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352Y1 - 접이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접이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352Y1
KR200428352Y1 KR2020060014681U KR20060014681U KR200428352Y1 KR 200428352 Y1 KR200428352 Y1 KR 200428352Y1 KR 2020060014681 U KR2020060014681 U KR 2020060014681U KR 20060014681 U KR20060014681 U KR 20060014681U KR 200428352 Y1 KR200428352 Y1 KR 2004283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veyor
bracket
bolt
conveyor member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6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 식 신
Original Assignee
은 식 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은 식 신 filed Critical 은 식 신
Priority to KR20200600146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3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3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35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11Roller frames
    • B65G13/12Roller frame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08Adjustable and/or adaptable to the article siz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ramework For Endless Convey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접이식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접이식 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로울러를 구비하는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와; 상기 컨베이어부재에 등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용 브라켓과; 상기 컨베이어부재가 폭 조절될 수 있도록 좌우로 설치된 브라켓을 연결시키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폭 조절된 컨베이어부재를 고정 및 해제시키게 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컨베이어의 좌우 폭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물 즉 운반시키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물건을 신속하게 운반시킬 수 있고, 또 사용 후에 접게 되면 보관 장소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접이식, 컨베이어 부재, 좌우 폭조절, 연결바, 힌지 연결, 록킹수단

Description

접이식 컨베이어 {Fold out Conveyor}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컨베이어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저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컨베이어부재 11 ; 롤러
20, 20a ; 브라켓 21 ; 록킹볼트
30, 40 ; 연결바 31, 33 ; 힌지
34 ; 고정볼트 50, 50a ; 연결바
60 ; 고정볼트
본 고안은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재된 화물을 다른 위치로 간편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종래의 컨베이어를 개선하여 컨베이어가 박스형태의 화물 운반시 물건의 크기에 관계없이 간격을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가 간편하게 운반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Conveyo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한 쌍의 지지바 사이에 다수개의 횡바를 등간격으로 배치하고 이 횡바에 자유 회전되는 다수개의 롤러를 구비하는 것으로 주로 물건을 수평으로 운반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하여 왔으며, 최근에 들어서는 높은 위치의 물건을 적재장소로 직접 운반시킬 수 있도록 곡선운반용 또는 상하운반이 가능한 컨베이어가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는, 좌우 폭이 항상 일정하게 고정 유지됨에 따라 운반하고자 하는 물건이 컨베이어의 폭보다 비교적 큰 경우에는 운반물건의 폭과 유사한 다른 컨베이어로 교체시키거나 또는 교체시켜야 할 컨베이어가 없는 경우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컨베이어의 횡바에는 물건을 안정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복수 개로 된 롤러를 배치시켜야 됨에 따라 조립불편 및 부품추가로 원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적재물 즉 운반시키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관계없이 폭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를 제공함으로써, 물건의 크기에 관계없이 물건을 신속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접이식 컨베이어는,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로울러를 부분 노출되게 구비하는 평행한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와;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저부 및 양측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용 브라켓과;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좌우 설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된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 저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폭 조절된 컨베이어부재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과 연결바 또는 연결바와 연결바를 록킹하는 잠금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부재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U' 형태로서 양측 상단에는 상기 홈에 결합되도록 결합편이 꺽임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는 1쌍이 서로 교차된 상태로 좌우 전후방 브라켓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그 교차 부위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도록 힌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잠금핀부재는, 상기 브라켓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나사 결합되어 컨베이어부재의 위치 고정시 컨베이어부재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록킹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브라켓은 측면에 컨베이어부재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게 록킹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는 등간격으로 그 양단이 좌우 컨베이어부재의 브라켓 하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힌지는 헐겁게 조여진 경우 연결바를 선회시키는 힌지 역할을 하고, 완전히 조여진 경우 고정볼트로서 연결바를 브라켓 하부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잠금핀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연결바는 양측 컨베이어부재의 브라켓에 수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1쌍의 단위연결부재로 구성되되; 그 중 일측 단위연결부재에는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장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위연결부재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장홀 및 나사구멍을 통해 결합된 볼트가 헐겁게 조여진 경우 상기 장홀을 따라 이동하며 컨베이어부재의 폭을 조절하고, 상기 볼트는 나사구멍에 완전 조임시 좌우 단위연결부재를 상하로 밀착 고정시켜 그 움직임을 규제하는 잠금핀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컨베이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컨베이어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10)와, 상기 컨베이어부재(10)에 장착되는 컨베이어 연결용 브라켓(20)(20a)과, 상기 컨베이어 연결용 브라켓(20)(20a)을 통해 상기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10)를 연결하는 연결바(30), 및 상기 연결바(30)의 펼쳐짐을 규제하는 록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컨베이어부재(10)는, 각각의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롤러(11)가 등간격으로 자유회전 가능하게 양단이 힌지 또는 베어링 결합되어 상측부가 부분 노출되게 배열되며, 상기 컨베이어부재(10)의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홈(13)이 형성되어 'U'형태로 된 복수개의 브라켓(20)(20a)이 양측 상단에 형성된 결합편(24)을 이용하여 상기 홈(13)에 걸림됨으로써 상기 컨베이어부재(10) 하부에 등간격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컨베이어부재(10)의 바닥면(12)은 상기 브라켓(20)(20a)의 바닥 면(22)과 일정 간격 이격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상기 브라켓(20)(20a)이 홈(13)을 따라 컨베이어부재(10)의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바(30)는 좌우 1쌍의 컨베이어부재(1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양단이 상기 컨베이어부재(10)의 브라켓(20)(20a) 하부에 선회 가능하도록 각각 힌지(33) 연결되되, 서로 대칭되게 1쌍의 연결바(30)가 교차 구성되도록 하여, 상기 연결바(30)의 힌지(33)가 선회함에 따라 상기 컨베이어부재(10)가 자바라식으로 접힘 또는 전개되어 컨베이어부재(10) 사이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서로 교차되게 구성되는 1쌍의 연결바(30)는 그 교차되는 부위에 각각 힌지결합구멍(32)을 형성하여 상기 힌지결합구멍(32)에는 좌우 1쌍의 연결바(30)가 회전할 때 회전축 역할을 하여 작동상태의 안정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힌지(31)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20)(20a) 일측에는 폭 조절되는 상기 컨베이어부재(10)의 움직임을 록킹 또는 해제시키게 되는 상기 록킹수단이 구비되는바, 상기 록킹수단은 상기 브라켓(20)(20a) 일측에 나사산을 갖는 볼트공(25)을 형성하고, 상기 볼트공(25)에 록킹볼트(21)를 결합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운반물품의 크기에 따른 폭 조절시엔 전방에 위치한 브라켓(20)은 고정브라켓으로 록킹볼트(21)를 완전히 조여 컨베이어부재(10)에 대한 이동이 잠금된 상태로 하고, 후방에 위치한 브라켓(20a)은 록킹볼트(21)의 조임을 해제하여 컨베이어부재(10)를 양쪽으로 벌리게 되면 연결바(30)가 전방 브라켓(20)을 기준점으로 힌지(33)를 통해 선회하면서 후방 브라켓(20a)이 컨베이어부재(10)의 측면 홈(13)을 따라 가이드되며 전후로 이동하여 상기 컨베이어부재(10)가 자바라식으로 전개되므로 그 폭을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이후, 컨베이어부재(10)가 운반물품의 크기에 맞게 적정한 폭으로 그 간격이 결정되면 후방 브라켓(20a)에 설치된 록킹볼트(21)를 조여 상기 록킹볼트(21)가 컨베이어부재(10) 측면에 밀착 지지되게 함으로써 브라켓(20a)의 이동을 규제하여 작업자가 상기 컨베이어부재(10)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움직이게 되더라도 상기 브라켓(20)(20a)들은 컨베이어부재(10) 측면에 고정된 상태가 되므로 상기 컨베이어부재(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절한 폭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제2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2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바(40)가 제1실시예와는 달리 단일 구조로서 그 양단이 각각 양측 컨베이어부재(10)의 브라켓(20)에 결합되어 일정한 원형 궤도로 움직이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각 브라켓(20)의 하부면에는 힌지와 조임수단의 기능을 동시에 담당하는 고정볼트(34)가 결합되는 바, 상기 고정볼트(34)는 헐겁게 조여져 브라켓의 나사공(25)에 연결된 경우 연결바(40)를 선회 가능한 상태가 되므로 컨베이어부재(10)의 폭을 조절하는 힌지의 역할을 하게 되고, 완전히 조인 경우 연결바(40)를 브라켓(20) 하부면에 밀착하여 고정시키게 되므로 연결바(40)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조임수단의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제2실시예는, 브라켓(20) 측면의 록킹볼트(21)를 조여 브라켓(20)을 컨베이어(10)에 고정시킨 상태로 운반물품의 크기에 따른 폭 조절시엔 브라켓(20) 하부에 장착된 고정볼트(34)를 헐겁게 하여 연결바(40)의 양단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여 컨베이어부재(10)가 선회하며 폭을 조절하게 하고, 이후 컨베이어부재(10)가 운반물품의 크기에 맞게 적정한 폭으로 그 간격이 결정된 후엔 브라켓(20) 하부에 장착된 고정볼트(34)를 연결바(40)가 브라켓(20)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조여 연결바(40)의 회전을 규제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컨베이어부재(10)를 내측 또는 외측으로 작동시키더라도 상기 컨베이어부재(10)가 그 힘에 의해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절한 폭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제3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제3실시예에 따르면, 연결바는 각 브라켓(20)으로부터 서로 마주보게 내측으로 연장 형성된 구조로서, 서로 포개지는 1쌍의 연결바(50)(50a)를 구비하되, 이 중 하나의 연결바(50)는 길이방향으로 장홀(52)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연결바(50a)는 나사구멍(54)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장홀(52)에는 바람직하게는 와셔(61)를 구비한 고정볼트(60)가 삽입되어 상기 고정볼트(60)는 상기 나사구멍(54)에 나사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상기 1쌍의 연결바(50)(50a)는 고정볼트(60)를 헐겁게 하여 장홀(52)을 따라 나사구멍(54)에 결합된 고정볼트(60)를 이동시킴으로써 좌우 컨베이어부 재(10)의 폭을 조절하게 되고, 그 폭이 결정되면 상기 고정볼트(60)를 나사구멍(54)에 완전히 조여 고정볼트(60)와 나사구멍(54)이 형성된 연결바(50a) 사이에 장홀(52)이 형성된 연결바(50)가 상호 완전 밀착 고정되므로 상기 컨베이어부재(1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되어 사용자가 조절한 폭을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접이식 컨베이어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접이식 컨베이어는, 컨베이어의 좌우 폭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재물 즉 운반시키고자 하는 물건의 크기에 관계없이 작업자가 물건을 신속하게 운반시킬 수 있고, 또 사용 후에 접게 되면 보관 장소에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로울러를 부분 노출되게 구비하는 평행한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와;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저부 및 양측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연결용 브라켓과;
    상기 컨베이어부재의 좌우 설치 폭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이격된 좌우 한 쌍의 컨베이어부재 저부에 설치된 브라켓에 양단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바; 및
    상기 폭 조절된 컨베이어부재의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브라켓과 연결바 또는 연결바와 연결바를 록킹하는 잠금핀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부재는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U' 형태로서 양측 상단에는 상기 홈에 결합되도록 결합편이 꺽임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는 1쌍이 서로 교차된 상태로 좌우 전후방 브라켓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그 교차 부위에는 회전축 역할을 하도록 힌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핀부재는,
    상기 브라켓 일측에 관통 형성되는 볼트공과, 상기 볼트공에 나사 결합되어 컨베이어부재의 위치 고정시 컨베이어부재 측면에 밀착 고정되는 록킹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측면에 컨베이어부재의 측면에 밀착 고정되게 록킹볼트가 결합되고, 상기 연결바는 등간격으로 그 양단이 좌우 컨베이어부재의 브라켓 하부에 힌지 결합되되;
    상기 힌지는 헐겁게 조여진 경우 연결바를 선회시키는 힌지 역할을 하고, 완전히 조여진 경우 고정볼트로서 연결바를 브라켓 하부면에 밀착 고정시키는 잠금핀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는 양측 컨베이어부재의 브라켓에 수직으로 각각 연장 형성되는 1쌍의 단위연결부재로 구성되되;
    그 중 일측 단위연결부재에는 가이드 역할을 하도록 장홀이 형성되고, 타측 단위연결부재에는 나사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장홀 및 나사구멍을 통해 결합된 볼트가 헐겁게 조여진 경우 상기 장홀을 따라 이동하며 컨베이어부재의 폭을 조절하고, 상기 볼트는 나사구멍에 완전 조임시 좌우 단위연결부재를 상하로 밀착 고정시켜 그 움직임을 규제하는 잠금핀부재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이식 컨베이어.
KR2020060014681U 2006-06-01 2006-06-01 접이식 컨베이어 KR2004283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681U KR200428352Y1 (ko) 2006-06-01 2006-06-01 접이식 컨베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681U KR200428352Y1 (ko) 2006-06-01 2006-06-01 접이식 컨베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352Y1 true KR200428352Y1 (ko) 2006-10-16

Family

ID=4177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681U KR200428352Y1 (ko) 2006-06-01 2006-06-01 접이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35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26B1 (ko) * 2012-09-20 2014-08-20 김진수 에지밴딩기용 보조레일장치
KR101457623B1 (ko) * 2013-11-14 2014-11-07 박성수 판재 에지 가공기에 있어 판재의 크기에 따른 판재 수평 지지장치
CN108583993A (zh) * 2018-05-08 2018-09-28 李双 一种节能型机械牵引装置
CN112320197A (zh) * 2020-11-02 2021-02-05 广东国鑫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积放式输送机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1326B1 (ko) * 2012-09-20 2014-08-20 김진수 에지밴딩기용 보조레일장치
KR101457623B1 (ko) * 2013-11-14 2014-11-07 박성수 판재 에지 가공기에 있어 판재의 크기에 따른 판재 수평 지지장치
CN108583993A (zh) * 2018-05-08 2018-09-28 李双 一种节能型机械牵引装置
CN112320197A (zh) * 2020-11-02 2021-02-05 广东国鑫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积放式输送机
CN112320197B (zh) * 2020-11-02 2022-04-08 广东国鑫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积放式输送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8352Y1 (ko) 접이식 컨베이어
US20020011400A1 (en) Conveyor belt impact cradle with adjustable wing members
US9538850B2 (en) Bed frame connector
US5988725A (en) Foldable tailgate ramp for pickup trucks
ES2362537T3 (es) Placa de cinta transportadora con rodillo integrado.
KR102544491B1 (ko) 조절 가능한 컨베이어 벨트 가이드레일 및 관련 방법
US8418840B2 (en) Conveyor for the transport of bulk materials
US9856088B1 (en) Adjustable idler support system for conveyor belt
EP1882126A2 (fr) Piece de liaison et ensemble de pieces de liaison orientables
US20070056833A1 (en) Carrier chain with an improved link
US20100213032A1 (en) Conveyor system
JPH09104516A (ja) コンベアベルト組立体
KR100636005B1 (ko) 각도 변형이 가능한 이송용 컨베이어
ZA200203134B (en) Pivot limiting mechanism for troughing idler.
US10889447B2 (en) Conveyor and conveyor system
CN107635893A (zh) 用于输送机装置的折叠机构
KR20160092158A (ko) 물류 운송용 레일 변환장치
JP2012116662A (ja) バルク材料輸送用コンベア
US7802674B1 (en) Belt tensioning system for vertical conveyor belt
AU776971B2 (en) Pivot limiting mechanism for troughing idler
CN110402339B (zh) 能量导向链和滚轮模块
KR100746965B1 (ko) 접이식 탁자의 탁자 절첩구 걸어물림 조립장치
JP2006315746A (ja) 自動バンド掛け梱包機
US20190329986A1 (en) Conveyor carrier cart
EP0376720B1 (en) Carrier pall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