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989Y1 -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 Google Patents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989Y1
KR200426989Y1 KR2020060017971U KR20060017971U KR200426989Y1 KR 200426989 Y1 KR200426989 Y1 KR 200426989Y1 KR 2020060017971 U KR2020060017971 U KR 2020060017971U KR 20060017971 U KR20060017971 U KR 20060017971U KR 200426989 Y1 KR200426989 Y1 KR 2004269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ve layer
glass beads
speed bump
transparent glas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9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용순
Original Assignee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도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도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79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98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9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98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29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specially adapted for signalling by sound or vibrations, e.g. rumble strips; specially adapted for enforcing reduced speed, e.g. speed bump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12Reflex reflectors
    • G02B5/126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 G02B5/128Reflex reflectors including curved refracting surface transparent spheres being embedded in matr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나 주차장 등에 설치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여 감속 운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고안은, 우천시 반사층에 수막이나 물방울이 맺힌 경우에도, 상기 빛의 굴절률이 상이한 글라스 비즈들에 의해 상호 보완될 수 있어 주,야간은 물론, 우천시에도 과속방지턱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과속방지턱의 반사층이 일부 훼손되더라도 그 야간 시인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과속방지턱의 유지 보수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한 것이다.
반사층, 하부층, 글라스 비즈, 과속방지턱

Description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Built-up type speed bump that power of discernment improves}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로 투명한 글라스 비즈로 이루어진 반사층이 형성된 과속방지턱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로 이루어진 반사층이 형성된 과속방지턱의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 투명한 글라스 비즈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가 혼합된 반사층을 형성한 과속방지턱의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 반사층을 다층 구조로 형성한 과속방지턱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평면부 20: 곡면부
30; 하부층 40: 반사층
41; 투명한 글라스 비즈 42: 알루미늄증착 글라스 비즈
본 고안은 도로나 주차장 등의 바닥면에 설치되어 시인성을 높인 조립식 과속 방지턱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주,야간은 물론 우천시에도 시인성을 높인 조립식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도로나 주차장 등의 바닥면에는 차량의 과속을 방지하도록 설치가 간편한 조립식의 과속방지턱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조립식 과속방지턱에는 야간 시인성 확보를 위해 표면에 반사지를 부착하거나, 또는 과속방지턱 자체를 반사가 가능한 플라스틱 반사체로 구성하거나, 또는 과속방지턱의 주변에 대구경 유리알 등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반사지의 경우에는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통과하는 주행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 타이어와의 접촉으로부터 쉽게 훼손되거나 탈색 및 부식 현상이 초래되면서 그 반사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플라스틱 반사체로 과속 방지턱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타이어와의 반복적인 접촉으로 인해 과속 방지턱의 형상이 훼손되는 문제가 있고, 상기 과속방지턱의 주변에 대구경 유리알을 설치하는 경우는 그 대구경 유리알의 설치로부터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한편, 상기 반사지와 플라스틱 반사체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 이외에, 우천시 그 시인성이 극히 낮아지는 문제점도 있다.
즉, 우천으로 인해 과속방지턱의 표면에 수막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와 같은 수막으로 인해 반사지와 플라스틱 반사체의 반사 성능이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였으며, 이에따라 종래에는 야간에 비가 내리는 경우 운전자가 과속 방지턱을 제대로 식별하지 못하게 되면서 과속하는 경우가 종종 있고, 이는 보행자의 인명피해를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오랜기간동안 훼손이 방지되면서 주,야간은 물론 우천시에도 과속 방지턱의 시인성 확보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식 과속 방지턱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 시인성이 개선된 과속 방지턱은,
평면부와 곡면부, 그리고 상기 평면부와 곡면부를 도로나 주차장의 노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구성하고,
상기 과속방지턱의 평면부와 곡면부의 표면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문양을 가진 고무와 수지를 혼합시킨 하부층을 도포하여 형성하며,
상기 하부층의 위로는 우천시에도 일정한 굴절율로 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도포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하부층은 합성고무(SBR; Styrene Butadiene Rubber)와 우레탄 계열의 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하부층은 천연고무와 우레탄 계열의 수지가 혼합 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반사층은 열의 가열로부터 하부층의 내부에 침투되면서 표면에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반사층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 또는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반사층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반사층은 빛의 굴절률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종류의 투명한 글라스 비즈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의 구조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과속방지턱은 평면부(10)와 곡면부(20)가 조립되는 상태에서, 도로나 주차장의 노면에 고정부(미도시)를 통해 고정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평면부(10)와 곡면부(20)의 표면에는 하부층(30) 및 반사층(40)이 도포되어 형성된다.
상기 하부층(30)은 반사층(40)이 과속방지턱의 표면에서 견고한 도포상태를 유지하도록 고무와 수지가 혼합된 것으로, 상기 고무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SBR; Styrene Butadiene Rubber) 이다.
그리고, 상기 수지는 우레탄 계열로서, 이는 부착성이 우수하고, 실온에서 경화 건조가 가능하며, 약간 가열되면 경화가 더욱 빨라진다. 또한, 상기 우레탄 계열의 수지는 도막 경도가 높고, 탄성을 가지며, 내마모성, 내충격성, 내후성 및 내수성 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층(30)에는 충진제, 첨가제 및 경화제 등이 혼합될 수 있으며, 가령 상기 충진제로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상기 첨가제로는 실크린(silcean), 상기 경화제로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polyisocyanurate)를 제시한다.
상기 수지 및 충진제 등은 상술한 것에 한정하지 않고 도료의 특성을 감안하여 다양한 성분들이 적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층(30)은 소정의 색상을 가진 문양(예; 흰색과 노란색이 반복되는 줄무뉘 모양)을 가진 합성고무와 우레탄 계열의 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되거나, 또는 색상을 가진 천연고무와 우레탄 계열의 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된다.
상기 반사층(40)은 우천시에도 일정한 굴절율로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상기 과속방지턱을 이루는 평면부(10)와 곡면부(20)의 야간 식별력을 높이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반사층(40)은 상기 하부층(30)의 위에 열에 의한 가열로 그 도포가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반사층(40)의 일부는 상기 하부층(30)내에 침투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반사층(40)은 도 2에서와 같이, 투명 글라스 비즈(41)를 사용한 것으로, 이는 열의 가열로부터 상기 하부층(30)의 내부에 침투되면서, 상기 하부층(30)의 표면에 도포되는 코팅층이다.
이때, 상기 투명한 글라스 비즈(41)는 미세한 구(求) 형태로 제작되어 어느 방향으로 빛이 입사되더라도 빛의 반사가 일어난다. 상기 투명한 글라스 비즈(41)의 내부에는 입사된 빛을 반사시킬 수 있도록 경면(거울면) 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명한 글라스 비즈(41)는 렌즈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형태의 투명한 글라스 비즈(41)에도 경면 처리를 할 수 있다. 상기 투명한 글라스 비즈(41)는 상술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한 글라스 비즈(41)는 유리 재질로 제작되므로, 내수성, 내알카리성, 내산성, 내약품성, 내용제성 및 내열성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반사층(40)이 소정의 색상을 가진 문양(예; 흰색과 노란색이 반복되는 줄무뉘 모양)이 형성되는 하부층(30) 위에 도포되더라도 상기 도안이 그대로 보이게 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을 첨부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평면부(10)와 곡면부(20)로 이루어진 과속방지턱을 도로 등에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평면부(10)와 곡면부(20)의 표면에 우천으로 비에 젖게 되는 경우, 상기 평면부(10)와 곡면부(20)의 표면에 도포된 반사층(40)의 표면에는 수막이나 물방울이 맺히게 된다.
이때, 자동차의 헤드라이트와 같은 광원이 상기 반사층(40)에 투사되면, 상기 수막이나 물방울에 의해 빛의 굴절률이 변하게 된다.
즉, 상기 평면부(10)와 곡면부(20)의 표면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문양(예; 흰색과 노란색이 반복되는 줄무뉘 모양)이 형성되는 하부층(30)이 도포되고, 상기 하부층(30)에는 투명한 글라스 비즈(41)로 이루어진 반사층(40)이 상기 하부층(30)내에 침투된 상태로 그 표면에 도포되어 있는 바,
상기 수막이나 물방울에 의해 빛의 굴절률이 변하더라도, 상기 투명한 글라스 비즈(41)에 의해 빛의 반사가 보완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반사층(40)을 이루는 투명한 글라스 비즈(41)는 어떠한 각도로 빛을 비추어도 그 광원의 방향으로 빛을 반사한다.
가령,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나 후레쉬 빛을 반사층(40)에 비추면 빛을 비춘 방향으로 되돌아가 광원에 있는 사람이 쉽게 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상기 반사층(40)에서 반사되는 빛의 휘도가 현저히 감소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반사층(40)의 반사성능을 향상시키므로, 상기 과속방지턱에 우천으로 인한 수막이나 물방울이 맺히더라도, 상기 과속방지턱에 대한 야간의 시인성은 한층 향상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을 이루는 평면부(10) 및 곡면부(20)가 교통량이 많은 장소나 주차장의 출입구, 또는 물이 쉽게 스며드는 포장 도로 등의 노면에 시공된 상태에서, 차량 타이어의 뒤틀림에 의해 그 표면에 도포된 반사층(40)이 벗겨지더라도, 상기 반사층(40)의 일부가 하부층(30)으로 침투되어 있는 바,
상기 하부층(30)에 침투된 반사층(40)이 차량의 헤드라이트 빛을 반사하게 되므로, 상기 과속방지턱에 대한 야간의 시인성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하부층(30) 위에 반사층(40)을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반사층(40)을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42)로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42)는 미세한 유리구 형태의 글라스 비즈 외면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킨 것으로, 이러한 알루미늄증착 글라스 비즈(42)는 글라스 비즈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하부층(30) 위에 반사층(40)을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반사층(40)을 투명한 글라스 비즈(41)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42)를 혼합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반사층(40)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41)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42)의 혼합비율을 변화시킴으로써 빛의 반사 휘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상기 투명한 글라스 비즈(41)와 알루미늄증착 글라스 비즈(42)의 혼합비율은 동일하게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2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반사층(40)은 빛의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투명한 글라스 비즈들을 혼합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가령 구 형태의 투명 글라스 비즈와 렌즈 형태의 투명 글라스 비즈를 상기 하부층(30) 위에 도포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제 4 실시예로, 이는 하부층(30) 위에 반사층(40)을 도포하여 형성하되, 상기 반사층(40)을 다층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때, 다층 구조를 가진 반사층(40)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41)가 다층 구조로 도포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42)가 다층 구조로 도포되거나, 또는 투명한 글라스 비즈(41)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42)가 혼합된 반사층을 다층 구조를 도포되거나, 또는 빛의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투명한 글라스 비즈들을 혼합된 반사층을 다층 구조로 도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타이어에 의한 반사층(40)의 마모가 반복되더라도 그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우천시 과속방지턱에 대한 야간 시인성을 보다 향상시키면서 그 시인성의 성능을 장기간 유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제 1,2,3 실시예에서와 그 작용효과가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우천시 반사층에 수막이나 물방울이 맺 힌 경우에도, 상기 빛의 굴절률이 상이한 글라스 비즈들에 의해 상호 보완될 수 있어 주,야간은 물론, 우천시에도 과속방지턱에 대한 시인성을 향상시키고, 과속방지턱의 반사층이 일부 훼손되더라도 그 야간 시인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면서 과속방지턱의 유지 보수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2)

  1. 평면부와 곡면부, 그리고 상기 평면부와 곡면부를 도로나 주차장의 노면에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조립식 과속방지턱을 구성하고,
    상기 과속방지턱의 평면부와 곡면부의 표면에는 소정의 색상을 가진 문양을 가진 고무와 수지를 혼합시킨 하부층을 도포하여 형성하며,
    상기 하부층의 위로는 우천시에도 일정한 굴절율로 반사가 이루어지는 반사층을 도포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위에 도포되는 하부층은 합성고무와 우레탄 계열의 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이 위에 도포되는 하부층은 천연고무와 우레탄 계열의 수지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열의 가열로부터 상기 하부층의 내부에 침투되면서 표면에 도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 또는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빛의 굴절률이 서로 상이한 적어도 2종류의 투명한 글라스 비즈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다층 구조로 그 도포가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가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가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투명한 글라스 비즈와 알루미늄 증착 글라스 비즈가 혼합된 반사층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빛의 굴절률이 서로 다른 적어도 2종류 이상의 투명한 글라스 비즈들을 혼합된 반사층이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KR2020060017971U 2006-07-03 2006-07-03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KR2004269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971U KR200426989Y1 (ko) 2006-07-03 2006-07-03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971U KR200426989Y1 (ko) 2006-07-03 2006-07-03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2075 Division 2006-07-0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989Y1 true KR200426989Y1 (ko) 2006-09-20

Family

ID=41775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971U KR200426989Y1 (ko) 2006-07-03 2006-07-03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989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38973A (zh) * 2010-04-27 2010-09-22 常州大学 震动柔和的道路减速带
KR101011729B1 (ko) * 2007-06-12 2011-01-28 안의식 바이브레이터 및 가이드라인이 부착된 조립식 과속방지턱및 그 설치 방법.
KR20190013336A (ko) * 2017-08-01 2019-02-11 김낙헌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KR20200002099A (ko) 2018-06-29 2020-01-08 박정현 전자유도식 과속방지장치
KR20230093697A (ko)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729B1 (ko) * 2007-06-12 2011-01-28 안의식 바이브레이터 및 가이드라인이 부착된 조립식 과속방지턱및 그 설치 방법.
CN101838973A (zh) * 2010-04-27 2010-09-22 常州大学 震动柔和的道路减速带
KR20190013336A (ko) * 2017-08-01 2019-02-11 김낙헌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KR102005362B1 (ko) * 2017-08-01 2019-07-30 김낙헌 도로표지용 도료조성물
KR20200002099A (ko) 2018-06-29 2020-01-08 박정현 전자유도식 과속방지장치
KR20230093697A (ko) 2021-12-20 2023-06-27 목포대학교산학협력단 험프식 과속방지겸용 횡단보도 및 이의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6989Y1 (ko) 시인성이 개선된 조립형 과속 방지턱
US20110059295A1 (en) Retroreflective pavement marking with improve performance in wet night conditions
US10272831B2 (en) Interior lighting assemblies and units that produce natural and courtesy light patterns
US11204146B2 (en) Lighting device for vehicle having a translucent element with a mask applied to interior surface thereof
KR100935412B1 (ko) 노면요철차선 및 그 시공방법
KR102022505B1 (ko) 글래스 비드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60062965A1 (en) Retroflective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4099403B2 (ja) 自発光視線誘導標
JP4099318B2 (ja) 支柱貼付用反射体
US20200378076A1 (en) Contrast Surface Marking Devices and Systems
KR200419975Y1 (ko) 안전표지물
KR200422450Y1 (ko) 시선 유도봉
JP4235016B2 (ja) 再帰反射体
KR20070087944A (ko) 재귀반사도료 및 안전표지물
KR20070011672A (ko) 식별이 용이한 자동차용 타이어
JPH06299521A (ja) 光線反射材とその製造方法
KR101488304B1 (ko) 빛 반사필름
KR920004781B1 (ko) 자동차용 재귀반사 미러케이스의 제조방법
JP3452534B2 (ja) 路面マーキング
KR200385892Y1 (ko) 도로 시선 유도 표지용 반사체 구조
CN202029638U (zh) 一种改进的可发光汽车轮毂
KR100940492B1 (ko) 도로표지 조성물 및 도로표지물 형성방법
GB2389615A (en) Retroreflective device for use in retroreflective surfaces
CN2474398Y (zh) 防眩配光镜
TWM304544U (en) Luminous reflex road sig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