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654Y1 - 바닥판용 지지대 - Google Patents

바닥판용 지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654Y1
KR200426654Y1 KR2020060017447U KR20060017447U KR200426654Y1 KR 200426654 Y1 KR200426654 Y1 KR 200426654Y1 KR 2020060017447 U KR2020060017447 U KR 2020060017447U KR 20060017447 U KR20060017447 U KR 20060017447U KR 200426654 Y1 KR200426654 Y1 KR 20042665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ylindrical member
support
plate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4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병남
Original Assignee
양병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병남 filed Critical 양병남
Priority to KR20200600174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65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65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65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닥판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당한 간격의 공간을 두고도 상기 바닥판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수의 감소로 그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바닥판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특징적인 구성은 일정 직경을 가지나 상단 둘레의 일부분을 접어 붙임으로써 본래의 직경을 줄여 제2원통부재 끼움공을 형성한 지주관이 중앙에 수직하게 구비된 베이스 기판과,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중앙부 외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상단은 암나사가, 하단은 수나사가 가공형성되어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위치하는 승강용 원통부재와,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의 하단 수나사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며 승강되는 승강용 너트와, 상기 승강용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승강을 제한하는 스토퍼 너트와,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에 끼워져 고정되며 설치되는 바닥판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설치되는 바닥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판과, 상기 미끄럼방지판상에 안착된 바닥판의 일측 코너를 받침대에 견고히 고정하며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의 상단 암나사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닥판, 지지, 간격, 지주관, 직경

Description

바닥판용 지지대{SUPPORTER FOR PLAT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용 지지대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조립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용 지지대의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용 지지대를 예시한 사용상태도,
도 4는 일반적인 바닥판용 지지대를 예시한 분해 조립사시도,
도 5는 일반적인 바닥판용 지지대를 예시한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베이스 기판 11 : 지주관
11a : 제2원통부재 끼움공 20 : 승강용 원통부재
21 : 암나사 22,82 : 수나사
23 : 걸림돌기 30 : 직경줄임관
31 : 제1원통부재 끼움공 40 : 승강용 너트
50 : 스토퍼 너트 51 : 손잡이
60 : 받침대 61 : 원통부재 관통홀
70 : 미끄럼방지판 71 : 돌출구획구
80 : 체결볼트 81 : 육각내경
83 : 플랜지 90 : 바닥판
본 고안은 바닥판용 지지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당한 간격의 공간을 두고도 상기 바닥판을 안전하고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또한 부품수의 감소로 그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설치비용이 저렴한 바닥판용 지지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건물, 오피스텔 등의 건축물 각 층의 바닥판 하부에는 전력 및 통신케이블 등이 설치되기 위하여 건물의 바닥면과 상기 바닥판의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위하여 바닥판용 지지대가 설치된다.
도 4는 일반적인 바닥판용 지지대를 예시한 분해 조립사시도이고, 도 5는 일반적인 바닥판용 지지대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다.
이러한 일반적인 바닥판용 지지대의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면,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 안착될 베이스 기판(10)이 구비되 고, 상기 베이스 기판(10)의 중앙부에는 내부가 중공되고 일정 직경을 가진 지주관(11)이 상기 베이스 기판(10)에 수직하게 구비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중앙부 외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2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23)를 기준으로 상단은 암나사(21)가 가공형성되고, 하단은 수나사(22)가 가공형성된 승강용 원통부재(20)가 상기 지주관(11)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주관(11)의 상단에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를 끼워 결합하기 위해, 상기 지주관(11)의 상단에 끼워져 안착되고 상면에는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가 끼워지도록 상기 지주관(10)의 직경보다 작은 길이의 직경, 즉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직경을 가진 제1원통부재 끼움공(31)이 형성된 직경줄임관(30)이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하단 수나사(22)에는 차례로 승강용 너트(40)및 스토퍼 너트(5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또한, 중앙에 원통부재 관통홀(61)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에 끼워지는 받침대(60)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걸림돌기(23)에 의해 지지고정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받침대(60)의 상부에는 얹혀지는 바닥판(9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70)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미끄럼방지판(70)의 상부면에는 끼워져 돌출된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를 중심점으로 하 여 90°간격으로 돌출구획구(7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판(70) 위에 놓여지는 바닥판(90)의 일측 코너를 받침대(60)와 견고히 고정하도록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상단 암나사(21)에 결합되는 체결볼트(8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볼트(80)는 상부면 중앙에 육각 내경(81)이 형성되면서 그 외경은 원통형으로서 수나사(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기 바닥판(90)의 일측 코너를 가압하도록 플랜지(8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일반적인 바닥판용 지지대의 기능 및 작용을 살펴보면,
바닥판(90)을 설치할 소정의 건물 바닥면에 지주관(11)이 구비된 다수의 베이스 기판(10)을 일정 배열로 설치하고,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상단에는 받침대(60), 미끄럼방지판(70)을 차례로 끼워 구비하고, 하단에는 승강용 너트(40) 및 스토퍼 너트(50)를 차례로 체결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10)의 지주관(11)상단에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승강용 너트(40)의 체결시 승강용 너트(4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상단에 조립된 받침대(60) 및 미끄럼방지판(70)의 높이를 적절히 맞추어 연접하는 다수의 받침대(60) 및 미끄럼방지판(70)과 평행이 되도록 맞춘 다음 상기 스토퍼 너트(50)를 체결하여 상기 승강용 너트(40)가 회전되는 것 을 방지하여 상, 하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한편, 지주관(11)의 상단에는 상기 지주관(11)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승강용 원통부재(20)를 끼우기 위해 직경줄임관(30)을 끼워 조립하고, 상기 직경줄임관(30)의 제1원통부재 끼움공(31)에 상기 승강용 너트(40) 및 스토퍼 너트(50)가 차례로 체결된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하단을 끼워 조립한다.
상기와 같이 적절한 높이로 바닥면에 배열된 다수의 받침대(60) 및 미끄럼방지판(70)을 평행하게 맞춘 다음 바닥판(90)을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안착된 상기 바닥판(90)의 각 코너부위를 고정하는 체결볼트(80)를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에 체결하는데, 체결볼트(80)의 육각 내경(81)에 렌치(도시하지 않았음)를 끼워 돌려 나사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80)의 상단 플랜지(83)는 상기 바닥판(90)의 각 코너부위를 면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안착된 바닥판(9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일반적인 바닥판용 지지대는 상기 지주관과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의 직경차이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별도의 직경줄임관이 구비되어 있어, 부품 수가 많고, 그 설치작업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설치 시간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별도의 직경줄임관의 제조로 인한 제조원가의 상승으로 바닥판용 지지대의 가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바닥판용 지지대의 구조를 개선하여 건물의 바닥판 하부에 형성되는 공간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바닥판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가 있는 바닥판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작업이 용이하고, 제조원가 또한 절감할 수 있는 바닥판용 지지대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일정 직경을 가지나 상단 둘레의 일부분을 접어 붙임으로써 본래의 직경을 줄여 제2원통부재 끼움공을 형성한 지주관이 중앙에 수직하게 구비된 베이스 기판과,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중앙부 외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를 기준으로 상단은 암나사가, 하단은 수나사가 가공형성되어 상기 지주관의 상단에 위치하는 승강용 원통부재와,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의 하단 수나사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며 승강되는 승강용 너트와, 상기 승강용 너트의 회전을 방지하여 승강을 제한하는 스토퍼 너트 와,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에 끼워져 고정되며 설치되는 바닥판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상부에 구비되어 설치되는 바닥판의 유동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판과, 상기 미끄럼방지판상에 안착된 바닥판의 일측 코너를 받침대에 견고히 고정하며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의 상단 암나사에 결합되는 체결볼트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 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종래의 바닥판용 지지대와 동일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용 지지대의 실시예를 예시한 분해 조립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용 지지대의 실시예를 예시한 종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바닥면에 안착될 베이스 기판(10)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 기판(10)의 중앙부에는 내부가 중공되고 일정 직경을 가진 지주관(11)이 상기 베이스 기판(10)에 수직하게 구비된다.
한편,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중앙부 외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2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걸림돌기(23)를 기준으로 상단은 암나사(21)가 가공형성되고, 하단은 수나사(22)가 가공형성된 승강용 원통부재(20)가 상기 지주관(11)의 상단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지주관(11)의 직경을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직경보다 훨씬 크게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바닥판(90)을 바닥면으로부터의 충분히 이격시켜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지주관(11)의 직경을 늘려 그 길이를 연장하더라도 바닥판(90)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지주관(11)은 직경에 제한없이 제작할 수가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상기 지주관(11)과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직경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수단으로 별도의 부품의 추가없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충분한 공간, 즉 바닥면과 바닥판의 사이 공간을 필요에 따라 충분히 이격시킬 수가 있다.
한편, 상기의 이유로 인해 야기되는 상기 지주관(11)과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직경차이를 극복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수단으로는 종래의 직경줄임관(30)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지주관(11)의 개구된 상단 둘레의 일측, 소정길이의 호를 집게에 의해 물려 접어 붙임으로써 상기 지주관(11)의 본래의 직경을 줄여 제2원통부재 끼움공(11a)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한 것이다.
이는 상기 지주관(11)과 승강용 원통부재(20)를 연결하는 상기 직경줄임관(30)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상기 지주관(11)과 승강용 원통부재(20)를 상호 연결할 수가 있어 부품수를 감소하여 작업공정을 단축하고, 제조원가를 절약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하단 수나사(22)에 차례로 나사결합되는 승강용 너트(40), 스토퍼 너트(50)가 구비되는데, 상기 스토퍼 너트(50)는 일측으로 연장된 손잡이(51)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스토퍼 너트(50)가 상기 제2원통부재 끼움공(11a)의 테두리에 걸림으로써,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는 그 일부가 상기 제1,2원통부재 끼움공(11a)에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에 끼워지도록 중앙에 원통부재 관통홀(61)을 형성하며 바닥판(90)을 지지하는 받침대(60)가 구비된다. 상기 받침대(60)는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걸림돌기(2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받침대(60)의 상부에는 얹혀지는 바닥판(9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마찰력이 큰 고무재질의 미끄럼방지판(70)이 구비된다.
상기 미끄럼방지판(70)의 상부면에는 끼워져 돌출된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를 중심점으로 하여 90°간격으로 돌출구획구(71)를 형성하여 바닥판(90)의 일측 코너의 안착이 용이하게 함은 물론, 조립시 좌/우 유동발생을 최대한 방지할 수가 있다.
한편, 상기 미끄럼방지판(70) 위에 놓여지는 바닥판(90)의 일측 코너를 받침대(60)와 견고히 고정하도록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상단 암나사(21)에 결합되는 체결볼트(80)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볼트(80)는 상부면 중앙에 육각 내경(81)이 형성되면서 그 외경은 원통형으로서 수나사(8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단에는 상기 바닥판(90)의 일측 코너를 가압하도록 플랜지(8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기능 및 동작을 살펴보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바닥판용 지지대를 예시한 사용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90)을 설치할 소정의 건물 바닥면에 지주관(11)이 구비된 다수의 베이스 기판(10)을 일정 배열로 설치한다.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상단에는 받침대(60), 미끄럼방지판(70)을 차례로 끼워 구비하고, 하단에는 승강용 너트(40) 및 스토퍼 너트(50)를 차례로 체결하여 상기 베이스 기판(10)의 지주관(11)상단에 구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용 너트(40)의 체결시 승강용 너트(40)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상단에 조립된 받침대(60) 및 미끄럼방지판(70)의 높이를 적절히 맞추어 연접하는 다수의 받침대(60) 및 미끄럼방지판(70)과 평행이 되도록 맞춘 다음 상기 스토퍼 너트(50)를 체결하여 상기 승강용 너트(4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 하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지주관(11)의 개구된 상단 테두리의 일측을 집게에 의해 물려 접히는 작업으로 상기 지주관(11)의 직경을 줄여서 형성한 제2원통부재 끼움공(11a)에 상기 승강용 너트(40) 및 스토퍼 너트(50)가 차례로 체결된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를 곧바로 끼워 조립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적절한 높이로 바닥면에 배열된 다수의 받침대(60) 및 미끄럼방 지판(70)을 평행하게 맞춘 다음 바닥판(90)을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설치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바닥판(90)의 각 코너 부분이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의 일정 각도간격으로 형성된 돌출구획구(71)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안착되는 다수의 상기 바닥판(90)의 각 코너부분이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의 균등한 면적을 차지하여 안착되고 있어,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바닥판(90)은 지지된다.
이어서,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안착된 상기 바닥판(90)의 각 코너부위를 고정하는 체결볼트(80)를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에 체결하는데, 체결볼트(80)의 육각 내경(81)에 렌치(도시하지 않았음)를 끼워 돌려 나사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체결볼트(80)의 상단 플랜지(83)는 상기 바닥판(90)의 각 코너부위를 면접촉하여 가압함으로써,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안착된 바닥판(90)을 견고하게 고정하게 된다.
앞에서 설명된 본 고안의 일실시 예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 하게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물의 바닥면에 설치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면과의 간격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바닥판을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부품수의 감소로 인해 구조가 간단하고 설치작업이 용이하며, 제조원가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정 직경을 가지나 상단 둘레의 일부분을 접어 붙임으로써 본래의 직경을 줄여 제2원통부재 끼움공(11a)을 형성한 지주관(11)이 중앙에 수직하게 구비된 베이스 기판(10)과,
    원통형의 형상을 이루며 상단은 암나사(21)가, 하단은 수나사(22)가 가공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 외면에는 다수의 걸림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주관(11)의 제2원통부재 끼움공(11a)에 끼워지는 승강용 원통부재(20)와,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하단 수나사(22)에 나사결합되어 회전하며 승강되는 승강용 너트(40)와,
    상기 승강용 너트(40)의 회전을 방지하여 승강을 제한하는 스토퍼 너트(50)와,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에 끼워져 고정되며 설치되는 바닥판(90)을 지지하는 받침대(60)와,
    상기 받침대(60)의 상부에 구비되어 설치되는 바닥판(90)의 유동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판(70)과,
    상기 미끄럼방지판(70)상에 안착된 바닥판(90)의 일측 코너를 받침대(60)에 견고히 고정하며 상기 승강용 원통부재(20)의 상단 암나사(21)에 결합되는 체결볼트(8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판용 지지대.
KR2020060017447U 2006-06-28 2006-06-28 바닥판용 지지대 KR20042665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447U KR200426654Y1 (ko) 2006-06-28 2006-06-28 바닥판용 지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447U KR200426654Y1 (ko) 2006-06-28 2006-06-28 바닥판용 지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654Y1 true KR200426654Y1 (ko) 2006-09-18

Family

ID=41775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447U KR200426654Y1 (ko) 2006-06-28 2006-06-28 바닥판용 지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65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29B1 (ko) 2010-08-16 2013-05-28 주식회사 해광 건물용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8529B1 (ko) 2010-08-16 2013-05-28 주식회사 해광 건물용 바닥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16330A1 (en) Apparatus for leveling and method of using same
CN104757827A (zh) 一种展示用可调节多功能转台
KR1021491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KR200426654Y1 (ko) 바닥판용 지지대
KR200423535Y1 (ko) 바닥판용 지지대
JP6298290B2 (ja) 床板支持具
CN112493910A (zh) 一种便于马桶盖板在安装孔上拆装用的锁紧组件
JP6029228B2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パネルの取付治具、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GB2475070A (en) Toggle fixing device
US11376714B2 (en) Faucet installation tool
KR20090042695A (ko) 천장패널 지지용 행거
KR100662301B1 (ko) 가전제품용 레그 록너트
KR200460398Y1 (ko) 바닥판용 지지대
JP6627118B2 (ja) 浴室用床フレーム
KR20080068255A (ko) 레벨링 볼트
JP3180796U (ja) フロアパネルの支持脚
KR200259052Y1 (ko)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드 부재의 잠금 구조물
JP4583976B2 (ja) 管継手支持構造
KR200372306Y1 (ko) 보강용 클린룸 높이조절장치
KR200326101Y1 (ko) 풋밸브용 고정장치
JP4293353B2 (ja) 二重床における支柱
KR200314395Y1 (ko) 선반설치용 브라켓트
KR200406901Y1 (ko) 악세스 플로어용 지지대
KR200307994Y1 (ko) 지지구가 장착된 패널
KR200219687Y1 (ko) 바닥용 깔판의 높낮이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