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610Y1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610Y1
KR200425610Y1 KR2020060017311U KR20060017311U KR200425610Y1 KR 200425610 Y1 KR200425610 Y1 KR 200425610Y1 KR 2020060017311 U KR2020060017311 U KR 2020060017311U KR 20060017311 U KR20060017311 U KR 20060017311U KR 200425610 Y1 KR200425610 Y1 KR 2004256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p
continuous
precast concrete
composite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3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용
김병석
조근희
조정래
김성태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20200600173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61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6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61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2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Fastening railway sleepers or tracks to bridges
    • E01D19/125Grating or flooring for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40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다수개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섬유강화플라스틱(FRP)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 바닥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 서로 일체를 이루어 연속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FRP 바닥부 유닛의 연속부 상면에서 양측 FRP 하부골조의 상면에는 수직결합부를 일체로 설치하고, 상기 연속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지하는 인장연결부재를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에 걸쳐서 상기 수직결합부의 상단부에 결합하며; 상기 수직결합부 및 인장연결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연속부의 FRP 하부골조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연속화되도록 하는 새로운 형식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콘크리트 합성 FRP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바닥판, 섬유강화플라스틱, 합성, 콘크리트, 연속, 이음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Connection Structure of Precast Concrete Composite FRP Deck Units and Precast Concrete Composite FRP Deck Having Such Connection Structure}
도 1a 및 도 1b는 각각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는 도 1a 및 도 1b에 후속하여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단면도로서 인장연결부재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c는 도 2b에서 인장연결부재의 조립이 완료되어 연속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FRP 하부골조에서 수직결합부가 형성된 부분의 섬유배치를 보여주는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
11...FRP 하부골조
12...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20...인장연결부재
본 고안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는 다수개의 중공이 형성되어 있는 섬유강화플라스틱(Fiber Reinforced Plastics/명세서 전체적으로 "FRP"라고 약칭함) 바닥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을 서로 연결하여 연속 바닥판을 구성함에 있어서, 이웃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 서로 일체를 이루어 연속화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형식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콘크리트 합성 FRP 바닥판에 관한 것이다.
콘크리트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량 바닥판 등의 구조물을 대체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하부골조는 FRP로 이루어지고 상부는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형성 된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져 있어 FRP의 하부골조와 상부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합성되어 있는 구조를 가지는 복합형 바닥판이 특허 제568903호를 통하여 알려져 있다. 이러한 복합형 바닥판은 FRP의 하부골조를 교량 거더에 거치한 후, 현장에서 그 상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장 타설 콘크리트에 의하여 상부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는 방법 이외에도 공장에서 FRP 하부골조 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의 콘크리트 슬래브를 형성하는 프리캐스트 방식을 이용하여 이러한 복합형 바닥판을 제작하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다. 즉, 공장에서 FRP 하부골조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를 일체로 형성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명세서 전체에서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라고 약칭을 함)을 제작한 후에, 이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과 결합함으로써, 연속적으로 일체화된 합성형 FRP 바닥판을 시공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이 사전에 제작된 다수개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을 현장에서 결합하여 연속화하기 위해서는 FRP 하부골조의 완전한 연속화가 필수적이며, 상부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간의 연속화도 반드시 수반되어야 한다.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사전에 제작된 다수개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을 현장에서 연속적로 결합하여 일체화된 합성형 FRP 바닥판을 제작함에 있어서 반드시 해결해야만 하는 과제인 FRP 하부골조의 완전한 연속화 및 상부의 프 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간의 연속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전에 제작된 다수개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을 현장에서 연속적로 결합할 때, FRP 하부골조 간에 완전한 연속화가 이루어지도록 함과 동시에 상부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간에도 완전한 연속화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일체를 이루는 합성형 FRP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연속구조에 의하여 시공된 연속화된 합성형 FRP 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고안은 간편하고 경제적인 방법을 통하여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를 형성하고, 이러한 연속구조를 가지는 합성형 FRP 바닥판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섬유강화플라스틱으로 제조되며 상부판,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 하부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FRP 하부골조와, 상기 FRP 하부골조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로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들이 서로 연속화되는 연속부에서 일측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종방향 측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합성형 FRP 바닥 판 유닛의 종방향 측면에는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 서로 연속화될 때 연속부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돌출부 내로 삽입되고; 상기 연속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FRP 하부골조의 상부판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연속부 상면에는 양측 FRP 하부골조의 상면에 수직결합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속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지하는 인장연결부재가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에 걸쳐서 상기 수직결합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 및 인장연결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연속부의 FRP 하부골조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연속화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가 제공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부의 상단부에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연결부의 단부에는 각각 돌기부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가 상기 돌기부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인장연결부재가 양측의 수직결합부의 상단부에 스냅-핏 형태로 간편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위와 같은 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장연결부재의 수평단부에는 수직하향부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하향부의 단부에 상기 걸림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연속구조를 가지는 바닥판이 제공되는데, 구체적으로 섬유강화플라스틱(FRP)으로 제조되며 상부판,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과 하부판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FRP 하부골조와, 상기 FRP 하부골조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로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 서로 연속화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로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들이 서로 연속화되는 연속부에서 일측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종방향 측면에는 삽입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종방향 측면에는 상부 돌출부 및 하부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이 서로 연속화될 때 연속부에서 상기 삽입부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돌출부 내로 삽입되고; 상기 연속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FRP 하부골조의 상부판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연속부 상면에는 양측 FRP 하부골조의 상면에는 수직결합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속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지하는 인장연결부재가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에 걸쳐서 상기 수직결합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 및 인장연결부재가 매립되도록 상기 연속부의 FRP 하부골조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일체로 연속화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이 제공된다.
아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에 의하여 시공된 합성형 FRP 바닥 판의 구성 및 효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에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이 결합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조립 사시도 및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a에는 도 1a 및 도 1b에 후속하여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b에는 도 2a의 단면도로서 인장연결부재(20)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c에는 인장연결부재(20)의 조립이 완료되어 연속부에 콘크리트(30)가 타설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고안에 있어서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은, FRP로 제작된 하부골조 즉, FRP 하부골조(11)와, 공장에서 타설되어 상기 FRP 하부골조(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FRP 하부골조(11)는 상부판(111)과 하부판(112), 그리고 상기 상부판(111) 및 하부판(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13)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114)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면형상을 가진다.
후술하는 것처럼, 본 고안에서는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이 서로 연속화되는 연속부에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상기 FRP 하부골조(11)가 그 측면에서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는데,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을 통하여 상기 FRP 하부골조(11)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된다. 구체적으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이 서로 연속화되는 연속 부에서 상기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종방향 측면에는 상기 FRP 하부골조(11)의 상부판(111) 및 하부판(112)이 두께가 감소된 삽입부(11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과 그 측면에서 종방향으로 결합되어 연속화되는 또다른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종방향 측면에는 상기 삽입부(115)를 감쌀 수 있도록 돌출된 상부 돌출부(116) 및 하부 돌출부(11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이 서로 연속화될 때, 연속부에서 일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상기 FRP 하부골조(11)의 삽입부(115)는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FRP 하부골조(11)의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6, 117) 내로 삽입되어 상기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5, 116)가 삽입부(115)를 감싸게 된다.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5, 116)의 내면과 상기 삽입부(115) 외면 사이에는 에폭시 등과 같은 접착제를 도포하여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5, 116)와 삽입부(115)가 서로 일체로 접합되도록 한다.
본 고안에서 FRP 하부골조(11)의 일체 결합은 반드시 위와 같은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순히 FRP 하부골조(11)의 격벽(113)을 접착제를 이용하여 서로 맞주 접합하거나 기타의 방법에 의하여 FRP 하부골조(11)를 서로 일체 결합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 전체에 걸쳐 FRP 하부골조(11)의 상부에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이 서로 연속되기 전 상태에서는, 연속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FRP 하부골조(11) 의 상부판(111)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 없이 상부판(111)의 상면이 노출된 연속부 상면에는 수직결합부(17)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다. 상기 수직결합부(17)는 삽입부(115)가 형성된 측면뿐만 아니라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5, 116)가 형성된 측면에도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수직결합부(17)는 FRP 하부골조(11)의 격벽(113)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는 상기 수직결합부(17)가 형성된 부분의 섬유배치를 보여주는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FRP 하부골조(11) 내에 포함된 섬유(127)가 격벽(113)과 수직결합부(17)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섬유(127)는 수직결합부(17)와 FRP 하부골조(11)의 상부판(111)이나 하부판(112)에 걸쳐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한 수직결합부(17)는,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FRP 하부골조(11)의 연속부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될 때 상기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합성작용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보강재로서의 기능도 하게 되어 연속화된 합성형 FRP 바닥판의 횡방향 강성을 현저하게 증대시키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상기 수직결합부(17)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것처럼 인장연결부재(20)가 결합된다.
다음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연속구조를 설명한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FRP 하부골조(11)의 상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일체로 합성되어 있되, 서로 연속될 연속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FRP 하부골조(11)는, 삽입부(115)가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5, 116)에 감싸지도록 끼워지므로써 서로 결합하게 된다. 양측의 FRP 하부골조(11)가 결합된 상태에서, 각각의 FRP 하부골조(11) 상부면에 형성된 수직결합부(17)들의 상단부에는 도 2a 내지 도 2c에 도시된 것처럼,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에 걸쳐서 인장연결부재(20)가 결합된다. 즉, 상기 인장연결부재(20)는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사이에서 그 양단부가 상기 수직결합부(17)들의 각 상단부에 결합되므로써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 사이에 걸쳐져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인장연결부재(20)는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의 연속부 상부, 즉 서로 결합된 FRP 하부골조(11)의 상부에 콘크리트(30)가 타설되면 상기 콘크리트(30) 속에 매립되는데,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의 연속부에 부모멘트가 작용할 때 콘크리트(30)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지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연속부에서의 콘크리트(30) 강도가 증가하게 되고, 그만큼 바닥판 슬래브의 일체성이 향상된다.
인장연결부재(20)의 단부를 상기 양측의 수직결합부(17)의 상부에 결합함에 있어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수직결합부(17)의 상단부에 돌기부(137)를 형성하고, 상기 인장연결부(20)의 단부에는 각각 돌기부(137)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21)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부(21)가 상기 돌기부(137)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인장연결부재(20)가 양측의 수직결합부(17)의 상단부에 스냅-핏 형태로 간편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인장연결부재(20)의 수평 단부에 수직하향부(22)를 형성하고 상기 수직하향부(22)의 단부에 상기 걸림부(21)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서로 결합된 양측 FRP 하부골조(11) 각각의 상부면에 상기 수직결합부(17) 및 인장연결부재(20)가 내부에 매립되도록 현장 타설 콘크리트(30)가 타설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와 함께 일체의 바닥판 슬래브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서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이 일체로 연속화되어 전체적으로 연속된 바닥판을 형성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처럼, 본 고안에서는, FRP 하부골조(11) 위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가 합성되어 있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을 현장에서 연속적로 결합하여 일체화된 합성형 FRP 바닥판을 제작함에 있어서 FRP 하부골조(11) 측면간의 직접적인 접합 및 수직결합부(17)와 인장연결부재(20)간의 기계적인 결합, 그리고 연속부에서의 콘크리트(30)의 연속타설을 통해서, FRP 하부골조(11)간의 완전한 연속화를 이룸과 동시에 상부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의 연속화를 이룰 수 있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콘크리트 슬래브를 연속화함에 있어서, 인장연결부재(20)를 간편한 방법으로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인장연결부재(20)가 연속부의 콘크리트(30)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지지하게 되므로 콘크리트 슬래브의 견고한 일체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섬유강화플라스틱(RP)으로 제조되며 상부판(111), 하부판(112), 및 상기 상부판(111)과 하부판(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13)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114)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FRP 하부골조(11)와, 상기 FRP 하부골조(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로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연속구조로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이 서로 연속화되는 연속부에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상기 FRP 하부골조(11)가 그 측면에서 서로 결합되어 일체화되며;
    상기 연속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FRP 하부골조(11)의 상부판(111)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연속부 상면에는 양측 FRP 하부골조(11)의 상면에 수직결합부(17)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속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지하는 인장연결부재(20)가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에 걸쳐서 상기 수직결합부(17)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17) 및 인장연결부재(20)가 매립되도록 상기 연속부의 FRP 하부골조(11) 상면에 콘크리트(30)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일체로 연속화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결합부(17)의 상단부에는 돌기부(137)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인장연결부(20)의 단부에는 각각 돌기부(137)에 걸리게 되는 걸림부(21)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걸림부(21)가 상기 돌기부(137)와 맞물리도록 하여 상기 인장연결부재(20)가 양측의 수직결합부(17)의 상단부에 스냅-핏 형태로 간편하게 기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연결부재(20)의 수평단부에는 수직하향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직하향부(22)의 단부에 상기 걸림부(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FRP 하부골조(11)의 종방향 일측면에는 삽입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FRP 하부골조(11)의 종방향 측면에는 상부 돌출부(116) 및 하부 돌출부(117)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이 서로 연속화될 때 연속부에서 상기 삽입부(115)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6, 117) 내로 삽입되므로써 상기 FRP 하부골조(11)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의 연속구조.
  5. 섬유강화플라스틱(FRP)로 제조되며 상부판(111), 하부판(112), 상기 상부판(111)과 하부판(112)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격벽(113)에 의하여 형성된 공동부(114)가 종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단면형상을 가지는 FRP 하부골조(11)와, 상기 FRP 하부골조(11)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로 구성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이 서로 연속화되어 형성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로서,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들이 서로 연속화되는 연속부에서 일측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종방향 측면에는 삽입부(115)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의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의 종방향 측면에는 상부 돌출부(116) 및 하부 돌출부(117)가 형성되어 있어, 이웃하는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이 서로 연속화될 때 연속부에서 상기 삽입부(115)는 상기 상부 및 하부 돌출부(116, 117) 내로 삽입되고;
    상기 연속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FRP 하부골조(11)의 상부판(111)의 상면이 노출되어 있으며;
    상기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형성되어 있지 아니한 연속부 상면에는 양측 FRP 하부골조(11)의 상면에는 수직결합부(17)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연속부에 작용하는 인장력을 지지하는 인장연결부재(20)가 양측 합성형 FRP 바닥판 유닛(10)에 걸쳐서 상기 수직결합부(17)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수직결합부(17) 및 인장연결부재(20)가 매립되도록 상기 연속부의 FRP 하부골조(11) 상면에 콘크리트(30)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12)가 일체로 연속화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합성형 FRP 바닥판.
KR2020060017311U 2006-06-27 2006-06-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KR2004256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311U KR200425610Y1 (ko) 2006-06-27 2006-06-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311U KR200425610Y1 (ko) 2006-06-27 2006-06-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999A Division KR100735735B1 (ko) 2006-06-27 2006-06-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610Y1 true KR200425610Y1 (ko) 2006-09-06

Family

ID=41774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311U KR200425610Y1 (ko) 2006-06-27 2006-06-27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61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1607B1 (ko) 전단연결재 일체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모듈 및 이를이용한 콘크리트 합성 바닥판
KR101071273B1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 및 이들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KR101505579B1 (ko)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를 이용한 파이프 렉 구조체 또는 보 기둥 접합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067001B1 (ko) 철근을 이용한 스틸 박스 거더 교량의 슬래브 시공 공법
JP5442421B2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床版及びそれを用いたスラブ構築方法
KR101890860B1 (ko)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JP6223082B2 (ja) 橋桁
JP2001081720A (ja) 複合箱桁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床版と鋼製ウエブの接合構造
KR20150037786A (ko) Psc거더 라멘교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00043731A (ko) 강재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기둥 및 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
KR10073573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KR101705002B1 (ko) 조립식 이중합성 플레이트 거더교 및 그 시공방법
KR101250385B1 (ko) 수직절개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교각부 유니트의 조립에 의한 교각부를 가지는 조립식 교각 및 그 시공방법
CN111691548A (zh) 预制构件的上下层连接结构和方法
KR200425610Y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유닛의 연속구조 및 이러한 연속구조를 구비한 프리캐스트콘크리트 합성형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7223047A (ja) カルバートの壁構造およびカルバートの壁構築方法
KR100502584B1 (ko) 복합소재로 제작된 구조용 부재
KR101834423B1 (ko) 변단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보
KR200415318Y1 (ko) 조립식 콘크리트 충진 거더
KR101710571B1 (ko) 유닛 결합형 장경간 피씨 합성보 시스템
JPH1181452A (ja) Pc梁の主筋継手構造
KR101688440B1 (ko) 빔의 상부 보강 부재, 빔의 상부 보강 부재가 설치된 빔, 및 이를 사용한 건설 구조물
JP2006169730A (ja) コンクリート橋桁とその成形方法
KR100568904B1 (ko) 섬유강화플라스틱 바닥판과 거더의 합성 연결구조,연결시공방법 및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