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161Y1 - 초점 맞춤 모듈 - Google Patents

초점 맞춤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161Y1
KR200426161Y1 KR2020060016761U KR20060016761U KR200426161Y1 KR 200426161 Y1 KR200426161 Y1 KR 200426161Y1 KR 2020060016761 U KR2020060016761 U KR 2020060016761U KR 20060016761 U KR20060016761 U KR 20060016761U KR 200426161 Y1 KR200426161 Y1 KR 2004261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magnetic element
case
lens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676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 위 추앙
밍 훙 린
Original Assignee
윤 위 추앙
밍 훙 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위 추앙, 밍 훙 린 filed Critical 윤 위 추앙
Priority to KR202006001676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16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1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1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초점 맞춤 모듈은 케이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자기 요소, 막, 가동(movable) 자기 요소, 및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는 제1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해 케이스 안에 고정된다. 상기 막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수용되고 유지된다. 상기 막은 중심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상기 막의 중심 구멍을 둘러싸며 상기 막에 부착된다.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제어 신호를 받아들여 그에 반응하여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상기 제2 자기장은 상기 막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상기 막에 작용하는 힘을 유도하기 위해 고정 자기장의 제1 자기장과 상호작용한다. 상기 렌즈는 상기 막의 중심 구멍에 고정되며, 이로 인해 상기 렌즈는 초점 맞춤 작동을 하기 위해 고정 자기 요소와 가동 자기 요소의 제1 자기장과 제2 자기장 사이의 자기 상호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기 막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
초점 맞춤 모듈, 고정 자기 요소, 막, 가동 자기 요소, 렌즈, 자기장, 케이스

Description

초점 맞춤 모듈{FOCUSING MODU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초점 맞춤 모듈의 부분적으로 조각난 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과 유사한 횡단면도이나 렌즈가 초점 맞춤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위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화상 장치에서 본 발명의 초점 맞춤 모듈의 적용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6은 화상 장치에서 본 발명의 초점 맞춤 모듈의 또 다른 적용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초점 맞춤 모듈의 막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초점 맞춤 모듈을 나타내는 횡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구멍 20: 제1 자기 요소
30: 막 40: 제2 자기 요소
50: 렌즈 11: 구멍(bore)
31: 중심 구멍 41, 42: 단자
본 발명은 널리 소형 전기 장치나 디지털 화상 장치의 초점 맞춤 모듈 및 특히 정교한 초점 조정을 실행하기 위해 자기력에 의해 유도되는 탄성 막의 운동으로 작동하는 초점 맞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전화, 디지털 카메라, 웹 카메라, 핀 홀(pin-hole)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또는 전기 화상장치들은 다양한 응용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러한 화상 장치는 디지털 초점 맞춤 또는 광학 초점 맞춤 방식으로 초점 맞춤 작동을 수행한다. 상기 디지털 초점 맞춤은 디지털 화상 집적회로(IC)가 수행하는 자료 처리에 의해 수행된다. 디지털 초점 맞춤의 장점은 전체 크기의 감소뿐만 아니라 광학 요소들의 개수 감소와 그로 인한 생산 비용 감소이다. 그러나 디지털 초점 맞춤은 화상 표시 지연과 화상의 오염과 왜곡을 겪는다. 이것은 자료 처리가 매우 시간 소모적이고 처리의 결과가 종종 화상을 왜곡되게 하기 때문에 실제의 화상을 나타내는 것을 불가능하게 한다.
광학 초점 맞춤과 관련하여, 하나의 예제가 자동 초점 맞춤 장치를 나타내는 타이완 실용신안 공보 제588551호에 나타나며, 상기 자동 초점 맞춤 장치에서는 가 동(movable) 렌즈 홀더와 디지털 카메라의 케이스가 나사산으로 서로 맞물린다. 모터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전자기 구동 수단이 초점 맞춤 작동을 수행하도록 렌즈를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렌즈를 회전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전통적인 장치들의 초점 맞춤 작동은 렌즈의 연속적인 회전을 요구하는데, 이것은 렌즈가 홀더에서 우연히 분리되도록 하거나 회전에 의한 렌즈의 진동이나 흔들림으로 인해 초점 맞춤에 오류를 유도할 수 있다. 게다가, 초점 맞춤 장치의 부피를 매우 크게 하고 상기 부분들을 수용하기 위해 대형 케이스를 요구하는 나사 연결 및 전자기 구동 수단은 모듈화될 수가 없다. 따라서 디지털 카메라의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고 제조 비용이 증가한다.
게다가 광학 초점 맞춤 장치의 크기가 크고 종종 무거운 부분들의 관성력은 그 작동 제어를 어렵게 하고 렌즈를 의도하는 위치에 이동하는데 필요한 시간 간격이 늘어나도록 한다. 상기 렌즈의 회전에 의한 진동 또는 흔들림 및 상기 나사 맞물림에 의한 기계적인 소음과 진동은 화상 표시의 최종 결과에 또한 원치않는 오류를 부과하며, 상기 오류는 종종 추가적인 진동 흡수 장치의 도입으로 극복된다. 이것은 또한 비용을 상승시킨다.
본 발명은 전통적인 초점 맞춤 장치의 결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발명된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케이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자기 요소, 막, 가동 자기 요소, 및 렌즈를 포함하는 초점 맞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고정 자 기 요소는 위쪽을 향하는 자기력선을 갖는 제1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해 케이스 안쪽의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막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고정되고 중심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상기 막의 아래쪽에 부착되고 아래쪽을 향하는 자기력선을 갖는 제2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중심 구멍을 둘러싼다. 상기 렌즈는 상기 막의 중심 구멍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 및 가동 자기 요소들의 제1 자기장과 제2 자기장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으로 인해 상기 막과 상기 가동 자기 요소와 상기 렌즈들은 렌즈의 초점 맞춤 작동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고정 자기 요소와 상기 막의 축을 따라서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정교하게 변위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의 목적은 정확하게 제어된 변위로 가동 자기 요소를 축 방향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균일하고 안정된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제어 신호의 적용에 의해 고정 자기 요소와 가동 자기 요소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의 목적은 소형 전기 화상 장치를 위해 간단하고 소형이며 저 비용의 모듈화된 조립체를 구성하기 위해 고정 자기 요소를 수용하도록 제공된 케이스, 상기 막, 가동 자기 요소, 및 렌즈를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렌즈와 가동 자기 요소가 정지 상태나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물리적으로 연동하지 않아 렌즈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기계적인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의 목적은 상기 렌즈가 가동 자기 요소의 이동에 의한 상기 막의 탄성 변형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호작용된 자기장들 중 어느 하나가 제거될 때 상기 렌즈는 추가적인 에너지원 없이 상기 막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특징 및 기타 다른 특징과 장점을 명확히 나타내고 더 잘 이해하도록 하기 위하여 도면에 예시된 실시예를 참고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도면들, 특히 도 1 내지 도 3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00으로 나타낸 초점 맞춤 모듈은 예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는 중공 원통이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케이스(10), 적어도 하나의 제1 자기 요소(20), 막(30), 제2 자기 요소(40), 및 렌즈(50)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광학 입력 포트 역할을 하는 평 렌즈(111)가 장착된 개구부를 갖는 구멍(11)(bore)을 구성한다. 상기 구멍(11)은 상부 구역(112)과 하부 구역(분류 표시되지 않음)으로 나누어지고, 원주의 수용 슬롯(113)을 형성하는 어깨 부분(shoulder)은 상기 상부 구역과 하부 구역 사이를 연결한다. 상기 하부 구역은 광학 출력 포트 역할을 하는 바닥 개구부(12)를 형성한다.
예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 고정 자기 요소인 상기 제1 자기 요소(20)는 상기 케이스(10)의 하부 구역에,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에 수용되고 고정 된다. 나타난 실시예에서 고리 자석(ring magnet)을 포함하는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자석이나 자기장 발생 장치의 어떠한 형태도 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축 방향의 위쪽 또는 아래쪽을 향하는 자기력선들을 갖는 제1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예시하고 있는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자기력선들이 축 방향의 아래로 향하는 제1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접착제, 억지 끼워 맞춤, 나사 체결과 같은 알려진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라도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의 중심 축(X1)을 따라 연장된 중심 구멍(21)을 형성한다.
또한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막(30)은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 위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구역(112)의 수용 슬롯(113)에 수용되고 고정되는 외측 원주를 갖는 고리 모양 부재이다. 상기 막(30)은 접착제 또는 다른 동등한 방법과 같은 어떠한 수단에 의해서라도, 일례로 볼트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막(30)은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의 중심 축(X1)과 일치하는 중심 축(X2)을 갖는다. 상기 막(30)은 상기 축(X2)에 중심을 맞추는 중심 구멍(31)을 형성한다. 상기 막(30)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거나 탄력 있는 고무 또는 플라스틱 필름 또는 막뿐만 아니라 동등한 특성을 갖는 다른 변형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어떠한 적당한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제2 자기 요소(40)는 상기 막(30)의 아래쪽에 부착되고 본질상 상기 중심 구멍(31)과 동심을 이루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중심 구멍(31)의 원주를 둘러싸고, 원주를 따라 연장된다. 상기 제2 자기 요소(40)는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중심 구멍(31)의 원주를 따라 연장된 코일을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라도 될 수 있다. 상기 코일(40)은 자기력선을 축 방향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향하도록 하는 제2 자기장을 유도하기 위해 전기 제어 신호와 같은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단자(41, 42)들을 갖는다. 상기 나타난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자기 요소(40)에 의해 생성된 제2 자기장은 아래쪽을 향하는 자기력선을 갖는다.
상기 막(30)에 부착된 제2 자기 요소(40)에 의해 생성된 제2 자기장은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에 의해 생성된 제1 자기장과 그들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을 포함하여 상호작용하여, 상기 제2 자기 요소(40)가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에 의해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를 향해 이동하거나 멀리 떨어지도록 당겨지거나 밀리도록 한다. 이 점에서 상기 제2 자기 요소(40)는 가동 자기 요소로서의 역할을 한다. 자기 요소(20, 40)들 간의 인력이나 척력의 크기는 가동 자기 요소(40) 코일의 단자(41, 42)들에 적용된 제어 신호에 의해 좌우된다. 케이스(10)에 고정된 고정 자기 요소(20)에 관하여 가동 자기 요소(40)를 이동하도록 하는 자기 요소(20, 40)들 간의 인력이나 척력 역시 도 4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중심 축(X2)을 따라 축 방향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상기 막(30)의 변형을 유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의 중심 구멍(21)은 그 사이의 주위 공간을 갖고 구멍 속에 제2 자기 요소(40)의 적어도 일부분을 이동할 수 있게 수용할 만큼 충분히 크다.
상기 렌즈(50)는 상기 막(30)의 중심 구멍(31)에 장착되어서 상기 막(30)의 변형에 따라 이동가능하다. 상기 평 렌즈(50)를 통한 외부 화상의 전달은 더 설명 될 화상 감지 장치에 의해 수용되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바닥 개구부(12)를 통해 상기 화상을 안내하고 초점을 맞추는 광학 특성을 갖는 상기 렌즈(50)에 의해 수용된다. 가동 자기 요소(40)의 이동은 상기 막(30)이 변형되도록 하여서, 결국 상기 막은 미세한 초점 맞춤 조정이 수행되도록 축 방향의 위쪽이나 아래쪽 방향으로 상기 케이스(10)에 관하여 상기 렌즈(50)가 이동하여 디지털 카메라나 그와 유사한 것에서 전통적으로 행해지는 초점 맞춤 작동을 실현한다.
상기 막(30)의 탄성은 상기 제어 신호가 상기 단자(41, 42)에 더 이상 가해지지 않은 후 상기 막(30)과 그에 부착된 렌즈(50)가 상기 막(30)이 변형되지 않았을 때의 초기 위치로 돌아오도록 한다. 상기 렌즈(50)를 초기 위치로 돌아오도록 하기 위해 기계적이건 전기적이건 추가적인 장치나 요소가 필요치는 않다.
또한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초점 맞춤 모듈(100)을 구체화하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디지털 화상 장치가 나타나 있다. 디지털 카메라 외에 카메라가 부착 이동 전화, 웹 카메라, 및 핀 홀(pin-hole) 카메라와 같은 다른 디지털 화상장치들은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난 것과 같이,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에 장착되는 대신 상기 렌즈(50)를 통해 전달되는 화상을 받아들이는 화상 포착(image-taking) 집적회로(IC)(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만들기 위해 상기 케이스(10)의 바닥으로부터 이격된다. 그래서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바닥으로부터 이격되어 케이스(10)의 측벽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는 접착제 및 볼트 또는 그와 유사한 것들과 같은 어떠한 알려진 수단에 의해서라도 케이스(1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화상 포착 집적회로(200)는 CMOS 화상 집적회로와 같은 전통적인 디지털 카메라에 사용되는 알려진 화상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상기 화상 포착 집적회로(200)는 이미지 형성부(210)와 적어도 2개의 제어 신호 출력부(220, 230)들을 포함한다. 상기 이미지 형성부(210)는 집적회로(200) 용의 대응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렌즈(50)로부터 나와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의 구멍(21)을 통해 지나가는 광학 신호를 받는다. 상기 제어 신호 출력부(220, 230)들은 이미지 형성부(210)가 상기 렌즈(50)로부터 받아들이는 상기 이미지의 상태에 따라서 가동 자기 요소(40)의 제어 단자(41, 42)들과 결합하며, 상기 화상 포착 집적회로(200)는 상기 렌즈(50)가 축(X2, X3)들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여 상기 렌즈(50)와 이미지 형성부(210) 사이의 초점 거리를 변경하여 초점 맞춤 작동을 수행함으로써 고정 자기 요소(20)와 가동 자기 요소(40)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을 유도하기 위해 적당한 전기 제어 신호들을 상기 출력부(220, 230)들을 거쳐 가동 자기 요소(40)에 가할 수 있다. 상기 집적회로(200)는 카레라 초점 맞춤 기술로 잘 알려진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에 근거한 초점 맞춤 작동의 계산이나 제어를 할 수 있다. 여기서 이와 관련하여 더 상세히 언급하지는 않는다.
도 5에 예시한 적용례의 수정 예를 나타내는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화상 포착 집적회로(200)는 도 5에 나타난 한 개의 장치로서 이제 케이스(10)의 바닥에 고정되기보다 케이스(10)의 바깥쪽에 배치된다. 상기 집적회로(200)는 상기 렌즈(50)의 광학 신호를 받아들이도록 케이스(10)의 개구부(12)보다 아래쪽에 배치된다. 상기 집적회로(200)의 출력부(220, 230)들은 상기 개구부(12)를 통과하여 연장되는 전선들이나 전도체(conductor)(240, 250)들에 의해 가동 자기 요소(40)의 단자(41, 42)들에 결합된다.
도 7은 또한 간단히 도면 부호 10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초점 맞춤 모듈을 나타낸다. 상기 초점 맞춤 모듈(100)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30)은 유연성 회로 판과 유연성 회로 판에 인쇄된 전도 선(trace)을 포함하는 가동 자기 요소(40)로 만들어진다. 상기 가동 자기 요소(40)를 구성하는 상기 전도 선은 상기 제2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해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언급된 것과 같이 동일한 초점 맞춤 작동을 하도록 하는 2개의 단자(41, 42)들을 갖는다.
도 8은 또한 간단히 도면 부호 100으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초점 맞춤 모듈을 나타낸다. 제3 실시예의 초점 맞춤 모듈(100)은 상기 화상 포착 집적회로(200)의 제어 신호 출력부(210, 220)들에 연결될 수 있는 2개의 단자(21', 22')들을 구비한 전기 코일이나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고정 자기 요소(20')를 포함한다. 상기 초점 맞춤 모듈(100)은 가동 자기 요소(40')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자기 요소는 상기 막(30)에 부착되고 상기 막(30)의 구멍(31)을 둘러싸는 고리 자석을 포함하므로, 상기 렌즈(50)는 상기 구멍(31)에 장착된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20')들은 가동 자기 요소(40')를 이동시켜 상기 렌즈(50)가 축(X3)을 따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자기 요소(20', 40')들 사이의 인력 또는 척력을 포함하는 상기 고리 자석(40')에 의해 생성되는 제2 자기장과 상호 반응하는 제1 자기장을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난 배치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난 초점 맞춤 모듈이나 도 7에 나타난 초점 맞춤 모듈에서 구체화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었더라도, 당업자에게 있어서 청구항에 의해 정의되어 있는 본 발명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수정이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초점 맞춤 모듈은 케이스, 적어도 하나의 고정 자기 요소, 막, 가동 자기 요소, 및 렌즈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는 위쪽을 향하는 자기력선을 갖는 제1 자기장을 발생하기 위해 케이스 안쪽의 바닥에 고정된다. 상기 막은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수용되고 고정되며 중심 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상기 막의 아래쪽에 부착되고 아래쪽을 향하는 자기력선을 갖는 제2 자기장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중심 구멍을 둘러싼다. 상기 고정 자기 요소 또는 상기 가동 자기 요소에 제어 신호를 가함으로써 당기거나 밀어내는 상호작용이 제1 자기장과 제2 자기장 사이에서 발생하며, 상기 상호작용은 상기 고정 자기 요소, 상기 막, 및 정교한 변위를 갖는 상기 가동 자기 요소의 중심축을 따라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상기 막과 상기 가동 자기 요소를 이동시킨다. 상기 렌즈는 상기 렌즈가 소음과 진동이 없고 정확한 방법으로 초점 맞춤 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막 및 상기 가동 자기 요소와 일치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막의 중심 구멍에 장착된다.
본 발명은 간단하고 소형이며 저 비용의 모듈화된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도 록 하고, 렌즈가 추가적인 에너지원 없이 상기 막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으로 초기 위치로 돌아오는 초점 맞춤 모듈을 제공한다. 그리고, 렌즈가 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기계적인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을 제공한다.

Claims (16)

  1. 구멍(bore)을 형성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제1 자기장을 발생하는 고정 자기 요소,
    상기 구멍에서 수용되고 유지되며 중심 구멍을 형성하는 탄성 막,
    상기 막에 장착되고 상기 중심 구멍을 둘러싸는 가동 자기 요소로서, 상기 막의 탄성 변형을 일으키는 상기 막에 작용하는 힘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고정 자기장의 제1 자기장과 상호작용하는 제2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가동 자기 요소, 및
    고정 자기 요소와 가동 자기 요소들의 제1 자기장과 제2 자기장 사이의 자기적인 상호작용에 의한 상기 막의 탄성 변형으로 인해 상기 케이스에 대해 렌즈가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상기 막의 중심 구멍에 고정된 렌즈를 포함하는 초점 맞춤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구멍(bore)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opening)를 형성하고, 평 렌즈는 상기 구멍(bore)의 개구부(opening)에 수용되고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구멍(bore)은 상부 구역과 하부 구역으로 나뉘고, 상기 막은 상부 구역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멍의 상부 구역은 상기 막의 원주를 수용하는 수용 슬롯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개구부(opening)는 상기 렌즈로부터의 광학 신호에 대한 출력 포트 역할을 하며 케이스의 바닥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기 요소는 고리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기 요소는 중심 구멍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기 요소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 춤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자기 요소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는 2개의 입력 단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고무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플라스틱 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막은 유연성 회로 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코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는 2개의 입력 단자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상기 막에 인쇄된 전도 선(trac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자기 요소는 고리 자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점 맞춤 모듈.
KR2020060016761U 2006-01-13 2006-06-21 초점 맞춤 모듈 KR2004261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6761U KR200426161Y1 (ko) 2006-01-13 2006-06-21 초점 맞춤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200833 2006-01-13
KR2020060016761U KR200426161Y1 (ko) 2006-01-13 2006-06-21 초점 맞춤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161Y1 true KR200426161Y1 (ko) 2006-09-08

Family

ID=41774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6761U KR200426161Y1 (ko) 2006-01-13 2006-06-21 초점 맞춤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1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41B1 (ko) 2010-02-08 2012-04-12 주식회사 피케이엘 마스크의 미세 선폭 측정 장치
KR20200025506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가변 조리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241B1 (ko) 2010-02-08 2012-04-12 주식회사 피케이엘 마스크의 미세 선폭 측정 장치
KR20200025506A (ko) * 2018-08-30 2020-03-10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가변 조리개
KR102090691B1 (ko) * 2018-08-30 2020-03-18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자기 가변 조리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77999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设备
US10886829B2 (en) Electromagnetic driving module and lens device using the same
CN112630925B (zh) 透镜移动装置及含该透镜移动装置的相机模块和便携式终端
CN112363292B (zh) 透镜移动装置
KR102447339B1 (ko) 렌즈 홀더 구동 장치 및 카메라 탑재 휴대 단말
CN113448055B (zh) 透镜驱动装置以及包括该透镜驱动装置的相机模块和光学仪器
US8244120B2 (en) Image stabilizer and anti-vibration camera module using same
KR102071953B1 (ko) 렌즈 구동 장치, 카메라 장치 및 전자 기기
US11656427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including same
CN110476116B (zh) 透镜驱动装置和相机模块及包括该相机模块的光学设备
US10620397B2 (en) Camera module
KR101141722B1 (ko) 보이스 코일 모듈
CN115903338A (zh) 摄像装置模块以及光学装置
JP2010148082A (ja) カメラモジュール
CN112394594B (zh) 相机模块
KR20150006785A (ko) 카메라 모듈
CN101452107A (zh) 镜头模组及相机模组
KR200426161Y1 (ko) 초점 맞춤 모듈
KR20170000253A (ko) 렌즈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150015954A1 (en) Camera module
CN100373199C (zh) 光学设备
KR20110024871A (ko) 카메라 모듈
US11650393B2 (en) Camera module having axial assembling structures and electronic device
JP2018173578A (ja) レンズ駆動装置
JP3121726U (ja) 焦点調節モジュ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