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635Y1 - 기능성 베개 - Google Patents

기능성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635Y1
KR200428635Y1 KR2020060020342U KR20060020342U KR200428635Y1 KR 200428635 Y1 KR200428635 Y1 KR 200428635Y1 KR 2020060020342 U KR2020060020342 U KR 2020060020342U KR 20060020342 U KR20060020342 U KR 20060020342U KR 200428635 Y1 KR200428635 Y1 KR 20042863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low
support
bottom plate
opening
herbal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34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연
Original Assignee
김재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연 filed Critical 김재연
Priority to KR202006002034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63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6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63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 한약재가 내장되는 기능성 베개는 탄성이 없는 재질로만 제작되어 장시간 사용할 경우 목이 아프거나 저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은 물론 사용자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없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향배출공(111)이 형성된 상판(110)이 있고, 그 상판(110) 앞에는 한약재 투입용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내부에 한약재가 채워지는 베개함체(100)와; 다수의 향배출공(211)이 형성된 바닥판(210)이 상기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에 결합되며, 그 바닥판(210)의 표면에는 양쪽에 설치된 지지판(220a)과 지지판(220b) 사이에 천피를 씌워서 반구형의 길다란 목받침(230)이 구비되게 하고, 그 목받침(230) 내에 통상의 베갯속(300)이 채워지는 받침부(200)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러한 본 고안은 한약재가 넣어지는 베개함체(100)와 쿠션력 있는 베갯속(300)이 들어간 목받침(230)이 각각 구분되어 있으므로 장시간동안 목받침(230)을 베고 누워있더라도 목부위가 아프거나 저리는 등의 문제점이 없는 것이고, 또한 베갯속(300)을 쉽게 넣거나 뺄수 있도록 하여 목받침(230)의 높낮이를 사용자에 맞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베개, 한약재, 베개함체, 상판, 향배출공, 받침부, 바닥판, 목받침

Description

기능성 베개{Functional Pillow}
도 1 은 종래 베개를 예시한 요부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베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
도 3 은 도 2의 결합사시도
도4a,4b는 본 고안이 실시된 베개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4a는 베개를 사용하기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4b 는 베개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5a,5b는 본 고안에 따라 베개함체와 받침부의 고정수단을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 5a는 고정되기전이고, 도5b는 고정된 이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베개함체 110 : 상판
111,211 : 향배출공 112 : 걸림부
120 : 개구부 130 : 끼움홈
131 : 걸림턱 140 : 괘정홈
200 : 받침부 210 : 바닥판
212 : 걸림구 213 : 결합부
220a,220b : 지지판 221 : 주입공
222 : 관통공 230 : 목받침
240 : 스프링 250 : 괘정구
251 : 상단 252 : 하단
300 : 베갯속 400 : 마개
410 : 삽입부 500 : 커버
510 : 매직테이프
본 고안은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베개를 장시간동안 사용하더라도 목부위가 경직되어 아프거나 저리는등의 문제점이 없는 것이고, 또한 베개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가장 편안한 상태에서 베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간은 누구나 일생의 1/3을 잠으로 보내게 되는데 바른자세로 충분한 수면을 취해야만이 기분도 상쾌해지며 성장발육도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수면중에는 인지기능이 활동하여 낮에 받아들인 정보를 일사분란하게 정립해 주었다가 기억해내는 일을 수행한다.
즉, 머리는 잠을 자는동안 모두것을 기억해 주었다가 컴퓨터처럼 기억해내지만 잠을 자지 않으면 판단력이 떨어지게 되며 거친피부와 생체리듬의 불균형도 나 타난다.
따라서 숙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베개를 사용하여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어야 하는데 베갯속에는 왕겨나 쌀겨, 메밀껍질, 스폰지, 솜등을 집어 넣어 쿠션이 있도록 하여 사용하는 것인데 이러한 베개는 단순히 머리를 받쳐 보다 편안하게 잠을 이룰수 있도록 하는 효과만 있을뿐 자면서도 건강을 증진시키는 효과는 없어 근래에는 내부에 천궁,당귀,백지,신이 등 각종 한약재를 내장시켜 한약재에서 발산되는 향을 맡으면서 잠을 자도록 하여 긴장완화와 신경안정, 혈합강화, 스트레스 해소 등 다양한 건강 효과를 보도록 한 기능성 베개가 각광을 받고 있다.
즉,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상측이 개구된 함체(10)를 구비하여 함체(10)내에 한약재를 넣어준후 그 함체(10)를 덮개(20)로 덮어준 상태에서 함체(10)와 덮개(20)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20)하단에 지지판(30)을 끼워준 것이다.
그리고 상기 덮개(20)의 상면에는 무수히 많은 배출공(21)을 형성하여 함체(10)에 넣어진 한약재에서 발산되는 향이 상기 배출공(21)을 통해 발산되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성의 베개는 주로 목에 베고 뒷머리는 바닥에 닿게해 C자형의 곡선을 유지토록 하는 것으로 상기의 종래 베개는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서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 종래 베개는 한약재의 향이 덮개(20)의 배출공(21)을 통해 발산되는 구조인데 상기 덮개(20)는 목을 지지하는 부위로서 즉, 덮개(20)에 하중이 가해지면 덮개(20)가 눌려지면서 한약재를 누르기 때문에 한약재에서 향이 원활하게 배출 되지 않는 것이므로 덮개(20)를 목재와 같은 딱딱한 재질로 제작하여 탄성을 주지 않으므로서 하중이 가해지더라도 덮개(20)가 눌려지지 않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처럼 덮개(20)를 딱딱한 재질로 제작하여 사용하다 보니 덮개(20)를 잠깐 베는 것은 별 상관이 없지만 장시간 베고 누울 경우에는 목이 경직되어 아프고 저리는 등의 현상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 베개는 사용자에 따라 적당한 높낮이를 유지하여야 최적의 상태에서베개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나 종래의 베개는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므로 즉, 소비자가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없어 본인에게 맞지 않은 높이인데도 불구하고 그대로 사용함에 따라 불편하여 충분한 숙면을 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베개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목이 아프거나 저리는 등의 현상이 없도록 한 것이고, 또한 사용자가 베개의 높낮이를 지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조건에서 베개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기능성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향배출공이 형성된 상판이 있고, 그 상판 앞에는 한약재 투입용 개구부가 형성되어 내부에 한약재가 채워지는 베개함체와 다수의 향배출공이 형성된 바닥판이 상기 베개함체의 개구부에 결합되 며, 그 바닥판의 표면에는 양쪽에 설치된 지지판과 지지판 사이에 천피를 씌워서 반구형의 길다란 목받침이 구비되게 하고, 그 목받침 내에 통상의 베갯속이 채워지는 받침부로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한약재가 넣어지는 베개함체와 목을 지지하기 위한 목받침이 형성된 받침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이를 결합한 것으로서 받침부의 목받침에는 탄성체의 내용물을 넣어 장시간동안 목을 지지하더라도 목이 아프거나 저리지 않도록 하고, 또한 목받침에 넣어지는 베갯속을 사용자가 쉽게 넣거나 뺄수 있도록 하여 목받침의 높이를 사용자에게 가장 알맞은 높이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서 상기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기술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는 본 고안이 실시된 베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 은 도 2의 결합사시도이며, 도4a,4b는 본 고안이 실시된 베개를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4a는 베개를 사용하기전의 상태를 보인 도면이고, 도4b 는 베개를 사용하고 있는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5a,5b는 본 고안에 따라 베개용 함체와 받침부의 고정수단을 예시한 단면도로서 도 5a는 고정되기전이고, 도5b는 고정된 이후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함체내부에 한약재를 넣고 배출공이 형성된 덮개를 결합한 베개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향배출공(111)이 형성된 상판(110)이 있 고, 그 상판(110) 앞에는 한약재 투입용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내부에 한약재가 채워지는 베개함체(100)와; 다수의 향배출공(211)이 형성된 바닥판(210)이 상기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에 결합되며, 그 바닥판(210)의 표면에는 양쪽에 설치된 지지판(220a)과 지지판(220b) 사이에 천피를 씌워서 반구형의 길다란 목받침(230)이 구비되게 하고, 그 목받침(230) 내에 통상의 베갯속(300)이 채워지는 받침부(2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500)은 받침부에 씌워지는 커버이고, (510)은 받침부의 지지판과 커버에 설치된 매직테이프이다.
이와같은 본 고안은 베개에 여러가지의 한약재를 집어 넣어 한약재에서 발산되는 향을 사용자가 흡입할 수 있도록 하여 피로회복, 스트레스 해소, 긴장완화, 신경안정, 불면증 해소 등 여러가지의 효과를 얻을수 있도록 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본 고안에서의 특징은 베개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목부위가 경직되어 아프거나 저리지 않도록 하고, 또한 베개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게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안하게 충분한 숙면을 취하면서도 최상의 약효과를 느낄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도 2에서 예시한 바와같이 한약재가 넣어지는 베개함체(100)와 쿠션력 있는 목받침(230)이 형성된 받침부(200)를 별도로 제작한후 상기 베개함체(100)와 받침부(200)를 서로 결합한 것으로 즉, 상기 베개함체(100)는 상면에 다수의 향배출공(111)이 형성된 상판(110)이 있고, 그 상판(110)앞에 개구 부(12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개구부(120)를 통해 한약재를 베개함체(100)내에 넣어주면 된다.
이처럼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를 통해 한약재를 넣어준 이후에는 상기 개구부(120)가 가려지도록 받침부(200)를 결합하는데 상기 받침부(200)는 바닥판(210)표면 양쪽으로 지지판(220a)(220b)이 설치되고, 그 지지판(220a)과 지지판(220b)사이는 천피를 씌워서 목을 받쳐줄 수 있는 목받침(230)을 구비하는데 상기 목받침(230)은 베고 누웠을 때 딱딱하지 않도록 목받침(230)내에 결명자와 같은 쿠션력 있는 베갯속(300)을 넣는다.
상기 목받침(230)에 넣어지는 베갯속(300)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른 종류의 내용물로 바꿀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베개함체(100)와 받침부(200)를 도3에서와 같이 결합한 이후에 푹신한 목받침(230)을 베고 누우면 장시간 베개를 사용하더라도 목부위가 경직되어 아프거나 저리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으면서도 한약재가 베개함체(100)의 상판(110)에 형성된 향배출공(111)을 통해 위로 올라오는 것이므로 목받침(230)을 탄성있게 하여도 한약재가 눌려지지도 않아 향이 효과적으로 배출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받침부(200)의 바닥판(210)에도 다수의 향배출공(2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약재의 향이 베개함체(100)의 상판(110)에 형성된 향배출공(111)이외에 받침부(200)의 바닥판(210)에 형성된 향배출공(211)으로도 조금씩 발산되므로 한약재의 향이 보다 많이 사용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개함체(100)와 받침부(200)의 결합으로는 도4a,4b에서와 같이 상기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를 이루는 양쪽 측벽에는 상부에 걸림턱(131)이 구비된 끼움홈(130)을 형성하고, 상판(110)테두리중 받침부(200)의 바닥판(210)과 접면되는 부위쪽 테두리는 경사형 걸림부(112)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200)의 바닥판(210)밑면에는 상기 개구부(120)의 양쪽 측벽에 형성된 끼움홈(130)과 상반되는 형태의 걸림구(212)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112)와 접면되는 바닥판(210)테두리는 상기 걸림부(112)와 상반되는 형태의 결합부(213)로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받침부(200)를 베개함체(100)와 결합하고자 할 때에는 받침부(200)에 형성된 걸림구(212)를 측면에서 베개함체(100)에 형성된 끼움홈(130)속으로 끼운후 슬라이드 방식으로 계속밀어 즉, 상기 받침부(200)가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를 완전히 가려줄때까지 밀어 상기 받침부(200)와 베개함체(100)가 일치되도록 하면 상기 베개함체(100)의 내부에 넣어진 한약재는 받침부(200)에 의해 막혀서 빠져나오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베개함체(100)에 형성된 끼움홈(130)에는 걸림턱(131)이 있고, 받침부(200)의 바닥판(210)에 형성된 걸림구(212)는 윗면보다 아랫면이 더 넓은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받침부(200)를 슬라이드 방식으로 밀어서 상기 걸림구(212)가 끼움홈(130)에서 이탈되도록 할수는 있으나 그대로 받침부(200)를 상향으로 들어 올릴 경우에는 걸림턱(131)에 의해 걸림구(212)가 걸리기 때문에 상방향으로는 서로 분리되지를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베개함체(100)와 받침부(200)가 결합되면 상기 받침 부(200)의 바닥판(210)과 접면되는 베개함체(100)의 상판(110)에 형성된 경사형의 걸림부(112)와 상기 받침부(200)테두리에 형성된 결합부(213)에 의해 받침부(200)가 좌우 유동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사용자에 따라 목받침(230)의 높이를 높이거나 낮출수 있도록 한 것으로 즉, 받침부(200)의 바닥판(210)에 설치된 양쪽 지지판 (220a)(220b)중 어느하나에 베갯속(300)을 넣을수 있는 주입공(221)을 형성하고, 그 주입공(221)에 마개(400)를 끼운 것으로 이는 목받침(230)이 너무 높을 경우에는 마개(400)를 주입공(221)에서 빼준후 그 노출된 주입공(221)을 통해 베갯속(300)을 적당량 빼준후 다시 마개(400)를 끼워주면 되는 것이고, 반대로 목받침(230)이 너무 낮을 경우에는 이역시 마개(400)를 열고 주입공(221)을 통해 베갯속(300)을 원하는 만큼 더 넣어주면 된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받침부(200)가 베개함체(100)와 결합된 상태에서 임의로는 받침부(200)가 슬라이드 되지 않도록 한 것으로 즉, 도 5a에서와 같이 주입공(221) 바닥에는 하향의 관통공(222)을 형성하여 스프링(240)으로 탄발되는 괘정구(250)를 설치하되 주입공(221)내부로는 괘정구(250)의 상단(251)을 돌출시킨다.
그리고 그 하단(252)은 상단(251)의 눌림 여부에 따라 관통공(222)하부로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와 대응되는 베개함체(100)의 측벽에는 상기 괘정구(250)의 하단(252)이 끼워지는 괘정홈(140)을 형성한 것이다.
좀더 상세히 언급하면 받침부(200)를 베개함체(100)에 결합할 때에는 먼저 마개(400)를 분리한 상태에서 받침부(200)를 베개함체(100)에 결합시켜 받침 부(200)와 베개함체(100)가 완전히 일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이후 마개(400)를 주입공(221)에 끼운다.
이처럼 마개(400)를 주입공(221)에 끼우면 도 5b에서와 같이 상기 마개(400)의 삽입부(410)가 전진되면서 주입공(221)바닥에 형성된 관통공(222)에 관통되게 설치된 괘정구(250)의 상단(251)를 하향으로 밀어 상기 괘정구(250)의 하단(252)이 베개함체(100)의 측벽에 형성된 괘정홈(140)에 끼워져 상기 받침부(200)는 좌우 슬라이딩이 전혀 안되어 견고한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인데 여기서 상기 괘정구(250)는 스프링(240)의 탄발력에 의해 승하강되는 것이므로 상기 괘정구(250)의 하단(252)이 괘정홈(140)에 끼워진 상태에서는 스프링(240)은 수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는 반대로 받침부(200)를 베개함체(10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마개(400)를 빼주면 상기 마개(400)의 삽입부(410)가 괘정구(250)의 상단(251)을 눌러주고 있다가 후퇴함에 따라 상기 괘정구(250)를 상향에서 지속적으로 누루고 있던 힘이 없어져 수축되었던 스프링(240)이 탄발되면서 괘정구(250)를 상향으로 밀어 올려 괘정구(250)의 하단(252)이 괘정홈(140)에서 이탈되면서 고정력이 해제됨에 따라 받침부(200)를 슬라이드 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목받침(230)이 쉽게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받침부(200)에 별도의 커버(500)를 씌운것으로 즉, 받침부(200)의 지지판 (220a)(220b)과 커버(500)에 매직테이프(510)을 설치하여 커버(500)를 탈부착 할 수 있도록 하므로서 커버(500)가 더러워졌을 경우에는 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위생상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은 물론 커버(500)를 여러가지 색상으로 제작하여 이를 수시로 교체하여 주면 항시 새로운 베개를 사용하고 있는 것과 같은 효과도 얻을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가 있으며,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한약재가 넣어지는 베개함체와는 별도로 쿠션력 있는 베갯속이 들어간 목받침이 형성된 받침부를 구비하여 이를 서로 결합하여 사용하므로서 베개를 장시간동안 사용하더라도 목부위가 아프거나 저리는등의 문제점이 없으면서도 한약재에서 향이 효과적으로 발산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베개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쉽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베개를 가장 편안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함체내부에 한약재를 넣고 향배출공이 형성된 덮개를 결합한 베개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면 일측에는 다수의 향배출공(111)이 형성된 상판(110)이 있고, 그 상판(110) 앞에는 한약재 투입용 개구부(120)가 형성되어 내부에 한약재가 채워지는 베개함체(100)와;
    다수의 향배출공(211)이 형성된 바닥판(210)이 상기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에 결합되며, 그 바닥판(210)의 표면에는 양쪽에 설치된 지지판(220a)과 지지판(220b) 사이에 천피를 씌워서 반구형의 길다란 목받침(230)이 구비되게 하고, 그 목받침(230) 내에 통상의 베갯속(300)이 채워지는 받침부(200);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와 이를 가려주는 받침부(200)의 바닥판(210) 결합으로,
    상기 베개함체(100)의 개구부(120)를 이루는 양쪽 측벽에는 상부에 걸림턱(131)이 구비된 끼움홈(130)을 형성하고, 상판(110) 테두리중 받침부(200)의 바닥판(210)과 접면되는 부위쪽 테두리는 경사형 걸림부(112)로 형성하며,
    상기 받침부(200)의 바닥판(210) 밑면에는 상기 개구부(120)의 양쪽 측벽에 형성된 끼움홈(130)과 상반되는 형태의 걸림구(212)를 형성하고,
    상기 걸림부(112)와 접면되는 바닥판(210)테두리는 상기 걸림부(112)와 상반되는 형태의 결합부(213)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210)의 양쪽 지지판(220a)(220b) 중 어느 하나에는 베갯속을 넣을수 있는 주입공(221)을 형성하고, 상기 주입공(221)에는 삽입부(410)가 구비된 마개(400)를 탈착되게 설치하며,
    상기 주입공(221)바닥에는 하향의 관통공(222)을 형성하여 스프링(240)으로 탄발되는 괘정구(250)를 설치하되 주입공(221)내부로는 괘정구(250)의 상단(251)을 돌출시켜서 마개(400)의 삽입부(410)진입시 눌리도록 하고, 그 하단(252)은 상단(251)의 눌림 여부에 따라 관통공(222)하부로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와 대응되는 베개함체(100)의 측벽에는 상기 괘정구(250)의 하단(252)이 끼워지는 괘정홈(140)을 형성하여 베개함체(100)와 받침부(200)가 괘정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베개
KR2020060020342U 2006-07-27 2006-07-27 기능성 베개 KR2004286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42U KR200428635Y1 (ko) 2006-07-27 2006-07-27 기능성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342U KR200428635Y1 (ko) 2006-07-27 2006-07-27 기능성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635Y1 true KR200428635Y1 (ko) 2006-10-16

Family

ID=41777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342U KR200428635Y1 (ko) 2006-07-27 2006-07-27 기능성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63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38017U (ja)
EP0959745B2 (en) Pillow
US20020138907A1 (en) Ergonomic pillow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KR200428635Y1 (ko) 기능성 베개
KR200443957Y1 (ko) 기능성 베개
US6321402B1 (en) Disposable pulp-molded pillow
KR100935799B1 (ko) 건강베개
KR102093516B1 (ko) 어깨 눌림이 방지되는 매트리스
CN208925695U (zh) 一种植物香芯枕头
KR20160149121A (ko) 수면 쿠션
JP2000279301A (ja)
KR200334870Y1 (ko) 휴대용 베개
KR200399424Y1 (ko) 침대 매트리스
KR101649980B1 (ko) 목 베개부가 장착된 기능성 베개
KR200396542Y1 (ko) 릴랙스 매트
KR20020027401A (ko) 건강기능베개
CN202312492U (zh) 多孔保健枕
KR200284187Y1 (ko) 한약재가 내장된 개폐식 목침
KR200408122Y1 (ko) 통풍용 뚜껑을 갖는 베개
KR200237755Y1 (ko) 경추보호용 목베개
JP3040688U (ja) 寝返り枕
KR200334878Y1 (ko) 베개
CN107997897A (zh) 一种便于病人大小便的病床
KR200144760Y1 (ko) 높낮이 조절용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2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