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187Y1 - 힌지장치 - Google Patents

힌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187Y1
KR200429187Y1 KR2020060020613U KR20060020613U KR200429187Y1 KR 200429187 Y1 KR200429187 Y1 KR 200429187Y1 KR 2020060020613 U KR2020060020613 U KR 2020060020613U KR 20060020613 U KR20060020613 U KR 20060020613U KR 200429187 Y1 KR200429187 Y1 KR 2004291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fixed cylinder
fluid access
rotating shaf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지경
Original Assignee
박지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지경 filed Critical 박지경
Priority to KR2020060020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1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1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1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1/00Additional features or accessories of hinges
    • E05D11/06Devices for limiting the opening movement of hi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주면에 회전제한돌출부 및 유체출입통로가 마련되는 고정원통과 고정원통에서 일정각도 회전하는 걸림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는 회전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측이 개방되고, 내주면(10a) 양측에 회전제한돌출부(11)가 돌출구성되고, 내부에 유체(12)가 충전되고,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원통(10)과; 밀폐원판(2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원통(10)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접속부(22)의 외주면 양측에 걸림돌출부(23)가 마련되고, 양 걸림돌출부(23)에 유체출입구멍(24)이 형성되며, 밀폐원판(21)의 타측에 회전체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체접속부(25)가 마련되는 회전축(20)과; 상기 고정원통(10)의 개방측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감캡(30)과; 상기 마감캡(30)의 일측에 결합되는 밀폐링(40)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힌지장치, 고정원통, 회전축, 유체출입구멍, 유체출입통로

Description

힌지장치{a hinge apparatus}
도 1은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동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
도 4는 동 실시예의 분해 단면도
도 5a는 동 실시예의 열림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5b는 동 실시예의 닫힘 상태의 요부 종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유체출입지연판의 구성을 보인 확대 평단면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고정원통 10a : 내주면
11 : 회전제한돌출부 12 : 유체
13 : 유체출입통로 20 : 회전축
21 : 밀폐원판 22 : 힌지접속부
23 : 걸림돌출부 23a : 외주면
24 : 유체출입구멍 25 : 회전체접속부
26 : 삽입구멍 27 : 유체출입지연판
27a, 27b : 요홈 30 : 마감캡
40 : 밀폐링
본 고안은 일정 각도로 개폐되는 도아 등의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내주면에 회전제한돌출부 및 유체출입통로가 마련되는 고정원통과 고정원통에서 일정각도 회전하는 걸림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는 회전축을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에 관계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정체에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힌지장치는 여러 가지 형태의 것이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인 바, 본 고안은 특히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원통과 회전체에 고정 설치되는 회전축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장치에 관계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원통과 회전축을 구비하는 힌지장치에 있어서 회전체의 회전각도(개폐각도)를 제한하기 위해서 고정원통의 내주면에 회전제한돌출부를 마련하고, 회전축의 외측에 걸림돌출부를 마련하는 예가 많으며, 회전체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면서 회전속도 및 회전토크를 일정하게 하기 위하여 고정원통 내부에 오일 등의 유체를 회전축의 걸림돌출부에 일정 크기의 유체출입구멍을 마련하는 예도 많다.
또한 회전체의 급격한 여닫이 힘으로 인한 사용자의 부상 등을 방지하기 위해서 최초 개방시의 회전속도 및 최종 닫힘시의 회전속도를 저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많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종래에 제안된 힌지장치들은 상기와 같은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소요되는 부품이 많고 각 부품의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제작이 번거롭게 되므로 제작비용이 많이 들게 될 뿐 아니라 부품 조립상에도 많은 어려움이 있게 되어 불량률이 높게 되고, 사용과정에서 잦은 고장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힌지장치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이 일정한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를 갖도록 하고, 회전체의 최초 개방시와 최종 닫힘시의 회전속도를 저감하여 사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보다 간편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고장의 우려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힌지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측으로 돌출구성되는 걸림돌출부가 마련되고 양 걸림돌출부에 유체출입구멍이 마련되는 회전축을; 내주면 양측에 회전제한돌출부가 마련되고 내부에 유체가 충전되는 고정원통에 삽입 결합하는 것과, 고정원통의 내주면에 유체출입통로를 요입 형성하여 회전축의 걸림돌출부가 유체출입통로를 통과하지 않는 최초 열림구간와 최종 닫힘구간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1에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동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동 실시예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동 실시예의 분해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고안의 힌지장치는
일측이 개방되고, 내주면(10a) 양측에 회전제한돌출부(11)가 돌출구성되며, 내부에 유체(12)가 충전되고, 고정체(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원통(10)과;
밀폐원판(2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원통(10)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접속부(22)의 외주면 양측에 걸림돌출부(23)가 마련되고, 양 걸림돌출부(23)에 유체출입구멍(24)이 형성되며, 밀폐원판(21)의 타측에 회전체(미도시)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체접속부(25)가 마련되는 회전축(20)과;
상기 고정원통(10)의 개방측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감캡(30)과;
상기 마감캡(30)의 일측에 결합되는 밀폐링(40)과;를 구비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는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의 각 회전제한돌출부(11) 일측 일부구간(c)에 유체출입통로(13)를 요입 형성하여 회전축(20)의 각 걸림돌출부(23)가 유체출입통로(13)를 통과하지 않는 최초 열림구간(b)와 최종 닫힘구간(b)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 형태를 갖는다.
아울러 도시된 실시예는 회전축(20)의 양 걸림돌출부(23)에 길이방향으로 유체출입구멍(24)과 연결되는 삽입구멍(26)을 형성하고, 양측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반원형 요홈(27a),(27b)이 마련된 유체출입지연판(27)을 각 삽입구멍(26)에 삽입 설치하여 열림속도를 닫힘속도보다 더 빠르게 한 형태를 갖는다.
유체출입지연판(27)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27a)은 다른 반원형 요홈(27b)보다 그 깊이가 깊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도 6참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유체(12)가 충전된 고정원통(10)의 내부에 회전축(20)의 힌지접속부(22)를 삽입 결합하고, 고정원통(10)의 회전축 삽입측에 마감캡(30)을 결합하면 간편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도 5a와 같은 회전체의 열림 상태에서 회전체를 닫고자 할 때는 회전체를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에 접속된 회전축(2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게 되고, 도 5b와 같은 회전체 닫힘 상태에서 회전체를 열고자 할 때는 회전체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체에 접속된 회전축(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회전체의 개폐각도는 고정원통(10) 내부에 형성된 회전제한돌출부(11)의 형태 및 크기, 그리고 회전축 힌지접속부(22)에 형성된 걸림돌출부(23)의 형태 및 크기를 통해 자유롭게 가변할 수 있는 바, 회전축(20) 및 그에 접속된 회전체의 회전은 회전축 힌지접속부(22)에 형성된 양 걸림돌출부(23)중 어느 하나가 고정원통(10) 내부에 형성된 양 회전제한돌출부(11)에 걸리게 될 때까지 진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회전축(20)의 회전이 진행될 때에 고정원통(10) 내부에 충전된 유체(12)는 회전축 걸림돌출부(23)에 형성된 유체출입구멍(24)을 통해 회전되는 반대방향으로 빠져나가게 되면서 회전축(20)의 회전속도와 회전토크를 균일하게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있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회전축(20)의 양 걸림돌출부(23)에 길이방향으로 유체출입구멍(24)과 연결되는 삽입구멍(26)을 형성하고, 양측에 서로 다른 깊이 및 폭을 갖는 반원형 요홈(27a),(27b)이 마련된 유체출입지연판(27)을 각 삽입구멍(26)에 삽입 설치한 경우, 회전축(2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체가 닫히게 될 때에 유체출입구멍(24)과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b)으로 유체가 빠져나가게 됨으로 유체출입구멍(24)의 개방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유체출입지연판(27)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27b)은 다른 반원형 요홈(27a)보다 그 깊이가 낮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유체출입구멍(24)의 개방면적이 작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적은 양의 유체가 유체출입구멍(24)과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b)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회전축(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회전체가 열리게 될 때에 유체출입구멍(24)과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a)으로 유체가 빠져나가게 됨으로 유체출입구멍(24)의 개방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것이다.
즉, 유체출입지연판(27)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27a)은 다른 반원형 요홈(27b)보다 그 깊이가 깊게 형성되어 있음으로 유체출입구멍(24)의 개방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유체가 유체출입구멍(24)과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b)을 통하여 빠져나가게 되는 것이다.
회전축(20)이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될 때 유체출입구멍(24)의 개방면적이 작아서 적은 양의 유체가 빠져나가고, 회전축(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유체 출입구멍(24)의 개방면적이 커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유체가 빠져나감으로 열림속도가 닫힘속도보다 좀 더 빠르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있어서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 각 회전제한돌출부(11)의 일측 일부구간에 유체출입통로(13)를 요입 형성한 경우 회전축(20)의 각 걸림돌출부(23) 외주면(23a)이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에 형성된 유체출입통로(13) 부위(c)를 통과하지 않을 때에는 회전축(20)의 각 유체출입구멍(24) 및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a),(27b)을 통해서만 유체가 빠져나가게 되고, 회전축(20)의 각 걸림돌출부(23) 외주면(23a)이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에 형성된 유체출입통로(13) 부위(c)를 통과할 때에는 회전축(20)의 각 유체출입구멍(24) 및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a),(27b)과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에 형성된 유체출입통로(13)를 통해서 유체가 동시에 빠져나가게 되므로 전체 회전구간(a) 중에서 최초 열림구간(b)과 최종 닫힘구간(b)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c)에서는 회전속도(개폐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최초 열림구간(b)와 최종 닫힘구간(b)의 회전속도를 늦게 할 수 있게 된다.
즉, 각 걸림돌출부(23)의 외주면(23a)이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에 형성된 최초 열림구간(b)과 최종 닫힘구간(b)를 통과할 때에는 회전축(20)의 각 유체출입구멍(24) 및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a),(27b)을 통해서만 유체가 빠져나가게 되고, 회전축(20)의 각 걸림돌출부(23) 외주면(23a)이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에 형성된 유체출입통로(13) 부위(c)를 통과할 때에는 각 유체출입구 멍(24) 및 유체출입지연판(27)의 반원형 요홈(27a),(27b)과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에 형성된 유체출입통로(13)를 통해서 동시에 유체가 빠져나가게 되므로 전체 회전구간(a) 중 유체출입통로(13)가 형성된 구간(c)에서는 회전속도(개폐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마감캡(30)의 일측에 밀폐링(40)이 결합되어 있음으로 장기간이 경과되어도 밀폐링(40)의 기능이 저하되지 않는 것이다. 즉, 밀폐링(40)이 회전축(20)에 결합되어 있으면, 회전체가 열리고 닫히게 될 때마다 회전운동과 마찰운동을 동시에 수행하여야 함으로 기능저하가 빨리 일어나게 되지만, 본 고안에서는 마감캡(30)의 일측에 밀폐링(40)이 결합되어 있음으로 회전운동과 마찰운동에 의하여 기능저하가 일어나지 않음은 물론 이에 따라 밀폐링(40)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유체출입지연판(27)의 양측에 유체가 이동되는 반원형 요홈(27a),(27b)이 형성되어 있다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유체출입지연판(27)의 어느 한 측면에 유체가 이동되는 반원형 요홈을 형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유체출입지연판(27)이 유체출입구멍(24)과 연결되는 삽입구멍(26)을 삽입고정된 상태에서 유체가 반원형 요홈(27a),(27b)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제품의 특성에 따라 유체출입지연판(27)이 삽입구멍(26)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성하여 유체가 이동되는 면적을 선택적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 익숙한 기술자라면 첨부되는 특허청구범위를 토대로 하여 다양하게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한 구조의 고정원통(10)과 회전축(20), 마감캡(30) 등의 적은 수의 부품으로 간편하게 구성하여 다양한 기능성을 발휘하면서도 보다 안정적으로 회전체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부품 제작비용 및 조립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되어 힌지장치의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고장의 우려 없이 장기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 힌지장치의 상품성과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일측이 개방되고, 내주면(10a) 양측에 회전제한돌출부(11)가 돌출구성되며, 내부에 유체(12)가 충전되고, 고정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원통(10)과;
    밀폐원판(21)의 일측에 마련되어 상기 고정원통(10) 내부로 삽입되는 힌지접속부(22)의 외주면 양측에 걸림돌출부(23)가 마련되고, 양 걸림돌출부(23)에 유체출입구멍(24)이 형성되며, 밀폐원판(21)의 타측에 회전체를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체접속부(25)가 마련되는 회전축(20)과;
    상기 고정원통(10)의 개방측을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감캡(30)과;
    상기 마감캡(30)의 일측에 결합되는 밀폐링(40)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고정원통(10)의 내주면(10a)의 각 회전제한돌출부(11) 일측 일부구간에 유체출입통로(13)를 요입 형성하여 회전축(20)의 각 걸림돌출부(23)가 유체출입통로(13)를 통과하지 않는 최초 열림구간와 최종 닫힘구간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축(20)의 양 걸림돌출부(23)에 길이방향으로 유체출입구멍(24)과 연결되는 삽입구멍(26)을 형성하고, 양측에 서로 다른 깊이를 갖는 반원형 요홈(27a),(27b)이 마련된 유체출입지연판(27)을 각 삽입구 멍(26)에 삽입 설치하여 열림속도를 닫힘속도보다 더 빠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출입지연판(27)에 형성된 반원형 요홈(27a)이 다른 반원형 요홈(27b)보다 그 깊이가 깊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장치.
KR2020060020613U 2006-07-31 2006-07-31 힌지장치 KR2004291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13U KR200429187Y1 (ko) 2006-07-31 2006-07-31 힌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613U KR200429187Y1 (ko) 2006-07-31 2006-07-31 힌지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7817A Division KR100833563B1 (ko) 2006-02-23 2006-02-23 힌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187Y1 true KR200429187Y1 (ko) 2006-10-18

Family

ID=41777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613U KR200429187Y1 (ko) 2006-07-31 2006-07-31 힌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18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2B1 (ko) 2006-07-31 2008-04-30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KR100878511B1 (ko) 2008-02-21 2009-01-14 이종학 닫힘 동작이 부드러운 감속 힌지장치
KR101085017B1 (ko) 2010-02-19 2011-11-18 김요섭 감쇠력이 조절되는 오일힌지
KR200457733Y1 (ko) * 2010-02-08 2012-01-02 박기복 스토퍼가 형성된 유리도어 힌지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302B1 (ko) 2006-07-31 2008-04-30 강재원 양변기 좌대의 힌지 결합구조
KR100878511B1 (ko) 2008-02-21 2009-01-14 이종학 닫힘 동작이 부드러운 감속 힌지장치
KR200457733Y1 (ko) * 2010-02-08 2012-01-02 박기복 스토퍼가 형성된 유리도어 힌지장치.
KR101085017B1 (ko) 2010-02-19 2011-11-18 김요섭 감쇠력이 조절되는 오일힌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15519B2 (en) Damping structure
KR200429187Y1 (ko) 힌지장치
US6464052B1 (en) Rotatable hydraulic damper
KR100915101B1 (ko) 로터리 댐퍼를 가진 힌지
JP5467187B2 (ja) ヒンジ装置及び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833563B1 (ko) 힌지장치
US20150034435A1 (en) Rotary damper
KR102194408B1 (ko) 3d 프린터용 원형 슬라이딩 도어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KR100431073B1 (ko) 도어 힌지
KR101345236B1 (ko) 양변기용 오일댐퍼
KR100927965B1 (ko) 조립식 회전 제한수단을 갖는 버터플라이 밸브
JP2002081482A (ja) ロータリーダンパ
JP5341260B2 (ja) 回転ダンパ
KR200409352Y1 (ko) 로터리 오일댐퍼
CN203239824U (zh) 带有页片阀的摆动式缓冲器
CN109083931A (zh) 一种防水轴承的连接结构
KR101145615B1 (ko) 도어용 댐핑장치
EP3106707B1 (en) Damper device
KR100721259B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힌지식 덮개 개폐장치
KR20070059745A (ko) 로터리 오일댐퍼
KR100634119B1 (ko) 김치 냉장고용 힌지
KR200272856Y1 (ko) 도어 힌지
KR100504585B1 (ko) 김치냉장고용 힌지 및 그의 체결방법
KR200388259Y1 (ko) 미닫이 창호의 잠금장치
JP4125586B2 (ja) 回転ダン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