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348Y1 -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 Google Patents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348Y1
KR200426348Y1 KR2020060018115U KR20060018115U KR200426348Y1 KR 200426348 Y1 KR200426348 Y1 KR 200426348Y1 KR 2020060018115 U KR2020060018115 U KR 2020060018115U KR 20060018115 U KR20060018115 U KR 20060018115U KR 200426348 Y1 KR200426348 Y1 KR 2004263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ilding
fixed
around
prefabric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81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경국
Original Assignee
홍경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경국 filed Critical 홍경국
Priority to KR20200600181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3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3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3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1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 E04H17/163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wire panels using wired panels with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08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woven sla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 E04H17/22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주변에 설치되는 방호 울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방호 울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특히 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은 축조중인 건축물의 주변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설치되는 방호 울에 있어서, 건축물(B)의 주변의 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세워지는 지주(10)와; 상기 다수의 지주(10)들 사이 간격에 위치되는 다수의 패널(20); 및 상기 지주(10)와 패널(20)들을 고정하는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방호 펜스, 건축물 주변방호, 건축물 주변 울타리

Description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Assembly protective wall}
도 1a, 1b는 종래의 건축물 주변 방호에 사용되고 있는 방호 울의 사용상태 사진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이 설치된 상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지주와 패널의 조립 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패널의 측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주와 패널의 코너부분 설치상태 평 단면도.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주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주 12 : 고정지주
14 : 이동지주 20 : 패널
30 : 체결수단 50 : 캡
본 고안은 건축물 조립식 주변 방호 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주변에 설치되는 방호 울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상기 방호 울의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특히 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호 울은 공사 중인 건축물의 주변에 작업자 또는 통행자의 접근을 방지 및 건축물 출입을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수단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호 울은 설치 위치 또는 목적에 따라 다소의 차이를 가지는 것으로, 건설현장의 외각에 설치되는 외주 방호 울은 상기 건설현장 외각을 통행하는 보행자들의 접근 금지와 외부인의 임의 침투를 방지 및 건설현장에서 발생하는 분진이 쉽게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의 여러 목적을 가진다.
또한, 대단위 아파트단지 건설과 같이 건설현장 내에 다수의 건축물을 축조할 때, 상기 다수의 건축물 주변 각각에 방호 울을 설치하여 건설현장 내에서 통행하는 작업자 또는 감독관 및 내부인이 상기 각각의 건축물 주변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내부 건축물 주변 방호 울이 설치된다.
특히, 본 고안은 내부 건축물 주변 방호 울에 관한 것으로, 도 1a, 1b는 종래의 건축물 주변 방호에 사용되고 있는 방호 울의 사용상태 사진들로서, 이를 참조하면, 도 1a의 경우를 살펴보면, 다수의 종바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세운 후, 다수의 횡바를 상기 종바와 교차되게 엮어 이를 체결고정하여 울타리를 형성하고, 상 기 형성된 울타리에 망사 천을 고정시킨 것으로, 이는 다수의 종바가 고정되기 위해 바닥이 흙으로 되어 있어서야 하는 제약으로 사용의 한계점을 가진다.
도 1b의 경우를 보면, 양측 단에 세워지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사이에 상, 하단으로 고정되는 복수의 횡바가 설치 고정되고, 상기 복수의 횡바 사이에 망사 천을 고정시켜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바닥면의 상태에 구애됨이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는 장점은 있으나, 설치 경관이 미려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종래의 건축물 주변 방호 울은 건설현장에서 사용되는 있는 자재를 이용하여, 방호 울을 설치함에 따라 많은 설치시간과 설치 후 외관이 미려하지 못하여 건설현장 주변 경관을 해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건축물 주변 방호 울은 다수의 횡바 및 종바 또는 지지대를 이용하여 방호 울을 설치함에 따른 별도의 인력과 이로 인해 작업공수의 증가로 불필요한 인원의 추가에 따른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설치된 방호 울은 공사가 완료된 후 해체작업이 수행되는바, 이 경우 무작위로 해체작업이 수행됨에 따라 사용된 자재가 훼손 또는 파손되어 재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고정되는 다수의 패널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의 간편성과 시간을 단축하며, 또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설 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은 축조중인 건축물의 주변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설치되는 방호 울에 있어서, 건축물의 주변의 지면에 하단이 고정되어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세워지는 지주와; 상기 다수의 지주들 사이 간격에 위치되는 다수의 패널; 및 상기 지주와 패널들을 고정하는 체결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지주는 하단부가 뾰쪽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 1 체결공이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며, 일측에 체결수단이 관통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된 이동지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지주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삽입되고 높이 조절 가능한 이동지주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지주는 지면에 밀착되고, 다수의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일측에 고정볼트가 체결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된 지주대, 및 상기 바닥판과 지주대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의 수직 세워짐을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편;으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된 지면에 사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 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있어서, 지주는 속이 빈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의 상단에는 속으로 이물질등이 침투됨을 방지하기 위한 캡이 더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이 설치된 상태도이며, 도 4는 지주와 패널의 조립 상태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은 건축물(B)의 주변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세워지는 지주(10)와 상기 지주(10)들 사이에 위치되어 고정되는 다수의 패널(20), 및 상기 지주(10)와 패널(20)들을 상호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12), 및 상기 고정지주(12)에 일단이 삽입되어,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하면서 패널(20)들의 높이를 조절하는 이동지주(14)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고정지주(12)의 일측에는 상기 이동지주(14)의 높이조절이 완료되면 상기 이동지주(14)를 압박하여 상기 고정지주(12)에 이동지주(14)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볼트(40)가 체결되는 다수의 제 1 체결공(12a)이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고정지주(12)의 하단부는 뾰족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되어, 흙으로 이루어진 지면에 용이하게 박을 수 있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지주(14)에는 패널(20)을 고정하기 위한 체결수단(30)이 삽 입되는 다수의 제 2 체결공(14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고정지주(12) 및 이동지주(14)로 구성된 지주(10)는 속이 빈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이프로 형성된 지주(10)가 건축물(B) 주변에 설치시 상기 지주(10)로 이물질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캡(50)이 상기 지주(10)의 상단에 결합된다.
상기 캡(50)은 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패널의 측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상기 패널(20)은 외각을 이루는 프레임(22)과 상기 프레임(22)의 일 측면을 커버하는 천(24)과 상기 프레임(22)과 천(24)을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체결나사(26)로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22)의 수직프레임에는 지주(10)의 이동지주(14)에 형성된 제 2 체결공(14a)과 동일한 위치 간격으로 제 3 체결공(2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천(24)은 상기 최외각을 이루는 프레임(22)을 감싸며, 일 측면을 커버하고, 타 측의 최외각 프레임(22)을 감싼 천(24)은 다수의 체결나사(26)에 의해 상기 천(24)과 프레임(22)을 체결 고정한다.
더불어, 상기 체결나사(26)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프레임(22)의 외주에 천(24)을 대고, 상기 천(24)의 외주에 상기 프레임(22)의 길이만큼의 보강편을 대고, 상기 보강편의 후방에서 체결나사(26)로 체결 고정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22)에는 외력에 의해 비틀림되거나 파손의 방지를 위해 보강력을 증폭하기 위한 다수의 보강바(28)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천(24)은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비닐재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공사현장에서 사용되는 비계용 그물망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천(24)에는 경고문구 또는 광고문구를 인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더불어 상기 천(24)은 인쇄가 용이한 광고업계에서 사용되는 타포린지로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방호 울의 사용 위치 및 사용 목적과 시공자의 의뢰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의 설치상태를 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건축물(B)의 주변에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고정지주(12)를 지면에 박아 세운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고정지주(12)들의 각각에는 다수의 이동지주(14)를 일단을 삽입시켜 세우며, 이때의 지주(10)들의 간격은 각각의 패널(20)들이 고정될 수 있는 간격을 가진다.
아울러, 상기 세워진 이동지주(14)들 사이에 다수의 패널(20)을 위치시키고, 상기 위치된 다수의 패널(20)과 이동지주(14)들 사이에 체결수단(30)을 이용하여 상기 패널(20)과 이동지주(14)를 상호 체결 고정한다.
또한 상기 패널(20)이 고정된 이동지주(14)는 고정지주(12)를 따라 높이 편차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상기 이동지주(14)들 간의 높이를 맞춘 후 상기 고정지주(12)의 일측에 구성된 고정볼트(40)로 조임 압박하여, 상기 고정지주(12)에 이동지주(14)를 고정하면, 높이가 일정한 패널(20)을 가지는 방호 울이 형성된다.
이 경우, 고정지주(12)에 이동지주(14)를 삽입 후 상기 고정지주(12)의 일측에 구성된 고정볼트(40)로 상기 이동지주(14)의 높이를 설정한 후 상기 높이가 설정된 이동지주(14)들 사이에 패널(20)을 고정하여도 무방하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지주와 패널의 코너부분 설치상태 평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하면, 건축물(B)의 코너부분은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의 교차되는 부분에 체결수단(30)이 상호 엇갈리도록 형성함에 따라 용이한 고정이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체결수단(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에 의한 체결방법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U볼트 또는 I볼트와 같은 다양한 종류의 체결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립식 건축물 주변 방호 울은 제작공장에서 방호 울의 각 부품별로 제작을 완료한 후 이를 건설현장에서 설치함에 따라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더불어 설치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 후 미관이 미려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건축물(B)의 외주에 설치된 조립식 방호 울을 설치해체시에는 상기 설치방법의 역순으로 이동지주(14)와 패널(20) 사이를 체결 고정한 체결수단(30)을 체결해체하여, 상기 이동지주(14)들 사이에 위치된 패널(20)을 제거한다.
아울러, 상기 패널(20)의 제거가 완료된 이동지주(14)는 고정지주(12)의 일측에서 고정볼트(40)로 압박되는 압박력을 해제하여, 상기 고정지주(12)에서 이동지주(14)를 분리하고, 지면에 박힌 고정지주(12)를 뽑아내면, 방호 울의 해체작업이 완료된다.
도 7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지주의 사시도로서, 상기 지주는 지면이 콘크리트 타설된 바닥면일 경우에 사용되는 지주로서, 상기 지주는 고정지주(16)와 상기 고정지주(16)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딩되는 이동지주(14)로 구성되며,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지주(16)는 바닥판(16a)과 상기 바닥판(16a)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대(16b)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대(16b)의 수직 보강력을 강화하기 위해 상기 바닥판(16a)과 지주대(16b) 사이에는 다수의 보강편(16c)이 구성된다.
아울러, 상기 바닥판(16a)에는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을 통해 앙카볼트를 삽입하여, 콘크리트로 타설된 바닥면에 상기 바닥판(16a)이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앙카볼트는 바닥판(16a)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의 일종으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바닥판(16a)을 콘크리트 타설된 바닥면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한편, 상기 이동지주(14)에는 제 2 체결공(14a)과 같은 통공을 대신하여, 볼트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볼트에 패널(20)들을 삽입시켜 너트에 의해 체결고정되도록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다수의 지주와 상기 지주의 고정되는 다수의 패널을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설치의 간편성과 시간을 단축하며, 또한 재사용이 가능하여, 자재의 낭비를 방지하고, 설치 외관이 미려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의 조립식 건축물 주변 방호 울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축조중인 건축물의 주변에 설치되어, 작업자 또는 외부인의 접근을 차단 및 출입을 안내하도록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설치되는 건축물 주변 방호 울에 있어서,
    건축물(B)의 주변의 지면에 하단이 고정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다수 세워지는 지주(10)와;
    상기 다수의 지주(10)들 사이 간격에 고정되도록 위치되는 다수의 패널(20); 및
    상기 지주(10)와 패널(20)들을 상호 고정하는 체결수단(3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하단부가 뾰쪽하도록 날카롭게 형성되고, 일측에 고정볼트(40)가 체결되는 제 1 체결공(12a)이 형성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12)와;
    상기 고정지주(12)에 하단부가 삽입되고, 상기 고정볼트(40)의 조임력에 의해 고정되어 높이가 조절되며, 상단부 일측에 제 2 체결공(14a)이 다수 형성된 이동지주(1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지면에 고정되는 고정지주와 상기 고정지주에 삽입되고 높이 조절 가능한 이동지주(14)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지주(16)는 지면에 밀착되고, 다수의 앙카볼트가 삽입되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바닥판(16a)과, 상기 바닥판(16a)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지고 일측에 고정볼트(40)가 체결되는 제 2 체결공이 형성된 지주대(16b), 및 상기 바닥판(16a)과 지주대(16b)에 형성되고 상기 지주대(16b)의 수직 세워짐을 보강하는 다수의 보강편(16c);로 구성되어, 콘크리트 타설된 바닥면에 사용이 적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주(10)는 속이 빈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지주(10)의 상단에는 속으로 이물질 등이 침투됨을 방지하기 위한 캡(50)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KR2020060018115U 2006-07-04 2006-07-04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KR2004263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15U KR200426348Y1 (ko) 2006-07-04 2006-07-04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8115U KR200426348Y1 (ko) 2006-07-04 2006-07-04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348Y1 true KR200426348Y1 (ko) 2006-09-13

Family

ID=4177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8115U KR200426348Y1 (ko) 2006-07-04 2006-07-04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34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3266B1 (ko) 조립식 기둥 구조물
KR100789844B1 (ko) 수직망 겸용 건축현장용 추락방지망
CN100476159C (zh) 保护门或窗开口的可调节装置和模块化可调节安全装置
KR101027860B1 (ko) 친환경 자동 건물 해체공법 및 건물 해체용 구조물
KR200426348Y1 (ko) 건축물 주변 조립식 방호 울
KR200428187Y1 (ko) 건축물 출입용 방호 선반
KR101091600B1 (ko) 측구용 pc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측구 시공방법
KR200395096Y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난간대
KR100901016B1 (ko) 건축물의 외벽 비계 안전 브라켓
JP2002047662A (ja) 可搬柱状基礎体及びその設置方法
JP3706089B2 (ja) 型枠装置
KR200418037Y1 (ko) 하단에 수평틀을 구비한 유로폼/알루미늄폼 장치
CN219344119U (zh) 一种现场施工安全通道
KR101410828B1 (ko) 분해 조립 가능한 이동 울타리
JPH11303414A (ja) 耐震ルーム
CN211500043U (zh) 组合可调式洞口防护装置
KR100257658B1 (ko) 건축용 지주대와 형틀판넬을 안전하게 설치 및 해체하는 방법
CN213039059U (zh) 一种建筑安全防护用人员警示装置
CN214329653U (zh) 一种轻钢结构装配装饰一体化建筑的室外台阶
CN113931354B (zh) 悬挑脚手架与幕墙一体化构造及施工方法
JP5163861B2 (ja) 仮設門扉の支柱立設具及びその支柱立設構造
CN213020042U (zh) 一种预制模块化建筑外部可拆卸空调支架
KR200413775Y1 (ko) 신축 지하층의 안전구조물 지지구
KR200411009Y1 (ko) 타워 크레인용 주변 방호장치
JP3156060B2 (ja) 外塀の組立て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