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878Y1 - 베개 - Google Patents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878Y1
KR200334878Y1 KR20-2003-0023080U KR20030023080U KR200334878Y1 KR 200334878 Y1 KR200334878 Y1 KR 200334878Y1 KR 20030023080 U KR20030023080 U KR 20030023080U KR 200334878 Y1 KR200334878 Y1 KR 2003348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pad
pillow
cushion
filling member
cov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308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길순
Original Assignee
김길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길순 filed Critical 김길순
Priority to KR20-2003-002308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8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8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8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베개의 전체면 중 특히 머리나 경추부가 접촉되어지는 일측면으로 각종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충진부재가 투입된 쿠션패드를 구비하고, 나머지 부위는 통상의 쿠션부재를 내장하여 무게를 가볍게 함과 동시에 생산단가를 절감하되, 상기 쿠션패드가 위치되는 부위는 양측면 보다 양측 사이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하여 머리부위와 경추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는 한편 쿠션패드의 내부로 투입되는 충진부재로 사용되는 메밀껍질을 파쇄하여 미립자로 형성한 후 완전 건조시켜 사용하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일측으로 지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11)를 구비하고, 내측의 일측면으로 양측이 개방되어지고 상기 개방되어진 양측단에 밴드부(13, 13a, 13b)를 각각 가지며, 양측의 폭이 중앙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3개로 분할 형성된 수납부(12, 12a, 12b)를 구비하는 커버부재(10)와;
상기 커버부재(10)의 수납부(12, 12a, 12b)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수납부(12, 12a, 12b)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되, 내부로 충진부재(21)가 투입되어서 상기 수납부(12, 12a,12b) 내로 결합되어지는 쿠션패드(20)와;
상기 쿠션패드(20)의 하부 전체로 내장되는 쿠션부재(30)로 구성되며, 상기 충진부재(20)는 메밀껍질로 형성하되, 상기 메밀껍질은 파쇄하여 미립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베개 {Pillow}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베개의 전체면 중 특히 머리나 경추부가 접촉되어지는 일측면으로 각종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충진부재가 투입된 쿠션패드를 구비하고, 나머지 부위는 통상의 쿠션부재를 내장하여 무게를 가볍게함과 동시에 생산단가를 절감하되, 상기 쿠션패드가 위치되는 부위는 양측면 보다 양측 사이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하여 머리부위와 경추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는 한편 쿠션패드의 내부로 투입되는 충진부재로 사용되는 메밀껍질을 파쇄하여 미립자로 형성한 후 완전 건조시켜 사용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서지는 등의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 발생, 부피의 차이 및 부패에 의한 악취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풍성을 향상시켜 안락하고 쾌적한 수면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쿠션패드를 분리한 후 커버부재만을 분리 세탁하거나 충진부재가 투입된 쿠션패드를 별도로 세탁, 소독 및 건조시켜 위생적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베개는 신체의 머리와 경추부를 안락하게 받쳐 주는 역할을 하며, 지퍼와 같은 결속수단을 일측으로 구비한 커버부재와, 충진부재가 투입되어 있는 쿠션패드로 구성되어서, 커버부재의 내부로 쿠션패드를 결합시킴에 따라, 베게의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쿠션패드로 투입되는 충진부재는 통상 씨앗, 콩, 잡곡류, 메밀 및 조 등의 잡곡류 껍질을 이용하는 천연소재와, 화학솜이나 기타 합성수지를 이용한 인공소재를 이용한 것 등이 있으며, 이러한 천연소재와 인공소재로 이루어지는 충진부재는 각기 장단점이 있다.
먼저 인공소재는 가볍고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생산비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통풍성이 저하되는 한편, 촉감이 좋지 않은 등의 문제점이 있는 반면에, 천연소재는 공기가 잘 통하므로 통풍성이 향상되어 시원하게 됨에 따라, 촉감이 좋고, 쾌적한 수면을 제공함은 물론 자연친화적인 소재이므로 인체에 유익한 장점이 있는 반면에, 장기간 사용하면 세탁 및 건조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인체에 유해한 습기와 곰팡이 등이 발생하고, 먼지 등이 많이 발생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해를 입힐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메밀껍질을 이용할 경우 메밀껍질 속의 내용물을 완전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건조시킨 것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이를 사용시 껍질내에 잔류하던 메밀의 내용물이 썩어서 부패되며 악취와 함께 각종 병원균을 전염시키게 된다.
설령 메밀을 완전 제거한 후 메밀의 껍질을 완전 건조시킨다 해도 장기간 사용시 삼각형태로 이루어진 메밀껍질이 부서져 그 부피가 줄어들 뿐 아니라, 특히 부서지면서 발생하는 먼지는 호흡기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한 원인이기도 하여 인체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충진부재가 투입되는 쿠션패드는 커버부재의 크기에 부합되게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베개의 전체 부피가 일정하게 되어 사용시 머리부위와 경추부가 동일선상에서 접촉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이에 따라 수면시 불쾌감을 줄 뿐 아니라, 전체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일측으로 밀리는 현상이 발생하여 불균형적인 형태를 갖게 되며, 건조시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며, 충전부재가 부분적 건조는 이루어지나 속에는 건조가 어려울 뿐 아니라, 세탁은 더욱 불가능하여 위생적인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베개를 이루는 쿠션패드 내로 투입된 충전부재를 전체적으로 가격이 비싸고, 무게가 무거운 천연소재로 사용하므로 생산단가가 상승되고 무게가 무겁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베개의 전체면 중 특히 머리나 경추부가 접촉되어지는 일측면으로 각종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충진부재가 투입된 쿠션패드를 구비하고, 나머지 부위는 통상의 쿠션부재를 내장하여 무게를 가볍게함과 동시에 생산단가를 절감하되, 상기 쿠션패드가 위치되는 부위는 양측면 보다 양측 사이의 중앙부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하여 머리부위와 경추부를 안정되게 지지하도록 하는 한편 쿠션패드의 내부로 투입되는 충진부재로 사용되는 메밀껍질을 파쇄하여 미립자로 형성한 후 완전 건조시켜 사용함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서지는 등의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 발생, 부피의 차이 및 부패에 의한 악취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풍성을 향상시켜 안락하고 쾌적한 수면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쿠션패드를 분리한 후 커버부재만을 분리 세탁하거나 충진부재가 투입된 쿠션패드를 별도로 세탁, 소독 및 건조시켜 위생적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한 베개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버부재를 뒤 집어 내부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의 A-A선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면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커버부재 11 : 개폐부재
12, 12a, 12b : 수납부 13, 13a, 13b : 밴드부
20 : 쿠션패드 21 : 충진부재
30 : 쿠션부재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으로 지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11)를 구비하고, 내측의 일측면으로 양측이 개방되어지고 상기 개방되어진 양측단에 밴드부(13, 13a, 13b)를 각각 가지며, 양측의 폭이 중앙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3개로 분할 형성된 수납부(12, 12a, 12b)를 구비하는 커버부재(10)와;
상기 커버부재(10)의 수납부(12, 12a, 12b)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수납부(12, 12a, 12b)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되, 내부로 충진부재(21)가 투입되어서 상기 수납부(12, 12a,12b) 내로 결합되어지는 쿠션패드(20)와; 상기 쿠션패드(20)의 하부 전체로 내장되는 쿠션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충진부재(20)는 메밀껍질로 형성하되, 상기 메밀껍질은 파쇄하여 미립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커버부재를 뒤 집어 내부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커버부재의 A-A선 단면예시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결합 단면 예시도이다.
도면에 기재된 부호 10은 커버부재, 11은 개폐부재, 12, 12a, 12b는 수납부, 13, 13a, 13b는 밴드부, 20은 쿠션패드, 21은 충진부재, 30은 쿠션부재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부재(10)는 일측으로 개폐부재(11)를 구비하되, 상기 개폐부재(11)는 통상의 지퍼나 기타 이와 유사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0)의 내측 일측면으로 구비되는 수납부(12, 12a, 12b)는 재봉에 의해 커버부재(10) 상에 결합되어지고 3개로 분할 형성하게 된다.
상기 수납부(12, 12a, 12b)는 양측의 수납부(12, 12b)는 중앙의 수납부(12a)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수납부(12, 12a, 12b) 내로 쿠션패드(20)를 결합시 폭이 좁은 양측의 수납부(12, 12b)는 쿠션패드(20)가 결합되는 폭이 좁으므로 높이가 높아지고, 반대로 폭이 넓은 중앙부위의 수납부(12b)는 쿠션패드(20)가 넓게 펼쳐짐에 따라 높이가 낮아지게 되므로, 베개의 전체 형상이 머리부위와 접면되는 부위인 중앙부위는 낮아지고, 경추부와 접면되는 부위 즉 양 측면은 높아지게 된다.
상기 수납부(12, 12a, 12b)는 양측으로 개방되어지는 한편 양단으로는 탄성을 갖는 밴드부(13, 13a, 13b)를 각각 형성하여 쿠션패드(20)의 결합시 쿠션패드(20)의 이탈을 방지토록 한다.
상기 커버부재(10)의 수납부(12, 12a, 12b) 내로 결합되는 쿠션패드(20)는 내부에 충진부재(21)가 투입되며, 상기 충진부재(21)는 메밀껍질을 파쇄기를 이용하여 미립자 형태로 파쇄한 후, 완전 건조시켜 된 것을 사용토록 하여 충진부재(21)의 부패에 의한 악취발생 및 먼지, 병원균 등의 전염을 방지하는 한편, 부피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 충진부재(21)는 메밀이외에도 통상의 곡물을 이용한 천연소재와, 인공소재로도 사용 가능하나 특히 통풍성을 고려하여 천연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다.
상기 충진부재(21)가 투입되어지는 쿠션패드(20)의 길이는 커버부재(10)의 수납부(12, 12a, 12b) 길이보다 길게 형성한 후 쿠션패드(20)의 건조시 넓게 펴서 건조시킴에 따라 건조시간의 단축과, 건조효율을 일층 향상되도록 한다.
상기 쿠션패드(20)는 충진부재(21)를 일정량 투입한 후 재봉으로 마감 처리하고 양단을 재봉하여 차단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쿠션패드(20)가 결합되어진 수납부(12, 12a, 12b)의 하부로 내장되는 쿠션부재(30)는 통상의 솜과 같이 쿠션감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 베개의 전체적인 높이를 적절히 조절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커버부재(10)의 일측으로 구비된 개폐부재(11)를 개방한 다음, 상기 커버부재(10)를 뒤집어 놓는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재(10)가 뒤집어진 상태에서 3개로 분할되어진 각 수납부(12, 12a, 12b)의 일측 밴드부(13, 13a, 13b)를 통해 충진부재(21)가 투입되어진 쿠션패드(20)를 밀어 넣어 결합시킨 후, 뒤집어진 커버부재(10)를 원위치 시킨 다음 수납부(12, 12a, 12b)의 하부로 쿠션부재(30)를 채워넣어 내장시킨 다음, 개폐부재(11)를 폐쇄시키면 커버부재(10)의 일측면으로 쿠션패드(20)가 돌출되어서 머리 및 경추부에 긴밀히 밀착되며 접면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쿠션패드(20)는 다수로 분할되어진 수납부(12, 12a, 12b)내에 각각 결합되어지며, 그 고정은 수납부(12, 12a, 12b)의 양단에 구비되어진 탄성을 갖는 밴드부(13, 13a, 13b)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위와 같이 커버부재(10) 내에 쿠션패드(20)가 결합되어서 베개의 형태로 이루어지면, 경추부가 위치되는 양측면은 높이가 높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는 쿠션패드(20) 부위를 손으로 쳐서 원하는 높이로 만들면 높이가 자유롭게 조절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베개는 머리가 위치되는 중앙부는 양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서, 머리와 경추부를 안정되고 안락하게 받쳐주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을 세탁 및 건조시에는 커버부재(10)의 일측으로 구비되어진 개폐부재(11)를 개방시킨 다음 쿠션부재(30)를 빼내고, 수납부(12, 12a, 12b) 내에 결합되어 있던 쿠션패드(20)를 이탈시킨 후, 커버부재(10)와 쿠션패드(20)를 각각 분리하여 별도로 세탁 및 건조시키게 되는데 이때 건조시에는 길이가 긴 쿠션패드(20)를 넓게 핀 다음 내부에 투입되어 있는 충진부재(21)를 동시에 넓게 펼쳐 놓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충진부재(21)가 투입되어진 쿠션패드(20)가 다수개로 분할되고 펼쳐진 상태로 건조시킴에 따라 건조시간이 단축되며, 쿠션패드(20)의 파손시 부분적 교체가 가능하여 사용수명이 연장되는 한편, 통풍성이 일층 향상되고, 먼지의 발생 및 부피의 축소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베개의 일측면으로만 메밀과 같은 천연소재로 이루어진 충진부재를 구비하여 신체와 접촉되어지는 머리나 경추부가 쾌적함을 느낌과 동시에 무게가 경량화되며, 생산단가가 절감되게 된다.
또한 양측면이 중앙부 보다 돌출되게 형성되어서, 머리부위와 경추부를 안정되게 지지함은 물론 높이를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수면시 안락함을 주어 숙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쿠션패드의 내부로 투입되는 충진부재로 사용되는 메밀껍질을 파쇄시켜 미립자로 형성한 후 완전 건조시킴에 따라, 장기간 사용시에도 부서지는 등의 현상에 의해 발생하는 먼지의 발생 및 부피의 차이 등을 방지하는 한편 부패에 의한 악취 등을 방지함과 동시에 통풍성을 향상시켜 호흡기질환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쾌적한 수면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쿠션패드와 쿠션부재를 분리한 후 커버부재만을 분리 세탁하거나 충진부재가 투입된 쿠션패드를 별도로 세탁, 소독 및 건조시키게 됨에 따라, 보다 위생적 관리가 이루어짐과 동시에 건조시간을 단축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아주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2)

  1. 일측으로 지퍼로 이루어진 개폐부재(11)를 구비하고, 내측의 일측면으로 양측이 개방되어지고 상기 개방되어진 양측단에 밴드부(13, 13a, 13b)를 각각 가지며, 양측의 폭이 중앙의 폭 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하여 3개로 분할 형성된 수납부(12, 12a, 12b)를 구비하는 커버부재(10)와;
    상기 커버부재(10)의 수납부(12, 12a, 12b)와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되며, 그 길이는 수납부(12, 12a, 12b)의 길이 보다 길게 형성하되, 내부로 충진부재(21)가 투입되어서 상기 수납부(12, 12a,12b) 내로 결합되어지는 쿠션패드(20)와; 상기 쿠션패드(20)의 하부 전체로 내장되는 쿠션부재(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부재(21)는 메밀껍질로 형성하되, 상기 메밀껍질은 파쇄하여 미립자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개.
KR20-2003-0023080U 2003-07-16 2003-07-16 베개 KR2003348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80U KR200334878Y1 (ko) 2003-07-16 2003-07-16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3080U KR200334878Y1 (ko) 2003-07-16 2003-07-16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878Y1 true KR200334878Y1 (ko) 2003-12-01

Family

ID=4942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080U KR200334878Y1 (ko) 2003-07-16 2003-07-16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87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20Y1 (ko) * 2010-04-16 2011-05-16 권효민 기능성 침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침구 매트리스
KR200471129Y1 (ko) 2012-07-02 2014-02-04 노주상 건강 베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620Y1 (ko) * 2010-04-16 2011-05-16 권효민 기능성 침구 부품 및 이를 적용한 침구 매트리스
KR200471129Y1 (ko) 2012-07-02 2014-02-04 노주상 건강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6537B2 (en) Multi-component pillow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d assembling same
KR101488470B1 (ko) 한방 건강베개
KR101237547B1 (ko) 건강베개
KR200321358Y1 (ko) 건강베개
US6061857A (en) Hugging mattress with holes for a user's arms
US1925358A (en) Pad for couches and the like
KR200334878Y1 (ko) 베개
KR101851615B1 (ko) 기능성 접이식 매트리스
KR101730806B1 (ko) 구획정리와 높낮이조절을 겸비한 기능성 베개
KR200402179Y1 (ko) 머리와 경추 높낮이 조절과 심재 세탁이 가능한 베개
KR200312556Y1 (ko) 향기 발산 수단 내장 및 경추 받침부 보완 베개
US20110131729A1 (en) Configurable Support Locations Pillow
KR200405712Y1 (ko) 건강베개
KR200389046Y1 (ko) 초미립 공기비드를 이용한 베개
KR200388090Y1 (ko) 팔베개 보조용 베개
KR200334973Y1 (ko) 건강침구
KR200298819Y1 (ko) 휴대용 쿠션
CN216776563U (zh) 一种点状悬浮式床垫
KR20190143735A (ko) 편백나무 알갱이가 내장된 베게
KR101551571B1 (ko) 이중 구조의 베개 속을 구비한 기능성 베개
KR20050050289A (ko) 기능성 베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61927Y1 (ko) 침대용 접이식 매트리스
KR200334870Y1 (ko) 휴대용 베개
KR200368041Y1 (ko) 황토 시트
KR200490055Y1 (ko) 메모리폼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