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4667A - 접지 확인 유닛 - Google Patents

접지 확인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4667A
KR20170064667A KR1020150170381A KR20150170381A KR20170064667A KR 20170064667 A KR20170064667 A KR 20170064667A KR 1020150170381 A KR1020150170381 A KR 1020150170381A KR 20150170381 A KR20150170381 A KR 20150170381A KR 20170064667 A KR20170064667 A KR 201700646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grounding
ground
ground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0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4437B1 (ko
Inventor
최승현
Original Assignee
최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현 filed Critical 최승현
Priority to KR1020150170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4437B1/ko
Priority to PCT/KR2016/014086 priority patent/WO2017095173A1/ko
Publication of KR20170064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4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17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light source
    • H01R13/7175Light emitting diodes (LE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지 확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싱패드나 어싱밴드와 같은 어싱부재뿐만 아니라 그 어싱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인체의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접지 확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 유닛은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소켓부와 내부의 접지확인회로를 구비하여 어싱부재의 접지 여부를 체크해서 이를 점등이나 측정 수치로 표시하는 스마트어싱플러그; 및
일단은 상기 어싱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켓부를 통해 접지확인회로에 연결되는 접지확인코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접지 확인 유닛 {Ground check unit}
본 발명은 접지 확인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어싱패드나 어싱밴드와 같은 어싱부재뿐만 아니라 그 어싱부재에 접촉하고 있는 인체의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접지 확인 유닛에 관한 것이다.
지구상의 모든 만물에는 필연적으로 전기가 존재하며, 전기는 보통 플러스(+)와 마이너스(-)의 균형(balance)을 유지하고 있으나, 어떤 원인에 의해 균형이 깨어졌을 때에 정전기가 발생하게 된다.
인체에도 여러 가지 이유로 정전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인체에 3시간 동안 정전기가 체류하면 체내 칼슘량이 10% 소모되고, 혈당가가 3% 증가한다고 알려졌다.
특히, 인체의 정전기는 반도체 소자를 다루는 작업에서는 반도체 소자를 파괴하거나 손상시키고, 인화성 물질을 다루는 작업에서는 점화원이 되는 등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정전기에 의한 칼슘 파괴로 인해 산성화 체질로 바뀌게 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감소하며,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된다.
정전기는 밤에 자고 있는 동안에도 몸에 축적되는데, 인체는 이러한 정전기의 영향으로 숙면을 취할 수 없고,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전기에너지를 이용하는 전기ㆍ전자제품들은 전기에너지에 의해 전계(電界) 및 자계(磁界)가 발생하고, 상기 전계에 의해 세력의 차이는 있지만 유해전자파가 각각 방출되면서 주변의 사물이나 생명체에 각종 해악을 끼치고 있다.
특히, 전기에너지의 열원을 이용하여 난방하는 전기매트는 사용자가 그 위에 눕거나 앉아서 사용하게 되고, 또한 사용자의 체중이 전열판을 누르는 구조이므로 상기 전열판과 인체가 근접하게 된다.
따라서 전계 및 다량의 유해전자파가 인체로 직접 유도되어 매우 해로운 작용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전기매트의 전열판 상부에 도전체로 된 연질의 차폐판, 이를테면 알루미늄 박(箔)이나 금속호일 또는 금속가루를 고정화시킨 시트류 또는 금속선을 촘촘히 엮은 차폐판 등을 설치한 다음 전원콘센트 및 전원플러그를 통하여 제공되는 접지선(일반 가정에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은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기 위하여 뉴트랄선과 핫선 이외에 별도의 접지선이 제공됨)과 연결되도록 회로를 구성하여 전계 및 유해전자파의 차폐(Shield)를 달성하고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0563810호에는 개인용 신체 접지 장치가 개시되어 있는 바, 이 선행특허는 인체로부터 비정상적인 전기 전하를 수집 및 제거하기 위한 개인용 접지 장치로 접지패드를 포함하여, 상기 접지패드는 탄소섬유층 및 상기 탄소섬유와 도전적으로 접촉하면서 상기 탄소섬유층을 실질적으로 가로질러 연장하는 전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도부에 접지 리드선이 도전적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또한, 반도체와 같은 각종 산업 현장에서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 제어대책의 일례로서, 어싱밴드를 착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 어싱밴드를 착용하는 방법은, 팔목에 착용한 어싱밴드를 접지선에 연결하여 인체와 접지선을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인체의 움직임으로 인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전하도록 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와 같은 접지 확인 방법은 전기매트나 접지패드 또는 어싱밴드(이하 어싱부재로 통칭함)는 어싱부재가 현재 실제 접지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고, 다만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금속선)에 테스터기를 접촉시켜 테스터기에서 알람이나 빛과 같은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접지되었음을 확인하는 방법이 있으나, 별도로 테스터기를 구비해야 번거로움과 테스터기를 어싱부재에 접촉시켜 접지를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어싱부재에 접촉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몸이 현재 어싱부재를 통해 접지되었는지 - 사용자의 몸 자체가 접지되었는지 - 알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번호 제10-0563810호(2006년03월17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마트어싱플러그와, 2접점의 버튼단자와 3극잭(오디오 잭)을 연결한 접지확인코드를 이용하여 어싱부재의 접지 상태뿐만 아니라 그 어싱부재에 접촉된 인체의 접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별도의 테스터기를 구비하여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어 편리한 접지 확인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 유닛은,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소켓부와 내부의 접지확인회로를 구비하여 어싱부재의 접지 여부를 체크해서 이를 점등이나 측정 수치로 표시하는 스마트어싱플러그; 및
일단은 상기 어싱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켓부를 통해 접지확인회로에 연결되는 접지확인코드;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접지확인코드 일단에는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에 접촉되는 제1접점단자와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제2접점버튼이 형성되되, 절연몸체에 의해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버튼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확인코드 타단에는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는 다극잭이 구비되어 ,
상기 버튼단자의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다극잭의 전극과 케이블 내부의 전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극잭은 제1전극과 제2전극 및 접지전극이 형성된 3극잭으로서, 제1접점단자와 제1전극, 제2접점버튼과 제2전극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절연몸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1,2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가 위치되되, 그 절연몸체의 중앙에 서로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접점버튼이 관통공을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 제2접점버튼의 단자가 제1공간부 내부에 위치하고, 제1공간부에는 제1접점단자가 제1공간부를 형성하는 절연몸체의 바닥면과 내주면을 따라 위치된 상태에서 절연몸체 외부로 제1접점단자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접지확인회로는 스마트어싱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어싱부재에 접촉한 사용자의 몸이 접지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제2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어싱부재의 접지 유무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점등하고, 어싱부재의 접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접지체크부와,
상기 제2접점버튼에 사용자의 몸이 접촉되는 경우 루프 테스트를 통해 접지 유무를 확인하여 접지이면 제2발광다이오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접지체크부는 어싱부재가 접지인 경우 점등하는 제1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 뒷단에 연결되어 어싱부재가 접지인 경우 발광과 수광에 의해 빛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어싱플러그는 몸체의 바닥면에 접지 단자가 형성되고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2 단자가 그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그 반대측 상부에는 상기 다극잭이 삽입되는 소켓부와, 제1,2발광다이오드의 점소등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LED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2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다른 하나의 단자만 전원콘센트의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켓부에 다극잭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이 OFF되어 있다가, 소켓부에 다극잭이 삽입되는 경우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이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접지확인회로에 접지체크부로부터 어싱부재의 접지신호가 전달되고 사용자의 몸이 접지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리를 출력하는 버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스마트어싱플러그와, 2접점의 버튼단자와 3극잭(오디오 잭)을 연결한 접지확인코드를 이용하여 어싱부재의 접지 상태뿐만 아니라 그 어싱부재에 접촉된 인체의 접지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별도의 테스터기를 구비하여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에 접촉시키지 않아도 되어 편리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버튼단자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스마트어싱플러그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접지 확인 유닛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소켓부의 스위칭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접지 확인 유닛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확인 유닛은 스마트어싱플러그(40)와 접지확인코드(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마트어싱플러그(40)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2 단자(41)가 하부로 돌출되고 접지 단자(G)가 몸체 하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내부에 접지확인회로가 구비되어 어싱부재의 접지나 사용자의 접지시 소리나 빛 또는 측정값(저항 또는 전위차)의 수치로 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접지 상태를 눈이나 귀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접지확인코드(50)는 버튼단자(70)와 3극잭(60)이 케이블(52)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3극잭(60)은 스마트어싱플러그(40)의 상부에 형성된 소켓부(42)에 끼워져 스마트어싱플러그(40) 내부의 접지확인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어싱부재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제1전극(61), 사용자 몸의 접지 확인을 위한 제2전극(62)과 접지전극(6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단자(70)는 어싱부재 측에 구비되고 2접점으로 이루어져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에 접촉되거나 사용자의 몸에 접촉된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나타낸 버튼단자의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단자(70)는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에 접촉되는 제1접점단자(73)와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제2접점버튼(72)이 구비되되,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몸체(71)에 의해 제1접점단자(73)와 제2접점버튼(72)이 전기적으로 절연 분리된다.
상기 절연몸체(71)는 제1접점단자(73)와 제2접점버튼(72)을 전기적으로 절연하면서 제1접점단자(73)와 제2접점버튼(72)을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 그 형상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절연몸체(71)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1,2공간부(70b,70a)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단자(73)와 제2접점버튼(72)이 제1,2공간부(70b,70a)에 위치되되, 그 중앙의 절연몸체(71)에 제1,2공간부(70b,70a)가 연통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접점버튼(72)이 관통공을 따라 연장된 상태에서 제2접점버튼(72)의 단부(74)가 제1공간부(70b) 내에 위치한다.
이때 관통공을 형성하는 절연몸체가 제1공간부(70b)로 연장 형성된 후 수평 절곡되고, 제2접점버튼(72)의 단부(74)도 절곡된 절연몸체의 외측을 따라 수평 절곡되어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다(여기서 절연몸체(71)의 절곡된 수평 길이가 제2접점버튼(72)의 단부(74)보다 길게 형성되어 제1공간부(70b)에 위치한 제1접점단자(73)와는 확실히 절연된다.
또한, 제1공간부(70b)에 위치된 제1접점단자(73)의 단부는 상기 절곡된 절연몸체의 내측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제1공간부(70b)가 형성된 절연몸체(71)의 바닥면과 내주면을 따라 위치되고, 절연몸체(71) 외부로 제1접점단자(73)의 일부가 노출된다.
상기 제1접점단자(73)와 제2접점버튼(72)은 케이블(52)에 매입된 전선을 따라 3극잭(60)의 제1전극(61)과 제2전극(62)에 각각 연결된다.
한편, 어싱부재에는 상기 제1접점단자(73)가 결합할 수 있도록 제1접점단자(73)에 대응되는 형상의 홀접점(미도시)이 형성되고 이 홀접점은 전도성부재에 연결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사시도이다.
상기 스마트어싱플러그(40)는 2 단자(41a,41b)가 하부로 돌출되고, 그 반대측 상부에는 소켓부(42)와 2개의 LED창(43a,43b)이 구비되며, 스마트어싱플러그 몸체의 바닥면을 통해 접지 단자(G)가 구비된다.
상기 2 단자(41a,41b)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2개의 단자(41a,41b) 모두가 전극봉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도 3의 도면에서와 같이 2개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41a)는 전극봉으로 이루어지고 나머지 하나의 단자(41b)는 플라스틱과 같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에 상기 2 단자(41a,41b)는 후술하는 도 4의 회로도에서 L1과 L2에 해당한다.
상기 소켓부(42)는 접지확인코드(50)의 3극잭(60)이 삽입되는 것으로, 3극잭(60)을 스마트어싱플러그(40) 내부의 접지확인회로와 연결시킨다.
상기 LED창(43a,43b)은 스마트어싱플러그(40) 내부에 구비된 제1,2발광다이오드의 점소등 상태를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여 어싱부재나 사용자 몸의 접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스마트어싱플러그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어싱플러그(40)의 내부 회로는 전원부(46), 제어부(45), 접지체크부(44), 발광다이오드(LED2) 및 버저(PZ)를 포함하고, 3극잭(60)이 삽입되는 소켓부(42)는 전원부와 연결되며, 2 단자(L1,L2)는 전원콘센트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접지체크부(44)는 바리스터(varistor, (VR)), 발광다이오드(LED1) 및 포토커플러(PC)를 구비한다.
전원부(46)는 스마트어싱플러그의 내부의 회로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일반 상용전원을 DC로 변환하는 컨버터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바리스터(VR)는 2 단자(L2,L2)와 접지 단자(G)를 통한 인가전압에 따라 저항이 변하여 비직선적인 전압-전류 특성을 나타내는 소자로, 보호하고자 하는 부품과 병렬 연결되어 과도전압이 증가하면 낮은 저항회로를 형성하여 과도전압이 더 이상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발광다이오드(LED1)나 포토커플러(PC)를 보호한다.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는 2 단자(L1,L2)를 전원콘센트에 꽂아 접지 단자(G)를 통해 정상적으로 전원콘센트(어싱부재) 접지가 되는 경우 점등되고, 정상적으로 어싱부재 접지가 되지 않는 경우 점등되지 않는다.
상기 포토커플러(PC)는 발광다이오드(LED1) 뒷단에 연결되어 발광소자와 수광소자가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있다가 2 단자(L2,L2)를 전원콘센트에 꽂아 어싱부재가 정상적으로 접지된 경우 발광소자에서 발광하고 이를 수광소자에서 수광하여 제어부(45)에 어싱부재의 접지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접점버튼(72)에 접속하고 제어부(45)의 루프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접지가 확인되면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고 및 버저(PZ)가 소리를 출력한다.
한편, 어싱부재가 정상적으로 접지되지 않아 제어부(45)에 어싱부재의 접지신호가 전달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어부(45)의 루프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접지가 확인되면 발광다이오드(LED2)는 점등되나 버저(PZ)에서 소리를 출력되지 않는다.
사용자는 이와 같이 발광다이오드(LED1,LED2)나 버저(PZ)를 통해 어싱부재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접지 유무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단자(L1(41a),L2(41b))가 모두 전극봉으로 사용되어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에 연결되는 경우 두 단자를 전원콘센트에 꽂는 위치(방향)에 관계없이 어싱부재의 접지에 이상이 없으면 포토커플러(PC)는 계속하여 제어부(45)에 접지 신호를 전달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2접점버튼(72)에 접촉하고 제어부(45)에서 루프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가 접지가 확인되면 발광다이오드(LED2)는 계속 점등되고 버저(BZ)는 계속하여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두 단자(L1,L2)중 어느 하나의 단자(L2)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의해 다른 하나의 단자(L1)만 전극봉으로 사용되어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에 연결되는 경우 두 단자(L1,L2)를 전원콘센트에 꽂는 위치(방향)에 따라서 접지가 되거나 접지가 되지 않게 된다.
어싱부재가 정상적으로 접지가 되면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되어 어싱부재의 접지를 확인한 상태에서, 스마트어싱플러그의 두 단자(L1,L2)를 전원콘센트에 바꿔 꽂으면 발광다이오드(LED1)가 소등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가 부주의로 제2접점버튼(72)에 접촉하더라도 발광다이오드(LED2)는 점등되지만 버저(PZ)는 소리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도 5는 도 1에 나타낸 접지 확인 유닛의 사용 상태도로서, 어싱부재로 어싱패드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어싱부재(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접지코드(30)의 스마트어싱플러그(40) 단자(41)를 전원콘센트에 꽂아 어싱부재(10)에 전원을 공급한다.
다음 접지확인코드(50)의 3극잭(60)을 스마트어싱플러그(40)의 소켓부(42)에 삽입하고, 버튼단자(70)의 제1접점단자(73)를 전도성부재(19)에 연결된 어싱부재(10)의 홀접점에 삽입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때 접지체크부(44)에서 어싱부재(10)의 접지 여부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되고, 어싱부재의 접지신호가 포토커플러(PC)를 통해 제어부(45)에 전달된다.
사용자는 발광다이오드(LED1)가 점등된 것을 보고 어싱부재(10)가 접지되어 있음을 눈으로 확인한다.
다음, 사용자가 어싱부재(10) 위에 위치한 상태에서(이때 사용자 몸은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에 접촉되어 있는 상태임) 버튼단자(70)의 제2접점버튼(72)에 손가락 등을 접촉하면, 스마트어싱플러그(40)의 제어부(45)는 루프 테스트를 통해 사용자 몸의 접지 여부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발광다이오드(LED2)가 점등되고 버저(PZ)가 소리를 출력하여 사용자는 자신의 몸이 접지되어 있음을 눈과 귀로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도 4에 나타낸 소켓부의 스위칭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예시도이다.
먼저 도 4에서 소켓부(42)에 3극잭(60)이 삽입되지 않으면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과 (-)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아서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이 OFF되어 있다가, 소켓부(42)에 3극잭(60)이 삽입되면 (+)전원과 (-)전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이 ON된다.
즉, 스마트어싱플러그 전원의 스위칭 기능을 3극잭(60)으로 대체할 수 있다.
특히, 전원부(46)가 배터리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유통시 전원 소비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 도 6에서 4극잭(60')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4극 중 3번째 접지전극과 사용하지 않는 4번째 전극을 쇼트시킨 후 소켓부(42')에 삽입하여 스위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어싱부재 19: 전도성부재
40: 스마트어싱플러그 41: 단자
42,42': 소켓부 44: 접지체크부
45: 제어부(CPU) 46: 전원부
50: 접지확인코드 52: 케이블
60: 3극잭 60': 4극잭
61: 제1전극 62: 제2전극
70: 버튼단자 71: 절연몸체
72: 제2접점버튼 73: 제1접점단자

Claims (10)

  1.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소켓부와 내부의 접지확인회로를 구비하여 어싱부재의 접지 여부를 체크해서 이를 점등이나 측정 수치로 표시하는 스마트어싱플러그; 및
    일단은 상기 어싱부재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소켓부를 통해 접지확인회로에 연결되는 접지확인코드; 를
    포함하는 접지 확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확인코드 일단에는 어싱부재의 전도성부재에 접촉되는 제1접점단자와 사용자의 몸에 접촉하는 제2접점버튼이 형성되되, 절연몸체에 의해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버튼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접지확인코드 타단에는 상기 소켓부에 삽입되는 다극잭이 구비되어 ,
    상기 버튼단자의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이 다극잭의 전극과 케이블 내부의 전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극잭은 제1전극과 제2전극 및 접지전극이 형성된 3극잭으로서, 제1접점단자와 제1전극, 제2접점버튼과 제2전극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몸체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제1,2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제1접점단자와 제2접점버튼가 위치되되, 그 절연몸체의 중앙에 서로 연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2접점버튼이 관통공을 따라 고정된 상태에서 제2접점버튼의 단자가 제1공간부 내부에 위치하고, 제1공간부에는 제1접점단자가 제1공간부를 형성하는 절연몸체의 바닥면과 내주면을 따라 위치된 상태에서 절연몸체 외부로 제1접점단자의 일부가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접지확인회로는 스마트어싱플러그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어싱부재에 접촉한 사용자의 몸이 접지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하는 제2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어싱부재의 접지 유무를 체크하여 접지인 경우 점등하고, 어싱부재의 접지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접지체크부와,
    상기 제2접점버튼에 사용자의 몸이 접촉되는 경우 루프 테스트를 통해 접지 유무를 확인하여 접지이면 제2발광다이오드에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체크부는 어싱부재가 접지인 경우 점등하는 제1발광다이오드와,
    상기 제1발광다이오드 뒷단에 연결되어 어싱부재가 접지인 경우 발광과 수광에 의해 빛을 제어부에 전달하는 포토커플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어싱플러그는 몸체의 바닥면에 접지 단자가 형성되고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2 단자가 그 하부로 돌출 형성되며 ,
    그 반대측 상부에는 상기 다극잭이 삽입되는 소켓부와, 제1,2발광다이오드의 점소등 상태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2개의 LED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콘센트에 삽입되는 2 단자 중 어느 하나의 단자는 절연물질로 이루어져 다른 하나의 단자만 전원콘센트의 전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부에 다극잭이 삽입되지 않는 경우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이 OFF되어 있다가, 소켓부에 다극잭이 삽입되는 경우 스마트어싱플러그의 전원이 ON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확인회로에 접지체크부로부터 어싱부재의 접지신호가 전달되고 사용자의 몸이 접지인 경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소리를 출력하는 버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 확인 유닛.
KR1020150170381A 2015-12-02 2015-12-02 접지 확인 유닛 KR10183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381A KR101834437B1 (ko) 2015-12-02 2015-12-02 접지 확인 유닛
PCT/KR2016/014086 WO2017095173A1 (ko) 2015-12-02 2016-12-02 접지 확인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0381A KR101834437B1 (ko) 2015-12-02 2015-12-02 접지 확인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4667A true KR20170064667A (ko) 2017-06-12
KR101834437B1 KR101834437B1 (ko) 2018-04-13

Family

ID=58797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0381A KR101834437B1 (ko) 2015-12-02 2015-12-02 접지 확인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4437B1 (ko)
WO (1) WO2017095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75A (ko) * 2017-12-01 2019-06-11 강선희 어싱패드 어셈블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993B1 (ko) * 2020-09-25 2022-08-03 정완식 전동제품 프러그에 의한 콘센트 접지 테스터기
KR102468638B1 (ko) 2021-07-27 2022-11-21 김규락 접지 감지 플러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31188B2 (ja) * 1995-02-20 2006-01-05 アキレス株式会社 リストバンド接地用配線
KR200396053Y1 (ko) 2005-06-09 2005-09-16 김영순 휴대용 전기 테스터
KR200421321Y1 (ko) 2006-03-02 2006-07-12 길종진 접지 확인 스위치 구조
KR101223702B1 (ko) * 2011-06-01 2013-01-22 정재우 어스링 감지 장치 및 어스링 모니터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775A (ko) * 2017-12-01 2019-06-11 강선희 어싱패드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95173A1 (ko) 2017-06-08
KR101834437B1 (ko) 2018-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2786B1 (ko) 접지확인이 가능한 난방매트
KR101834437B1 (ko) 접지 확인 유닛
US8152570B2 (en) Power connector having protective interior cover
MX2019005204A (es) Toma electrica de alto voltaje montada sobre pcb.
KR101818988B1 (ko) 전류 및 전압 측정 기능을 포함하는 절연 장갑
ATE487250T1 (de) Elektrische verbinder
MX2009013441A (es) Polo de conmutacion para una red de alta tension.
JP6291047B2 (ja) 電気器具および電気アセンブリ
CN104244710A (zh) 改良杀虫装置及施工方法
US6794610B2 (en) Heating blankets with low-current multiple heating elements
CN108919689B (zh) 一种开关
EP3483990B1 (en) Power connector
KR20090101428A (ko) 온도조절 장치의 화재 방지 장치
KR20070015487A (ko) 전자파 차단 발열선
ES2331465T3 (es) Conmutador electrico.
KR101404806B1 (ko) 감전 방지 기능을 가진 전력 차단기
KR200432556Y1 (ko) 감전방지용 전기플러그
CN217691784U (zh) 空调器
TW201448392A (zh) 交流電源線
TWI693365B (zh) 應用於排油煙機殼體之帶電檢測裝置
CN207429254U (zh) 用于热贴式治疗仪的治疗带
CN220137254U (zh) 剩余电流和充电电流一体式检测装置
CN205509162U (zh) 一种多功能控制开关
KR101148928B1 (ko) 전력용 콘덴서 어셈블리
CN205646356U (zh) 防触电插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