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59Y1 -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859Y1
KR200427859Y1 KR2020060013532U KR20060013532U KR200427859Y1 KR 200427859 Y1 KR200427859 Y1 KR 200427859Y1 KR 2020060013532 U KR2020060013532 U KR 2020060013532U KR 20060013532 U KR20060013532 U KR 20060013532U KR 200427859 Y1 KR200427859 Y1 KR 2004278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wer
gear
roller
guide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5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명식
Original Assignee
(주) 엠아이디 에프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아이디 에프엔씨 filed Critical (주) 엠아이디 에프엔씨
Priority to KR20200600135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85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8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8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5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electrically-powered actuation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8/00Drawers for tables, cabinets or like furniture; Guides for drawers
    • A47B88/40Sliding drawers; Slides or guides therefor
    • A47B88/453Actuated drawers
    • A47B88/46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 A47B88/47Actuated drawers operated by mechanically-stored energy, e.g. by springs having both self-opening and self-closing mechanisms which interact with each oth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나 서랍 등에 사용되는 개폐장치를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서랍 등을 개폐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서랍의 자동개폐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 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1 벨트기어와, 상기 제 1 벨트기어와 맞물리는 제 2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2 피니언기어에 동축으로 연결된 구동기어와, 서랍의 측판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가이드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제 2 벨트기어는 상기 가이드패널에 마련된 홈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패널에 부착된 롤러부착판에 고정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얹어놓여지는 롤러가이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서랍, 자동, 모터, 기어, 롤러

Description

서랍의 자동개폐장치{AUTOMATIC OPENING APPARATUS FOR A DRAWER}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서랍의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a는 도 2의 A부분의 단면평면도, 도 3b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A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개폐장치의 가이드패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그 단면도, 도 5b는 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롤러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그 단면도, 도 6b는 서랍측판에 형성되는 롤러와 롤러가이드의 단면도, 도 6c는 그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복수의 서랍과 컨트롤박스 및 전원케이블박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개폐장치
2 : 서랍
2a : 서랍측판
3 : 서랍케이스측판
10 : 모터
11 : 제 1 피니언기어
11a : 제 2 피니언기어
12 : 구동기어
13 : 제 1 벨트기어
14 : 제 2 벨트기어
14a: 홈
15 : 가이드패널
16 : 기어고정패널
20 : 롤러
21 : 롤러부착판
22 : 롤러가이드
23 : 제 1 롤러
24 : 제 2 롤러
25 : 제 1 롤러가이드
26 : 제 2 롤러가이드
30 : 컨트롤박스
40 : 전원케이블박스
41 : 전원케이블
본 고안은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구나 서랍 등에 사용되는 개폐장치를 전기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자동으로 서랍 등을 개폐할 수 있어 생활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개폐장치는 책상서랍이나 부엌가구 등에 사용되는 서랍은 물론 각종 보관함이나 도어에도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책상서랍에 사용되는 개폐장치를 예로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책상이나 가구 등에 사용되는 서랍을 열고 닫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서랍의 손잡이를 잡고 당기거나 밀어서 개폐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서랍은 사용자가 직접 개폐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었다.
이러한 수동식 서랍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20-1985-0015751호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출원은 모터와 기어와 감속기어와 전동기어와 풀리로 구성된 구동장치에 결착핀을 설치하고 이 결착핀이 서랍의 내단에 부착된 연결핀과 끼워맞추어져 상기 구동장치를 구동하면 상기 결착핀과 연결핀과의 끼워맞춤에 의해 서랍이 개폐되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서랍과 구동장치를 연결핀과 결착핀과의 결합에만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서랍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상기 연결핀과 결착핀의 결합이 어긋나기 쉬워 오작동이 발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서랍의 개폐에 방해가 되지 않으면서도, 부드럽고 원활한 서랍의 개폐가 가능하며 서랍과 개폐장치와의 안정된 결합이 가능한 개폐장치가 요구된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자동모터를 구비하고 서랍 측판에 체인벨트를 안정되게 고정하고 상기 체인벨트와 맞물린 기어와 모터에 의해 서랍에 물건을 보관하여 하중이 증가하더라도 서랍과 개폐장치와의 안정된 결합이 가능하고 자동으로 개폐가 가능하여 보다 사용이 편리하고 오작동이 없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서랍에 롤러를 장착하여 보다 원활하고 부드러운 개폐동작이 가능한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서랍의 자동개폐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 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와 맞물리는 제 1 벨트기어와, 상기 제 1 벨트기어와 맞물리는 제 2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2 피니언기어에 동축으로 연결된 구동기어와, 서랍의 측판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과, 상기 가이드패널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2 벨트기어는 상기 가이드패널에 마련된 홈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에 부착된 롤러부착판에 고정되는 복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가 얹어놓여지는 롤러가이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 1 벨트기어와 상기 제 2 피니언기어를 둘러싸는 기어고정패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러가이드는 상기 기어고정패널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는 상기 기어고정패널에 고정되는 제 1 롤러와, 상기 가이드패널에 고정되는 제 2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롤러가이드는 상기 가이드패널에 마련되는 제 1 롤러가이드와, 상기 기어고정패널에 마련되는 제 2 롤러가이드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수납하는 전원케이블박스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원케이블박스는 상기 서랍케이스 측판을 홈가공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복수의 서랍을 개폐하도록 복수의 상기 모터를 정역회전 구동시키는 복수의 스위치가 마련된 컨트롤박스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서랍의 개폐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서랍의 자동개폐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그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도 2의 A부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1)는 서랍(2)의 서랍측판(2a)과 서랍케이스측판(3)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장치(1)는, 모터(10)와, 상기 모터(10)와 동축으로 연결된 피니언기어(11, 11a)와, 구동기어(12)와, 벨트기어(13, 14)로 구성된다.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모터(10)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 1 피니언기어(11)와, 상기 구동기어(12)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 2 피니언기어(11a)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11, 11a)는 벨트기어와 맞물린다.
상기 모터(10)와 상기 제 1 피니언기어(11)는 서랍(2)의 뒤쪽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2 피니언기어(11a)와 상기 구동기어(12)는 서랍의 앞쪽 하부에 설치된다.
상기 벨트기어는 상기 제 1 피니언기어(11, 11a)와 맞물리는 무단형상의 제 1 벨트기어(13)와, 상기 구동기어(12)와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14)로 구성된다. 상기 제 2 벨트기어(14)는 후술하는 가이드패널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11, 11a)와, 상기 제 1 벨트기어(13)는 기어고정패널(16)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기어고정패널(16)은 대략 장방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서랍케이스 측판(3)에 고 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어고정패널(16)은 서랍케이스 측판(3)에 맞닿는 부분은 연장되어 접촉면적을 넓게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고,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이 관통구멍에 나사나 볼트 등 고정수단을 삽입관통시켜 서랍케이스 측판(3)에 고정하고,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기어고정패널(16)에 별도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모터(10)와, 상기 피니언기어(11, 11a), 제 1 벨트기어(13) 및 구동기어(12)는 상기 서랍케이스 측판(3)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랍측판(2a)의 하부에는 가이드패널(15)이 설치된다. 상기 가이드패널(15)는 대략 」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서랍측판(2a)의 하부와 맞닿는 면에는 홈(1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14a)이 형성된 가이드패널(15)을 상기 서랍측판(2a)의 하부면에 홈을 형성하여, 끼워맞춘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15)은 상기 서랍측판(2a)과 복수의 개소에서 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패널(15)의 홈(14a)에는 상기 구동기어(12)와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14)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패널(15)은 서랍측판(2a)의 하부에 홈가공을 하여 끼워맞추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서랍측판의 하부에 홈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홈(14a)을 서랍측판 하부에 나사못 등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는, 상기 모터(10)를 구동하여 정역회전시키면, 상기 모터(10)에 동축으로 연결된 제 1 피니언기어(11)이 정역 회전을 하게 된다. 제 1 피니언기어(11)의 정역회전에 따라, 상기 제 1 피니언기어(11)에 맞물리는 제 1 벨트기어(13)가 정역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랍의 앞쪽 하부에 설치된 제 2 피니언기어(11a)가 상기 제 1 벨트기어(13)와 맞물려 정역회전하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2 피니언기어(11a)와 동축으로 연결된 상기 구동기어(12)가 정역회전을 하게 되고, 상기 구동기어(12)에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14)가 전후진을 하게 되어, 제 2 벨트기어(14)의 전후진에 따라 이에 고정된 서랍(2)이 전후진을 하게 되어 개폐작동을 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는, 물건이 보관된 서랍의 하중이 벨트기어와, 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 피니언기어를 통해 서랍케이스에 전달되기 때문에, 기어간의 맞물림이 오작동하게 되는 일 없이 자동으로 서랍의 개폐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는, 롤러에 의한 서랍의 개폐동작을 더하여 보다 원활하고 부드러운 개폐동작을 더욱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는 롤러(20)와 롤러가이드(22)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패널(15)에는, 상기 가이드패널(15)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수직으로 연장형성된 대략 ㄱ자 형상의 복수의 롤러부착판(21)이 더욱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부착판(21)에는 롤러(20)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기어고정패널(16)의 상부에는, 상기 기어고정패널(16)의 길이방 향을 따라 롤러가이드(2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개폐장치는, 상기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2)가 정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2)와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14)의 전후진에 따라 서랍(2)이 전후진을 할 때, 상기 서랍(2)의 전후진 동작은 상기 롤러(20)의 상기 롤러가이드(22) 상의 구름동작을 수반하게 되어 상기 서랍의 전후진 동작은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의 롤러 구성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복수의 롤러 중 일부는 서랍측판에 형성하고, 일부는 서랍케이스측판에 형성하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롤러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그 단면도, 도 6b는 서랍측판에 형성되는 롤러와 롤러가이드의 단면도, 도 6c는 그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롤러는 서랍의 앞쪽에 설치되며 상기 기어고정패널(16)에 고정되는 제 1 롤러(23)와, 서랍의 뒤쪽에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패널(15)에 고정되는 제 2 롤러(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패널(15)에는, 상기 가이드패널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수직 하방으로 짧게 연장형성된 제 1 롤러가이드(25)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가이드(25)는 상기 제 1 롤러(23)의 위쪽에서 상기 제 1 롤러(23)가 위치 어긋남이 없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기어고정패널(16)에는, 상기 기어고정패널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며 수직 하방으로 짧게 연장형성된 제 2 롤러가이드(26)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롤러가이드(26)는 상기 제 2 롤러(24)의 위쪽에서 상기 제 2 롤러(24)가 위치 어긋남이 없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한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개폐장치는, 상기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2)가 정역회전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기어(12)와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14)의 전후진에 따라 서랍(2)이 전후진을 할 때, 상기 서랍(2)의 전후진 동작은 서랍케이스측판에 부착된 앞쪽의 제 1 롤러(23)는 서랍측판에 부착된 제 1 롤러가이드(25)의 전후진 동작에 따라 제위치에서 회전하고, 서랍측판에 부착된 뒤쪽의 제 2 롤러(24)는 서랍의 전후진에 따라 제 2 롤러가이드(26)를 따라 회전하며 전후진동작을 하게 되어, 상기 서랍의 전후진 동작은 보다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는 복수의 서랍 하단에 복수개소 설치된다. 또한, 복수의 개폐장치는, 전원케이블을 통하여 컨트롤박스(3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컨트롤 박스(30)는 서랍케이스의 상부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서랍(2)을 구동시키도록 복수의 개폐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30)와 상기 개폐장치(1)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원케이블 은 전원케이블박스(40)에 수납되어 서랍(2)의 개폐에 따라 전원케이블이 얽혀 들어가 손상되는 일이 없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원케이블박스(40)는 상기 서랍케이스 측판(3)의 내측에 홈을 형성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별도의 케이블박스를 구성하여 상기 서랍케이스 측판(3)에 부착되는 구성을 가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자명하다.
본 고안의 개폐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수동식 서랍개폐방식으로부터 자동식 개폐방식으로 사용방식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생활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는, 모터와 복수의 피니언기어, 제 1 벨트기어, 구동기어, 서랍측판 하부에 설치된 제 2 벨트기어를 통해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된 개폐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물건이 보관된 서랍의 하중이 벨트기어와, 이와 맞물리는 구동기어, 피니언기어를 통해 서랍케이스에 전달되기 때문에, 기어간의 맞물림이 오작동하게 되 는 일 없이 자동으로 서랍의 개폐작동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개폐장치는 자동으로 서랍이 개폐되기 때문에, 서랍의 손잡이를 구성할 필요가 없고, 이에 따라 서랍의 전면을 다양한 디자인으로 구성할 수 있어서 서랍의 외관을 보다 수려하게 구성할 수 있다.

Claims (8)

  1. 서랍의 자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서랍의 뒤쪽에 설치되는 모터(10)와,
    상기 모터(10)와 동축으로 연결된 제 1 피니언기어(11)와,
    상기 제 1 피니언기어(11)와 맞물리는 제 1 벨트기어(13)와,
    상기 제 1 벨트기어(12)와 맞물리며 서랍의 앞쪽에 설치되는 제 2 피니언기어(11a)와,
    상기 제 2 피니언기어(11a)에 동축으로 연결된 구동기어(12)와,
    서랍측판(2a)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패널(15)과,
    상기 제 1 및 제 2 피니언기어(11, 11a)와 상기 제 1 벨트기어(13)를 둘러싸며 서랍케이스 측판(3)에 고정되는 기어고정패널(16)과,
    상기 가이드패널(15)에 마련되며 상기 구동기어(12)와 맞물리는 제 2 벨트기어(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벨트기어(14)는 상기 가이드패널(15)에 마련된 홈(14a)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패널(15)에 부착된 롤러부착판(21)에 고정되는 복수의 롤러(20)와, 상기 롤러(20)가 얹어놓여지는 롤러가이 드(22)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이드(22)는 상기 기어고정패널(16)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고정패널(16)에 고정되는 제 1 롤러(23)와, 상기 가이드패널(15)에 고정되는 제 2 롤러(24)와, 상기 가이드패널(15)에 마련되는 제 1 롤러가이드(25)와, 상기 기어고정패널(16)에 마련되는 제 2 롤러가이드(26)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10)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을 수납하는 전원케이블박스(4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케이블박스(40)는 상기 서랍케이스 측판(3)을 홈가공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서랍을 개폐하도록 복수의 상기 모터를 정역회전 구동시키는 복수의 스위치가 마련된 컨트롤박스(30)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KR2020060013532U 2006-05-19 2006-05-19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KR2004278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32U KR200427859Y1 (ko) 2006-05-19 2006-05-19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32U KR200427859Y1 (ko) 2006-05-19 2006-05-19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282 Division 2006-05-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859Y1 true KR200427859Y1 (ko) 2006-10-02

Family

ID=41776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532U KR200427859Y1 (ko) 2006-05-19 2006-05-19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85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790567B (zh) 冰箱
EP2096959B1 (en) Built-in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water and drinks dispenser
KR20170118119A (ko) 가구 또는 가전제품의 선반의 슬라이딩-피봇팅 장치, 가구 및 가전제품
RU2744842C2 (ru) Холодильный аппарат и откр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холодильного аппарата
JP5094238B2 (ja) 昇降式吊戸棚
CN104196399A (zh) 翻斗式保险箱面板装置
CN103292550A (zh) 冰箱抽屉门自动开启装置
KR200427859Y1 (ko)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JP2021517001A (ja) 引き出しを自動開閉可能な複合型洗濯機
EP3269870B1 (en) Detergent container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having same
CN115000835B (zh) 一种可展开式组合配电柜
KR20070001201U (ko) 서랍의 자동개폐장치
KR101023680B1 (ko) 냉장고 도어의 힌지장치
CN218970884U (zh) 一种开关执行器和家用电器
KR200407185Y1 (ko) 밸브의 자동/수동 개폐장치
JP2008095291A (ja) リモコン
KR100733462B1 (ko) 밸브의 자동/수동 개폐장치
KR19980010095U (ko) 컴퓨터 모니터함의 자동승강장치
EP3067458B1 (en) Detergent box assembly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JP2010007375A (ja) 自動引き戸の開閉装置
KR100606981B1 (ko) 냉장고
CN112956982A (zh) 家用电器
KR20110039994A (ko) 창호용 디지털 잠금장치의 록킹부 조립체
CN111472637A (zh) 一种脚触式自动开闭的卫生间门
CN215421044U (zh) 家用电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