진다.
먼저 프레임부(2a)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외형프레임(10)은 조리부(2)의 전체 둘레를 형성하고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외형프레임(10)의 전체적인 형상은 사각형 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밖의 다른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외형프레임(10)의 일측에 손잡이(1)가 결합된다. 일반적으로는 외형프레임(10)과 손잡이(1)의 튼튼한 결합을 위해서 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기타 공지의 다른 결합방법으로 결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형프레임(10)은 철재로 이루어진다. 이외에도 열전도율이 높고 충분한 지지력을 지닌 소재라면 외형프레임(10)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구획프레임(20)은 외형프레임(10)으로 둘레가 형성된 조리부(2)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역할을 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는 조리부(2)의 내부를 이등분하고 이 중 한 곳을 다시 이등분하는 형태의 구획프레임(21,22)이 도시되어 있다. 제1구획프레임(21)은 손잡이(1)가 있는 쪽의 외형프레임(10)에서부터 맞은편까지 가로질러 형성되고 외형프레임(10)의 내부 양측면에 결합된다. 영구적인 결합을 위해서는 제1구획프레임(21)은 외형프레임(10)에 용접결할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체나 수리 또는 다른 위치에 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결합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을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제1구획프레임(21)에 의해 조리부(2)는 손잡이(1)가 있는 축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로 이등분된다.
제2구획프레임(22)은 제1구획프레임(21)의 중간에서부터 외형프레임(10)의 일측면 중앙까지 연장되어 결합된다. 결합방식은 제1구획프레임(21)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루어진다. 제2구획프레임(22)에 의해 나누어진 구역은 조리부(2)를 사등분하는 면적을 갖는다. 물론 이것은 본 실시 예에 국한된 예에서 그러하며 이러한 구역 분할은 필요에 따라 변형하여 구획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30)은 조리부(2)의 측면과 하부면의 골격을 형성하며 후술하는 분할용기(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십자형으로 형성되는 하부프레임(30)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하부프레임(31)의 일단이 외형프레임(10)의 손잡이(1) 측 하단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손잡이(1)의 맞은편 측 하단부에 결합된다. 위에서와 마찬가지로 이 경우의 결합은 용접결합이 일반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제1하부프레임(31)은 일정깊이에서 절곡 형성되어 조리부(2)의 측면과 하면 골격을 형성한다. 이 깊이는 내장하고자 하는 분할용기(40)의 깊이에 따른다. 물론, 내장하고자 하는 분할용기(40)의 깊이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제일 깊은 분할용기(40)의 깊이를 적용하여야 할 것이다.
제2하부프레임(32)은 제1하부프레임(31)과 마찬가지로 형성되되, 깊이는 제1하부프레임(31)보다 두께만큼 더 깊게 또는 더 얕게 형성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결합시 서로 교차로 인한 간섭이 형성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물론, 제1하부프레임(31)과 제2하부프레임(32)이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고려를 할 필요가 없어질 것이다. 제2하부프레임(32)의 양단은 각각 외형프레임(10)의 양측면에 결합된다.
분할용기(40)는 용기(41)와 뚜껑(46)으로 이루어진다.
용기(41)는 외형프레임(10)과 구획프레임(20)에 얹힐 수 있도록 상단부에 걸림턱(42)이 형성된다. 용기(41) 걸림턱(42)의 가로세로 폭은 외형프레임(10)과 구획프레임(20)에 형성되는 구획의 가로세로 폭에 따라야 할 것이다.
용기(41)의 깊이는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하부프레임(30)이 구비되는 경우에는 하부프레임(30)의 깊이 이내로 설정되어야 한다.
용기(41)는 외형프레임(10)과 구획프레임(20)에 의해 나누어진 구역마다 깊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용기(41)의 소재는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또는 마그네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내부면 바닥에는 세라믹 등으로 코팅 처리될 수 있다.
뚜껑(46)은 용기(41)를 덮거나 밀폐하는 역할을 한다. 뚜껑(46)은 뚜껑면(47)와 뚜껑면(47)의 둘레에 형성되는 체결부(48)로 이루어진다. 체결부(48)가 용기(41)의 걸림턱(42)에 결합되어 끼워진다.
뚜껑(46)은 조리시에 사용되는 조리용 뚜껑과 보관시 사용되는 보관용 뚜껑이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뚜껑(46)의 소재는 용기(41)의 소재와 같은 것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보관용 뚜껑의 경우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뚜껑(46)의 밀폐성을 돕기 위하여 보관용 뚜껑의 경우에는 체결부(48)의 내부에 끼워지는 실링부재(49)가 구비될 수 있다. 합성수지 또는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는 실링부재(49)가 뚜껑(46)의 체결부(48)에 삽입됨으로써 뚜껑과 용기 사이에 밀폐력을 향상시켜 장시간의 보관에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분할용기(40) 외에 구이용으로 그릴(50)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구이용 그릴(50)은 중앙부에 반으로 접힐 수 있는 회전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구이용 그릴(50)은 펼쳤을 때는 외형프레임(10)의 전체 둘레에 걸쳐 얹힐 수 있는 크기가 되고, 접혔을 경우에는 외형프레임(10)의 한쪽에만 얹힐 수 있도록 된다. 구이용 그릴(50)이 접힌 경우에는 양면 구이 요리를 조리할 수 있도록 된다.
프레임과 용기 사이의 체결력을 돕기 위하여 지지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외형프레임(10)의 내측면 또는 구획프레임(20)의 양측면에는 삽입되는 분할용기(40)와의 체결력을 돕기 위한 지지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수단의 예로 텐션을 지닌 판스프링(19,29)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양태가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외형프레임(10)의 내측면 또는 구획프레임(20)의 양측면에 텐션을 지닌 판스프링(19,29)이 리벳팅 또는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분할용기(40)가 삽입되었을 때, 체결력을 높여 분할용기(40)가 쉽사리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술한 실시 예의 구획프레임(20) 대신 격판 형태로 형성된 구획격판(20')이 도시되어 있다. 구획격판(20')은 삽입돌기(21')에 끼워져 외형프레임(10) 내부의 구획을 나눈다.
구획격판(20')이 또 다르게 변형된 형태로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구획격판(20')의 양단 상부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걸림편이 형성되어 위와 같은 삽입돌기(21')가 필요없이, 외형프레임(10)에 걸릴 수 있도록 형성되는 형태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를 사용하는 예를 들어보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각각의 용기를 좌측으로부터 각각 제1용기, 제2용기, 제3용기라고 하고 각각의 용기가 놓여질 수 있는 구역을 각각 제1구역, 제2구역, 제3구역이라 하자.
제1구역, 제2구역, 제3구역에 각각 제1용기, 제2용기, 제3용기를 얹는다.
각 용기별로 다른 음식의 조리가 가능하다. 조리가 먼저 끝난 용기는 꺼내고 다른 용기로 교체할 수 있다.
각 용기마다 음식의 종류는 같지만 조리방법이나 내용물의 성분은 다르게 배합하여 조리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식성이 다른 사람별로 조미료나 음식재료의 배합을 달리하여 조리를 할 수가 있다.
동일한 열원에서 다양한 음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조리하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캠핑 등의 야외 조리시 유용하며 일반적인 실내 조리용으로도 유용하다.
또한, 조리가 된 음식이 들어있는 용기를 꺼내는 것으로 쉽게 분리가 가능하며, 분리된 용기를 그대로 보관하는 것도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 손잡이 2 조리부
10 외형프레임 19,29 판스프링
20 구획프레임 21 제1구획프레임
22 제2구획프레임 30 하부프레임
31 제1하부프레임 32 제2하부프레임
40 분할용기 41 용기
42 걸림턱 46 뚜껑
47 뚜껑면 48 체결부
49 실링부재 50 구이용 그릴
51 회전부

Claims (7)

  1. 손잡이와 조리부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의 둘레를 이루는 외형프레임;
    상기 외형프레임의 내측을 가로질러 상기 조리부 내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프레임;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에 얹혀지는 다수개의 분할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외형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에 결합되고 하부로 만곡 형성되어 상기 분할용기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하부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리기구.
  2. 삭제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외형프레임의 내측면 또는 상기 구획프레임의 양측면에는 텐션을 지닌 지지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분할용기를 측면에서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할용기는 각각 폭과 깊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분할용기는 각각 조리용 뚜껑 및 보관용 뚜껑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관용 뚜껑의 체결부 내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7. 손잡이와 조리부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구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에 결합되어 상기 조리부의 둘레를 이루는 외형프레임;
    상기 외형프레임의 내측을 가로질러 상기 조리부 내부를 적어도 두 개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는 구획프레임;
    상기 구획프레임에 의해 나누어진 구획에 얹혀지는 다수개의 분할용기를 포함하고,
    상기 구획프레임은 내부가 비어 있지 않은 구획격판으로 형성되고, 상기 외형프레임의 일부에는 상기 구획격판이 삽입 지지될 수 있는 쌍으로 된 삽입돌기가 다수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리기구.
KR1020120087965A 2012-08-10 2012-08-10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KR101467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65A KR101467549B1 (ko) 2012-08-10 2012-08-10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965A KR101467549B1 (ko) 2012-08-10 2012-08-10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666A KR20140020666A (ko) 2014-02-19
KR101467549B1 true KR101467549B1 (ko) 2014-12-02

Family

ID=50267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965A KR101467549B1 (ko) 2012-08-10 2012-08-10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675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26A1 (ko) * 2019-06-03 2020-12-10 코박스 주식회사 인덕션 사용 가능한 도시락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121U (ko) * 1989-09-06 1991-04-25
KR200255432Y1 (ko) * 2001-09-01 2001-12-13 이장규 다중 조리가능한 프라이팬
KR200320441Y1 (ko) * 2003-04-07 2003-07-23 정찬홍 착탈식 프라이팬
KR20100039478A (ko) * 2008-10-08 2010-04-16 조진동 복수의 개별 요리가 가능한 냄비 조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5121U (ko) * 1989-09-06 1991-04-25
KR200255432Y1 (ko) * 2001-09-01 2001-12-13 이장규 다중 조리가능한 프라이팬
KR200320441Y1 (ko) * 2003-04-07 2003-07-23 정찬홍 착탈식 프라이팬
KR20100039478A (ko) * 2008-10-08 2010-04-16 조진동 복수의 개별 요리가 가능한 냄비 조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46726A1 (ko) * 2019-06-03 2020-12-10 코박스 주식회사 인덕션 사용 가능한 도시락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0666A (ko) 2014-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4953A (en) Kitchen and table-ware for steam cooking
US20110017750A1 (en) Pots and Pans, Frying Pans and Stock Pots with Dividers and Separations
US9215949B1 (en) Modular griddle and grill frame with inserts
US20120031918A1 (en) Interchangeable pan
US8800804B1 (en) Cookware with divider
US20120037639A1 (en) Interchangeable Pan
US20160106261A1 (en) Modular Grill Frame With Inserts
US20130112091A1 (en) Pot with divider system
KR101467549B1 (ko)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조리기구
US5881633A (en) Cooking apparatus having support for food manipulation means
US20150118370A1 (en) Microwave macaroni cooking bowl
KR101467550B1 (ko) 조리 및 보관용 분할용기를 가진 분리형 조리기구
KR100723642B1 (ko) 다중 조리가 가능한 솥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US20200187699A1 (en) Divided Cooking Device with a Lid
US20120048123A1 (en) Steamer for foodstuffs
JP3220129U (ja) 調理器用オプション部品
US20090202693A1 (en) Combination saute pan and cooking method
US20210386241A1 (en) Stuffed waffle utensil
KR200335328Y1 (ko) 양면 조리기구
KR200299306Y1 (ko) 음식물 조리용기
KR101605253B1 (ko) 뚝배기
JPS642082Y2 (ko)
KR200438153Y1 (ko) 테이블
JP3869427B2 (ja) 多目的調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