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910Y1 -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 Google Patents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910Y1
KR200427910Y1 KR2020060019456U KR20060019456U KR200427910Y1 KR 200427910 Y1 KR200427910 Y1 KR 200427910Y1 KR 2020060019456 U KR2020060019456 U KR 2020060019456U KR 20060019456 U KR20060019456 U KR 20060019456U KR 200427910 Y1 KR200427910 Y1 KR 200427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tie rod
rod insertion
press
insertion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4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경수
송경회
지광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심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심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심팩
Priority to KR20200600194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9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9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04Frames;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본래 프레스 프레임을 제작할 경우에는 각각 상형 및 하형에 맞도록 일체로 조립, 제작하였으나 비교적 대형의 프레스 프레임일 경우 제조 및 설치하는 곳까지 운반하는 과정에 매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양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양측 제1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1 타이로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1 결합부를 저면 및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연결하되 상면에는 하부금형을 취부할 수 있는 볼스타가 장착되는 볼스타 장착부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제1 결합부의 상면에 상응하여 일정 높이로 수직 연장되되, 상면과 저면은 상기 제1 타이로드 삽입홀에 상응하여 관통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타이로드 삽입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에 상응하여 수직 위로 연장되는 양측 제2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3 타이로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2 결합부를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수직 아래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수직 승강 운동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되는 슬라이드 장착부 및 구동부 장착부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양측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3개의 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타이로 드 삽입홀을 관통 연결하여 그 끝단은 각각 상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프레임의 하부에서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타이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 프레임, 분리형

Description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The prefabricated press frame}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부프레임
11 : 제1 결합부 12 : 제1 타이로드 삽입홀
13 : 볼스타 지지판 14 : 볼스타 장착부
15 : 수직보강리브
2 : 중간프레임
21 : 제2 타이로드 삽입홀
3 : 상부프레임
31 : 제2 결합부 32 : 제3 타이로드 삽입홀
33 : 슬라이드 장착부 34 : 구동부 장착부
4 : 타이로드
본 고안은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형과 하형을 작동하여 프레스 제품을 생산하는 프레스 프레임의 구조를 조립식으로 형성하여 제조 및 운반이 용이하고 다른 프레스로의 전환이 용이한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프레스는 일반적으로는 소재를 원하는 형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상형과 하형을 프레스로 압착하여 가공하는 프레스 기계가 대표적이며 때로는 금속판을 절단하는 샤링작업, 소재를 구부리고 접는 밴딩작업, 판을 늘이는 드로잉작업 등도 프레스에 의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프레스는 크게 상형 및 하형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물을 지지하는 프레스 프레임과, 상형을 장착하는 슬라이드, 슬라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진다.
이때 이러한 상기 프레스 프레임은 상형 및 하형의 형상 및 크기에 적합하도록 별도로 설계 제작하기에 다수의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기는 하나 일체로 연결되어 제작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프레스 프레임의 경우 보통 프레임 제작 시 제작할 수 있는 설비의 한계가 있고, 설치 시에는 그 운반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으며 차로 운송할 경우 하역작업 등에서 뒤틀림 등의 외력에 의하여 정밀도를 가져야할 프레임에 손상을 가져올 우려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사한 크기를 가지는 상형 및 하형은 프레스 프레임에서 상기 상형과 하형만을 교체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으나 높이가 다른 경우 상형의 상하 움직임 제한 폭이 한정되어 있어 이 경우에는 다른 프레스 프레임을 제조하여야하는 문제점이 있어 막대한 설비비의 추가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교적 대형의 프레스 프레임이더라도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한 프레스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프레스 프레임의 높이 조절이 용이하여 다른 상형 및 하형의 교체가 용이한 프레스 프레임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양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양측 제1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결합부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1 타이로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1 결합부를 저면 및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연결하되 상면에는 하부 금형을 취부 할 수 있는 볼스타가 장착되는 볼스타 장착부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의 제1 결합부의 상면에 상응하여 일정 높이로 수직 연장되되, 상면과 저면은 상기 제1 타이로드 삽입홀에 상응하여 관통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타이로드 삽입홀이 형성되는 두 개의 중간프레임과; 상기 중간프레임에 상응하여 수직 위로 연장되는 양측 제2 결합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2 결합부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3 타이로드 삽입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2 결합부를 상면과 동일한 높이 를 가지면서 수직 아래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수직 승강 운동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되는 슬라이드 장착부 및 구동부 장착부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과; 양측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3개의 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타이로드 삽입홀을 관통 연결하여 그 끝단은 각각 상부프레임의 상부와 하부프레임의 하부에서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타이로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프레임의 하부 금형 장착부에는 제품 성형 시 발생하는 수직압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보강리브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분해사시도로서, 양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양측 제1 결합부(11)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결합부(11)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1 타이로드 삽입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1 결합부(11)를 저면 및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연결하되 상면에는 하부 금형을 취부 할 수 있는 볼스타가 장착되는 볼스타 장착부(14)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1)과; 상기 하부프레임(1)의 제1 결합부(11)의 상면에 상응하여 일정 높이로 수직 연장되되, 상면과 저면은 상기 제1 타이로드 삽입홀(12)에 상응하여 관통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타이로드 삽입홀(21)이 형성되는 두 개의 중간프레임(2)과; 상기 중간프레임(2)에 상응하여 수직 위로 연장되는 양측 제2 결합 부(31)를 구비하되 상기 제2 결합부(31)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3 타이로드 삽입홀(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2 결합부(31)를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수직 아래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수직 승강 운동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되는 슬라이드 장착부(33) 및 구동부 장착부(34)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과; 양측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3개의 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타이로드 삽입홀(12, 21, 32)을 관통 연결하여 그 끝단은 각각 상부프레임(3)의 상부와 하부프레임(1)의 하부에서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타이로드(4)로 구성되는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을 나타내었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제조되는 프레스 프레임은 보통 대형의 프레스 프레임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조립되는 각 프레임은 가공, 조립, 운반, 설치시 문제가 되지 않도록 그 내구성 및 정밀도에 대하여 면밀하게 검토한 후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프레스 프레임 제조업체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분리된 형태로 제조하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하고 프레스에 의한 물품제조공장에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의 조립은 먼저 하부프레임(1)을 적정 위치에 안착한 다음 타이로드(4)를 삽입하고, 그 다음 중간프레임(2)에 타이로드(4)를 끼워 하부프레임(1)에 맞추고 나서, 마지막으로 상부프레임(3)을 조립하고, 상부프레임(3)의 상부와 하부프레임(1)의 하부에 돌출되는 타이로드(4)에 각각 너트를 장착하여 체결함으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프레스로 제작하고자 하는 물품의 높이가 많이 차이 나는 물품으로 기존의 프레스를 대체하여야할 경우 종래에는 상부프레스의 수직 운동폭이 제한되어 별도의 프레스 프레임을 제작하여야만 했으나 본 고안에서는 상기 중간프레임(2)을 높은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다른 프레스로 교체하여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것은 설비비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상기 하부프레임(1)의 볼스타 장착부(14)에는 제품 성형시 발생하는 수직압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보강리브(15)가 형성되는 실시 예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각 프레임은 금속 덩어리로 이루어지지 않고 금속판재를 상호 용접 또는 절곡하여 제작되는 것과 작동시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내부 및 외부 구조를 가지고 있음은 당연한 일이다. 하지만 일체형이 아닌 조립으로 구성할 경우 특히 성형시 많은 수직압력이 작용하는 하부프레임(1)은 이에 저항하기 위한 구조를 효과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볼스타 지지판(13)을 형성하고 다수의 수직보강리브(15)를 상기 볼스타 장착부(14)의 전면 및 배면에 형성하여 수직압력에 효과적인 저항력을 가지도록 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대형의 프레스 프레임을 분리하여 이동하고 다시 조립하도록 하여 제작 및 운반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중간프레임을 교체함으로서 프레스 프레임의 최대 가공높이를 설정할 수 있음으로 다른 프레스로의 교체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양 측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육면체 형상의 양측 제1 결합부(11)를 구비하되 상기 제1 결합부(11)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1 타이로드 삽입홀(1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1 결합부(11)를 저면 및 상면에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연결하되 상면에는 하부 금형을 취부 할 수 있는 볼스타가 장착되는 볼스타 장착부(14)로 이루어지는 하부프레임(1)과;
    상기 하부프레임(1)의 제1 결합부(11)의 상면에 상응하여 일정 높이로 수직 연장되되, 상면과 저면은 상기 제1 타이로드 삽입홀(12)에 상응하여 관통 연결하는 두 개의 제2 타이로드 삽입홀(21)이 형성되는 두 개의 중간프레임(2)과;
    상기 중간프레임(2)에 상응하여 수직 위로 연장되는 양측 제2 결합부(31)를 구비하되 상기 제2 결합부(31)의 상면에는 각각 두 개의 제3 타이로드 삽입홀(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제2 결합부(31)를 상면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면서 수직 아래로 소정길이 연장되되 수직 승강 운동하는 슬라이드가 부착되는 슬라이드 장착부(33) 및 구동부 장착부(34)가 형성되는 상부프레임(3)과;
    양측 끝단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3개의 프레임의 제1 내지 제3 타이로드 삽입홀(12, 21, 32)을 관통 연결하여 그 끝단은 각각 상부프레임(3)의 상부와 하부프레임(1)의 하부에서 너트에 의하여 고정되는 적어도 4개 이상의 타이로드(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의 볼스타 장착부(14)에는 제품 성형 시 발생하는 수직압력을 지지하기 위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수직보강리브(15)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KR2020060019456U 2006-07-19 2006-07-19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KR200427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456U KR200427910Y1 (ko) 2006-07-19 2006-07-19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456U KR200427910Y1 (ko) 2006-07-19 2006-07-19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910Y1 true KR200427910Y1 (ko) 2006-10-02

Family

ID=4177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456U KR200427910Y1 (ko) 2006-07-19 2006-07-19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9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25488B2 (ja) 型盤、型締め装置、射出成形機
JP5458341B2 (ja) プレス成形用金型
CN103448218B (zh) 成型机
US20090291162A1 (en)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having a modular structure
KR200427910Y1 (ko) 프레스 분리형 프레임
JP5426142B2 (ja) 成形機
WO2018066696A1 (ja) 成形機
KR101372790B1 (ko) 필터 프레임 제작 방법
JP5766774B2 (ja) 成形機
US20090038488A1 (en) Modular mounting device for concrete casting machines
CN108340546A (zh) 一种自锁型多层脱模模具
CN107972160B (zh) 用于加工卫生洁具的多方位开合模具
CN207549359U (zh) 一种五金塑胶一体模具
DE202007000985U1 (de) Palette aus armiertem Kunststoff
KR102580612B1 (ko)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JP3205448U (ja) 成形品取出機
JP4931140B2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
CN218506196U (zh) 调味品包装箱盖片外压机构
JP4105891B2 (ja) 合成樹脂製のパレット
CN220920880U (zh) 一种模芯可换的压铸模具
CN217861879U (zh) 一种全铝墙体模具
CN201908540U (zh) 货车厢门
JP3665205B2 (ja) 金型
CN210435187U (zh) 一种前副车架后加强板侧整形模具
CN207696939U (zh) 注塑机合模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