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751Y1 -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751Y1
KR200428751Y1 KR2020060019216U KR20060019216U KR200428751Y1 KR 200428751 Y1 KR200428751 Y1 KR 200428751Y1 KR 2020060019216 U KR2020060019216 U KR 2020060019216U KR 20060019216 U KR20060019216 U KR 20060019216U KR 200428751 Y1 KR200428751 Y1 KR 20042875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le
bar
shaft
fixed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2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윤수
Original Assignee
박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윤수 filed Critical 박윤수
Priority to KR20200600192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75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75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75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13/00Drawing instruments, or writing or drawing appliance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3L13/02Draughting machines or drawing devices for keeping parallelism
    • B43L13/08Protracto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7/00Straightedges
    • B43L7/10Plural straightedges relatively movable
    • B43L7/12Square and pivoted straightedges

Landscapes

  • Length-Measuring Instruments Using Mechanical Means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에 관한 것으로서, 제1,2막대자(2,6)가 각도조절 가능케 축연결 구성하되, 상면에 각도눈금(4a)이 형성되고 제1막대자(2)의 일측에 고정된 제1결합편(4)의 축봉(12)이 제2막대자(6)의 일측에 고정된 제2결합편(8)의 축관(14)에 삽입 조립되게 구성하고, 상기 축관(14)의 하부측면에 각도지침(14a,14b)을 형성하여 제1막대자(2)가 각도조절되게 구성하므로서 교차하는 두선의 각도측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제도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선을 정확하게 그을수 있도록 한 것이다.
Figure 112006050626324-utm00001
각도, 제도, 자

Description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RULER FOR SYSTEMS THAT ANGLE REGULATION IS POSSIBLE}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1,제2막대자가 펼쳐진 상태의 정단면도,
도 5는 도 1의 멈춤구가 조립된 부분측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본체 (2)--제1막대자
(2a)--제1결합부 (4)--제1결합편
(4a)--각도눈금 (6)--제2막대자
(6a)--제2결합부 (8)--제2결합편
(10)--결합볼트 (12)--축봉
(12a)--나사부 (14)--축관
(14a)--제1각도지침 (14b)--제2각도지침
(14c)--나사부 (16)(18)--와셔
(20)--스프링 (22)--고정가이드
(24)--고정핀 (26)--캡홀더
(28)--회전조절구 (30)--멈춤구
(30a)--레버 (30b)--멈춤볼트
(30c)--와셔 (30d)--고정나사
(32)--조절공
본 고안은 제도용 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도조절이 가능하고 제도시에 원하는 각도의 직선을 쉽게 그을수 있도록 한 제도용 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도시에는 자와 각도기를 별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원하는 각도의 선을 그어야 할 때는 각도기를 이용하여 중심점과 각도에 상응하는 점을 찍고 두 점을 자로 그어 연결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여 실용신안등록 제355275호(접철식 각도기 겸용 자)가 선등록 되었으나, 이는 원호형상의 레일홈을 갖는 양막대자가 갖는 레일부를 통하여 결합되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구조의 접철식 각도기 겸용 자는 일반적으로 본체를 플라스틱을 사출성형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구조적인 특성상 레일부의 미세한 파손에도 외 전작동이 어렵게되므로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비용부담이 따르게 되고, 미세한 흔들림에도 각도변형이 쉽게 이루어지므로 지정각도에서의 반복작업을 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되며, 각도조절을 위해서는 막대자를 손으로 잡고 돌려야 하므로 미세조정을 하는데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견고하면서 조절된 각도에서 고정을 할 수 있고 회전작동구를 통하여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1,2막대자(2,6)가 각도조절 가능케 축연결 구성하되, 상면에 각도눈금(4a)이 형성되고 제1막대자(2)의 일측에 고정된 제1결합편(4)의 축봉(12)이 제2막대자(6)의 일측에 고정된 제2결합편(8)의 축관(14)에 삽입 조립되게 구성하고, 상기 축관(14)의 하부측면에 각도지침(14a,14b)을 형성하여 제1막대자(2)가 각도조절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회전상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평면상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고안의 정단면 일부구성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측단면 일부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A)는, 제1막대자(2)의 일측을 단턱지게 형성하여 제1결합부(2a)를 구성하고, 제1결합부(2a)에 제1결합편(4)을 볼트체결로 결합고정한다. 제1결합편(4)은 일측모서리에 나사부(12a)를 갖는 축봉(12)을 일체형으로 고정형성하고 상부면에는 각도눈금(4a)이 형성되게한다.
또한 제2막대자(6)의 일측을 단턱지게 형성하여 제2결합부(6a)를 구성하고, 제2결합부(6a)에 제2결합편(8)을 볼트체결로 결합고정한다. 제2결합편(8)은 일측모서리에 각도지침(14a,14b)이 갖는 축관(14)을 일체형으로 고정형성하고 상부측에는 나사부(14c)가 형성되게한다.
제1막대자(2)에 결합된 제1결합편(4)의 축봉(12)에는 제2막대자(6)에 결합된 제2결합편(8)의 축관(14)을 끼워 넣는다. 그후 축관(14)의 수납홈에 위치된 축봉(12)에 와셔(16), 스프링(20), 와셔(18), 고정가이드(22)를 차례대로 끼워넣고 고정핀(24)을 고정가이드(22)와 축봉(12)의 핀공에 삽입하여 고정가이드(22)를 축봉(12)에 고정결합한다. 그 다음에는 캡홀더(26)를 체결하고 축봉(12)의 나사부(12a)에 회전조절구(28)를 체결고정한다. 회전조절구(28)는 사용자가 수동 회전조절 시킬 수 있는 수단이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축관(14)의 일측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구(30)을 설치한다. 즉, 축관(14)의 일측에 조절공(32)을 형성하고 멈춤구(30)의 멈춤볼트(30c)를 조절공(32)에 나사 체결되도록 하여 축봉(12)이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멈춤볼트(30c)의 후부에는 레버(30a)가 고정나사(30d)에 의해 체결고정된다.
축봉(12)과 축관(14)은 축결합 회전가능하도록 원통으로 형성하고 축관(14)의 하부원통에는 두개의 각도지침(14a,14b)을 형성하여 제1결합편(4)에 형성된 각도눈금(4a)을 지시하도록 구성한다. 제1각도지침(14a)은 예각(0°∼90°)용이고, 제2각도지침(14b)은 둔각(90°∼180°)용이다.
축관(14)의 수납홈에 위치된 축봉(12)에 끼워진 스프링(20)은 스프링 완충력을 갖으면서 축봉(12)이 회전될수 있게 해주어 회전조절구(28)를 이용해 각도조절시 축봉(12) 회전이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해준다.
상기한 구성과 같은 본 고안의 제도용 자(A)는 2개의 자(2,6)를 축연결 구성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함과 아울러 위치된 각도에서 멈춤고정도 용이하게 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체(A)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사용자가 회전조절구(28)를 회전시키면 회전조절구(28)에 결합고정된 축봉(12)의 축 회전에 의해 제1막대자(2)가 회전되어 지고, 축관(14)에 형성된 제1,2각도지침(14a,14b)이 제1고정편(4) 상에 형성된 각도눈금(4a)을 지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두 자(2,6)에 의해서 형성된 각도를 바로 알 수 있다.
제1막대자(2)의 회전으로 인한 예각(0°∼90°)은 제1각도지침(14a)으로 지시하게 되고 둔각(90°∼180°)은 제2각도지침(14b)으로 지시하게 되므로 사용자는 0°~180°사이의 모든 각을 읽을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각도측정이 가능하므로 각도기 대용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제도시 각도선을 긋는 데에도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제도시 각도선을 그을때에는 멈춤구(30)의 레버(30a)를 조정하여 축봉(12)을 고정시켜 줌으로써 제1,제2막대자(2,6)는 요동됨 없이 현재의 각을 그대로 유지한다.
상기한 본 고안은 회전이 가능하고 각도조절이 용이하므로 초등학생에서 전문가까지 간단하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구성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A)는 각도기를 별도로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사용상의 불편함을 없애주고 기존의 제도판에 결합하여 사용하던 자와는 달리 독립적으로도 사용 가능한 것이다.
상술한 본 고안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와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각도기를 별도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고 독립적으로 간단한 조작으로 사용가능하게 되므로 사용상 번거로움과 불편함을 없애줄 수 가 있는 것이다. 더 나아가 각도기 없이 각도측정이 가능하고 제도시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의 선을 정확하고 일정하게 그을 수 있으므로 작업능률향상에 상당한 도움을 줄 수 있게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제1,2막대자(2,6)가 각도조절 가능케 축연결 구성하되, 상면에 각도눈금(4a)이 형성되고 제1막대자(2)의 일측에 고정된 제1결합편(4)의 축봉(12)이 제2막대자(6)의 일측에 고정된 제2결합편(8)의 축관(14)에 삽입 조립되게 구성하고, 상기 축관(14)의 하부측면에 각도지침(14a,14b)을 형성하여 제1막대자(2)가 각도조절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축관(14)의 일측에 멈춤구(30)를 설치하여 축봉(12)과 제1막대자(2)가 축관(14)에 선택적으로 멈춤고정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KR2020060019216U 2006-07-15 2006-07-15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KR20042875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216U KR200428751Y1 (ko) 2006-07-15 2006-07-15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216U KR200428751Y1 (ko) 2006-07-15 2006-07-15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751Y1 true KR200428751Y1 (ko) 2006-10-16

Family

ID=41777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216U KR200428751Y1 (ko) 2006-07-15 2006-07-15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75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1974A (zh) * 2020-07-10 2020-10-13 江西财经大学 一种大学高等教学用微积分教学装置
KR102606881B1 (ko) 2023-04-24 2023-11-29 이온유 제도용 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1974A (zh) * 2020-07-10 2020-10-13 江西财经大学 一种大学高等教学用微积分教学装置
CN111761974B (zh) * 2020-07-10 2021-08-24 江西财经大学 一种大学高等教学用微积分教学装置
KR102606881B1 (ko) 2023-04-24 2023-11-29 이온유 제도용 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751Y1 (ko) 각도조절이 가능한 제도용 자
CN201034523Y (zh) 一种能测量和绘制一定角度的圆规
CN211493449U (zh) 一种可随意调节半径长度的圆规
CN201808351U (zh) 一体式圆规尺子
CN205311174U (zh) 一种量角尺
CN205326295U (zh) 一种3d打印平台
CN210108350U (zh) 多功能水平尺
CN211234255U (zh) 新型测角直尺组件
CN208006561U (zh) 一种新型教学用多功能组合尺
CN101804758A (zh) 一种圆规
CN212313144U (zh) 一种辅助毛笔画圆的工具
CN201049404Y (zh) 多功能手锯架
CN201659807U (zh) 圆规
CN101005961A (zh) 具有简单的绘图孔机构的几何工具
CN208392931U (zh) 一种多功能数学圆规
CN211967510U (zh) 一种简易画圆装置
CN211106602U (zh) 一种多功能作图教具
CN202088745U (zh) 多功能圆规
CN205989585U (zh) 一种多功能尺子
CN220605949U (zh) 一种手机支架的夹持锁定结构
CN210464254U (zh) 方便划中点的游标卡尺
CN215397915U (zh) 一种方便调节的工字尺
CN202038061U (zh) 多用圆规
CN218606290U (zh) 一种易拆装的手柄结构
CN201092202Y (zh) 一种方便量取半径的圆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