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62Y1 - 아기 덮개용 재킷 - Google Patents

아기 덮개용 재킷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62Y1
KR200448562Y1 KR2020090012714U KR20090012714U KR200448562Y1 KR 200448562 Y1 KR200448562 Y1 KR 200448562Y1 KR 2020090012714 U KR2020090012714 U KR 2020090012714U KR 20090012714 U KR20090012714 U KR 20090012714U KR 200448562 Y1 KR200448562 Y1 KR 2004485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by
jacket
cover
open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71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종일
Original Assignee
유종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종일 filed Critical 유종일
Priority to KR202009001271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BSHIRTS; UNDERWEAR; BABY LINEN; HANDKERCHIEFS
    • A41B13/00Baby linen
    • A41B13/06Slip-in bags; Swaddling clot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47D13/025Baby-carriers; Carry-cots for carrying children in seated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48Carrying facilities
    • A41D2400/482Carrying facilities for bab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아기 띠 등을 통해 보호자에 업히거나 안겨 있는 아기를 보온하기 위해 외부에 덧입는 아기 덮개용 재킷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한 예에 따른 아기 덮개용 재킷은, 안기거나 업힌 아기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재킷의 한쪽 면에 덮개부가 여유있게 형성되고, 용이한 착용을 위해 상기 재킷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제1 여닫이 수단을 구비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단에는 아기 머리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덮개부는 아기 및 착용자의 체구에 따라 덮는 공간을 유연하게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 그 일부가 탄력 소재가 부가된 주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한, 보온, 아기, 덮개, 재킷

Description

아기 덮개용 재킷{jacket for covering baby on one's back}
본 고안은 아기 띠 등을 통해 보호자에 업히거나 안겨 있는 아기를 보온하기 위해 외부에 덧입는 아기 덮개용 재킷에 관한 것이다.
아기를 손쉽게 가슴에 안거나 등에 업기 위한 전통적인 수단으로 포대기나 아기 띠 등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포대기는 아기를 가슴 부위에 안기에는 적합하지 않고 아기를 등에 고정시기기 위해 포대기 끈을 체결하는 방식이 매우 번거로울 뿐더러 아기를 고정한 이후에 쉽게 느슨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차츰 버클 체결 방식의 아기 띠로 사용 추세가 늘어가고 있다.
아기 띠는 아기 띠 내부의 엉덩이 받침 양쪽으로 아기를 가랑이를 통과시키고 아기 띠를 어깨에 맨 후 반대편의 버클을 체결하기만 하면 되는 구조이므로 착용의 편의성과 튼튼한 고정성으로 인해 대부분의 부모들이 이용하는 일반적인 육아용품이 되고 있다.
그러나, 아기 띠는 아기의 엉덩이 부위를 바치고 및 등 부위를 고정할 뿐이므로 아이의 팔 다리와 머리는 그대로 외부에 노출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동절기에는 아기 띠의 착용을 꺼려하게 되고, 착용하더라도 보호자의 외투 로 아기 띠로 업혀 있는 아이를 불완전하게 덮고 외출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아기 띠로 안거나 업은 아기의 머리만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나머지 부위를 덮기 위한 방한용 망토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방한용 망토는 단순히 보호자의 어깨와 아기를 덮을 뿐이므로 망토의 하단에 개방된 부위로 침입하는 한기를 차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벨트 등을 이용하여 망토의 하단을 조임으로써 외기를 차단하려 하여도 망토의 착용으로 보호자의 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는 추가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업힌 아기의 방한을 위한 다른 제안으로 아기의 체구만큼 앞섬을 가변하여 확장할 수 있는 외투가 제안되기도 하였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외부에 노출되는 아기의 머리 부위는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과 함께 보호자 및 아기의 체구는 감안하지 않고 획일적으로 확장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어 방한 수단으로 널리 이용되지는 못하고 있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호자가 두 팔을 자유롭게 사용하면서 아기를 보온할 수 있는 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아기의 체구나 보호자의 가슴둘레에 상관없이 유연하게 아기를 덮을 수 있는 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아기를 업은 상태에서도 착용이 용이한 방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양태는, 안기거나 업힌 아기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소매가 없는 재킷 본체의 한쪽 전면에 덮개부가 여유있게 형성되고, 용이한 착용을 위해 상기 재킷 본체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제1 여닫이 수단을 구비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단부에는 아기 머리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은 아기를 덮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주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재킷 본체에서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과 재봉되는 부위 역시 주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방한 수단은 재킷 형태로 구성되므로 업힌 아기를 덮어 충분히 보온하면서도 착용자의 양팔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재킷을 착용한 보호자는 아기를 업거나 안고 외출할 때 아이를 찬바람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양팔을 시장 바구니나 기타 물건을 드는 데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방한 수단은 신체에 옷처럼 착용하는 방식이므로 종래의 망토형 방한 수단에 비해 착용자의 겨드랑이 이하를 충실하게 보온할 수 있고, 아기가 하부에서 유입되는 외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재킷 하단의 조임 수단으로 하부의 유입 외기를 보다 철저하게 차단하는 한편 차단된 내부 공기가 덮개부의 주름 형성 부위를 중심으로 보온층을 형성하므로 방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재킷의 한쪽 또는 양쪽 측면을 개방할 수 있으므로 아기를 안거나 업은 상황에서 혼자서도 신속하고 용이하게 재킷을 착용할 수 있다.
아울러 재킷의 덮개부가 보호자 및 아기의 체구에 따라 유연하게 늘어나거나 줄어드므로 유려한 착용감을 제공하며, 전후면의 구별 없이 착용할 수 있으므로 아기를 앞으로 안든지 뒤로 업는지에 상관없이 유려한 옷맵시를 제공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 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재킷의 본체라 함은 통상의 재킷 구성에서 본 고안에서 제안하는 덮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가리킨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보호자라 함은 아기 띠, 슬링, 포대기 등을 이용하여 아기를 안거나 업고 있는 자로서, 안기거나 업힌 아기 위에 본 고안의 재킷을 착용하는 당사자를 가리킨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덮개용 재킷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a의 실시예에서, 아기 덮개용 재킷(100)은 보호자에게 안기거나 업혀있는 아기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재킷의 한쪽 전면에 덮개부(10)가 여유있게 형성되고, 재킷(100)을 용이하게 착용할 수 있도록 재킷(100)의 적어도 한 측면에는 개폐부(20)가 형성되어 있으며, 덮개부(10)의 상단부에는 아기 머리 배출구(11)가 구비된다. 여기서 개폐부(20)에는 제1 여닫이 수단(21)이 구비되며, 제1 여닫이 수단(21)으로는 지퍼, 똑딱이형 단추, 일반형 단추, 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디자인 단계에서, 덮개부(10)는 아기를 충분히 감쌀 수 있도록 재킷(100)의 반대면(덮개부(10)가 형성되는 재킷 전면의 반대면)에 비해서 여유로운 길이로 마 름질되고, 이후 재봉시에는 덮개부(10)의 끝단이 반대면의 끝단과 일치되도록 재킷(100) 본체에 재봉된다. 이때, 덮개부(10)의 양 측면의 마름질 형상에 따라 재킷 본체(100)에 직선형으로 재봉될 수도 있고 타원형으로 재봉될 수도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덮개부(10)가 재킷(100) 본체에 타원형으로 재봉된 경우를 도시하고 있다.
도 1a에서 보듯, 덮개부(10)와 재킷(100) 본체가 재봉되는 라인(이를 재봉 라인이라 한다)의 덮개부(10) 측은 덮개부(10)의 여유 길이(재킷의 반대면에 비해 긴 길이)로 인해 주름 부위(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주름 부위(12)로 인해 덮개부(10)는 아기가 차지하는 체적만큼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자인 단계에서, 상기 재봉 라인의 덮개부(10)와 재봉되는 재킷(100) 본체의 양 측면 역시 덮개부(10)의 여유 길이에 상응하도록 여유로운 길이로 마름질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재봉 라인의 덮개부(10) 측과 재킷(100) 본체 측 모두에 주름이 형성된다. 도 1b는 재봉 라인을 중심으로 양측 모두에 주름이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덮개부(10)와 재킷 본체는 그 중간에 고무줄이나 스판 등의 탄력 소재가 사용된 재봉 라인 부재(도면에 미도시)가 더 부가된 채로 재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아기의 체구에 따라 커버 공간을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서, 큰 체구의 아기라면 상기 재봉 라인 부재의 탄력 소재가 상대적으로 많이 늘어나 덮개부(10)의 커버 공간이 넓어지고, 왜소한 아기의 경우에는 상기 탄력 소재가 상대적으로 적게 늘어나면서 덮개부(10)의 여분의 공간 역시 자연스레 줄어드므로, 아기의 체구나 보호자의 가슴둘레 크기에 상관없이 최적의 착용감과 옷맵시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아기는 업히거나 안긴 상태에서 마냥 고정된 상태로만 있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는 움직일 공간이 필요한데, 덮개부(10)가 고정된 사이즈로 타이트하게 디자인되면 아이가 답답함을 느낄 수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주름 부위(12)를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함께 해결할 수도 있다.
한편, 재킷(100)의 착용자 머리 배출구(30)에는 선택적으로 옷깃부(3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옷깃부(31)의 목적 중 하나는 착용자의 목 부위를 보온하는 것이므로 착용자의 목을 충분히 가릴 수 있는 폴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통상의 옷깃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본 실시예의 재킷(100)에서 덮개부(10)가 형성된 앞섬과 그 반대면의 뒷섬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 부위는 소정의 깊이로 절개될 수 있으며, 해당 절개 부위(40)의 좌우에는 제2 여닫이 수단(41)이 부가될 수 있다. 여기서, 재킷(100)에 옷깃부(31)가 형성되는 경우라면 상기 절개 부위(40)는 옷깃부(31)까지 확장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섬 및 뒷섬 모두에 절개 부위(40)가 형성되는 실시예에서, 착용자는 재킷(100)의 덮개부(10)가 앞으로 가도록 착용할 수도 있고 그 반대의 방향으로 착용할 수도 있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재킷을 앞으로 착용한 경우와 뒤로 착용한 경우의 착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에서 보듯, 재킷(100)을 착용한 방향의 절개 부위(40)를 일부 개방함으 로써 목 부위의 답답함을 해소하는 동시에 옷깃 형태의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또한 도 2b에서 보듯, 재킷(100)을 뒤로 착용한 경우에는 절개 부위(40)을 완전히 봉합함으로써 재킷(100)의 뒷모습으로서 자연스러운 스타일을 연출할 수 있다. 도 2b에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착용자는 앞 방향의 절개 부위(40)를 일부 개방함으로써 도 2a에서의 효과를 동일하게 누릴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재킷(100)의 측면 하단에는 덮개부(10) 방향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손 포켓(15)이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부(10)의 중간 부위에는 보조 포켓(16)이 구비될 수 있다.
절개 부위(40)에 부착된 제2 여닫이 수단(41)으로 지퍼, 똑딱이형 단추, 일반형 단추, 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앞섬 및 뒷섬 모두에 절개 부위(40)가 형성되는 실시예에서는 앞섬과 뒷섬의 여닫이 수단을 동일하게 가져갈 수도 있지만 이들을 서로 다른 종류로 채택함으로써 어떠한 방향으로 착용하더라도 유려한 패션 스타일이 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고하면, 도 1a 및 도 1b의 전면 절개 부위(40)에는 제2 여닫이 수단(41)으로 지퍼가 사용되고 있고 도 1c의 후면 절개 부위(40)에는 제2 여닫이 수단(41)으로 똑닥이형 단추가 사용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한편, 덮개부(10)의 아기 머리 배출구(11)에는 아기의 머리 부위를 보온하기 위한 후드(14)가 더 부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덮개부(10)에 후드(14)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에서 보듯, 아기 머리 배출구(11)에는 아기의 목 부위를 보온하기 위한 폴라부(13)가 선택적으로 더 형성될 수 있는데, 그러한 경우 상기 후드(14)는 단순히 폴라부(13) 내부의 바깥쪽 하단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폴라부(13)의 내부 공간에 수납 가능하도록 부착될 수도 있다. 즉, 폴라부(13)의 안감과 겉감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고 겉감 내부의 바깥쪽 하단에 후드(14)를 부착하며, 폴라부(13)의 안감에 장착된 지퍼, 벨크로 등의 제3 여닫이 수단(도면에 미도시)을 이용하여 후드(14)를 수납하거나 배출한다.
도 4에서 보듯, 아기 머리 배출구(11)에 폴라부(13)와 같은 별다른 보온 수단이 구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아기 머리 배출구(11)의 하단 부위에 곧바로 후드(14)가 부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재킷(100)의 하단부에는 하부로부터 유입되는 외기를 막기 위한 조임 수단(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조임 수단(50)은 가는 로프, 고무줄 등의 선재(線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여기에 조임 수단(50)의 조여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스토퍼 등의 조임 고정 수단(도면에 미도시)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고안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고안에 따른 아기 덮개용 재킷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a 및 도 2b는 각각 본 고안의 재킷을 앞으로 착용한 경우와 뒤로 착용한 경우의 착용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재킷의 덮개부에 후드가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아기 덮개용 재킷(100) 덮개부(10)
아기 머리 배출구(11) 주름 부위(12)
아기 머리 배출구의 폴라부(13) 후드(14)
손 포켓(15) 보조 포켓(16)
개폐부(20) 제1 여닫이 수단(21)
착용자 머리 배출구(30) 옷깃부(31)
절개 부위(40) 제2 여닫이 수단(41)
조임 수단(50)

Claims (9)

  1. 안기거나 업힌 아기를 충분히 덮을 수 있도록 소매가 없는 재킷 본체의 한쪽 전면에 덮개부가 여유있게 형성되고,
    용이한 착용을 위해 상기 재킷 본체의 적어도 한 측면에 제1 여닫이 수단을 구비하는 개폐부가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단부에는 아기 머리 배출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은 아기를 덮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주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 본체에서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과 재봉되는 부위는 주름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재킷 본체와 상기 덮개부의 양 측면은 탄력 소재의 재봉 라인 부재가 부가되어 재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의 앞섬 및 뒷섬 중 적어도 하나의 상단 부위는 소정의 깊이로 절개되어 있으며, 상기 절개 부위의 좌우에는 제2 여닫이 수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닫이 수단 및 제2 여닫이 수단으로 지퍼, 버튼, 단추, 벨크로 중 어느 하나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의 착용자 머리 배출구에는 착용자의 목 부위를 보온하기 위한 옷깃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옷깃부까지 포함하여 상기 절개 부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아기 머리 배출구에는 아기의 머리를 보온하는 후드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아기 머리 배출구에는 아기의 목 부위를 보온하기 위한 폴라부가 더 형 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드는 상기 폴라부에 수납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킷의 하단부에는 하부로부터의 외기를 막기 위한 조임 수단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기 덮개용 재킷.
KR2020090012714U 2009-09-28 2009-09-28 아기 덮개용 재킷 KR2004485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14U KR200448562Y1 (ko) 2009-09-28 2009-09-28 아기 덮개용 재킷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714U KR200448562Y1 (ko) 2009-09-28 2009-09-28 아기 덮개용 재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562Y1 true KR200448562Y1 (ko) 2010-04-22

Family

ID=44237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714U KR200448562Y1 (ko) 2009-09-28 2009-09-28 아기 덮개용 재킷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6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3259A1 (en) * 2016-05-25 2017-11-30 Birmingham City University Garment
KR200490865Y1 (ko) * 2019-06-25 2020-01-14 이경헌 아기띠 집업재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045Y1 (ko) 2000-01-21 2000-07-15 전영석 의류용 착탈식 보조칼라
JP2001288606A (ja) * 2000-03-29 2001-10-19 William T Wilkinson エネルギ消費衣類
KR200345164Y1 (ko) * 2003-12-09 2004-03-16 김강순 조끼형 아기 포대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89045Y1 (ko) 2000-01-21 2000-07-15 전영석 의류용 착탈식 보조칼라
JP2001288606A (ja) * 2000-03-29 2001-10-19 William T Wilkinson エネルギ消費衣類
KR200345164Y1 (ko) * 2003-12-09 2004-03-16 김강순 조끼형 아기 포대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203259A1 (en) * 2016-05-25 2017-11-30 Birmingham City University Garment
KR200490865Y1 (ko) * 2019-06-25 2020-01-14 이경헌 아기띠 집업재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21873B1 (en) Hoodie with face mask
US20120066812A1 (en) Combination garment including hat, scarf and gloves
US20110004971A1 (en) Combination hood and scarf garment
US20140096305A1 (en) Convertible head and face covering
US20110225699A1 (en) Hooded garment
US20090019621A1 (en) Child Carrier Cover
US6859942B1 (en) Protective poncho type outer garment
US5101514A (en) Article of clothing
KR200448562Y1 (ko) 아기 덮개용 재킷
KR101448939B1 (ko) 전신우의
KR200491107Y1 (ko) 외투형 워머
KR102056465B1 (ko) 유아용 워머
KR200480036Y1 (ko) 아기캐리어 커버
KR200421775Y1 (ko) 모자를 내장한 탈착식 목도리
KR200181994Y1 (ko) 아기띠를 내장한 외투
US20170258148A1 (en) Cape deployable from a wearable pouch
KR200427168Y1 (ko) 유아용 겉싸개
JP2002173808A (ja) 防水衣料
JP6498490B2 (ja) 日焼け防止用上着
KR200491609Y1 (ko) 귀 보온 부분을 가진 후드
RU2176897C1 (ru) Защитная одежда пчеловодов
KR200406610Y1 (ko) 다용도 보온 덮개
KR200376123Y1 (ko) 방한용 후드형 망토
JP2001020111A (ja) 上 衣
KR200365402Y1 (ko) 분리형 등산 우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