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593Y1 -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 Google Patents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593Y1
KR200429593Y1 KR2020060021571U KR20060021571U KR200429593Y1 KR 200429593 Y1 KR200429593 Y1 KR 200429593Y1 KR 2020060021571 U KR2020060021571 U KR 2020060021571U KR 20060021571 U KR20060021571 U KR 20060021571U KR 200429593 Y1 KR200429593 Y1 KR 2004295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ollow
tube
tank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15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선록
Original Assignee
홍선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선록 filed Critical 홍선록
Priority to KR20200600215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59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5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5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65G69/08Devices for emptying storage spaces as completely as poss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2Granula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65G2814/0217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emptying as completely as possible
    • B65G2814/0223General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Transport Of Granul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싸일로(Silo)나 호퍼(Hopper)의 내부 벽면에 분립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랫트홀 현상을 방지하도록 탱크를 타격함에 있어서 작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에어 노커에 관한 고안으로서, 싸일로, 호퍼, 싸이클론 등의 탱크 외벽에 밀착 결합되는 에어 노커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차단벽에 의해 제 1,2중공부로 구획되며, 일단에 에어유입관이 형성되고, 차단벽에는 연통관이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는 해머 작동구가 관통형성된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의 제 1중공부 내측에 연통관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에어유입관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에어 유입관과의 사이에 단턱을 이루는 피스톤 작동관과; 길이방향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중공관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의 끝단에는 중공관보다 넓은 직경으로 일정 깊이로 베어링 작동부가 연통되며, 상기 베어링 작동부에는 중공관을 차단하는 볼베어링이 스프링과 결합되어 구비되며, 베어링 작동부의 중도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에어 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작동관 내에 밀착 삽입되는 피스톤과; 일단에는 상기 해머 작동구에 삽입되는 폭으로 일정 길이의 타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2중공부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폭의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의 외주면에는 탄성체가 결합되어 제 2중공부 내에 결합되는 해머와; 상기 제 2중공부 측벽에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탱크 내로의 압축공기 유입 및 피스톤의 작동관계가 원할하게 이루어져 고장의 염려가 줄어들며, 분체탱크에 가해지는 타격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분립체가 분체탱크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싸일로, 호퍼, 에어노커, 분체, 피스톤

Description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Air knocke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가 설치된 분체탱크의 일부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의 피스톤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에 주입된 압축공기가 진공상태가 되어 해머가 분체탱크의 외벽을 강타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의 해머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 : 에어탱크 11 : 차단벽
12,13 : 제 1,2중공부 14 : 에어유입관
15 : 연통관 16 : 해머 작동구
17 : 배출구 20 : 피스톤 작동구
21 : 단턱 30 : 피스톤
31 : 중공관 32 : 베어링 작동부
33 : 스프링 34 : 볼베어링
40 : 해머 41 : 머리부
42 : 타격부 43 : 탄성체
본 고안은 에어 노커(Air Knock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싸일로(Silo)나 호퍼(Hopper)의 내부 벽면에 분립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랫트홀 현상을 방지하도록 탱크를 타격함에 있어서 작동이 양호하게 이루어지는 에어 노커에 관한 고안이다.
일반적으로 사료 등의 분립체를 저장 및 수송하는 싸일로(Silo)나 호퍼(Hopper), 싸이클론(Cyclone)(이하 '분체탱크'라 한다) 등의 내벽면에는 분립체가 부착되거나 랫트홀 현상이 발생하여 그 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해 분체탱크 벽면을 고압의 해머로 타격하여 진동을 가함으로써 분립체의 부착 또는 랫트홀 현상을 방지하고 있다.
이를 위한 종래의 에어 노커는 에어탱크의 일측 단에 고압의 에어를 주입 및 배기할 수 있는 에어관이 내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에어관이 연통된 부위의 내부에는 금속재의 고정 플레이트를 내벽면과 이격시켜 설치하고, 타측의 에어탱크 내부에는 압축 스프링에 결합된 마그네틱 피스톤을 구비한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상기 마그네틱 피스톤이 자력에 의해 고정 플레이트에 견고히 밀착 고정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에어관을 통해 고압의 압축공기를 에어탱크 내부로 주입하게 되면, 에어탱크 내부의 압력이 점차 상승하여 마그네틱 피스톤의 자력을 넘어서게 된다.
마그네틱 피스톤은 고정 플레이트로부터 떨어져 급격하게 밀려나게 되며, 밀려난 마그네틱 피스톤은 에어탱크와 결합된 분체탱크의 벽면을 타격하여 진동을 가함으로써 분체탱크 내벽면에 분립체가 부착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다시 에어탱크의 에어를 연통관으로 배기하면, 에어탱크 내부의 압력이 낮아지면서 마그네틱 피스톤은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하여 고정 플레이트에 밀착 고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에어 노커는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강한 폭발력과 압력에 의해 압축 스프링의 탄성력이 약해지게 되고, 마그네틱 피스톤의 자력보다 더 강한 압력의 압축공기를 가해야 하므로 에너지 손실이 많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압축공기의 유입과 피스톤의 작동관계가 원할하게 이루어져 고장의 염려가 줄어들고, 분체탱크에 확실한 타격을 가함으로써, 분립체가 분체탱크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싸일로, 호퍼, 싸이클론 등의 탱크 외벽에 밀착 결합되는 에어 노커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차단벽에 의해 제 1,2중공부로 구획되며, 일단에 에어유입관이 형성되고, 차단벽에는 연통관이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는 해머 작동구가 관통형성된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의 제 1중공부 내측에 연통관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에어유입관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에어 유입관과의 사이에 단턱을 이루는 피스톤 작동관과; 길이방향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중공관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의 끝단에는 중공관보다 넓은 직경으로 일정 깊이로 베어링 작동부가 연통되며, 상기 베어링 작동부에는 중공관을 차단하는 볼베어링이 스프링과 결합되어 구비되며, 베어링 작동부의 중도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에어 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작동관 내에 밀착 삽입되는 피스톤과; 일단에는 상기 해머 작동구에 삽입되는 폭으로 일정 길이의 타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2중공부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폭의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의 외주면에는 탄성체가 결합되어 제 2중공부 내에 결합되는 해머와; 상기 제 2중공부 측벽에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에어탱크의 제 1중공부는 2단으로 구획되어 분해 조립 가능하며, 에어유입관의 외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압축공기의 유입/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가 설치된 분체탱크의 일부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의 피스톤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에 압축공기가 주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에 주입된 압축공기가 진공상태가 되어 해머가 분체탱크의 외벽을 강타하는 것을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 노커의 해머가 원상태로 복귀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고안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중도부가 차단벽(11)에 의해 제 1,2중공부(12)(13)로 구획되는 에어탱크(10)가 구비되며, 상기 에어탱크(10)의 일단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도면에는 미도시 됨)의 제어에 의해 압축공기를 유입 및 차단하는 에어유입관(14)이 상기 제 1중공부(12)와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차단벽(11)에 는 연통관(15)이 제 1,2중공부(12)(13) 사이에 관통 형성되며, 에어탱크(10)의 타단에는 해머 작동구(16)가 관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2중공부(13)의 측벽에는 에어탱크(10)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에어 배출구(17)를 관통 형성한다.
상기 에어탱크(10)의 제 1중공부(12) 내측에는 에어유입관(14)보다 넓은 직경으로 피스톤 작동관(20)이 연통 형성되어 에어유입관(14)과 피스톤 작동관(20) 사이에 단턱(21)이 형성되도록 하되, 차단벽(11)의 연통관(15)과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피스톤 작동관(20) 내부에는 외주연에 오링이 결합된 피스톤(30)을 밀착되도록 삽입하는 바, 상기 피스톤(30)은 길이방향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중공관(31)을 형성하고, 상기 중공관(31)의 끝단에는 중공관(31)보다 넓은 직경의 베어링 작동부(32)를 일정 깊이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작동부(32)에는 스프링(33)과 결합되는 볼베어링(34)을 구비하여 상기 중공관(31)을 차단하도록 하며, 상기 베어링 작동부(32)에서 외부로 관통되는 분출공(35)을 관통 형성한다.
에어탱크(10)의 제 2중공부(13)에는 해머(40)를 결합하는 바, 일단에는 제 2중공부(13)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머리부(41)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타격부(42)가 해머 작동구(16)에 삽입 가능한 폭으로 형성되어 머리부(4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42)의 외주면에는 탄성체(43)가 결합되어 평상시에는 해머(40)의 머리부(41)가 차단벽(11)에 접하여 위치하도록 해 준다.
한편, 상기 제 1중공부(12)는 2단으로 분리되어 조립 분해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피스톤의 결합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솔레노이드 밸브의 제어에 의해 에어유입관(14)으로 대략 5kg/cm²의 압축공기가 에어탱크(10)로 유입되기 시작하면, 피스톤(30)의 중공관(31)으로 에어가 유입되면서 피스톤(30)을 밀게 되고, 피스톤(30)은 피스톤 작동구(20)에서 밀려 차단벽(11)의 연통관(15)을 막게 된다. 그러나 피스톤(30)의 일부는 피스톤 작동구(20)에서 완전히 이탈하지 않고 일부가 피스톤 작동구(20) 내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한다.
그리고, 다시 중공관(31)과 연통된 베어링 작동부(32)의 볼베어링(34)을 밀어 분출공(35)을 개방시키고, 중공관(31)으로 유입된 압축공기는 상기 분출공(35)을 통해 제 1중공부(12)로 유입되면서 점차 진공상태가 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관(15)을 막고 있던 피스톤(3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서 피스톤(30)의 볼베어링(34)이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기면서 원상태 로 복귀되어 분출공(35)을 차단하는 상태가 되고, 피스톤(30)은 단턱(21)에 걸려 위치하게 된다. 또한, 차단벽(11)의 연통관(15)은 개방되어 제 1중공부(12)의 압축공기가 제 2중공부(13)로 순간적인 폭발력을 가지면서 유입되며, 압축공기는 제 1중공부(13)의 해머(40) 머리부(41)를 강한 힘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해머(40)의 타격부(42)가 해머 작동구(16)를 통해 에어탱크(10)와 접해 있는 분체탱크(1)의 외벽을 강타하게 되며, 진동으로 인해 분체탱크(1) 내의 분립체는 내벽면에 부착되지 않게 된다. 이때, 상기 해머(40)가 작동하면서 제 2중공부(13) 내의 공기는 에어 배출구(1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해머(40)는 다시 탄성체(43)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되고, 대기압 상태의 제 1중공부(12)에 에어유입관(14)을 통해 압축공기가 유입되면서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에어탱크 내로의 압축공기 유입 및 피스톤의 작동관계가 원할하게 이루어져 고장의 염려가 줄어들며, 분체탱크에 가해지는 타격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분립체가 분체탱크 내벽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2)

  1. 싸일로, 호퍼, 싸이클론 등의 탱크 외벽에 밀착 결합되는 에어 노커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으로 되어 차단벽에 의해 제 1,2중공부로 구획되며, 일단에 에어유입관이 형성되고, 차단벽에는 연통관이 관통 형성되며, 타단에는 해머 작동구가 관통형성된 에어탱크와;
    상기 에어탱크의 제 1중공부 내측에 연통관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에어유입관보다 넓은 직경으로 형성되어 에어 유입관과의 사이에 단턱을 이루는 피스톤 작동관과;
    길이방향의 중앙에 일정 깊이로 중공관이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의 끝단에는 중공관보다 넓은 직경으로 일정 깊이로 베어링 작동부가 연통되며, 상기 베어링 작동부에는 중공관을 차단하는 볼베어링이 스프링과 결합되어 구비되며, 베어링 작동부의 중도부에는 외부와 연통되는 에어 분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피스톤 작동관 내에 밀착 삽입되는 피스톤과;
    일단에는 상기 해머 작동구에 삽입되는 폭으로 일정 길이의 타격부가 형성되고, 타단에는 제 2중공부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폭의 머리부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타격부의 외주면에는 탄성체가 결합되어 제 2중공부 내에 결합되는 해머와;
    상기 제 2중공부 측벽에 형성되는 에어 배출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탱크의 제 1중공부는 2단으로 구획되어 분해 조립 가능하며, 에어유입관의 외측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여 압축공기의 유입/차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KR2020060021571U 2006-08-11 2006-08-11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KR2004295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71U KR200429593Y1 (ko) 2006-08-11 2006-08-11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1571U KR200429593Y1 (ko) 2006-08-11 2006-08-11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0158A Division KR20080001806A (ko) 2006-06-30 2006-06-30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593Y1 true KR200429593Y1 (ko) 2006-10-24

Family

ID=41777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1571U KR200429593Y1 (ko) 2006-08-11 2006-08-11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59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73B1 (ko) * 2008-12-31 2012-01-05 (주)한동알앤씨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873B1 (ko) * 2008-12-31 2012-01-05 (주)한동알앤씨 상온식 재생아스콘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33729B (zh) 打釘機
US6502650B1 (en) Percussive down-the-hole hammer for rock drilling, and a drill bit used therein
TWI549788B (zh) 打擊工具及打擊工具用緩衝器
US20080229642A1 (en) Body shell structure for toy gun
US7770572B2 (en) Paint ball gun
KR20130001262U (ko) 피스톤 가이드 슬리브식 무밸브 트윈 실린더형 다운-홀 해머
KR200429593Y1 (ko)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JP2007331047A (ja) 打込機
TWI716626B (zh) 切換閥及間歇吹氣槍
KR101158761B1 (ko) 에어 노커
KR20080001806A (ko) 작동이 양호한 에어 노커
KR200444940Y1 (ko) 공압을 이용한 에어 노커
CN210615088U (zh) 一种高频除芯气锤
US20090283083A1 (en) Valve change-over device
JP2023511768A (ja) 高圧流体作動式装置のトリガー弁の、又はトリガー弁に関する改良
JP4870394B2 (ja) リニア圧縮機
JP2007245306A (ja) 打込機
TWI222918B (en) Impact piston retention mechanism of compressed air driven impacting tool
JP2008302442A (ja) 空気圧工具
US11609063B1 (en) Toy gun with pressure diverter
JP3911691B2 (ja) ハンマリング装置
KR101846944B1 (ko) 진동발생장치
KR200442111Y1 (ko) 페인트 스프레이건
JP2004017206A (ja) 圧縮空気駆動衝撃工具の起動バルブ機構
JP2876982B2 (ja) 空気圧式衝撃工具の緩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