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433Y1 -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433Y1
KR200426433Y1 KR2020060017613U KR20060017613U KR200426433Y1 KR 200426433 Y1 KR200426433 Y1 KR 200426433Y1 KR 2020060017613 U KR2020060017613 U KR 2020060017613U KR 20060017613 U KR20060017613 U KR 20060017613U KR 200426433 Y1 KR200426433 Y1 KR 200426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od
rotation
grain
pulverized
contro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몽 필 김
Original Assignee
몽 필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몽 필 김 filed Critical 몽 필 김
Priority to KR2020060017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4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7/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disc mills
    • B02C7/11Details
    • B02C7/14Adjusting, applying pressure to, or controlling distance between,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1/00Other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mills
    • B02C11/04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9/00Other milling methods or mills specially adapted for grain
    • B02C9/04Systems or sequences of operations; Pla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Grinding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곡물이나 고추 등의 분쇄대상물이 분쇄챔버의 내부로 투입되어 회전분쇄반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고, 이 분쇄물은 고정링에 장착된 승강힌지의 회전에 의해 덮개를 승,하강시키면서 분쇄 입도를 조절하여 토출관을 통해 포집부로 포집되는 곡물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덮개에 형성된 나사관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내봉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봉의 상부에 회전관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거리를 측정하도록 표시되는 측정부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봉에 장착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이 안내봉을 승,하강시키는 회전조절부가 구성되는 것으로, 안내봉의 상부에 수치확인이 가능한 눈금자가 표시되어 작업자가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이동되는 수치를 직접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입도의 분쇄물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형으로 형성된 핸들을 작업자가 양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키므로 미세조절이 가능한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particle control device for grain grinder}
도 1은 일반적인 곡물분쇄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반적인 곡물분쇄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분쇄기의 부분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분쇄기의 부분단면도
도 5는 회전조절부를 회전하여 안내봉이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승,하강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회전조절부에 안내봉이 결합된 상태의 평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안내봉 110: 나사산
200: 측정부 210: 표시면
220: 눈금자 300: 회전조절부
310: 베어링 320: 회전관
330: 핸들 340: 체결볼트
본 고안은 곡물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분쇄챔버의 덮개를 승,하강시키면서 분쇄챔버에서 분쇄되어 토출되는 분쇄물의 입자를 선택적으로 포집하는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곡물분쇄기는 곡물이나 고추 등을 가루로 만들기 위한 장치로서, 분쇄대상물의 입자를 임의로 조절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입자를 미세하게 하여 고운가루로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본건 출원인은 2006년 특허출원 제18293호로 출원하여 제34254호로 공개된 곡물분쇄장치를 제안한바 있다.
상기 선공개된 곡물분쇄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부(10)의 호퍼(11)로 곡물이나 고추 등의 분쇄대상물이 투입됨과 동시에 분쇄대상물이 공급관로(13)로 투입되고, 투입된 분쇄대상물은 이송수단(15)의 회전에 의해 유입구(13a)를 통해 원통형의 분쇄챔버(30) 내부로 투입되며, 상기 분쇄챔버(30)의 내부는 회전분쇄반(40)이 모터의 회전에 의해 회동한다.
상기와 같이 투입된 분쇄대상물은 회전분쇄반이 회전하여 발생하는 원심력에 의해 회전중심 외곽으로 튕겨져 나가면서 방사상으로 형성된 분쇄핀(43)에 충돌되어 1차분쇄가 이루어지고, 1차분쇄가 된 분쇄물은 분쇄핀(43) 및 회전분쇄반(40)의 두깨부와 분쇄요철부(31a) 사이에서 충돌되어 2차분쇄가 이루어진다.
또한, 회전분쇄반(40)과 본체(31) 내주면에 형성된 분쇄요철부(31a) 사이의 간극(S)을 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입자로 분쇄된 분쇄물은 상기 간극(S)을 통하여 회전분쇄반(40)의 외측면(42)쪽으로 투입되어 빗면(45a)이 형성된 외부핀(45)에 의하여 3차미세분쇄가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빗면(45a)은 분쇄입자가 미세할수록 원심력에 비하여 풍력의 영항을 크게 받아 분쇄챔버(30) 중심을 향하여 부상하도록 기류를 형성하며, 입자크기 순으로 부상시킴과 동시에 분쇄작용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분쇄되는 분쇄물은 고정링(51a)(51b)에 장착된 승강힌지(50)의 조작에 따라 거친입자 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미세한입자의 분쇄물을 선택적으로 포집할 수 있는데, 작업자가 상기 핸들(55b)을 회전시키게 되면 나사축(55)은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되고, 덮개(33)에 일체로 고정되며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나사관(53)은 나사축(55)의 회전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여 분쇄물의 입자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분쇄물은 토출공(33a)으로 토출됨과 동시에 토출관(33c)을 따라 포집부(60)로 포집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곡물분쇄장치의 승강힌지는, 분쇄물의 분쇄입자를 조절하여 포집하는 이점은 있으나, 이는 정확한 수치에 근거하여 덮개를 승,하강시키는 것이 아니라 작업자의 판단에 의해 핸들을 회전시켜 분쇄물의 입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입도의 분쇄물을 포집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덮개를 승,하강시키는 핸들은 작업자가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파 지하여 한손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빠르게 회전시킬 수는 있으나 미세한 회전동작이 난이하여 정확한 수치조절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안내봉의 상부에 눈금자가 표시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안내봉의 이동수치를 작업자가 눈으로 직접 측정하면서 정확하게 입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입도의 분쇄물을 확실하게 포집할 수 있고, 원형으로 형성된 핸들을 작업자가 양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키므로 미세한 회전동작을 수행할 수 있어 정확한 수치조절이 가능한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곡물이나 고추 등의 분쇄대상물이 분쇄챔버의 내부로 투입되어 회전분쇄반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고, 이 분쇄물은 고정링에 장착된 승강힌지의 회전에 의해 덮개를 승,하강시키면서 분쇄 입도를 조절하여 토출관을 통해 포집부로 포집되는 곡물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덮개에 형성된 나사관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안내봉과;
상기 안내봉의 상부에 회전관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거리를 측정하도록 표시되는 측정부와;
상기 안내봉에 장착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관이 안내봉을 승,하강시키는 회전조절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분쇄기의 부분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곡물분쇄기의 부분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고안은, 곡물이나 고추 등의 분쇄대상물이 분쇄챔버(30)의 내부로 투입되어 회전분쇄반(40)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고, 이 분쇄물은 고정링(51a)(51b)에 장착된 승강힌지(50)의 회전에 의해 덮개(33)를 승,하강시키면서 분쇄 입도를 조절하여 토출관(33c)을 통해 포집부(60)로 포집되는 곡물분쇄기에 있어서,상기 고정링(51a)(51b)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덮개(33)에 형성된 나사관(53)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10)이 형성되는 안내봉(10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봉(100)의 상부에 회전관(32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여 변동되는 수치를 측정하도록 표시되는 측정부(200)가 구비되며, 상기 안내봉(100)에 장착되어 핸들(330)의 회전에 의해 안내봉(100)을 승,하강시키는 회전조절부(3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안내봉(100)의 상부 일측면에 수직으로 절단된 표시면(210)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면(210)에 일정단위의 눈금자(220)가 표시된다.
상기 회전조절부(300)는, 상기 고정링(51a)과 일체로 형합되어 수평회전하는 베어링(3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봉(100)의 나사산(110)과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동일한 피치의 나사산(321)이 형성된 회전관(320)이 베어링(310)의 상부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관(320)의 상부에 체결볼트(340)로 고정되어 회전관(3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보스(331)가 형성된 핸들(330)이 구비된다.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눈금자(220)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도록 눈금자(200)와 인접된 보스(331)의 상면에 지시표(2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봉(100)의 일측에 상,하사점으로 승,하강하는 수치를 제어하는 센서(S)가 장착되고, 상기 보스의 상면에 센서(S)에서 감지된 수치를 표시하는 수치표시부(200')를 더 포함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결합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쇄챔버(30)의 본체(31)에서 덮개(33)를 이탈시킨 상태에서, 덮개(33)의 일측에 돌출된 나사관(53)을 본체(31)의 고정링(51a)(51b) 사이에 수직선상으로 위치시킨 후, 상부에 측정부(200)가 형성된 안내봉(100)의 하단부를 고정링(110)과 나사관(53)에 수직으로 끼우되, 안내봉(100)의 하단부가 고정링(51b)의 하단부로 일정간격 돌출되게 끼우고, 상기 나사관(53)의 일측에 체결볼트(56)를 체결하여 안내봉(100)과 나사관(53)이 일체로 결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안내봉(100)이 고정링(51a)(51b)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봉(100)의 상부에서 하부로 베어링(310)을 끼워 장착한다. 이때, 베어링(310)은 안 내봉(100)을 따라 승,하강 되지않게 본체(31)의 고정링(51a)에 일체로 형합된다.
상기 안내봉(100)의 상부에 회전관(320)의 하단부를 위치시킨 후, 하부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안내봉(100)의 나사산(110)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회전관(320)의 나사산(321)과 안내봉(100)의 나사산(111)이 서로 체결되어 결합되며, 상기와 같이 체결된 회전관(320)의 하단부는 베어링(310)의 상부에 밀착되어 원활하게 회전하는 것이다.
단, 상기 회전관(320)은 분쇄챔버(30)의 본체(31)와 덮개(33)가 결합된 상태에서만 제자리 회전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안내봉(100)의 상부를 수용하면서 회전관(320)의 상부에 핸들(330)을 장착하고, 상기 회전관(320)의 일측을 체결볼트(340)로 체결하여 핸들(330)이 회전관(320)에 일체로 고정되도록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안내봉(100)을 회전조절부(300)에 장착시킨 상태에서 덮개(33)를 분쇄챔버(30)의 본체(31)로 회전시켜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결합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분쇄대상물이 호퍼(11)로 투입되면 이송수단에 의해 분쇄챔버(30)로 투입되고, 투입된 분쇄대상물을 회전분쇄반(40)의 회전에 의해 미세하게 분쇄되며, 회전분쇄반(40)에서 분쇄된 분쇄물은 원심력에 의해 분쇄챔버(30)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분쇄챔버(30)의 외측은 거친입자가 위치하게 되고, 이에 반해 분쇄챔버(30) 의 외측에서 중앙부에 이르기까지는 상대적으로 점점 미세한 입자가 위치하게 되며, 분쇄챔버(30)에서 분쇄된 분쇄물은 와류형으로 형성된 토출공(33a)을 따라 토출되어 포집부(60)로 포집된다.
상기 분쇄물은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분쇄물의 입도를 달리하여 포집할 수 있는데, 먼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친 입도의 분쇄물을 포집하고자 할 경우, 작업자가 원하는 입도의 분쇄물에 상응하는 수치를 설정한 후, 측정부(200)의 눈금자(220)를 보면서 회전조절부(300)의 핸들(330)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핸들(330)과 회전관(320)은 일체로 제자리 회전을 하게 됨과 동시에, 상기 안내봉(100)의 나사산(110)이 회전관(320)의 나사산(321)을 따라 상부로 승강하게 된다. 이때, 안내봉(100)은 나사관(53)과 결합된 덮개(33)와 일체로 상승하게 되어 분쇄물이 토출되는 토출관(33c)의 높이를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 안내봉(100)이 승강하면서 표시되는 수치는 보스(331)의 상면에 형성된 지시표(230)에 의해 식별하는데, 안내봉(100)이 상승하게 되면 보스(331)의 지시표(230)에 인접되된 눈금자(220)는 안내봉(100)과 일체로 상승하게 되어 상승한 수치를 지시표(230)가 가리키게 되어 작업자는 용이하게 수치를 식별하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분쇄물은 안내봉(100)이 지시표(230)를 기준으로 승강하여 상사점(45mm)에 위치할 경우, 거친 입자의 분쇄물을 포집할 수 있고, 이에 반해 안내봉(100)이 지시표(230)를 기준으로 하강하여 하사점(0mm)에 위치할 경우, 상대적으로 미세한 입자의 분쇄물을 포집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안내봉(100)이 승,하강하는 하사점과 상사점의 거리는 0~45mm의 폭을 가지는 것으로, 이는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며, 분쇄챔버의 크기와 포집하고자 하는 분쇄물 입도의 선택폭에 따라 상사점과 하사점의 폭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봉(100)에 회전조절부(3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안내봉(100)의 일측에 상사점과 하사점으로 승,하강하는 높이의 수치를 제어하는 센서(S)가 장착되며, 보스(331)의 상면에 형성된 수치표시창(200')에 수치가 표시되어 정확하게 입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안내봉의 상부에 눈금자가 표시되어 핸들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는 안내봉의 상사점과 하사점의 수치를 작업자가 직접 측정하면서 정확하게 입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작업자가 원하는 입도의 분쇄물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원형으로 형성된 핸들을 작업자가 양손으로 파지하여 회전시키므로 미세한 회전동작이 용이하여 정확한 수치의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는 것이다.

Claims (5)

  1. 곡물이나 고추 등의 분쇄대상물이 분쇄챔버(30)의 내부로 투입되어 회전분쇄반(40)의 회전에 의해 분쇄되고, 이 분쇄물은 고정링(51a)(51b)에 장착된 승강힌지(50)의 회전에 의해 덮개(33)를 승,하강시키면서 분쇄 입도를 조절하여 토출관(33c)을 통해 포집부(60)로 포집되는 곡물분쇄기에 있어서,
    상기 고정링(51a)(51b)의 내주면을 따라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덮개(33)에 형성된 나사관(53)과 일체로 결합되도록 외주면에 나사산(110)이 형성되는 안내봉(100)과;
    상기 안내봉(100)의 상부에 회전관(320)의 회전에 의해 승,하강하여 변동되는 수치를 측정하도록 표시되는 측정부(200)와;
    상기 안내봉(100)에 장착되어 핸들(330)의 회전에 의해 안내봉(100)을 승,하강시키는 회전조절부(30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안내봉(100)의 상부 일측면에 수직으로 절단된 표시면(210)이 구비되고, 상기 표시면(210)에 일정단위의 눈금자(220)가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조절부(300)는,
    상기 고정링(51a)과 일체로 형합되어 수평회전하는 베어링(310)이 구비되고, 상기 안내봉(100)의 나사산(110)과 체결되도록 내주면에 동일한 피치의 나사산(321)이 형성된 회전관(320)이 베어링(310)의 상부에 밀착되며, 상기 회전관(320)의 상부에 체결볼트(340)로 고정되어 회전관(320)과 일체로 회전하도록 보스(331)가 형성된 핸들(33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200)는,
    상기 눈금자(220)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도록 눈금자(200)와 인접된 보스(331)의 상면에 지시표(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봉(100)의 일측에 상,하사점으로 승,하강하는 수치를 제어하는 센서(S)가 장착되고, 상기 보스의 상면에 센서(S)에서 감지된 수치를 표시하는 수치 표시창(2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KR2020060017613U 2006-06-29 2006-06-29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KR200426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13U KR200426433Y1 (ko) 2006-06-29 2006-06-29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13U KR200426433Y1 (ko) 2006-06-29 2006-06-29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433Y1 true KR200426433Y1 (ko) 2006-09-19

Family

ID=41775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613U KR200426433Y1 (ko) 2006-06-29 2006-06-29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43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45B1 (ko) 2012-06-08 2014-02-28 몽 필 김 곡물 분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945B1 (ko) 2012-06-08 2014-02-28 몽 필 김 곡물 분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72731B1 (en) Classifier and controller for vertical mill
JP6308329B2 (ja) 粉砕装置
KR20040088758A (ko) 원두커피 분쇄장치
KR101368945B1 (ko) 곡물 분쇄장치
JPWO2019142758A1 (ja) コーヒー豆粉砕機構
CN107983483A (zh) 中药药材倾斜粉碎研磨装置
KR20200004314A (ko) 콩 분쇄 장치
CN107812550A (zh) 一种砻谷碾米一体机
KR200426433Y1 (ko) 곡물분쇄기의 입도조절장치
KR101932088B1 (ko) 원두분쇄장치
US5673862A (en) Grain mill
JP2016209841A (ja) 粉砕機
CN112237386A (zh) 一种磨豆、定量、压粉三合一智能磨豆机
KR20110000266A (ko) 마쇄기
KR200427529Y1 (ko) 곡물분쇄기의 포집장치
CN213700013U (zh) 一种用于食品加工的粉碎研磨一体机
CN209362673U (zh) 塑胶粉碎机
GB2355675A (en) Food grinder
KR20120002370U (ko) 다용도 분쇄기
CN111036365A (zh) 一种中药材切制过程粗碎研磨装置
KR900009830Y1 (ko) 맷돌 분쇄기
JP3320663B2 (ja) 粉砕機
CN218098562U (zh) 一种食品安全检测用食品样品预处理装置
CN218902020U (zh) 一种用于生产特殊膳食原料的粉碎机
CN209222322U (zh) 一种铁皮石斛加工用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