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139Y1 -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 Google Patents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139Y1
KR200429139Y1 KR2020060013794U KR20060013794U KR200429139Y1 KR 200429139 Y1 KR200429139 Y1 KR 200429139Y1 KR 2020060013794 U KR2020060013794 U KR 2020060013794U KR 20060013794 U KR20060013794 U KR 20060013794U KR 200429139 Y1 KR200429139 Y1 KR 2004291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cil
rotary cutter
cutter
insertion hole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7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윤환
Original Assignee
장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환 filed Critical 장윤환
Priority to KR20200600137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1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1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1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08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rotating cutting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23/00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 B43L23/02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gearing
    • B43L23/04Sharpeners for pencils or leads with gearing with cranked handles

Landscapes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겸용 연필 깎이에 관한 것으로 연필 삽입공(1h)이 형성된 회전축(1)에 회전커터(2)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핸들(4)을 돌리면 기어기구(5)에 의하여 회전커터(2)가 자전(自轉)과 회전축(1)의 주위를 공전하면서 연필 삽입공(1h)에 삽입된 연필을 깎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2)를 경사방향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게 지지축(3)에 설치하고 회전커터(2)의 일단부에 조절막대(6)를 유동가능하게 연결하여 케이스(7)의 뒷면에 형성된 원형공의 틈(C)으로 관통되게 구성하므로서 조절막대(6)를 밀면, 회전커터(2)의 절삭면(2c)과 연필의 접촉길이가 커져서 예리한 필기용 연필로 깎이고 조절막대(6)를 당기면 회전커터(2)의 절삭면(2c)과 연필의 접촉길이가 작아져서 미술용 연필로 깎인다. 구조가 간단하고 생산비가 저렴하며 고장이 없이 종래의 것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연필 깎이, 케이스, 핸들, 회전커터, 회전축, 연필 삽입공, 지지축.

Description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PENCIL SHARPENER FOR BOTH DRAWING AND WRITING PENCILS}
도1은 본 고안의 필기용 연필 깎이의 단면도
도1a는 회전커터와 지지축의 결합을 보인 단면도
도1b는 회전커터와 조절막대의 연결을 보인 단면 예시도
도2는 본 고안의 미술용 연필 깎이의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요부의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의 회전커터의 조절막대가 케이스 외부로 관통된 뒷면도
[도면중 중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 : 회전축 1h : 연필 삽입공 1a :삽입공의 선단부 2 : 회전커터
2a : 회전커터의 선단부 2c : 절삭면 2n : 칼날 3 : 지지축
3a : 지지편 3h : 구멍 4 : 핸들 5 : 기어기구
6 : 조절막대 7 : 케이스
본 고안은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겸용 연필 깎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깎이는 하나의 케이스에 2개의 원추형의 연필 삽입공을 형성하고 각 연필 삽입공의 가장자리에 슬릿(좁은 구멍)을 형성하여 상기 슬릿에 납작한 칼날을 경사진 각도가 각각 다르게 부착하여 부착된 칼날의 각도에 의해서 연필심이 예리하게 깎이게 된 것과 둔하게 깎이게 된 것이 있었다.
상기 연필 깎이는 칼날은 연필 삽입공에 고정되어 있고 연필을 연필 삽입공에서 틀어서 깎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연필을 트는 과정에서 중심이 어긋나면 심이 부러지는 등 회전 커터식 연필 깎이에 비하여 사용이 불편한 미비점이 있다.
또 일반적인 회전커터식 연필 깎이는 원추형의 연필 삽입공이 형성된 회전축의 측방에 나선형 칼날이 원통형으로 형성된 회전커터를 지지축으로 일정한 경사각도를 유지할 수 있게 설치하여, 핸들을 돌리면 기어기구에 의하여 회전커터가 자전(自轉) 및 회전축의 주위를 공전(公轉)하면서 삽입공에 삽입된 연필을 깎도록 되어 있다. 이때 회전커터의 절삭면(切削面)과 연필의 접촉 길이가 항상 일정하기 때문에 연필심이 일정하게 예리한 필기용 연필로 깎인다.
따라서 상기 연필 깎이에 의해서 미술용 연필로 깎으려면 연필 삽입공에 연필을 약간만 삽입하여 회전커터의 절삭면과 연필의 접촉길이를 보다 작게 해야 하는데 외부에서 연필 깎이 내부를 볼 수 없어 손의 짐작으로 깎아야 하기 때문에 미술용 연필로 깎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실용신안 제1994-0002440호공보(1994. 04. 15공고)의 "연필깎이의 심길이 조절장치"가 개시(開示)되어 있다. 상기 고안은 연필 삽입공이 형성된 회전축의 측방에 회전커터를 핸들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 하고 상기 회전축의 선단부에 연필심길이 조절하는 조절구를 앞뒤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한 연필 깎이를 구동하는 핸들쪽에서 별도의 조절나사에 의하여 상기 조절구의 앞뒤 이동을 조절하여 깎이는 연필심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커터는 회전축의 고정위치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연필 삽입공에서 회전커터의 절삭면과 연필의 접촉길이는 일정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는 필기용으로 연필심이 예리하게 깎이고 다만, 깎인 연필심의 길이만 조절하는 것이므로 본 고안에서 목적으로 하는 미술용 연필을 겸하여 깎기 어렵고 또 구조가 대단히 복잡하여 생산 코스트가 높게 될 뿐 아니라 고장율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을 시정하고 하나의 회전커터식 연필 깎이로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을 선택적으로 편리하게 깎을 수 있는 새로운 연필 깎이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고안은 원추형의 연필 삽입공이 형성된 회전축의 측방에 칼날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회전커터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핸들을 돌리면 기어기구에 의하여 회전커터가 자전 및 회전축의 둘레를 공전하면서 연필 삽입공에 삽입된 연필을 원추형으로 깎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를 설치한 지지축 상에서 회전커터가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커터의 일단부에 조절막대를 케이스 외부로 관통되게 연결하여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의 연필 깎이는 케이스 외부로 돌출된 조절막대를 안으로 밀고 연필 삽입공에 연필을 삽입한 다음 핸들을 돌리어 연필을 깎으면, 이때 회전커터는 회 전축의 선단부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커터의 절삭면과 연필 삽입공에 삽입된 연필의 접촉길이가 보다 크게(길게) 된다. 따라서 회전커터에 의하여 연필의 나무와 연필심이 회전커터의 접촉길이로 깎이기 때문에 연필심이 길고 예리한 필기용 연필로 깎인다.
또 본 고안의 연필 깎이의 조절막대를 밖으로 당기고 연필 삽입공에 연필을 삽입한 다음 핸들을 돌리어 연필을 깎으면, 이때 회전커터는 회전축의 후단부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커터의 절삭면과 연필 삽입공에 삽입된 연필의 접촉길이가 보다 작게(짧게)된다. 따라서 회전커터의 절삭면에 제대로 접촉된 연필의 나무는 필기용 연필처럼 깎이지만, 연필심은 회전커터의 절삭면에 약간만 접촉되기 때문에 연필심의 일부만이 깎이어 심의 끝이 뭉퉁한 미술용 연필로 깎이는 것이다.
또 회전커터가 자전해도 조절막대는 회전커터의 단부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조절막대는 자전하지 않으며 회전커터와 함께 회전축의 둘레를 공전한다.
또 본 고안은 기존의 회전 커터를 전후로 이동시키어 사용하는 것이므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생산 코스트가 저렴하며, 고장이 없고 하나의 회전식 연필 깎이로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을 선택적으로 깎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연필 깎이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안출(案出)한 것이다.
본 고안은 원추형의 연필 삽입공(1h)이 형성된 회전축(1)의 측방에는, 칼날(2n)이 나선형(螺旋形)으로 형성된 회전커터(2)를 경사지게 지지축(3)으로 설치하여, 핸들(4)을 잡고 돌리면, 기어기구(5)에 의하여 회전커터(2)가 자전 및 회전축(1)의 둘레를 공전하면서 연필 삽입공(1h)에 삽입된 연필을 원추형으로 깎게 된 것에 있어서, 도1과 도3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커터(2)를 설치하는 지지축(3)을 뒤쪽으로 보다 길게 형성하여 지지축(3) 상에서 회전커터(2)의 선단부(2a)가 적어도 연필 삽입공(1h)의 선단부(1a)까지 올 수 있도록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한다. 이때 지지축(3)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공지된 안내홈(3g)에 회전커터(2)의 축공(2h)에 형성된 키(2K)가 삽입되어 지지축(3)과 회전커터(2)가 함께 회전되면서도 회전커터(2)는 지지축(3) 상에서 전후 이동이 가능하다. 도3 및 도4에 표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커터(2)의 후단부에 조절막대(6)의 단부를 유동가능하게 연결하고 상기 조절막대(6)를 지지축(3)의 지지편(3a)의 구멍(3h)을 통하여 케이스(7)의 뒷면에 형성된 원형공의 틈(C)으로 관통시키어 케이스(7)의 외부에서 조절막대(6)로 회전커터(2)를 전후로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회전커터(2)의 단부에 조절막대를 연결하는 한 예를 들면, 회전커터(2)의 단부에 환상의 걸림홈(2g)을 형성하여 조절막대(6)의 T형 단부(6t)를 상기 걸림홈(3g)에 걸어 유동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된 본 고안의 연필 깎이는, 도1에 표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7) 외부에서 조절막대(6)를 안으로 밀면 회전커터(2)는 지지축(3)의 산단부에 닿아 고 정된다. 연필 삽입공(1h)에 연필(도시되지 않음)을 삽입한 다음 핸들(4)를 시계방향으로 돌리어 연필을 깎는다. 이때 회전커터(2)는 지지축(3)의 선단부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커터(2)의 절삭면(2c)과 연필 삽입공(1h)에 삽입된 연필의 접촉길이가 회전커터(2)의 절삭면(2c)의 전 길이로 크게 된다. 따라서 회전커터(2)의 칼날(2n)에 의하여 연필의 나무와 연필심이 회전커터(2)의 절삭면(2c)의 접촉길이로 연필심이 예리한 필기용 연필로 깎인다.
또 도2에 표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필 깎이의 조절막대(6)를 밖으로 당기면 회전커터(2)는 지지축(3)의 후단부에 닿아 고정되고 상기 회전커터(2)의 선단부(2a)는 연필 삽입공(1h)의 선단부(1a)에 근접된다. 연필 삽입공(1h)에 연필을 삽입한 다음 핸들(4)을 돌리어 연필을 깎으면, 이때 회전커터(2)는 회전축(3)의 후단부측으로 이동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커터(2)의 절삭면(2c)과 연필 삽입공(1h)에 삽입된 연필의 접촉길이가 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회전커터(2)의 절삭면(2c)에 제대로 접촉된 연필의 나무는 필기용 연필처럼 깎이지만, 연필심은 회전커터(2)의 절삭면(2c)에 약간만 접촉되기 때문에 연필심이 뭉퉁한 미술용 연필로 깎이는 것이다.
또 핸들(4)을 돌리어 회전커터(2)가 자전할 때 조절막대(6)는 회전커터(2)의 단부에 유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커터(2)의 회전장해를 주지 않으며 회전커터(2)가 회전축(1)의 둘레를 공전할 때는 조절막대(6)는 케이스의 뒷면에 형성된 원형공의 틈(C)으로 원호회동을 하므로 연필 깎이의 작동에 아무런 장해를 준지 않는다.
또 회전커터(2)의 경사각도는 항상 일정하고 다만 지지축(3) 상에서 회전커 터(2)가 전후로 이동하여 회전커터(2)의 절삭면(2c)과 연필의 접촉길이의 조절에 의해서 필기용 연필과 미술용 연필로 구분하여 깎이는 것이므로 구조가 간단하고 고장이 생길 우려가 없으며 사용이 편리하다.
본 고안은 원추형의 연필 삽입공이 형성된 회전축의 측방에 회전커터를 경사지게 설치하여, 핸들을 돌리면 기어기구에 의하여 회전커터가 자전 및 회전축의 둘레를 공전하면서 연필 삽입공에 삽입된 연필을 원추형으로 깎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를 설치한 지지축 상에서 회전커터를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여 회전커터에 연결된 조절막대에 의하여 회전커터의 절삭면과 연필 삽입공에 삽입된 연필의 접촉길이의 조절에 의하여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을 선택적으로 깎을 수 있게 구성하였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며 생산코스트가 저렴하다.
또 하나의 회전식 연필 깎이로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을 선택적으로 깎을 수 있으므로 종래의 연필 깎이에 비하여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여러 가지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원추형의 연필 삽입공(1h)이 형성된 회전축(1)의 측방에는, 칼날(2n)이 나선형으로 형성된 회전커터(2)를 경사지게 지지축(3)으로 설치하여, 핸들(4)을 돌리면, 기어기구(5)에 의하여 회전커터(2)가 자전 및 회전축(1)의 둘레를 공전하면서 연필 삽입공(1h)에 삽입된 연필을 깎게 된 것에 있어서,
    상기 회전커터(2)를 지지축(3) 상에서 전후로 이동이 가능하게 설치하고 회전커터(2)의 후단부에 조절막대(6)의 단부를 연결하여 상기 조절막대(6)를 지지축(3)의 지지편(3a)의 구멍(3h)을 통하여 케이스(7)의 뒷면에 형성된 원형공의 틈(C)으로 관통시키어 조절막대(6)로 회전커터(2)의 절삭면(2c)과 연필 삽입공에 삽입된 연필의 접촉면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KR2020060013794U 2006-05-23 2006-05-23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KR2004291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794U KR200429139Y1 (ko) 2006-05-23 2006-05-23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794U KR200429139Y1 (ko) 2006-05-23 2006-05-23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139Y1 true KR200429139Y1 (ko) 2006-10-19

Family

ID=4177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794U KR200429139Y1 (ko) 2006-05-23 2006-05-23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1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1836A (zh) * 2018-01-25 2018-05-29 娄稍栋 电动削笔机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81836A (zh) * 2018-01-25 2018-05-29 娄稍栋 电动削笔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23557B2 (en) Carpenter's pencil sharpener
JP5816982B2 (ja) 往復式鉛筆削り器
CN201573462U (zh) 可调式铅笔刨削装置
KR200429139Y1 (ko) 미술용 연필과 필기용 연필 겸용 연필 깎이
US20070180713A1 (en) Carpenter's pencil sharpener
CN211441755U (zh) 一种角度可调的铅笔刀
CN201300233Y (zh) 可调整刻度的旋孔锯
CN105196757B (zh) 削笔器刀架
CN205601464U (zh) 分段式调整切削的削笔机
EP0078512B1 (en) Pencil sharpener
CN209111830U (zh) 一种削笔器的笔芯粗细调节机构
US2438628A (en) Pencil sharpener
CN201736690U (zh) 削铅笔机用新型滚刀
CN204915040U (zh) 削笔器刀架
CN201124706Y (zh) 双向便携式卷笔器
CN207607283U (zh) 双孔电动延时削笔器
EP2679401B1 (en) Adjustable pencil sharpener
CN212555630U (zh) 可调笔尖粗细的削笔机构
CN2730639Y (zh) 新型铅笔刀
CN216912390U (zh) 一种超大螺距的细长螺杆螺纹专用铣刀
CN214449873U (zh) 一种铅笔芯尖粗细可调结构
CN214164604U (zh) 一种削笔机刀具、削笔机构及削笔机
CN214492307U (zh) 一种笔尖粗细调节机构的调节组件及削笔器
CN215153486U (zh) 一种可调式卷笔刀架
CN215474154U (zh) 一种削笔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2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