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7168Y1 - 유아용 겉싸개 - Google Patents

유아용 겉싸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7168Y1
KR200427168Y1 KR2020060018111U KR20060018111U KR200427168Y1 KR 200427168 Y1 KR200427168 Y1 KR 200427168Y1 KR 2020060018111 U KR2020060018111 U KR 2020060018111U KR 20060018111 U KR20060018111 U KR 20060018111U KR 200427168 Y1 KR200427168 Y1 KR 20042716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ant
neck
round
head
out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1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미선
Original Assignee
백미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17757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427168(Y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미선 filed Critical 백미선
Priority to KR20200600181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716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716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716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Undergarments, Swaddling Clothes, Handkerchiefs Or Underwea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아의 다리부위, 팔부위 및 몸체부위가 수용되는 몸체수용부; 상기 몸체수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아의 목 부위에 밀착되는 라운드부위를 가지는 머리수용부; 및 상기 라운드부위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아의 목 부위에 탈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겉싸개가 제공된다.
겉싸개, 보낭

Description

유아용 겉싸개{Outer covering clothes for baby}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겉싸개를 나타낸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유아용 겉싸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몸체수용부 120 : 머리수용부
130 : 착용부
본 고안은 유아용 겉싸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아에게 간편하게 착용되고 목 부위가 탄력적으로 조여지도록 하여 보온성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 겉싸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용 겉싸개는 외출시 또는 실내에서 아기의 보온을 위하여 필요하며, 외출시에는 보낭으로서, 실내에서는 이불의 기능을 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아용 겉싸개는, 착용자의 옷이 얇아야 사용하기가 편하기 때문에 추운 경울에 두터운 외투를 입고 이불이나 멜빵 등의 유아 운반도구를 이용 하기에는 매우 큰 불편이 초래하게 된다. 따라서 추운 겨울에 유아를 안거나 업고 외출하는 경우, 엄마 또는 유아의 보호자는 가벼운 옷차림으로 상기 유아 운반도구를 착용하고 유아를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큰 외투나 담요 등으로 유아를 감싸는 것을 흔히 목격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복장으로는 집에서 가까운 곳에 잠깐 외출할 수는 있으나 먼 거리나 격식이 필요한 장소에는 외출이 꺼려지게 마련이다. 특히, 6개월 이상의 유아의 경우 유아의 머리 전체를 외투나 담요로 덮고 외출하는 경우 유아는 답답하여 머리를 밖으로 빼고 싶어 하는 경우가 많아 유아를 업고 외출하는 보호자를 더욱 힘들게 하는 경우가 흔하다.
또한 숄이나 망토 등으로 유아를 감싸고 외출하는 경우 상기 숄이나 망토는 주로 겨울철 여성의 패션에 중점을 둔 제품이어서 안거나 업고 있는 유아와 보호자를 감싸는 경우 앞이나 뒤로 찬바람이 스며들어 유아와 보호자 모두 추위에 고생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유아에게 간편하게 착용되며 보온과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아용 겉싸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아의 다리부위, 팔부위 및 몸체부위가 수용되는 몸체수용부; 상기 몸체수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아의 목 부위에 밀착되는 라운드부위를 가지는 머리수용부; 및 상기 라운드부위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아의 목 부위에 탈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는 유아용 겉싸개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라운드부위가 탄력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라운드부위의 내부에 구비된 조절밴드와 상기 조절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유아의 목부위 또는 가슴부위에 상호간 체결되는 암/수 체결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수용부와 머리수용부의 내부는 양모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겉싸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아용 겉싸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겉싸개는, 유아의 머리부위를 제외한 신체를 수용하는 몸체수용부(110), 몸체수용부(110)에 일체로 형성되며 유아의 머리부위가 수용되는 머리수용부(120) 및 몸체수용부(110)와 머리수용부(120)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유아의 목부위 또는 가슴부위에 상기 겉싸개가 간편하게 탈착되도록 하는 착용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수용부(110)와 머리수용부(120)의 내부는 양모로 구성되어 겉싸개의 무게를 가볍게 하고 보온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양모는, 더위는 막아주고 추위로부터 유아의 몸을 따뜻하게 보호하도록 60 % 이상의 공기가 함유된 천연의 크림프를 가지며, 상기 크림프의 공기로 하여금 열기 를 차단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수용부(110)는, 유아의 다리부위, 팔부위 및 몸체부위까지 감싸지도록 수용할 수 있는 넓은 포로 이루어진 덮개포이다.
따라서 보호자의 등에 업힌 신생아부터 5세 정도 유아에 대하여 유아의 신체 크기에 관계없이 몸체수용부(110)에 유아의 몸체부위가 수용될 수 있다.
머리수용부(120)는, 유아의 머리부위가 감싸지도록 수용되는 덮개포이고, 유아의 목부위에 밀착될 수 있도록 라운드 형성된 라운드부위(R)를 포함한다.
착용부(130)는, 상기 머리수용부(120)의 라운드부위(R)가 간편하게 탄력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라운드부위(R)의 내부에 구비된 조절밴드(131), 조절밴드(131)의 양단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벨트 등을 통해 고정되어 조절밴드(131)의 길이를 조절하고 유아의 가슴이나 목 부위에 상기 겉싸개가 착용되도록 하는 착용구(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조절밴드(131)는 머리수용부(120)에 유아의 머리부위 수용시 수용공간을 통해 찬바람이 몸체수용부(1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라운드부위(R)의 착용성을 향상시키도록 일정한 복원력을 가지도록 신장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착용구(132)는, 상기 벨트 일단에 연결되어 암/수 탈착 결합되는 탈착벨트 또는 상기 벨트 일단에 연결된 단추와 상기 벨트 타단에 연결되어 상기 단추가 끼워져 체결되도록 하는 단추홀 또는 상기 벨트의 일단에 연결된 부직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조절밴드(131)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구(미도시)를 선택적으로 더 구비하여도 좋다.
따라서 머리수용부(120)의 라운드부위(R)가 조절밴드(131)에 의해 탄력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지기 때문에, 유아의 신체 크기에 관계없이 머리수용부(120)에 유아의 머리부위가 수용될 수 있으며 머리수용부(120)의 라운드부위(R)를 통해 찬 바람이 스미는 것을 차단하여 완벽한 방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가슴이나 목 부위에 착용구(132)를 통해 고정되기 때문에 착용감이 향상되어 유아로부터 상기 겉싸개가 벗겨지거나 흘러내려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르면, 유아와 보호자가 직접 착용하는 망토 방식 대신에 유아의 몸체와 머리 부위가 각각 수용되고 유아의 목 부위에 직접 착용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수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엄마 또는 유아의 보호자가 가벼운 옷차림으로 유아 운반도구를 착용하고 유아를 업거나 안은 후 유아를 추위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큰 외투나 담요 등으로 유아를 감싸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유아의 목 부위에 밀착되는 머리수용부의 라운드부위가 조절부재에 의해 탄력적으로 조여지거나 풀어지기 때문에, 상기 라운드부위를 통해 찬 바람이 스미는 것을 차단하여 완벽한 방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 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유아의 몸체와 머리 부위가 각각 수용되고 유아의 목 부위에 밀착되도록 하는 조절밴드가 구비된 라운드부위가 형성되어 상기 라운드부위의 조절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유아의 수용을 보다 간편하게 할 수 있고 착용감을 향상시키며 라운드부위를 통해 찬 바람이 스미는 것을 차단하여 보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아의 목 부위에 착용부재를 통하여 탈착가능하게 함으로써, 보호자와 유아가 함께 착용해야 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Claims (4)

  1. 유아의 다리부위, 팔부위 및 몸체부위가 수용되는 몸체수용부;
    상기 몸체수용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유아의 목 부위에 밀착되는 라운드부위를 가지는 머리수용부; 및
    상기 라운드부위의 양단에 구비되어 상기 유아의 목 부위에 탈착되는 착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겉싸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용부는 상기 라운드부위가 탄력적으로 조절되도록 상기 라운드부위의 내부에 구비된 조절밴드와 상기 조절밴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겉싸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재는 상기 유아의 목부위 또는 가슴부위에 상호간 체결되는 암/수 체결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겉싸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수용부와 머리수용부의 내부는 양모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용 겉싸개.
KR2020060018111U 2006-07-04 2006-07-04 유아용 겉싸개 KR20042716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11U KR200427168Y1 (ko) 2006-07-04 2006-07-04 유아용 겉싸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11U KR200427168Y1 (ko) 2006-07-04 2006-07-04 유아용 겉싸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7168Y1 true KR200427168Y1 (ko) 2006-09-20

Family

ID=41775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111U KR200427168Y1 (ko) 2006-07-04 2006-07-04 유아용 겉싸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716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02Y1 (ko) * 2013-03-05 2014-02-13 김원일 겉싸개 고정용 밴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302Y1 (ko) * 2013-03-05 2014-02-13 김원일 겉싸개 고정용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85482A1 (en) Articles of apparel with retractable protective elements
US20120066812A1 (en) Combination garment including hat, scarf and gloves
US20120266350A1 (en) Universal rain and cool weather carrier cover
US20060000004A1 (en) Transformable garment
US20070277280A1 (en) Baby bib with protective neckline
KR200427168Y1 (ko) 유아용 겉싸개
KR200436378Y1 (ko) 애완동물용 기능성의류
KR20130003771U (ko) 아기띠용 보온덮개
KR102056465B1 (ko) 유아용 워머
KR200473837Y1 (ko) 허리 보호용 아기 포대기
KR200448562Y1 (ko) 아기 덮개용 재킷
KR20100005739U (ko) 유아용 망토
KR100982862B1 (ko) 탈부착이 가능한 보온장갑
KR200480036Y1 (ko) 아기캐리어 커버
KR200421775Y1 (ko) 모자를 내장한 탈착식 목도리
KR200181993Y1 (ko) 보호커버가 구비된 아기멜빵
KR200474023Y1 (ko) 다용도 보온부재
CN216453459U (zh) 一种儿童防护服装
CN213486962U (zh) 一种保健型羽绒服
JP3116291U (ja) 首巻き
KR200448290Y1 (ko) 유아 커버용 망토
CN211631840U (zh) 一款多功能性防风挡雨遮阳外套
KR20110006836U (ko) 두건으로도 사용가능한 유아용 턱받이
KR200406610Y1 (ko) 다용도 보온 덮개
JP3127119U (ja) ネックウエア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90204

Effective date: 20090630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81226

Effective date: 20090630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090805

Effective date: 201001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