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8208Y1 -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8208Y1
KR200428208Y1 KR2020060019963U KR20060019963U KR200428208Y1 KR 200428208 Y1 KR200428208 Y1 KR 200428208Y1 KR 2020060019963 U KR2020060019963 U KR 2020060019963U KR 20060019963 U KR20060019963 U KR 20060019963U KR 200428208 Y1 KR200428208 Y1 KR 200428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connector
housing
terminal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9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환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99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8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8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8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14Bases; Cases composed as a modular blocks or assembly, i.e. composed of co-operating parts provided with contact members or holding contact members between them

Abstract

본 고안은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터미널(19)의 일단이 돌출되게 결합된 하우징(10)의 양측면에 가이드홈(14)이 형성된 커넥터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삽입리브(22)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19)을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10)과 결합하는 보호커버(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터미널(19)이 보호커버(20)에 의해 차폐되어, 터미널(19)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휘어지거나 변형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커넥터의 불량발생이 줄어들고,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커넥터, 터미널, 보호커버, 휨방지

Description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Connection structure of protection cover for connector}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용 보호커버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용 보호커버가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저면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구성을 보인 저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하우징 14: 가이드홈
16: 결합돌기 19: 터미널
20: 보호커버 22: 삽입리브
25: 단차부
본 고안은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커버가 커넥터의 외부로 돌출된 터미널을 차폐하도록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되는 커넥터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커넥터는 회로나 기기의 상호간이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연결하는 접속기구물로서, 자동차의 내부에는 각종 배선과 함께 커넥터가 설치되어 배터리로부터 전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에는 종래기술에 의한 커넥터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상기 커넥터의 외관을 하우징(1)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에는 상대물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공간(2)이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은 일반적으로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의 내부를 관통하여서는 다수 개의 터미널(4)이 설치된다. 상기 터미널(4)은 상기 결합공간(2)을 통해,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하우징(1)에 형성된 관통공을 관통하여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4)의 말단(4')을 절곡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말단(4')이 하우징(1)의 하방을 향하도록 된다.
이와 같은 커넥터에는 상대커넥터가 상기 결합공간(2)에 삽입되고, 상기 말단(4')은 기판에 실장되어 솔더링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전기적 접속기구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다수 개의 터미널(4)은 상기 하우징(1)의 하방으로 나란하게 연장된다. 이때, 상기 터미널(4)의 말단은 기판에 안착되어 고정되는 부분이므로, 터미널(4)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커넥터를 다음 공정을 위해 이송시키거나 포장하는 과정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상기 터미널(4)의 말단(4')이 휘어지면서 주변 터미널과의 간격이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의 불량발생율이 높아지고, 상기 커넥터를 기판에 결합시키기 위해 휘어진 상기 터미널(4)의 말단(4')을 다시 적절하게 조절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상기 말단(4')의 간격을 재조절해야 하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하고, 그에 따라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커넥터의 터미널이 외력에 의해 휘어지지 않고, 터미널 간에 일정한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재사용이 가능한 보호커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터미널의 일단이 돌출되게 결합된 하우징의 양측면에 가이드홈이 형성된 커넥터와, 양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대응되는 삽입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터미널을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는 결합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리브에는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보호커버의 양측면에는 가장 외곽에 구비된 상기 터미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가 형성된다.
상기 단차부가 돌출되는 길이(L)는 가장 외곽에 구비된 상기 터미널이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l)보다 같거나 작고, 상기 보호커버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에 의하면,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된 터미널이 보호커버에 의해 차폐되어 외력이 터미널에 작용하지 않게 되어 휨이 방지되므로 커넥터의 불량발생이 줄어들고,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분해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용 보호커버가 결합된 모습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도 3의 Ⅲ-Ⅲ'선에 대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용 보호커버가 커넥터에 결합된 모습을 저면에서 바라본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구성이 저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고안에서는 편의를 위해 PCB커넥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커넥터의 외관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절연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커넥터의 일측은 상대커넥터와 결합될 수 있도록 결합공간(11)이 개구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다수 개의 결합공이 형성되어 후술할 터미널(19)이 압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에는 가이드홈(14)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4)은 후술할 보호커버(20)의 삽입리브(22)와 결합하여 상기 하우징(10)과 보호커버(20)를 결합시키는 부분이다. 상기 가이드홈(14)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면에서, 하우징(10)의 상면과 하면에 대해 직교하게 형성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이드홈(14)의 일측에 결합돌기(16)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돌기(16)는 후술할 결합홈(22')과 결합하여 후술할 보호커버(20)가 상기 하우징(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이다. 물론 이와 반대로, 상기 가이드홈(14)에 내측으로 더 함몰된 결합홈(22')이 형성되고, 후술할 삽입리브(22)에 결합돌기(16)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하우징(1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4)에 의해 구획되어 삽입단(18)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4)에 삽입리브(22)가 슬라이딩되어 삽입됨과 동시에, 상기 삽입단(18)은 보호커버(20)에 형성된 후술할 함몰부(23)에 삽입되어 진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다수 개의 터미널(19)이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19)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상대 커넥터의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터미널(19)은 상기 결합공간(11)을 통하여 삽입된 후,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관통공(미도시)에 압입된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측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설치된다. 상기 절곡된 터미널(19)의 말단(19') 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부분으로서 선단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보호커버(20)가 결합된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커넥터를 포장하거나 이송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터미널(19)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터미널(19)의 절곡된 부분은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외력을 쉽게 받을 수 있다.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터미널(19)에 외력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터미널(19)을 완전히 차폐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커버(20)의 높이(H)는 상기 하우징(10)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10)에 돌출되게 결합된 상기 터미널(19)의 말단(19') 사이의 거리(h)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호커버(20)는 대략 육면체 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이때, 하면과 상기 하우징(10)을 향하는 면이 개구되어 형성되고, 그 내부공간(21)에는 상기 터미널(19)이 위치하여 외부로부터 차폐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보호커버(20)는 합성수지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10)의 양내측면의 선단에는 삽입리브(22)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리브(22)는 상기 가이드홈(14)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과 상기 보호커버(20)가 결합되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상기 삽입리브(22)의 말단이 상기 삽입홈의 상단에 끼워지고, 상기 보호커버(20)가 하방으로 슬라이딩되어 상기 하우징(10)과 보호커버(20)가 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삽입리브(22)에는 결합홈(22')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결합 홈(22')은 상기 결합돌기(1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하우징(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반대로 상기 가이드홈(14)에 내측으로 더 함몰된 결합홈(22')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리브(22)에 결합돌기(16)가 돌출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리브(22)와 후술할 단차부(25) 사이에는 상기 삽입리브(22) 및 단차부(25)에 비해 상대적으로 함몰되는 함몰부(23)가 형성된다. 상기 함몰부(23)는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하우징(1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상기 삽입단(18)이 상기 함몰부(23)에 삽입되어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 보호커버(20)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단차부(25)가 형성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차부(25)의 단차되는 높이(L)는 상기 하우징(10)의 가장 바깥 쪽에 삽입되는 터미널(19)과 상기 하우징(10)의 양측면 사이의 거리(l) 보다 같거나 작게 형성된다(도 4 및 도 5 참조). 이는 상기 단차부(25)와 상기 가장 바깥쪽에 구비된 터미널(19) 간의 간격을 최소한으로 좁혀, 상기 터미널(19)이 유동될 수 있는 여지를 줄이기 위함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보호커버(20)는 상기 터미널(19)의 휨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호커버(20)는 상기 하우징(10)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터미널(19)을 차폐시킴으로써, 외력에 의해 상기 터미널(19)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호커버(20)를 상기 커넥터의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때 상기 삽입리브(22)의 말단이 상기 가이드홈(14)의 상단으로부터 끼워져 하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시킨다. 이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홈(14)에 형성된 결합돌기(16)로 인해 상기 삽입리브(22)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상기 결합돌기(16)와 결합홈(22')이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보호커버(20)가 상기 하우징(10)의 상방으로 이탈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된 모습이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상기 커넥터와 보호커버(20)가 결합된 상태에서 포장 또는 이송되어, 그 과정에서 상기 결합물에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터미널(19)이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왜냐하면, 상기 돌출된 다수 개의 터미널(19)들은 상기 보호커버(20)에 의해서 차폐되므로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보호커버(20)에 의해 보호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어서는 다시 상기 보호커버(20)를 탈거시키고, 상기 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고, 상기 결합공간(11)에는 상대커넥터를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보호커버(20)는 수거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 합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에서는 커넥터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된 터미널이 보호커버에 의해 차폐된다. 이에 의해, 상기 터미널이 포장이나 이송되는 과정에서 외력에 의해 휘어지거나 변형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과 상대물이 안정적으로 결합되고, 커넥터의 불량발생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보호커버에 의해 커넥터의 외부로 돌출된 터미널의 변형이 방지되므로, 변형된 터미널을 재조절해야 할 필요가 없어 작업의 효율성이 높아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보호커버는 가이드홈 및 삽입리브를 통해 상기 커넥터와 쉽게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어 다음 공정에 앞서 탈거되어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비용절감의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6)

  1. 터미널의 일단이 돌출되게 결합된 하우징의 양측면을 따라 길게 가이드홈이 형성된 커넥터와;
    양내측면에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삽입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을 차폐하도록 상기 하우징과 결합하는 보호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홈과 삽입리브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상기 삽입리브가 삽입된 상태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상기 가이드홈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은 상기 결합돌기에 대응하도록 상기 삽입리브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양측면에는 가장 외곽에 구비된 상기 터미널의 위치에 대응되도록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차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의 높이(H)는 상기 하우징의 상면과 상기 하우징에 돌출되게 결합된 상기 터미널의 말단 사이의 거리(h)보다 같거나 길게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가 돌출되는 길이(L)는 가장 외곽에 구비된 상기 터미널이 하우징의 측면으로부터 떨어진 거리(l)보다 같거나 작음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커버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
KR2020060019963U 2006-07-24 2006-07-24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 KR200428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63U KR200428208Y1 (ko) 2006-07-24 2006-07-24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963U KR200428208Y1 (ko) 2006-07-24 2006-07-24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8208Y1 true KR200428208Y1 (ko) 2006-10-09

Family

ID=492972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963U KR200428208Y1 (ko) 2006-07-24 2006-07-24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82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43B1 (ko) * 2007-02-22 2007-05-31 (주)정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연무늬목 욕실도어의 방수커튼구조
KR101105303B1 (ko) * 2009-08-14 2012-01-17 한국전력공사 지중계측기 보호장비
KR200465856Y1 (ko) * 2008-10-07 2013-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343B1 (ko) * 2007-02-22 2007-05-31 (주)정인종합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용 천연무늬목 욕실도어의 방수커튼구조
KR200465856Y1 (ko) * 2008-10-07 2013-03-1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의 와이어커버 결합구조
KR101105303B1 (ko) * 2009-08-14 2012-01-17 한국전력공사 지중계측기 보호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372B2 (en) Electric connector with shields on mating housings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EP1653562B1 (en) Surface mounting connector
US742248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shield
JP2006244902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US10741974B2 (en) Electrical connector
US7367818B2 (en) Onboard connector
JP2017204325A (ja) 基板用コネクタ
US20150382497A1 (en) Electronic component assembly structure and electronic component
JP6761730B2 (ja) 電子機器及びコネクタ
WO2011118852A1 (en) Fitting Confirmation Construction of Connector for Connecting Circuit Board
JP2000214971A (ja) Cfカ―ド用アダプタ
KR200428208Y1 (ko) 커넥터용 보호커버 결합구조
JP6563046B2 (ja) コネクタ
JP6291257B2 (ja) コネクタ
KR200429696Y1 (ko) 커넥터용 보호커버의 결합구조
KR101383491B1 (ko) 조립이 용이한 전기 커넥터 및 그 제조 방법
JP5532825B2 (ja) 電気接続箱
US11146004B2 (en) Connector assembly
TWI689137B (zh) 用於高速信號傳輸的連接器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KR100804261B1 (ko) 기판실장용 터미널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102330375B1 (ko) 보호소자가 구비된 커넥터
US20230327362A1 (en) Surface mount connector
US11069993B2 (en) Mounting structure of connector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0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