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619Y1 - 음식물 보온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보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619Y1
KR200426619Y1 KR2020060015468U KR20060015468U KR200426619Y1 KR 200426619 Y1 KR200426619 Y1 KR 200426619Y1 KR 2020060015468 U KR2020060015468 U KR 2020060015468U KR 20060015468 U KR20060015468 U KR 20060015468U KR 200426619 Y1 KR200426619 Y1 KR 2004266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food
circulation
main body
h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546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협중
Original Assignee
김협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협중 filed Critical 김협중
Priority to KR202006001546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6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6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61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9/00Heat-insulated warming chambers; Cupboards with heating arrangements for warming kitchen utensils
    • A47J39/02Dish-warmers; Devices to keep food ho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6/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ooking-vessels
    • A47J36/24Warm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개시되는 본 고안은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것으로서, 음식물을 진열하는 진열대 하부로 온수를 공급하여 음식물을 보온하기 위한 장치인것으로서,
온수를 가열함에 있어서, 별도의 가열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현재 사용하는 가스버너에 가열판을 삽입하여서 가스버너의 잡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공급함과,
온수의 순환을 위해 별도의 구동원 없이 온수가 순환되도록 한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것이다.
본 고안을 구성하는 기본장치로는 물이 담기는 본체가 마련되고, 본체와 관으로 연결되는 순환밸브, 그리고 가열관으로 구성된다.
상기 가열관은 주방에서 사용되는 가스버너에 삽입되는 구조를 갖도록 하되, 단시간에 가열되도록 달팽이관 형태로 이루어지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한다.
온수순환, 온수잴브, 버너, 달팽이 가열관, 음식물 보온.

Description

음식물 보온장치{Device of a food for keeping warmth}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체적인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2 (a),(b)는 본 고안의 순환밸브에 대한 단면구성도
도 3 (a),(b)는 본 고안 순환밸브의 부분절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순환밸브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구성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본체 11; 음식물 진열대
12; 덮개 13; 순환관
20; 순환밸브 30; 가열관
201; 투입구 202; 하우징
203; 배출구 211; 개폐구
212; 탄성체 213; 브라켓
214; 홀 H; 히터
본 고안은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것으로서, 특히, 음식물 진열대 하부로 온수를 공급하고 이를 순환시켜서 음식물 진열대의 음식물을 일정온도로서 보온하는 것으로, 온수의 순환에 있어서, 별도의 구동원이 필요없으며 온수압력에 의해 순환 되도록 한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식물 보온장치에는 보일러를 이용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장치가 대부분이고, 이러한 장치에는 온수순환기가 설치되어 있고, 이는 순환펌프 내지는 모터 등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음식물 보온장치는 다수 공지되어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고, 소규모 음식물 보온장치에는 적용하기 어려운 구조의 문제점과 복잡하게 구성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음식물 보온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음식물 보온을 위한 본체와 온수를 순환시키는 온수밸브 그리고 온수순환관 및 가열관으로 구성되어, 별도의 구동원 없이 온수의 수압만으로 본체로 온수를 순환되게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온수를 공급하는 본체(10)와, 본체(10) 상에 재치되는 진열대(11)와 진열대(11)상에 진열되는 음식물 보관을 위한 덮개(12)가 마련되고,
상기 본체(10)와 온수밸브(20)가 연결되고, 온수밸브(20)에는 순환관(13)을 매개로 가열관(30)이 각각 연결된다.
상기에서 온수밸브(20)는 물이 유입되는 투입구(201)와 하우징(202), 그리고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20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가열관(30)은 열을 전달시키기 위한 구조로 이루어진 것이면 그 어떤 형태도 무방하나, 보통 달팽이관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음식물 보온장치의 전체구성도이고, 본체(10)상부에는 음식물을 진열하는 진열대(11)와 덮개(12)가 마련되는데, 온수공급 본체(10)에는 가열관(30)에서 가열된 온수가 공급되어 본체(10) 하부 일정부분까지 채워지게 되고, 그 온수의 열에너지가 상승되고, 열에너지에 의해 상부에 안착되는 진열대(10)로 전달되고, 진열대(10)에 진열된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진열대(10)는 그 표면으로 미세한 홀이 형성될 수도 있고, 일반 판 형태로 이루어진 금속판이면 어느것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가열관(30)은 버너에 직접 연결하여 버너의 가스열에 의해 가열되면서 내부에 미리 충진되어 있는 냉수를 가열하게 되는 것으로, 버너상부에 놓여지는 다른 가열용기(예를 들어, 다른 음식물을 조리하기 위한 냄비류 등)와 동시에 삽입할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으므로, 버너의 잠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순환밸브의 단면구성도를 나타낸것으로서, 가열관(30)을 통해 그 내부의 냉수가 가열되면, 즉 끊는 물의 유동성으로 인해 순환관(13)을 통해 유동되는데, 이때, 양쪽의 순환관(13)으로 동시에 유입되지만, 본체(10)와 직접 연결되는 정방향 순환관(13)쪽으로는 순환밸브(20)를 통해 저항없이 공급되지만, 또 다른 순환관(13)에 연결된 순환밸브(20)에 온수가 공급된다 하더라도 순환밸브(20)의 개폐구(211)가 닫혀 있는 상태이므로 물의 압력에 의해 온수흐름이 저항을 받기 때문에 역방향의 순환관(13)으로는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온수의 공급은 정방향 순환관(13)을 통해 순환밸브(20)를 거치게 되는데, 순환밸브(20)의 투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온수는 개폐구(211)를 밀게되고, 위치 이동된 개페구(211)는 브라켓(213)에 의해 고정 설치된 탄성체(212)를 압축 시키면서 온수의 흐름은 본체(10)로 유동되고, 본체(10) 내부에서 차가워진 물은 다시 역방향 순환관(13)을 통해 온수밸브(20)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냉수에 의해 개폐구(211)는 브라켓(213)에 의해 고정 설치된 탄성체(212)를 압축 시키면서 가열관(30)으로 이동되는 순환구조를 갖게 되는것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같이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온수의 흐름에 의해 정방향 순환관(13)을 통해 온수밸브(20)를 거치게 되는데, 온수밸브(20)의 투입구(201)를 통해 유입된 온수는 개폐구(211)를 밀게되고, 브라켓(213)에 의해 고정 설치된 탄성체(212)를 압축 시키면서, 위치 이동된 개폐구(211)는 투입구(201)로 부터 일부분이 이탈되는데, 개페구(211) 상단에 형성한 홀(214)이 돌출되고 온 수는 홀(214))을 통해 배출구로 유동되면서, 본체(10) 내부로 유입되는데, 본체(10) 내부에서 차가워진 물은 다시 역방향 순환관(13)을 통해 온수밸브(20)로 유입되고, 유입되는 냉수는 순환밸브(20)를 통해 가열관(30)으로 공급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내부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일부절결사시도에 관한것으로서, 온수밸브(20)는 투입구(210)와 하우징(202) 그리고 배출구(203)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투입구(201)는 하우징(202) 내에 삽입되며, 삽입된 하우징(20) 내의 투입구(201) 상단에는 브라켓(213)이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설치된다.
브라켓(213)에는 탄성체(212)가 결합되며, 탄성체(212)에 의해 간섭받는 개폐구(211)는 브라켓(213)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로서, 본체(10)와 측부에 별도의 가열통이 연결되며 가열공간 상의 하부에는 히터(H)가 마련되고, 히터(H)는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가스와 같은 직접열에 의한 온수를 가열하지 않고 히터(H)의 가동으로 온수를 생성하여, 이때 발생되는 온수는 본체(10)와 연결되는 온수밸브(20)에 의해 정방향으로 결합된 온수밸브(20)에 의해 온수가 본체로 공급되고 본체에서 차가워진 냉수는 역방향 온수밸브를 통해 가열통으로 유동되어 히터에 의해 생성된 온수의 공급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구성도로서, 본체(10)와 하부에는 히터(H)가 마련되고, 히터(H)는 외부전원과 연결하여, 가스와 같은 직접열에 의한 온수를 가열하지 않고 히터(H)의 가동으로 온수를 생성하여, 조리대(11) 상의 음식물을 직접 보온하는 장치인것으로서, 이미 공지된 온도조절기, 작동램프 등의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같이 본 고안은 별도의 장치 없이 물의 압력만으로 온수를 순환되게 하여 음식물을 보온하는 장치인것으로서, 본 고안은 본체 내부의 음식물 보온으로 설명되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를 분리하고 난방관을 연결하므로서 보일러내의 온수순환장치로서 사용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 보온장치는 순환펌프나 모터의 장치없이 물의 압력만으로 온수를 순환시키게 되는 장치인 것으로서,
식당에서 일반 음식을 조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버너의 하부에 가열관을 삽입시켜 버너의 잠열을 이용하여 온수를 생성함과 이 온수를 정,역방햐의 순환밸브에 의해 본체와 가열관을 순환되게 하여 본체내의 음식물을 보온할 수 있으며, 또한 본체를 분리하고 온수배관을 연결할 경우 난방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음식물 보온장치에 관한것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한정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순환밸브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에 적용하는 본 고안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이는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4)

  1. 음식물을 진열하는 진열대(11)와 덮개(12)가 본체(10)상부에 안착되는 음식물 보온장치에 있어서,
    버너에 삽입되는 가열관(10)이 순환관(13)을 매개로 본체(10)와 연결되고,
    순환관(13)을 통해 유입되는 온수를 제어하는 순환밸브(20)가 상기 본체(10)와 순환관(13) 사이에 각각 개재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관(30)과 순환관(13)을 거쳐 본체(10)로 유입되는 온수의 흐름을 제어하는 순환밸브(20)는
    버너에 의해 가열된 물이 유입, 유출되는 투입구(201), 배출구(203)가 하우징(202)과 연결되며,
    상기 투입구(201)는 하우징(202) 내에 삽입되며, 삽입된 하우징(20) 내의 투입구(201) 상단에는 브라켓(213)이 고정수단을 매개로 고정설치 됨과,
    상기 브라켓(213)에는 탄성체(212)가 결합되며, 탄성체(212)에 의해 간섭받는 개폐구(211)는 브라켓(213)에 이동가능하게 조립되어 구성된것을 포함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일측단으로 히터(H)가 내장되는 별도의 가열통을 연결하되,
    상기 가열통과 본체(10)는 순환밸브(20)를 매개로 연결하여서 구성된것을 포함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본체(10) 하부로 히터(H)가 내장되어서 구성된것을 포함하는 음식물 보온장치.
KR2020060015468U 2006-06-09 2006-06-09 음식물 보온장치 KR2004266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468U KR200426619Y1 (ko) 2006-06-09 2006-06-09 음식물 보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5468U KR200426619Y1 (ko) 2006-06-09 2006-06-09 음식물 보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619Y1 true KR200426619Y1 (ko) 2006-09-19

Family

ID=4177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5468U KR200426619Y1 (ko) 2006-06-09 2006-06-09 음식물 보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61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12884B2 (en) Cooking rack system using liquid bath
US8822886B2 (en) Food product heating device with food heating slot between heating elements
JP4419854B2 (ja) 飲料水のディスペンサ
JP6055788B2 (ja) 個別に動作可能な2系統の熱殺菌経路を備えた給水機
KR101446643B1 (ko) 가습기능을 가진 방열기
KR200426619Y1 (ko) 음식물 보온장치
KR20090010873U (ko) 온수순환식 음식물 보온장치
KR20060000025U (ko) 가온수단의 폐열을 이용한 용수가온장치
ATE301414T1 (de)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heissgetränken
KR200421016Y1 (ko) 온수 순환시스템
US20070000930A1 (en) Multi-functional child care storage including a warming-in-water compartment
KR200374085Y1 (ko) 전기보일러 시스템
KR101458419B1 (ko) 초전도 냉난방식 냉온수 생성모듈, 상기 초전도 냉난방식 냉온수 생성모듈이 내장된 냉온수 보일러 및 냉온수 매트
KR200184404Y1 (ko) 매트의 난방장치
KR20090107313A (ko) 음식물 보온장치
KR20110045433A (ko) 직화폐열 온수난방장치
JP2003056905A (ja) 給湯装置
JPH08200813A (ja) 電気温水器
US20050188457A1 (en) Electrically heated bathtub
CN110811326A (zh) 一种冷藏室电子制冷型水吧机
US10894936B2 (en) Indirect water heating and chilling system for brewing beer
JP2018503051A (ja) 処分可能な熱伝達デバイス、及び当該デバイスを組み込んだシステム
JP2710481B2 (ja) 湯煎器
JP2002315677A (ja) 飲料抽出装置
JP2018115814A (ja) 食品温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