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4760Y1 - 높낮이 조절용 베개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용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4760Y1
KR200144760Y1 KR2019960028061U KR19960028061U KR200144760Y1 KR 200144760 Y1 KR200144760 Y1 KR 200144760Y1 KR 2019960028061 U KR2019960028061 U KR 2019960028061U KR 19960028061 U KR19960028061 U KR 19960028061U KR 200144760 Y1 KR200144760 Y1 KR 2001447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screw shaft
pillow
guider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80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4876U (ko
Inventor
안종성
Original Assignee
안종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종성 filed Critical 안종성
Priority to KR20199600280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4760Y1/ko
Publication of KR1998001487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487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47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4760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Abstract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혀 주는 것으로 그 크기는 대략 머리의 크기보다 약간 큰것으로 내부에 왕겨, 솜, 톱밥, 플라스틱 조각 및 오리 털등을 채워 넣은 내피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내피를 둘러싼 외피로 구비되어 있는 베개에 있어서, 공간부(10-1)(10a-1)의 양측으로 힌지부(10-1')(10a-1')와 가이드레일(10-1)(10a-1)를 돌출 되게 구비한 하우징부(10)(10a); 공간부의 양측으로 교차되는 고정용 부재(21)(21a)의 양단을 고정한 지지부재(22)(22a)(22b)(22c)의 중앙을 핀(23)으로 고정하고 그 일단이 상기 힌지부에 힌지고정되며, 지지부재의 타단에 로울러부(24)(24a)(24b)(24c)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올려지게하되, 상기 고정용 부재의 중앙에 공회전부(21-1)와 암나사부(21a-2)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더(21a-1)를 구비한 상하 이송부(20); 나사축(31)과 탄성 부재(32) 및 핸들(33)을 구비하되, 상기 나사축은 가이더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공회전부에 연결된 작동부(3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체형이 각기 다른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알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용 베개
인간이 수면을 취하기 위해서는 동양의 온돌 문화나 서양의 침대 문화를 불문하고 공히 등을 받혀주기 위한 수단인 쿠션이 충분한 깔개용 이불과 매트리스, 머리를 받혀 주는 베개 그리고, 수면중 몸을 덮어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덮이용 이불 등이 필요하다.
깔개용 이불은 그 내부에 천연솜이나 인조 솜을 부풀려 놓은 상태에서 상하부에 외피를 씌워 놓은 것으로 체중에 의해 그 솜이 압축과 퍼짐이 되면서 솜사이로 공기가 유입, 유출이 되어 푹신감을 갖도록 하며, 솜사이로 공기가 유입, 또는 유출되면서 온도를 조절하여 여름에는 시원하고 겨울에는 따뜻한 단열 작용을 하게 된다.
매트리스는 스프링의 탄성력을 이용한 것으로 내부에 다수개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그 상부에 사용자의 체중을 고르게 펴주면서 이질감을 느끼지 않도록 하는 쿠션을 구비하여 사용을 하게 된다.
상기한 베개는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혀 주는 것으로 그 크기는 대략 머리의 크기보다 약간 큰 것으로 내부에 쿠션인 왕겨, 솜, 톱밥, 플라스틱 조각 및 오리털 등을 채워넣은 내피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내피를 둘러싼 외피로 구비되어 있다.
베개의 내부에 들어 있는 왕겨, 솜, 톱밥 및 플라스틱 조각 그리고, 오리털등은 쿠션감이 뛰어난 반면 그 베개의 크기와 높이가 한정되어 있어 체형(어깨)이 넓은 사용자의 경우 옆으로 누우면 쿠션이 머리의 하중에 의해 찌그려 들면서 어깨에 체중이 집중되고 목이 누운 쪽으로 꺾어지게 되어 수면을 취하기에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러한 자세로 장시간 수면을 취하고 일어나면 목이 뻐근하거나 어깨에 통증이 오게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베개의 높이나 크기가 천차만별이어서 어린이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어린이용과 어른용을 별도로 구입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수면을 취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받혀 주는 것으로 그 크기는 대략 머리의 크기보다 약간 큰것으로 내부에 왕겨, 솜, 톱밥, 플라스틱 조각 및 오리털 등을 채워 넣은 내피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내피를 둘러싼 외피로 구비되어 있는 베개에 있어서, 쿠션의 내부로 상하 분리되어 내부로부터 외부 방향으로 쿠션을 받치고 있는 것으로 공간부의 양측으로 힌지부와 가이드레일을 돌출되게 구비한 하우징부와 공간부 양측으로 교차되는 고정용 부재의 양단을 고정한 지지부재의 중앙을 핀으로 고정하고 그 일단이 상기 힌지부에 힌지고정되며, 지지부재의 타단에 로울러부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에 올려지게 하되, 상기 고정용 부재의 중앙에 공회전부와 암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더를 구비한 상하 이송부와 나사축과 탄성부재와 핸들 및 탄성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나사축은 가이더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공회전부에 연결된 작동부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0a : 하우징부 10-1,10a-1 : 공간부
10-1',10a-1' : 힌지부 10-1,10a-1 : 가이드레일
20 : 상하 이송부 21,21a :고정용 부재
22,22a,22b,22c : 지지부재 23 : 핀
24,24a,24b,24c : 로울러부 21-1 : 공회전부
21a-2 : 암나사부 21a-1 : 가이더
30 : 작동부 31 : 나사축
32 : 탄성 부재 33 : 핸들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베개의 사시도와 종단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을 취할 때 머리를 받혀 주는 것으로 내부에 왕겨, 솜, 톱밥, 플라스틱 조각 및 오리털등을 채워 넣은 내피와 미관을 돋보이게 하기 위한 내피를 둘러싼 외피로 구비되어 있는 베개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쿠션의 내부로 하우징부(10)(10a)와 상하 이송부(20) 및 작동부(30)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부(10)(10a)는 쿠션의 내부로 상하 분리되어 내부로 부터 외부 방향으로 쿠션을 받치고 있는 것으로 공간부(10-1)(10a-1)의 양측으로 힌지부(10-1')(10a-1')와 힌지부가 형성된 동일면 타측으로 가이드 레일(10-1)(10a-1)를 돌출되게 구비한다.
상기 상하 이송부(20)는 하우징부의 내측에 구비되어 베개의 높낮이를 높이거나 낮추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 공간부(10-1)(10a-1) 양측으로 교차되는 고정용 부재(21)(21a)의 양단에 고정된 지지부재(22)(22a)(22b)(22c)의 중앙을 핀(23)으로 고정하고 그 일단을 상기 힌지부(10-1')(10a-1')에 힌지고정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22a)(22b)(22c)의 타단에 로울러부(24)(24a)(24b)(24c)를 구비하여 가이드 레일(10-1)(10a-1)에 올겨지게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부재(21)(21a)의 중앙에 공회전부(21-1)와 암나사부(21a-2)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더(21a-1)를 구비한다.
상기 작동부(30)는 상하 이송부(20)의 지지부재(22)를 잡아 당기거나 풀어 주는 것으로 나사축(31)과 탄성 부재(32) 및 핸들(33)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축(31)은 가이더(21a-1)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21a-2)와 공회전부(21-1)에 연결된다.
나사축(31)의 단부에는 공회전부(21-1)에 삽입되어 회전(작동)중에 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31-1)를 구비한다.
스토퍼의 예를 들면 나사축의 단부에는 홈을 형성하고 공회전부에 구멍을 형성시켜 그 구멍사이로 단부가 만곡형(나사축의 단부에 형성된 홈의 형태)인 고정 부재 등을 삽입할 수 있으며, 이뿐만 아니라 나사축이 회전하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모든 형태의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베개의 높이가 낮을 때에는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핸들(33)을 오른 방향으로 회전시킴게됨과 동시에 나사축(31)이 회전하게 된다.
이 나사축(31)의 회전시 단부에 구비된 스토퍼(31-1)가 공회전부(21-1)에 삽입되어 있음으로 빠지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을 계속하게 되며, 이때, 나사축(31)의 나사산과 고정용 부재(21a)의 중앙에 형성된 가이더(21a-1)의 암나사부(21a-2)와의 상호작용으로 그 간격이 좁혀지게 된다.
간격이 좁혀지면서 지지부재(22)(22a)(22b)(22c)는 중앙에 고정된 핀(23)을 중심으로 더더욱 좁혀지게 되는데 이는 기울어져 있던 지지부재(22)가 세워지는 것으로 하우징부(10)(10a)가 벌어지게 되어 베개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
이때, 지지부재의 단부에 있던 로울러부가 가이드 레일을 타고 이동함으로 비뚤어지지 않고 수직으로 벌어지게 되며 나사축의 중앙에 있던 탄성 부재가 압축이 된다.
한편, 베개의 높이를 낮출 경우에는 핸들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전술한 방법과 동일한 과정을 역으로 거처 낮아지게 되는데 이때, 탄성 부재의 탄력에 의해 쉽게 낮추게 된다.
본 고안은 체형이 각기 다른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알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고 동시에 어린이와 노약자 및 성인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높낮이 조절용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쿠션의 내부로 상하로 분리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그 하우징의 내부 양측으로 서로 교차되는 복수개의 상하 이송부와 작동부를 구비토록 하여 체형이 각기 다른 사용자의 머리 높이에 알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별도의 베개를 구입하지 않아도 어린이와 노약자 및 성인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1)

  1. 나사축(31)과 탄성 부재(32) 및 핸들(33)을 구비하되, 상기 나사축은 가이더의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부와 공회전부에 연결된 작동부(30)로 구성되는 높낮이 조절용 베개에 있어서, 공간부(10-1)(10a-1)의 양측으로 힌지부(10-1')(10a-1')와 가이드레일(10-1)(10a-1)를 돌출되게 구비한 하우징부(10)(10a)와 공간부의 양측으로 교차되는 고정용 부재(21)(21a)의 양단을 고정한 지지부재(22)(22a)(22b)(22c)의 중앙을 핀(23)으로 고정하고 그 일단이 상기 힌지부에 힌지고정되며, 지지부재의 타단에 로울러부(24)(24a)(24b)(24c)를 구비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올려지게 하되, 상기 고정용 부재에 중앙에 공회전부(21-1)와 암나사부(21a-2)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더(21a-1)를 구비한 상하 이송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용 베개.
KR2019960028061U 1996-09-04 1996-09-04 높낮이 조절용 베개 KR2001447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061U KR200144760Y1 (ko) 1996-09-04 1996-09-04 높낮이 조절용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8061U KR200144760Y1 (ko) 1996-09-04 1996-09-04 높낮이 조절용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876U KR19980014876U (ko) 1998-06-25
KR200144760Y1 true KR200144760Y1 (ko) 1999-06-15

Family

ID=4165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8061U KR200144760Y1 (ko) 1996-09-04 1996-09-04 높낮이 조절용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476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84B1 (ko) 2008-01-17 2008-04-23 김선상 베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356B1 (ko) * 2005-11-08 2006-12-19 서점란 기능 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4884B1 (ko) 2008-01-17 2008-04-23 김선상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4876U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81947A (en) Adjustable cervical pillow with depressions for a user's ears
US3757365A (en) Therapeutic pillow
US5437070A (en) Multiple use pillow
US5044026A (en) Face pillow
AU681292B2 (en) Cushioning device
US6041458A (en) Tubular pillow with casing and method of covering
US5271114A (en) Supporting pillow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JP2017525450A (ja)
JP7248672B2 (ja) 首の痛み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クッションアセンブリ
KR102109986B1 (ko) 기능성 날개 베개
US6336236B1 (en) Snuggle pillow
US5343582A (en) Hair style protecting head rest
KR101930643B1 (ko) 베개
KR200144760Y1 (ko) 높낮이 조절용 베개
US20210307520A1 (en) Adaptable Mattress for Prone and Side Positions
US6694551B1 (en) Facial support device
KR200396546Y1 (ko) 기능성 베개
EP1109474A1 (en) Neck support, in particular for improving sleep in a prone position, and anatomical mattress featuring such a support
KR200271779Y1 (ko) 목베개
JP3171680U (ja)
JP3047525U (ja) 寝具用補助装置
CN205457728U (zh) 枕头
KR102625287B1 (ko) 높낮이 및 전후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베개
KR200233455Y1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