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470Y1 - 봉조립용 코너블럭 - Google Patents

봉조립용 코너블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470Y1
KR200428470Y1 KR2020060019574U KR20060019574U KR200428470Y1 KR 200428470 Y1 KR200428470 Y1 KR 200428470Y1 KR 2020060019574 U KR2020060019574 U KR 2020060019574U KR 20060019574 U KR20060019574 U KR 20060019574U KR 200428470 Y1 KR200428470 Y1 KR 2004284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rod
holding
pair
hol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5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봉균
Original Assignee
정봉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봉균 filed Critical 정봉균
Priority to KR20200600195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4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4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34Supporting means, e.g. frames
    • E04H15/44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 E04H15/48Supporting means, e.g. frames collapsible, e.g. breakdown type foldable, i.e. having pivoted or hinged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32Parts, components, construction details, accessories, interior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tents, e.g. guy-line equipment, skirts, thresholds
    • E04H15/60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지주봉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지주봉결합관과 상기 지주봉의 상단으로부터 지면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을 각각 삽입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봉결합관이 직각좌표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결합관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 중 어느 일방의 외측 단에는 지주봉핀공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봉결합관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 중 어느 일방의 외측 단에는 연결봉핀공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봉핀공에 삽입된 연결봉핀을 통해 자신에 결합된 연결봉을 상기 지주봉결합관의 길이방향으로 젖힐 수 있도록 연결봉결합관절취부가 개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지주봉과 연결봉을 연결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고,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봉조립, 코너블럭, 지주봉, 연결봉

Description

봉조립용 코너블럭{Corner Block for Assembling Bar}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요부단면도,
도3, 도4, 도5 및 도6은 각각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사용상태도,
도7은 종래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사시도,
도8 및 도9는 각각 종래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사용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111 : 지주봉결합관 11a : 지주봉안내홈
11b : 지주봉핀공 11c : 지주봉결합관절취부
12, 112 : 연결봉결합관 12a : 연결봉안내홈
12b : 연결봉핀공 12c : 연결봉결합관절취부
201 : 지주봉 202 : 연결봉
본 고안은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천막 등을 설치할 때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지주봉과 지주봉의 상단으로부터 지면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을 조립하는 데 사용되는 코너블럭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외활동이 증가하면서 햇빛 등을 차단하기 위해 천막을 임시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 이와 같이 천막을 임시로 설치하는 경우 지주봉과 지주봉의 상단으로부터 지면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을 조립하기 위해 코너블럭이 사용되고 있다.
도7은 종래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사시도이다.
종래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지주봉결합관(111)과, 지주봉결합관(111)과 협조하여 직각좌표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연결봉결합관(112)을 갖고 있다.
지주봉결합관(111)은 중앙영역에 지주봉체결공(111b)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연결봉결합관(112)에는 연결봉체결공(112b)이 길이방향에 가로로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을 사용하여 천막을 지면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지주봉(201)과 각 연결봉(202)의 내측 영역에는 지주봉통과공(201a)과 연결봉통과공(20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지주봉통과공(201a)과 지주봉체결공(111b)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지주봉(201)을 지주봉결합관(111)에 삽입한다.
다음에 지주봉통과공(201a)과 지주봉체결공(111b)에 볼트(205)를 삽입하여 너트(206)로 조인다.
다음에 연결봉통과공(202a)과 연결봉체결공(112b)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연결봉(202)을 하나씩 연결봉결합관(112)에 삽입한다.
다음에 연결봉통과공(202a)과 연결봉체결공(112b)에 볼트(205)를 삽입하여 너트(206)로 조인다.
전술한 방법으로 3개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을 사용하여 3조의 봉결합체를 추가로 형성한다.
다음에 각 봉결합체의 연결봉(202)을 이음관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다음에 연결봉(202)이 상호 연결된 4조의 봉결합체의 지주봉(201)을 기립시킨 후 지면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천막가리개를 4조의 봉결합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천막가리개의 중앙은 지주봉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는 받침봉을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따르면, 연결된 지주봉(201)과 연결봉(202)의 배치방향이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점유공간이 커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지주봉(201)과 연결봉(202)을 연결한 상태로 운반하는 것이 어렵게 되고 현장에서 지주봉(201)과 연결봉(202)을 조립해야한다.
그리고 연결봉통과공(202a)과 연결봉체결공(112b)이 일직선상으로 배치되었는 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지주봉과 연결봉이 조립된 상태로 운반할 수 있고 조립성이 향상된 봉조립용 코너블럭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지주봉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지주봉결합관과 상기 지주봉의 상단으로부터 지면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을 각각 삽입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봉결합관이 직각좌표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결합관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 중 어느 일방의 외측 단에는 지주봉핀공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봉결합관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 중 어느 일방의 외측 단에는 연결봉핀공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봉핀공에 삽입된 연결봉핀을 통해 자신에 결합된 연결봉을 상기 지주봉결합관의 길이방향으로 젖힐 수 있도록 연결봉결합관절취부가 개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지주봉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주봉결합관은 상기 지주봉핀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주봉결합관절취부가 개구영역에 형성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의 요부단면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은,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상의 지주봉결합관(11)과, 지주봉결합관(11)과 협조하여 직각좌표계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된 한 쌍의 연결봉결합관(12)을 갖고 있다.
지주봉결합관(11)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11a)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우측 지주봉안내홈(11a)에는 지주봉핀공(11b)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지주봉결합관(11)은 개구영역에 지주봉결합관절취부(11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지주봉결합관절취부(11c)는 지주봉핀공(11b)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각 연결봉결합관(12)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12a)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우측 연결봉안내홈(12a)의 외측 단에는 연결봉핀공(12b)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연결봉결합관(12)은 개구영역에 연결봉결합관절취부(12c)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결봉결합관절취부(12c)는 양단이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12a)에 삽입되도록 연결봉핀공(12b)에 삽입된 연결봉핀(204)에 결합된 연결봉(202)을 지주봉결합관(11)의 길이방향으로 젖힐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을 사용하여 천막을 지면에 설치하는 방법을 도3 내지 도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지주봉(201)과 각 연결봉(202)의 일단에는 지주봉통과공(201a)과 연결봉통과공(202a)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가정한다.
먼저 지주봉핀공(11b)과 지주봉통과공(201a)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지주봉(201)을 지주봉결합관(11)에 삽입한다.
다음에 지주봉핀(203)을 지주봉핀공(11b)과 지주봉통과공(201a)에 삽입한다. 이때 지주봉핀(203)의 삽입동작은 양단이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11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지주봉(201)은 지주봉핀(203)을 통해 지주봉결합관(11)에 연결된다.
다음에 연결봉결합관(12)에 연결된 지주봉(201)을 지주봉결합관(11)의 내부로 밀어넣는다.
다음에 연결봉핀공(12b)과 연결봉통과공(202a)이 일직선상에 배치되도록 연결봉(202)을 연결봉결합관(12)에 삽입한다.
다음에 연결봉핀(204)을 연결봉핀공(12b)과 연결봉통과공(202a)에 삽입한다. 이때 연결봉핀(204)의 삽입동작은 양단이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12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각 연결봉(202)은 연결봉핀(204)을 통해 각 연결봉결합관(12)에 연결된다.
다음에 연결봉결합관(12)에 연결된 연결봉(202)을 연결봉결합관(12)의 내부로 밀어넣는다.
전술한 방법으로 3개의 봉조립용 코너블럭을 사용하여 3조의 봉결합체를 추 가로 형성한다.
다음에 각 봉결합체의 연결봉(202)을 이음관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다음에 연결봉이 상호 연결된 4조의 봉결합체의 지주봉(201)을 기립시킨 후, 지면에 고정한다.
마지막으로 천막가리개를 4조의 봉결합체에 고정시킨다. 이 때 천막가리개의 중앙은 지주봉보다 큰 길이구간을 갖는 받침봉을 사용하여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연결된 각 연결봉(202)은 연결봉결합관절취부(12c)에 의해 지주봉결합관(11)의 길이방향으로 젖힐 수 있게 된다(도6 참조).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봉결합관절취부(12c)를 통해 각 연결봉(202)을 지주봉결합관(11)의 길이방향으로 젖힐 수 있게 됨으로써 점유공간이 적어진다. 이에 따라 지주봉(201)과 연결봉(202)을 연결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연결봉결합관절취부(12c)를 통해 연결봉핀공(12b)과 연결봉통과공(202a)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는 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또한 지주봉결합관절취부(11c)를 통해 지주봉핀공(11b)과 지주봉통과공(201a)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는 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조립작업이 더욱더 용이해진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천막에 대하여 본 고안을 적용하고 있으나, 지주 봉과 연결봉을 갖는 다른 구조물에 본 고안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각 연결봉을 통해지주봉결합관의 길이방향으로 젖혀 점유공간을 줄임으로써, 지주봉과 연결봉을 연결한 상태로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봉결합관절취부를 통해 연결봉핀공과 연결봉통과공이 일직선상에 배치되었는 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함으로써 조립작업이 용이해진다.

Claims (2)

  1. 지면에 기립 설치되는 지주봉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지주봉결합관과 상기 지주봉의 상단으로부터 지면에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연결봉을 각각 삽입 고정하기 위한 한 쌍의 연결봉결합관이 직각좌표계 형태로 형성되어 있는 봉조립용 코너블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결합관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지주봉안내홈 중 어느 일방의 외측 단에는 지주봉핀공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연결봉결합관은 내주면 양측에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이 길이방향을 따라 함몰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 중 어느 일방의 외측 단에는 연결봉핀공이 관벽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양단이 상기 한 쌍의 연결봉안내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연결봉핀공에 삽입된 연결봉핀을 통해 자신에 결합된 연결봉을 상기 지주봉결합관의 길이방향으로 젖힐 수 있도록 연결봉결합관절취부가 개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조립용 코너블럭.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봉결합관은 상기 지주봉핀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지주봉결합관절취부가 개구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조립용 코너블럭.
KR2020060019574U 2006-07-20 2006-07-20 봉조립용 코너블럭 KR200428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74U KR200428470Y1 (ko) 2006-07-20 2006-07-20 봉조립용 코너블럭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574U KR200428470Y1 (ko) 2006-07-20 2006-07-20 봉조립용 코너블럭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470Y1 true KR200428470Y1 (ko) 2006-10-11

Family

ID=41776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574U KR200428470Y1 (ko) 2006-07-20 2006-07-20 봉조립용 코너블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4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50640B2 (ja) 太陽光発電パネル用架台
KR101781260B1 (ko) 확대 헤드가 형성된 분기형 정착철근을 이용한 병렬 전단벽 연결보 보강 구조
KR101427240B1 (ko) 이중 마루 내진 보강장치
JP6625988B2 (ja) メタログ構造物用の補強材
JP2012102460A (ja) 型枠支持システム及びそれを使用した地下構造物の施工方法
KR200428470Y1 (ko) 봉조립용 코너블럭
KR100581610B1 (ko) 버팀보의 연결구조
JP2010084489A (ja) ユニット式建物
JP2015052200A (ja) 耐震補強構造体
KR20180000163U (ko) 행사장 구조물용 블럭 조립체
JPWO2017195233A1 (ja) 支保工
JP2019060082A (ja) 支保工
JP5229709B1 (ja) 火打兼用ブレース連結具
KR20190133898A (ko) 배관용 4방향 버팀장치
WO2017006239A1 (en) Connection joint for wood panels of walls and floors of buildings, building structure comprising the connection joint and method for the making of the building structure
CN106836480B (zh) 钢结构牛腿及钢结构支撑结构
CN216007534U (zh) 一种快拆装房屋屋顶骨架结构
JP3936634B2 (ja) テンショントラス構造体およびカーテンウォール
JP6386390B2 (ja) 建物の接合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210013927A (ko) 비닐하우스 트러스 구조의 강관연결장치
CN212153826U (zh) 一种装配式建筑结构墙体
CN215053875U (zh) 一种快拆装房屋整体骨架结构
JP7363873B2 (ja) 建築物のリフォーム方法
CN220434157U (zh) 一种可拆卸组合式建筑脚手架
JP2005113543A (ja) コンクリ−トパネル壁面材の組立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