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595Y1 -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 Google Patents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595Y1
KR200429595Y1 KR2020060021612U KR20060021612U KR200429595Y1 KR 200429595 Y1 KR200429595 Y1 KR 200429595Y1 KR 2020060021612 U KR2020060021612 U KR 2020060021612U KR 20060021612 U KR20060021612 U KR 20060021612U KR 200429595 Y1 KR200429595 Y1 KR 2004295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er
knitting
support
b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장용
Original Assignee
박장용
이만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장용, 이만유 filed Critical 박장용
Priority to KR2020060021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5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5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59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0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22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1/24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 D04B1/26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wearing apparel stocking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06Sink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18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24Sinker heads; Sinker ba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4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dia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incorporating pile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2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for producing patterned fabric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2Underwear
    • D10B2501/021Hosiery; Panti-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413445호의 개량고안으로, 특히 싱커의 흔들림이나 뒤틀림을 방지하여 아웃파일문양을 한층 더 고속으로 편직할 수 있도록 한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형 고리형태의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싱커(20)가 끼워지는 슬롯(11), 몸체(10)의 하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돌출턱(12), 돌출턱(12)의 높이만큼 간격을 두고 몸체(1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원형고리상의 지지대(13), 몸체(10)와 지지대(13) 사이에 형성되어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를 수용하는 홈(14)으로 이루어진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S)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의 상면 가장자리에 동심원상으로 환턱(15)을 돌출시키고, 상기 환턱(15)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보조슬롯(16)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슬롯(16)에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가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이다.
양말편직기, 아웃파일문양, 싱커베드, 싱커, 하단절곡부, 보조슬롯

Description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sinker bed of hosiery knitting machine for knitting out-pile pattern}
도 1은 종래의 싱커베드와 싱커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싱커베드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1의 C - C선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단면도.
도 8a,8b는 본 고안에 따른 싱커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S : 싱커베드 10 : 몸체
11 : 슬롯 12 : 돌출턱
13 : 지지대 14 : 홈
15 : 환턱 16 : 보조슬롯
20 : 싱커 21 : 하단절곡부
본 고안은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413445호(등록일자:2006.3.31)의 개량고안에 관한 것이다.
섬유산업의 발달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일반 의류뿐만 아니라 양말에 있어서도 종전의 단순히 발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였던 색상과 문양이 단조로웠던 양말과는 달리 색상과 문양이 조화롭게 배치되어 심미감이 뛰어나며 또 보온성은 우수하면서도 땀은 외부로 배출하여 청결성을 부여하고 운동시에는 양말이 벗겨지지 않고 발을 잘 보호할 수 있는 복합 기능의 특수 양말을 선호하고 있다.
이러한 소비자들의 구매 추세에 부합하는 양말을 편성하기 위하여 양말제조업체는 물론 양말편직기 제작업계에서도 양말편직기의 부품 개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그 덕분에 편성작업이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부품의 개발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대표적 일례로서 양말편직기에 있어 편침과 협동하여 편환을 형성하는 싱커도 원하는 문양편성에 맞추어 여러 종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특히 요즈음은 양말의 외관 표면에 파일조직을 편평조직과 함께 편성하여 입체적인 문양을 연출하고 보온성을 향상시킨 아웃파일문양의 양말이 선풍적인 인기리에 널리 판매되고 있으며, 이러한 아웃파일문양의 양말을 편성하는 데는 도 1 내 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싱커베드와 싱커가 사용되고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A)의 몸체(1)는 원형 강재로 형성되며, 도 1에 도시된 형태의 싱커(5)가 사용되며, 이 싱커(5)는 싱커단의 위치가 각기 상이한 6개 이상의 싱커가 한 조가 되어 싱커베드(A)에 장착되고 설정 프로그램에 따라 전후 작동하여 원하는 파일문양을 형성한다.
또한 싱커베드(A)에는 싱커(5)가 전진 및 후진하여 편침(도시 안됨)과 함께 작동될 수 있도록 다수의 슬롯(2)이 그 주위의 전 폭 및 두께 전체에 걸쳐 방사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액츄에이터가 작동하여 그 해당 핑거를 전진시켜 대응 싱커(5)의 싱커단(6)을 방사상으로 내주방향으로 밀어서 싱커(5)를 싱커베드(A)의 슬롯(2)을 통하여 편환 형성위치로 전진시킴으로써 편침과 함께 작동하여 루우프를 형성하여 파일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종래 싱커베드(A)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통상의 솔레노이드 작용 하에 액츄에이터의 핑거가 해당 싱커(5)의 싱커단(6)을 타격함으로써 파일편성 위치로 밀려 전진하고 또 원래 위치로 후진하며 이때 싱커(5)는 상기 타격력에 의하여 상하로 요동하게 된다. 특히 싱커단(6)이 최고 상부 또는 하부에 있을 때에는 액츄에이터의 타격력이 싱커(5)의 극히 일부 부위에 국한되어 가해지므로 싱커(5)는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기울어지면서 약간 흔들리는 경향이 있다. 그래서 편성된 파일의 형상은 양말 편지 전체적으로 동일하지 않고 다소 불균일하게 되어 최종 제품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으며, 더욱이 강재로 이루 어지는 상기 몸체(1)에 다수의 슬롯(2)을 정교하게 절삭 가공하는 것 또한 시간과 수고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출원인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일정 두께를 갖는 강재의 원형 고리형태의 몸체와 싱커가 방사상으로 전진 및 후퇴하여 편침과 함께 협동하여 파일을 형성하도록 상기 몸체의 주위에 형성되는 다수의 슬롯으로 이루어지는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에 있어서, 상기 몸체가 원형의 돌출턱을 그 이면 하부에 구비하고; 상기 돌출턱의 단부에 접하면서 상기 돌출턱의 높이만큼 간격을 두고 상기 몸체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원형 고리상의 지지대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몸체와 지지대 사이에 홈을 구비하며; 상기 슬롯이 상기 몸체의 상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를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6-2662호(출원일자:2006.1.27)로 출원하여 등록 받았다.
이러한 본 출원인의 선등록은 싱커베드의 몸체 아래에 싱커의 하단부를 지탱하는 지지대를 구비하고 상기 몸체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홈을 구비하며, 또 싱커가 상기 홈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폭을 갖는 하단절곡부를 구비함으로써 아웃파일의 형성을 위한 싱커의 작동시 불필요한 요동이 전혀 없어서 파일을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고, 또 싱커의 통행을 위한 슬롯을 깊게 형성할 필요가 없고 몸체 위의 상부 일부분에만 형성하여도 되므로 슬롯의 절삭 가공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러나, 상기 본 출원인의 선등록에 있어서는 싱커의 하단절곡부를 잡아주는 지지구조가 결여되었기 때문에, 특히 고속편직 시 액츄에이터가 싱커의 싱커단 중 하부에 위치하는 싱커단을 누를 때 흔들림 또는 뒤틀림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미흡함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 출원인의 실용신안등록 제413445호의 미흡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개량한 것으로, 싱커베드의 구조를 한층 더 개선하여 싱커의 하단절곡부를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이를 통해 고속편직 시 싱커의 흔들림이나 뒤틀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아웃파일문양을 한층 더 고속으로 편직할 수 있도록 한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싱커의 하단절곡부를 수용할 수 있는 높이만큼 간격을 두고 싱커베드의 몸체와 지지대를 일체적으로 결합하되, 상기 지지대의 상면 가장자리에 환턱을 동심원상으로 돌출시키고, 상기 환턱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보조슬롯을 형성하여, 상기 보조슬롯에 싱커의 하단절곡부가 끼워지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는 도 4 내지 도 8b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원형 고리형태의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방사상으 로 형성되어 싱커(20)가 끼워지는 슬롯(11), 몸체(10)의 하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돌출턱(12), 돌출턱(12)의 높이만큼 간격을 두고 몸체(1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원형고리상의 지지대(13), 몸체(10)와 지지대(13) 사이에 형성되어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를 수용하는 홈(14)으로 이루어진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S)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의 상면 가장자리에 동심원상으로 환턱(15)을 돌출시키고, 상기 환턱(15)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보조슬롯(16)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슬롯(16)에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가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싱커베드(S)는 통상의 것과 마찬가지로 일정 폭 및 두께의 강재로 형성되며 그 내주 둘레에 캠들이 장착되는 원형 고리상의 몸체(10)로 주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10)의 주위에는 편침과 함께 협동하여 파일을 형성하는 싱커(20)가 방사상으로 이동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슬롯(11)이 구비되어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싱커(20)의 전후 이동 통로인 상기 슬롯(11)은, 도 2에 도시된 통상의 싱커베드(A)의 경우 함께 작동하는 싱커(5)의 구조상 싱커베드(A)의 몸체(1) 전 두께에 걸쳐 절삭 가공되어야만 싱커(5)가 통과될 수 있었던 공지의 구조와는 달리, 싱커(20)의 특수 구조상 싱커베드(S)의 몸체(10)의 일부분, 즉 상부 부분만 절삭 가공 등에 의하여 깎여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슬롯(11)이 몸체(10)의 상부에만 형성되어 있어도 싱커(20)는 자유 자재로이 슬롯(11)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강재의 몸체(10) 전 두께에 걸쳐 슬롯(11)을 형성할 때보다 수고를 크 게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싱커베드(S)의 몸체(10)는 원형의 돌출턱(12)을 그 이면 하부에 구비하고 있으며, 이 돌출턱(12)을 사이에 두고 고리상의 원판 지지대(13)와 일체적으로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와 상기 지지대(13) 사이에는 상기 돌출턱(12)의 높이와 동일한 크기의 홈(14)이 구비된다.
상기 싱커베드(S)의 슬롯(11)을 통하여 이동되는 싱커(20)는 하부에 대략 ㄷ자형으로 구부러진 하단절곡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는 상기 몸체(10)와 지지대(13) 사이의 홈(14)내를 움직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싱커(20)는 통상과 마찬가지로 위치가 각기 다르게 형성된 싱커단(22)을 구비한 싱커(20)들이 6개 이상 한 조가 되어 사용된다.
본 고안에 의한 상기 지지대(13)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동심원상으로 원형의 환턱(15)이 일체로 돌출되고, 상기 환턱(15)의 상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보조슬롯(16)이 방사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슬롯(16)에는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가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진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하단절곡부(21)가 보조슬롯(16)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끼워지기 때문에 아웃파일문양 편성 시 싱커(20)를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S)는 도 4와 도 8a,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말편직기의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파일이 형성될 때 싱커(20)의 싱커단(22)이 액츄에이터의 핑거에 의해 타격되면 서 싱커(20)가 방사상으로 전진하여도 싱커베드(S)의 몸체(10)의 돌출턱(6)과 지지대(13) 사이에 구비된 홈(14)내에서 싱커(20)가 이동하게 되므로 상하로 움직일 수 없게 되고,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가 보조슬롯(16)에 끼워진 상태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없게 된다. 즉, 상기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가 보조슬롯(16)내에서 안정된 상태로 전진하고 후진하게 되므로 싱커(20)는 흔들림이나 뒤틀림이 없이 일정하게 작동한다.
따라서,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S)는 지지대(13)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된 다수의 보조슬롯(16)이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를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잡아주기 때문에 아웃파일문양을 한층 더 균일하고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S)는 고속편직 시 액츄에이터가 싱커(20)의 싱커단(22) 중 하부에 위치하는 싱커단(22)을 누를 경우에도 흔들림 또는 뒤틀림이 전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아웃파일문양을 한층 더 고속으로 편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는 보조슬롯을 통해 싱커의 하단절곡부를 흔들림 없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이를 통해 고속편직 시 싱커의 흔들림이나 뒤틀림을 미연에 방지하여 아웃파일문양을 한층 더 고속으로 편직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1)

  1. 원형 고리형태의 몸체(10), 몸체(10)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싱커(20)가 끼워지는 슬롯(11), 몸체(10)의 하부로 돌출되는 원형의 돌출턱(12), 돌출턱(12)의 높이만큼 간격을 두고 몸체(10)에 일체적으로 결합되는 원형고리상의 지지대(13), 몸체(10)와 지지대(13) 사이에 형성되어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를 수용하는 홈(14)으로 이루어진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S)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13)의 상면 가장자리에 동심원상으로 환턱(15)을 돌출시키고, 상기 환턱(15)의 상부에 방사상으로 보조슬롯(16)을 형성하며, 상기 보조슬롯(16)에 싱커(20)의 하단절곡부(21)가 끼워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KR2020060021612U 2006-08-11 2006-08-11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KR2004295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12U KR200429595Y1 (ko) 2006-08-11 2006-08-11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612U KR200429595Y1 (ko) 2006-08-11 2006-08-11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595Y1 true KR200429595Y1 (ko) 2006-10-24

Family

ID=4177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612U KR200429595Y1 (ko) 2006-08-11 2006-08-11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5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028B1 (ko) 2007-02-26 2008-02-26 이만유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싱커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6028B1 (ko) 2007-02-26 2008-02-26 이만유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싱커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8123C (en) Knitted product
KR200429595Y1 (ko)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KR100806028B1 (ko)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싱커커버
KR100920927B1 (ko) 파일직물 양말편직기의 싱커커버
JP5603387B2 (ja) 靴下
US3605446A (en) Rib and terry knitting machine and method
KR101190077B1 (ko) 양말 편직기의 사도를 이용한 양말 편직 방법
US6286342B1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producing tubular items closed at an axial end, and method for producing tubular items
KR200413445Y1 (ko) 아웃파일문양 편성용 양말편직기의 싱커베드
KR100374905B1 (ko)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JP3069788B2 (ja) 筒状編地用パイル編機
KR101825519B1 (ko) 양방향으로 아웃파일문양 편성이 가능한 양말 편직기
JPH07229037A (ja) パイル柄出し装置
KR20090080717A (ko) 양말 편직기의 싱커 및 이를 이용한 양말 편직 방법
JP3058998U (ja) 内外両面にパイルを有する靴下
KR200405496Y1 (ko) 양말편직기 및 환편기
US20030089135A1 (en) Circular hosiery machines with needles on the cylinder and in the bed plate, in particular for terry fabric
KR200229484Y1 (ko) 파일직 양말 및 그의 제조를 위한 양말편직기
KR200348623Y1 (ko) 양말편직기
JP6105009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成方法
US3085409A (en) Ornamented knit fabric
JP2005299056A (ja) 丸編機のパイルシンカー装置
KR102568326B1 (ko) 양말 편직장치
KR200420612Y1 (ko) 양말편직기의 아웃파일 고속편직장치
KR200283168Y1 (ko) 초 장파일직물의 편성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