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071Y1 - 난방용 발열판 - Google Patents

난방용 발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071Y1
KR200429071Y1 KR2020060020160U KR20060020160U KR200429071Y1 KR 200429071 Y1 KR200429071 Y1 KR 200429071Y1 KR 2020060020160 U KR2020060020160 U KR 2020060020160U KR 20060020160 U KR20060020160 U KR 20060020160U KR 200429071 Y1 KR200429071 Y1 KR 2004290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heating element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long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1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용도
Original Assignee
석용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용도 filed Critical 석용도
Priority to KR20200600201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07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0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07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3/00Electric heating systems
    • F24D13/0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 F24D13/022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 F24D13/024Electric heating systems solely using resistance heating, e.g. underfloor heating resistances incorporated in construction elements in walls, floors,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7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specially adapted, structured or shaped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2Arrangement of mountings or supports for radiators
    • F24D19/0203Types of supporting means
    • F24D19/0213Floor mounted support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9/00Details
    • F24D19/06Casings, cover lids or ornamental panels, for radi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00/00Heat sources or energy sources
    • F24D2200/08Electric he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09Radiators
    • F24D2220/2036Electric radi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난방용 발열판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장홈을 형성시키고, 그에 발열체를 매립하되, 전류의 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어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되도록 발열체를 병렬의 형태로 각각 교호로 매립하며, 그 상측으로는 알루미늄판을 결합함으로써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발열체가 훼손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상면에 일정 깊이로 장홈(11)이 연속 반복되게 형성된 단열재(10)와, 상기 장홈(11)에 매립되되,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될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이 서로 엇갈린 병렬의 형태로 배열 매립된 발열체(20)와, 상기 단열재(10)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단열재(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판(30)으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발열체가 훼손되지 않고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단열재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장홈을 형성시키고, 그에 발열체를 매립한 후 그 상면에 알루미늄판을 결합함으로써, 난방용 발열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각 발열체를 독립된 병렬의 형태로 매립함으로써 인접한 발열체끼리 합선되거나 단선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에 매립되는 발열체의 전류 방향을 상호 반대가 되도록 결선함으로써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되어 사용 시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난방용 발열판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난방용 발열판, 발열매트, 발열체, 단열재, 탄소섬유, 전자파

Description

난방용 발열판 { THE CALORIFIC PANEL FOR HEATING }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단열재 11: 장홈
20: 발열체 30: 알루미늄판
본 고안은 난방용 발열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단열재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장홈을 형성시키고, 그에 발열체를 매립하되, 전류의 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어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되도록 발열체를 병렬의 형태로 각각 교호로 매립하며, 그 상측으로는 알루미늄판을 결합함으로써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 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발열체의 훼손이 방지된 난방용 발열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난방용 발열판이라 함은, 대중이 많이 이용하는 시설 즉, 식당이나 기숙사, 교회 또는 어린이집 등의 바닥에 깔아서 실내를 난방하도록 한 것으로서, 대부분 열선형태의 발열체 또는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필름 혹은 선상발열체를 이용한 필름을 주로 사용한다.
이러한 상기 발열체들은 통상적으로 일정부분 쿠션력을 지닌 단열재의 상면에 바로 시공됨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 시 발열체가 훼손될 우려가 컸다.
특히, 열선형태의 발열체인 경우에는 지속적인 하중에 의해 열선이 표면상에 돌출됨으로써 외관상 미려치 않은 문제점뿐만 아니라, 발열체 자체가 흐트러지게 되어 인접한 발열체끼리 서로 합선될 우려가 커 화재사고의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며, 발열체가 단선될 경우에는 쇼트나 감전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필름형태의 발열체인 경우에는 작은 충격에도 단선될 우려가 매우 높아서 장기간 사용이 불가능하였고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해야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단열재의 상 면에 일정깊이로 장홈을 형성시키고, 그에 발열체를 매립한 후 그 상면에 알루미늄판을 결합함으로써, 난방용 발열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각 발열체를 독립된 병렬의 형태로 매립함으로써 인접한 발열체끼리 합선되거나 단선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단열재에 매립되는 발열체의 전류 방향을 상호 반대가 되도록 결선함으로써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되어 사용 시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난방용 발열판을 얻을 수 있도록 함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난방용 발열판에 관한 것으로, 단열재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장홈을 형성시키고, 그에 발열체를 매립하되, 전류의 방향이 상호 반대가 되어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되도록 발열체를 병렬의 형태로 각각 교호로 매립하며, 그 상측으로는 알루미늄판을 결합함으로써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장기간 사용 시에도 발열체가 훼손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고안은 크게 세 부분으로 구성되는바, 상면에 일정 깊이로 장홈(11)이 연속 반복되게 형성된 단열재(10)와, 상기 장홈(11)에 매립되되,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될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이 서로 엇갈린 병렬의 형태로 배열 매립된 발열체(20)와, 상기 단열재(10)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는 크기로 제작되어 단열재(10)의 상면에 부착되는 알루미늄판(30)으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발열 체가 훼손되지 않고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는 대략적인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시도면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인 형태가 직사각 패널의 형태로 구성되며, 단열재(10) 또한 직사각 패널의 형태로 제작되되 그 상면 내부에는 발열체(20)가 매립되고, 단열재(10)의 상면으로는 알루미늄판(30)이 결합된다.
우선, 본 고안에 사용되는 단열재(10)의 구성을 살펴보면, 그 재질은 압축우레탄 또는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되, 전체적인 질감은 딱딱한 질감을 가지나 어느 정도의 충격흡수가 가능한 형태로 제작된다.
상기 단열재(10)의 상부로는 후술하는 발열체(20)가 매립될 수 있도록 지그재그의 형태로 장홈(11)을 형성하되, 단위 발열체(20)가 각각 병렬의 형태인 독립된 회로 구성을 갖도록 동일한 장홈(11)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단열재(10)의 내부에 매립되는 발열체(20)의 구성을 살펴보면, 통상 사용되는 발열체는 어떠한 것이라도 사용가능한바, 바람직하기로는 탄소섬유 에 피복을 입한 것을 사용하며, 경우에 따라 통상의 필라멘트 열선도 사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열체(20)를 단열재(10) 내부에 매립시키는 방법은, 장홈(11)을 따라 매립하되, 전류의 흐름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병렬의 형태로 매립한 후, 각각 동일한 극성끼리 결선함으로써 각 발열체(20)에서 발생되는 전계 및 자계가 서로 상쇄되어 전자파의 발생이 방지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발열체(20)를 병렬로 배열함으로써 어느 하나의 단위 발열체(20)가 단선되더라도 전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하며, 과부하가 발생하지 않아 일층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열재(10)의 상면을 덮는 알루미늄판(30)은, 발열체(20)로부터 발생된 열을 골고루 전달되도록 함과 동시에 부식이 발생 않아 장기간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장기간 사용시 발생될 우려가 있는 습기에 강한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 및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단열재(10) 상부에 형성된 장홈(11)에 발열체(20)를 매립하되, 장홈(11)을 따라 각각의 단위 발열체(20) 단위로 병렬 매립한 후, 그 상면에 알루미늄판(30)을 형성시켜서 하나의 패널형태로 제작한다.
이때, 발열체(20)를 병렬로 결선하여 전원과 연결하되, 장홈(11)에 매립된 발열체(20)의 전류방향이 각각 인접한 단위 발열체(20)와 서로 반대가 되도록 연결 함으로써 전자파의 발생을 서로 상쇄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 예를 살펴보면, 우선, 압축우레탄 재질을 사용하여 상면에 장홈(11)이 형성된 단열재(10)를 제작하고, 그 장홈(11)에 탄소섬유에 피복을 입힌 발열체(20)를 병렬의 형태로 매립한 다음, 상면에 알루미늄판(30)을 형성시켜서 조립을 완료하며, 각 발열체(20)의 양끝단이 서로 엇갈린 극성을 같도록 결선함으로써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완성한다.
상기 명세서 기재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단열재(10)와 열선(20)의 설치형태는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 기능함이 이해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단열재의 상면에 일정깊이로 장홈을 형성시키고, 그에 발열체를 매립한 후 그 상면에 알루미늄판을 결합함으로써, 난방용 발열판의 내구성이 향상되어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며, 각 발열체를 독립된 병렬의 형태로 매립함으로써 인접한 발열체끼리 합선되거나 단선되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재에 매립되는 발열체의 전류 방향을 상호 반대가 되도록 결선함으로써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되어 사용 시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난방용 발열판을 얻을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난방용 발열판에 있어서,
    직사각 패널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면에 상면에 일정 깊이로 장홈(11)이 연속 반복되게 형성된 단열재(10)와,
    상기 장홈(11)에 매립되되, 전계 및 자계의 발생이 상쇄될 수 있도록 전류의 방향이 서로 엇갈린 형태의 병렬방식으로 배열 매립된 발열체(20)와,
    상기 단열재(10)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도록 제작된 알루미늄판(30)으로 구성되어, 장기간 사용시에도 발열체가 훼손되지 않고 전자파가 발생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발열판.
  2. 제 1항에 있어서,
    단열재(10)는 압축우레탄,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비닐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되며, 전체적인 질감은 딱딱한 질감을 가진 직사각 패널형태로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방용 발열판.
KR2020060020160U 2006-07-26 2006-07-26 난방용 발열판 KR2004290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0U KR200429071Y1 (ko) 2006-07-26 2006-07-26 난방용 발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160U KR200429071Y1 (ko) 2006-07-26 2006-07-26 난방용 발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071Y1 true KR200429071Y1 (ko) 2006-10-17

Family

ID=41777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160U KR200429071Y1 (ko) 2006-07-26 2006-07-26 난방용 발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07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93B1 (ko) 2007-05-04 2009-06-02 (주)한진테크 전기온돌용 히터조립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0193B1 (ko) 2007-05-04 2009-06-02 (주)한진테크 전기온돌용 히터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K170585B1 (da) Fladt, elektrisk modstandsvarmeelement
WO2008048677A3 (en) Electrified ceiling framework
DE50201414D1 (de) Kornorientiertes elektroblech mit einer elektrisch isolierenden beschichtung
DE50306428D1 (de) Laminat mit einer als Antennenstruktur ausgebildeten elektrisch leitfähigen Schicht
KR101983814B1 (ko) 면상발열체 및 이를 구비한 면상발열 장치, 그리고 이의 제조 방법
KR100900193B1 (ko) 전기온돌용 히터조립체
KR200429071Y1 (ko) 난방용 발열판
KR102220224B1 (ko) 인체 접지매트
DE50213452D1 (de) Sicherheitskontaktmatte
KR101452681B1 (ko) 면상발열체
KR20170064667A (ko) 접지 확인 유닛
KR20090010490U (ko) 전기온돌용 히터조립체
JP2004235112A (ja) 電磁波を減少させる電力導体
JP3179466U (ja) Usb電源を用いた保温器
KR100638677B1 (ko) 자기장 억제구조를 가지는 전기매트리스
KR101174671B1 (ko) 세라믹 종이 발열판을 갖는 전열 보드
KR200344606Y1 (ko) 자기장 억제구조를 가지는 전기매트리스
KR200273325Y1 (ko) 전자파의 전계를 감소시킨 발열장치
CN113579450B (zh) 一种电磁焊接结构
CA2953174C (en) Areal,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network
RU161258U1 (ru) Гибкий электронагрева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KR101404806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진 전력 차단기
CN204992174U (zh) 双极互锁插排模块
JP5347170B2 (ja) 敷具
JPH10199660A (ja) 無電磁波の発熱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