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818Y1 - 옹벽용 블록 - Google Patents

옹벽용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818Y1
KR200427818Y1 KR2020060019297U KR20060019297U KR200427818Y1 KR 200427818 Y1 KR200427818 Y1 KR 200427818Y1 KR 2020060019297 U KR2020060019297 U KR 2020060019297U KR 20060019297 U KR20060019297 U KR 20060019297U KR 200427818 Y1 KR200427818 Y1 KR 20042781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ing wall
block
wall block
protruding
re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92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환
이정만
Original Assignee
김보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보환 filed Critical 김보환
Priority to KR20200600192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81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81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81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이 고안은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통부와 후면부가 중앙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는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하부 블록의 몸통부의 상면과 후면부 상면에 가로로 길게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어 이 돌출된 부분과 상부 블록과 지지되는 상부 블록의 몸통부 하면과 후면부 하면에 가로로 길게 양측면까지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1
"의 형태로 절개된 곳에 접하여 지지되는 방식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여, 하천, 제방, 도로, 택지 단지 조성 등의 옹벽 축조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옹벽용 블록{block for reinforcing wall}
도1은 종래 용벽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의 밑면 사시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의 축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도4의 A-A'단면도이다.
도6는 도4의 B-B'단면도이다.
-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옹벽용 블록 110 ; 몸통부
111 ; 앞면 112 ; 상면
113 ; 하면 114 ; 측면
115,131 ; 돌출요부 117,118 ; 지지부
116,132 ; 절개요부 120 ; 중앙부
130 ; 후면부
본 고안은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하천, 제방, 도로, 택지 단지 조성 등의 성토 작업시 경사면의 토사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는 옹벽용 블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흙입자 자체는 고체이지만 강철 또는 콘크리트와 같은 결정체가 아닌 불연속체로서 쉽게 분리되며 외력에 의해 쉽게 변이가 일어난다.
따라서, 하천, 제방, 도로, 택지 단지 조성 등의 성토 작업시 그 측면에는 블록, 판석, 판넬 등의 강재 또는 합성섬유 재질의 옹벽을 구축함으로써 토사의 흘러내림을 억제하고 있다.
이러한 옹벽 구축시 사용되는 형태의 종래 옹벽용 블록을 도1에 도시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종래 옹벽용 블록의 구조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옹벽용 블록은 앞면(11), 상면(31), 하면(41)의단부들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측면(22,23)을 포함하는 몸통부(21)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21)에는 상기 양측면(22,23)으로부터 내측의 상면(31)에 서로 일정거리 이격되는 제1,2홀(32,33)이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제1,2홀(32,33)에 인접하여 블록을 상하로 연결하는 핀(도시되지 않음)을 수용할 수 있도록 제1,2핀구멍(34,35)이 형성되어 한 단위의 옹벽용 블록을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제1,2홀(32,33)은 몸통부(21)의 상면(31)에 대략 활모양의 홈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하부에 위치되는 블록의 제1,2핀구멍(34,35)에 삽입된 핀의 하단을 지지하게 됨으로써, 다수의 블록이 축조 가능하게 된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51, 52는 옹벽용 블록의 몸통부에 연장되어 형성된 중 앙부 및 후면부이다.
이러한 종래의 옹벽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축 작업은 통상 옹벽용 블록을 가로로 위치시킨 다음, 그 상면에 상기 블록과 서로 엇갈리게 하면서 별개의 다른 옹벽용 블록을 위치시킨다. 이때, 하부의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제1,2핀구멍의 위치는 그 상부층의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제1,2홀의 어느 한쪽 하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의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제1핀구멍은 그 상부의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제2홀의 하면에, 또 다른 하부의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제2핀구멍은 그 상부의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제1홀의 하면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결국 상기 하부층의 옹벽용 블록 상면에는 2개의 옹벽용 블록이 인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옹벽용 블록들이 소정의 경사면을 가지면서 축조되는 경우에는 상부의 옹벽용 블록이 하부의 옹벽용 블록보다 약간씩 후방으로 후퇴하여 축조되도록 하며, 이때에도 마찬가지로 하부층의 제1,2핀구멍의 위치는 그 상부층의 제1,2홀 어느 한쪽의 위치와 상, 하부로 나란히 되도록 하되, 상기 하부층의 제1, 2핀구멍은 상부층의 제1, 2홀의 어느 한쪽 하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즉, 상기 하부층의 제1,2핀구멍에 삽입된 제1,2핀이 상부층의 제1,2홀의 후단쪽에 위치됨으로써 결국 상부층이 약간씩 후방으로 후퇴하면서 축조되어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옹벽이 구축된다.
한편, 상기 블록과 블록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제1,2핀에는 토사 내측으로 연장되는 철망형태의 그리드(도시되지 않음)일단을 끼움으로써 옹벽용 블록들이 상기 그리드에 의해 더욱 더 견고히 지지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옹벽용 블록은 상층과 하층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인 제1,2핀의 지름 또는 외경이 옹벽용 블록의 부피에 비해 매우 작고, 또한 상기 제1,2핀의 하단을 고정하는 제1,2핀구멍의 폭이 작기 때문에 상기 제1,2핀의 하단을 지지하는 힘도 약하다. 따라서, 토사에 의한 외력이 크게 작용할 때는 상기 제1,2핀이 부러지거나, 크랙이 발생하기도 하고, 또한 제1,2홀에서 제1,2핀의 하단이 이탈되면서 옹벽용 블록이 일축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무너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옹벽용 블록은 무게가 대략 40∼55kg인 반면,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제1,2핀구멍 및 제1,2홀의 구경 또는 폭은 매우 협소하게 형성됨으로 써, 작업자가 블록의 축조 작업을 하면서, 하층에 형성된 제1,2핀구멍과 상층에 형성된 제1,2홀의 위치를 정확히 맞추는 것이 대단히 어렵다.
더구나, 경사진 옹벽 구축시에는 상층의 옹벽 블록이 약간씩 뒤로 후퇴하며 하층과 상층의 제1,2핀구멍 및 제1,2홀의 위치를 적절히 맞추어야 하는 데, 이때에도 하층의 제1,2핀구멍 및 상층의 제1,2홀의 위치를 정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아서 옹벽 구축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토사의 흘러내리려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축조되는 옹벽 블록 상호간의 결합력 또는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돌출요부의 위치를 앞 또는 뒤로 이동하여 수직 형과 경사형(후퇴축조)옹벽을 선택적으로 시공할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옹벽용 블록의 상,하 축조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그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부의 옹벽 블록 및 상기 옹벽 블록들을 상, 하로 연결 및 지지하는 연결수단(돌출요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옹벽용 블록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몸통부와 후면부가 중앙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하부 블록의 몸통부의 상면과 후면부 상면에 가로로 길게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어 이 돌출된 부분과 상부 블록과 지지되는 상부 블록의 몸통부 하면과 후면부 하면에 가로로 길게 양측면까지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2
"의 형태로 절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돌출된 부분 즉, 돌출요부는 블록 몸통부 상면과 후면부 상면에 가로로 길게 사각형태의 사각육면체로 형성되고, 상기 돌출요부는 절개요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절개요부보다 앞면에서 보았을 때 앞, 뒤폭이 적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블록의 중앙부는 마름모 또는 삼각 형태로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곳으로 골재를 채울 수 있어 배수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구나, 상기 몸통부 상면의 돌출요부는 상기 블록의 상면 밖으로 돌출되어서 어긋나게 축조되는 상부 블록의 몸통부 하면의 가로로 길게 양 측면까지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3
" 의 형태로 절개되어 후면부 방향쪽에 있는 접촉면에 맞물려 지지하는 상, 하부 블록을 상호 결합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후면부 상면의 돌출요부는 상기 블록의 상면 밖으로 돌출되어서 어긋나게 축조되는 상부 블록의 후면부 하면의 가로로 길게 양 측면까지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4
"의 형태로 절개되어 후면부 앞쪽에 있는 접촉면에 맞물려 지지하는 상, 하부 블록을 상호 결합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에 의하면 상, 하층의 옹벽용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돌출요부의 두께가 종래의 제1,2핀의 지름 또는 부피에 비해 크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요부와 옹벽용 블록 상호간의 결합 면적이 몸통부와 후면부 2곳의 결합으로 종래에 비해 크게 형성됨으로써, 결국 상, 하 옹벽용 블록 사이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대폭 향상시키고 토사의 흘러내리려는 힘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은 상, 하 축조 작업시 하부의 옹벽 블록 즉, 하부의 옹벽용 블록 및 그 옹벽용 블록에 돌출요부의 위치 파악이 용이함으로써, 상기 옹벽용 블록 및 돌출요부 상에 다른 옹벽용 블록을 적층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해 월등히 쉬어지고, 또한 그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그리고 부가적으로 수직 방향의 옹벽은 물론 일정각도 경사진 옹벽의 축조작업이 쉬어지고 그 작업시간이 단축됨은 물론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이하 설명에서 도면 중 좌, 우 대칭되는 부분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상기 옹벽용 블록은 통상 시멘트나 콘크리트 등으로 강도가 높은 다양한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도2는 본 고안의 실시예인 옹벽용 블록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는 본 고안의 옹벽용 블록의 밑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용 블록(100)은 크게 몸통부(110), 중앙부(120) 및 후면부(13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몸통부(110)는 일정한 두께를 갖는 형태로써 서로 대향하는 앞면(111), 상면(112), 하면(113) 및 상기 앞면(111)의 좌, 우측에서 후방 내측으로 휘어지면서 양 측면(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통부(110)의 후방에는 상기 몸통부(110)의 상면(112) 및 하면(113)과 동일면을 가지며 후방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상기 몸통부(110)의 양측면(114)이 꺾인 모양으로 연장되어 중앙부(120)가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상기 중앙부(120)의 후방에는 상기 몸통부(110)의 상면(112) 및 하면(113)과 동일 면을 갖는 대략 직사각육면체 모양과 둘출요부를 가지는 사각육면체 모양의 후면부(130)가 더 형성되어 있다.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몸통부(110) 상면에 가로로 길게 차후 설명할 돌출요부(115)가 있어 상부의 또 다른 옹벽용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절개요부(116)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요부(115)는 상면의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까지의 직사각육면체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돌출요부(115)에 인접하는 몸통부(110)의 하면(113)에는 하부의 다른 옹벽용 블록의 돌출요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일정 모양의 지지부(117,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17,118)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용 블록(100)의 하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5
"의 모양으로 몸통부(110)의 하면(113)의 가로로 길게 양측면까지 절개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후면부(130) 상면에 가로로 길게 차후 설명할 돌출요부(131)있어 상부의 또 다른 옹벽용 블록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절개요부(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요부(131)는 상면의 가로 방향으로 양측면까지의 사각육면체 형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돌출요부(131)에 인접하는 후면부(130)의 하면에는 하부의 다른 옹벽용 블록의 돌출요부에 의해 지지되도록 일정 모양의 지지부(1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용 블록(100)의 하면에서 보았을 때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6
"의 모양으로 후면부(130)의 하면의 가로로 길게 양측면까지 절개하여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 설명 부호 119은 상기 옹벽용 블록(100)에 외형미를 부가하기 위해 형성된 자연석(깨진 돌) 문양이며, 이는 다양한 모양(빗살문양 등등)으로 변경하여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돌출요부(115,131)가 상면 밖으로 노출된 부분이 종래와 같이 토사로 묻혀 상기 돌출요부를 보다 강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그리드가 삽입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4은 된 고안의 실시예인 옹벽용 블록 즉, 옹벽용 블록과 돌출요부를 이용 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5는 도4의 A-A' 단면도이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상 도면부호를 도2와 다르게 표기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의 한 옹벽용 블록(100)의 몸통부 상면에 형성된 돌출요부(115)가 있으며, 결국 상기 돌출요부(115)는 상기 몸통부 상부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상면에는 두개의 옹벽용 블록(100,100)이 상기 돌출요부(115,131)를 각각으로 하여 그 몸통부와 후면부에 각각 위치되어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돌출요부(115,131)의 각각에 상기 옹벽용 블록(100,100)의 지지부(117,118,133)가 하면에 위치되어 있다.
결국, 어느 하나의 옹벽용 블록(100)에 형성된 2개의 돌출요부(115,131)은 상기 옹벽용 블록(100)의 상면에 안착되는 다른 2개의 옹벽용 블록(100,100)을 지지하게 되고 이를 반대로 설명한다면, 어느 하나의 옹벽용 블록은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용 블록에 형성된 2개의 돌출요부(115,131)에 의해 상부의 블록(100)의 하면의 가로로 길게 양 측면까지 두 개의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7
"의 형태로 절개 형성된 접촉면이 지지부가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옹벽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은 상기 돌출요부의 위치에 따라서 지면과 수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일정하게 경사져 형성될 수 있다.
즉, 돌출요부(115,131)의 일면(후면부 뒤쪽에 가까운면)과 절개요부(117,118,133)의 일면(몸통부 앞쪽에 가까운면)과 동일면 상에 위치되고, 이는 결국 지면과 수직방향의 옹벽이 축조됨을 의미하는 것이다.(수직축조)
또한, 돌출요부(115,131)가 일정한 거리로 후면부 뒤쪽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일면(후면부 뒤쪽에 가까운면)과 절개요부(117,118,133)의 일면(몸통부 앞쪽에 가까운면)보다 항상 후방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이는 결국 지면과 일정각도를 갖는 옹벽이 축조됨을 의미한다.
또한, 옹벽용 블록(100)의 돌출요부(115,131)을 축으로 상부 옹벽용 블록(100)이 직선으로 놓이거나 회전하여 놓임으로써 상황에 따라 직선 옹벽이나 곡선 형태의 옹벽을 축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에 의하면 상,하층의 옹벽용 블록을 서로 연결하여 지지하는 2개의 돌출요부의 두께가 종래의 제1,2핀의 두께 또는 부피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2개의 돌출요부와 옹벽용 블록 상호간의 면적이 종래에 비해 크게 향상됨으로써, 결국 상,하 옹벽용 블록 사이의 결합력 및 지지력을 대폭 향상시키고, 이는 결국 상기 옹벽용 블록을 이용한 옹벽은 토사의 흘러내리려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강함을 의미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은 상, 하 축조 작업시 하부의 옹벽 블록 즉, 하부의 옹벽용 블록 및 그 옹벽용 블록에 돌출요부의 위치 파악이 용이함으로써, 상기 옹벽용 블록 및 돌출요부 상에 다른 옹벽용 블록을 적층하는 작업이 종래에 비해 월등히 쉬어지고, 따라서 그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또한, 부가적으로 수직 방향의 옹벽은 물론 일정각도 경사진 옹벽의 축조작업도 쉬어지고 그 작업시간이 단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비록 상기의 실시예에 한하여 설명하였지만 여기 예만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범주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된 실시예도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고안에 의한 옹벽용 블록에 의하면 2개의 돌출요부의 두께가 크고, 또한 옹벽용 블록과 돌출요부 상호간의 결합 면적이 커서 축조되는 옹벽 블록 상호간의 결합력 및 지지력이 증가하여 토사의 흘러내리려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큰 옹벽을 축조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하부의 옹벽용 블록 및 상기 옹벽용 블록들을 상, 하로 연결하여 고정하는 돌출요부의 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써, 옹벽용 블록의 상,하 축조 작업 및 경사진 옹벽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몸통부화 후면부가 중앙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옹벽용 블록에 있어서, 하부 블록의 몸통부의 상면과 후면부 상면에 가로로 길게 일정한 크기로 돌출되어 이 돌출된 부분과 상부 블록과 지지되는 상부 블록의 몸통부 하면과 후면부 하면에 가로로 길게 양측면까지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8
    " 모양으로 절개된 형태를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와 후면부의 돌출요부는 상면의 가로 방향으로 서로 일정거리와 일정높이의 사각형 형태로 사각육면체로 형성되며, 중앙부의 마름모 또는 삼각 형태는 관통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몸통부와 후면부 하면의 가로 길게 양측면까지 "
    Figure 112006505698676-utm00009
    "의 형태로 절개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용 블록.
KR2020060019297U 2006-07-18 2006-07-18 옹벽용 블록 KR20042781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297U KR200427818Y1 (ko) 2006-07-18 2006-07-18 옹벽용 블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9297U KR200427818Y1 (ko) 2006-07-18 2006-07-18 옹벽용 블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818Y1 true KR200427818Y1 (ko) 2006-09-29

Family

ID=41776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9297U KR200427818Y1 (ko) 2006-07-18 2006-07-18 옹벽용 블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81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98B1 (ko) * 2009-03-26 2011-12-12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식생공간 조절형 옹벽 축조용 블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9798B1 (ko) * 2009-03-26 2011-12-12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식생공간 조절형 옹벽 축조용 블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27460B (en) Retaining wall block
CA2412591C (en)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setback locator therefor
KR100683972B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MX2010006059A (es) Bloque de concreto para pared, paredes que tienen tales bloques, y metodos.
KR101032968B1 (ko) 보강토블록
KR200393052Y1 (ko) 조적식 옹벽 축조용 블럭
KR200427818Y1 (ko) 옹벽용 블록
KR200427819Y1 (ko) 옹벽용 블록
KR200430021Y1 (ko) 옹벽용 블록
KR200339448Y1 (ko) 보강토 옹벽용 블록
KR200354134Y1 (ko) 블록식 보강토 옹벽
BR112021006568A2 (pt) forma permanente para formar estruturas de concreto
KR200268761Y1 (ko) 옹벽용 블록
KR200268762Y1 (ko) 옹벽용 블록
KR20020002225A (ko) 블록 옹벽 구조물 및 블록 옹벽 구조물용 결합핀
JP2011032688A (ja) 壁体構築用ブロック
KR20010039040A (ko) 조립식 옹벽 블록
KR100574830B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옹벽 시공방법
KR200352266Y1 (ko) 용벽용 블록 및 그 조립체
JP6984877B2 (ja) 根入れブロック
KR200396206Y1 (ko) 축조블럭
KR200374655Y1 (ko) 식생 녹화용 옹벽블록
KR200291341Y1 (ko) 결합 기능을 부여한 옹벽블록
JP4194185B2 (ja) 護岸ブロック
JPH11181803A (ja) 擁壁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及びそのブロックによる擁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