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5326Y1 -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 Google Patents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5326Y1
KR200425326Y1 KR2020060017040U KR20060017040U KR200425326Y1 KR 200425326 Y1 KR200425326 Y1 KR 200425326Y1 KR 2020060017040 U KR2020060017040 U KR 2020060017040U KR 20060017040 U KR20060017040 U KR 20060017040U KR 200425326 Y1 KR200425326 Y1 KR 2004253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wer
water tank
parasol
outdoor portable
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식
Original Assignee
김동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식 filed Critical 김동식
Priority to KR20200600170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53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53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53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A47K3/30Screens or collapsible cabinets for showers or baths
    • A47K3/32Collapsible cabinets
    • A47K3/325Collapsible cabinets movable, e.g. for easy transportation to the site of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athtubs, Showers, And Their Attach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야외용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하기에 편리한 조립식으로서 야외에서 샤워 및 탈의를 위해 신속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는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기둥의 상단에 방사형으로 장착된 다수 개의 활대가 접히거나 펼쳐지며, 다수 개의 활대에 고정되어 상기 활대를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가리개를 구비한 파라솔과, 상기 다수 개의 활대의 끝단에 연결되어 펼쳐진 가리개의 원주를 따라 펼쳐져 상기 파라솔 내부와 외부를 경계 짓는 천막과, 물이 저장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공급 받아 분사하며 상기 천막 안쪽에 위치하는 샤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샤워장치, 샤워기, 파라솔, 천막, 가리개, 물탱크, 펌프

Description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OUTDOOR PORTABLE TYPE OF SHOWER DEVICE}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샤워장치의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샤워기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와 다른 형태의 샤워기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110 : 파라솔
111 : 기둥 115 : 후크
120 : 천막 121 : 고리
130 : 물탱크 131 : 펌프
133 : 전원스위치 135 : 배터리
137 : 시거 잭 플러그 140 : 샤워기
150 : 쐐기 160 : 샤워기걸이
본 고안은 야외용 샤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하기에 편리한 조립식으로서 야외에서 샤워 및 탈의를 위해 신속하게 조립하여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이하게 철거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
유명 관광지를 제외한 대부분의 피서지, 낚시터, 야영장, 등산로, 공사현장, 해수욕장 및 계곡의 편의시설은 그 곳을 이용하는 이용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특히 물놀이를 즐길 수 있는 해수욕장에는 옷을 갈아입을 수 있는 탈의실과 샤워실이 별도로 설치된다. 그 이유는 샤워실에서 옷을 갈아 입다보면 타인에 의해 새로 갈아입을 옷이 젖을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탈의실과 샤워실을 별도로 구분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탈의실과 샤워실이 차지하는 면적이 넓게 되어 공간활용도가 낮다.
이와 같은 탈의실과 샤워실 또한 유명 해수욕장이나 계곡에 설치되어 있을 뿐, 잘 알려지지 않은 곳에서는 그나마 탈의실 및 샤워실도 없는 형편이다.
이와 같이 탈의실과 샤워실이 없는 곳에서는 해수욕이나 물놀이를 즐기기에 불편함이 있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휴대하고 다닐 수 있어 어느 곳에서라도 간단하게 설치할 수 있으며, 1인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사생활 침해의 방지는 물론, 탈의실 및 샤워실로 겸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기둥의 상단에 방사형으로 장착된 다수 개의 활대가 접히거나 펼쳐지며, 다수 개의 활대에 고정되어 상기 활대를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가리개를 구비한 파라솔과, 상기 다수 개의 활대의 끝단에 연결되어 펼쳐진 가리개의 원주를 따라 펼쳐져 상기 파라솔 내부와 외부를 경계 짓는 천막과, 물이 저장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공급 받아 분사하며 상기 천막 안쪽에 위치하는 샤워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가 상기 천막 안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샤워기로 강제 이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가 상기 천막 안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샤워기로 강제 이송하는 펌프와, 차량의 시거 잭에 삽입되어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상기 펌프에서 연장된 시거 잭 플러그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물탱크는 자바라식 물탱크로서 내부에 채워진 물의 양에 따라 신축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기둥에는 샤워기걸이가 장착되는데, 상기 샤워기걸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개방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타측 중에서 어느 한 측의 관통공 또는 양측 관통공은 그 내측면이 이중으로 굴곡된다.
또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파라솔의 기둥은 지면에 박혀 있는 쐐기에 끼워지며, 상기 쐐기는 하단이 뾰족한 실린더 구조로서, 외측에는 나사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이 형성된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샤워장의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쐐기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샤워기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와 다른 형태의 샤워기걸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100)는 접혀지거나 펼쳐지며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 개의 활대(113)에 후크(115)가 형성된 파라 솔(110)과, 상기 파라솔(110)의 후크(115)에 걸 수 있는 고리(121)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파라솔(110)의 원주를 따라 걸쳐지는 천막(120)과, 약 15 내지 20리터의 물을 보관하는 물탱크(130)와, 상기 파라솔(110)의 기둥(111)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물탱크(13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는 샤워기(140)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파라솔(110)은 수직 기둥(111)과, 상기 기둥(111)의 상단에 방사형태로 펼쳐지거나 또는 기둥(111)과 평행하게 접혀 위치하는 활대(113)들 및, 상기 활대(113)들에 연결되어 햇빛을 차단하거나 비를 피할 수 있게 구성된 가리개(117)를 포함하며, 각 활대(113)의 끝단에는 후크(115)가 고정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파라솔(110)은 지면에 박혀 고정된 쐐기(150)에 끼워져 세워진다. 쐐기(1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이 뾰족한 실린더 구조로서, 외측에는 나사현(151)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구멍(153)이 형성된다. 파라솔(110)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쐐기(150)를 지면에 박아야 하는데, 쐐기(150)의 상단에 형성된 구멍(153)에 막대(155)를 끼우고, 쐐기(150)의 하단을 지면에 위치한 상태에서 구멍(153)에 끼워진 막대(155)를 돌려 쐐기(150)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쐐기(150)가 회전하면서 점차 지면에 박히게 되는데, 쐐기(150)의 하단이 지면에 박히면서 막대(155)가 지면에 근접하게 되면 회전을 멈춘 후 막대(155)를 제거하고, 쐐기(150)에 파라솔(110)의 기둥(111)을 끼워 파라솔(110)을 세운다.
그리고 파라솔(110)의 활대(113)를 펼쳐 가리개(117)로 천장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펼쳐진 활대(113)에 천막(120)을 치는데, 활대(113)의 끝단에 고정된 후크(115)에 천막(120)의 고리(121)를 걸어 천막(120)이 가리개(117)의 원주를 따라 두른다.
구체적으로, 천막(120)은 가리개(117)의 원주 길이만큼의 가로 길이와 파라솔(110)이 펼쳐진 상태에서 바닥에서 활대(113) 끝단까지의 세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 구조의 천막(120)으로서, 천막(120)의 두 가로변 중 한 쪽 가로변에는 상기 펼쳐진 파라솔(110)의 활대(113) 끝단 사이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고리(1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천막(120)의 한 쪽 가로변에는 상기 활대(113)의 개수만큼의 고리(121)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 1에 보이듯이 천막(120)의 양측 세로변에는 벨크로테이프(123)가 부착되어 천막(120)의 양측 세로변을 상호 부착 가능하다.
상기의 구조를 갖는 천막(120)을 펼쳐진 파라솔(110)에 설치할 경우에, 파라솔(110)의 후크(115)에 천막(120)의 고리(121)를 각각 건다. 그러면 천막(120)은 파라솔(110)의 원주를 따라 수직하게 위치하며 파라솔(110)의 안과 바깥의 경계를 구분시킨다. 한편 사람이 파라솔(110) 안쪽으로 들어가거나 나올 때에는 천막(120)의 세로변에 각각 부착된 벨크로테이프(123)를 뜯어 출입한다.
한편, 파라솔(110)의 기둥(111)에는 샤워기걸이(160)가 장착된다. 상기 샤워기걸이(160)는 도 4a에 보이듯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개방된 관통공(161, 163)이 형성되는데, 일측에 형성된 관통공(161)에는 파라솔(110)의 기둥(111)이 끼워지고, 타측에 형성된 관통공(163)에는 샤워기(140)가 끼워져 걸쳐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파라솔(110)의 기둥(111)이 끼워지는 관통공(161)의 안쪽에는 다른 개방된 관통공이 연결된 구조로서, 관통공(161)의 내측면이 2중으로 굴곡된 형태를 갖는다. 이는 상기 관통공(161)의 직경이 파라솔(110)의 기둥(111)보다 작기 때문에 기둥(111)을 관통공(161)에 끼울 때에 샤워기걸이(160)가 다소 탄성변형하게 된다. 이때 변형이 잘 이루어져 기둥(111)이 쉽게 끼워질 수 있도록 안쪽에 별도의 관통공을 형성하여 샤워기걸이(160)의 장착이 쉽도록 구성한 것이다.
기둥(111)이 샤워기걸이(160)의 일측 관통공(161)에 끼워지면 샤워기걸이(160)는 탄성력으로 기둥(111)을 가압하여 고정된다. 한편, 타측 관통공(163)에 샤워기(140)를 걸게 되면 샤워기걸이(160)는 기둥(111)을 기준으로 편심이 작용하게 되고, 편심에 의해 샤워기걸이(160)는 기둥(111)을 따라 흘러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기걸이(160)의 양측에 각각 2중 굴곡이 형성된 관통공(161)을 형성하여도, 샤워기걸이(160)의 목적을 충분히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샤워기걸이(160)에 걸린 샤워기(140)는 호스(141)가 연장되며, 상기 호스(141)는 천막(120) 바깥에 위치한 물탱크(130)로 연장된다. 물론 물탱크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천막(120) 안쪽에 위치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샤워 공간은 다소 협소해 지나 물탱크에 저장된 물의 잔량을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호스(141)는 물탱크(130) 내부에 위치한 펌프(131)에 연결되며, 펌프(131)가 가동하면 물탱크(130)의 물은 펌프(131)에 의해 호스(141)를 따라 유동한 후 샤워기(140) 를 통해 분사된다.
한편, 상기 펌프(131)는 작동에 필요한 전원을 배터리(135)에서 공급받는다. 상기 배터리(135)는 12V의 전압을 갖는 배터리로서, 상기 펌프(131)는 상기 전압에 의해 작동하는 소형 펌프가 사용된다. 또한 펌프(131)는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켜고 끄는 전원스위치(133)가 케이블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펌프(131)에 있어서, 천막(120) 안에 위치한 사용자가 펌프(131)를 작동할 수 있도록 펌프(131)의 전원스위치(133)를 기둥(111)에 장착된 샤워기걸이(160)에 걸어 위치하거나 천막(120)에 걸어 위치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30)는 자바라식으로 신축 가능한 구조이다. 따라서 물이 다량 채워질 경우에는 물탱크(130)의 크기가 커지며 물이 소모되면서 그 크기는 점차 작아지도록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이용하여 샤워실 또는 탈의실로 사용하는 과정에 대해 설명한다.
사용자는 막대(155)를 이용하여 쐐기(150)를 회전시켜 지면에 박아 고정한다. 그리고 활대(113)를 펼친 파라솔(110)의 기둥(111)을 쐐기(150)에 삽입시켜 파라솔(110)을 세우고, 파라솔(110)의 활대(113) 단부에 고정된 후크(115)에 천막(120)의 고리(121)를 걸어 파라솔(110)의 가리개(117) 원주를 따라 천막(120)을 두른다.
사용자가 탈의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파라솔(110)의 원주를 따라 둘러진 천막(120) 안으로 들어가 탈의하고 옷을 갈아입는다.
한편 샤워를 목적으로 할 경우에는, 파라솔(110)의 기둥(111)에 샤워기걸이(160)를 장착하고, 펌프(131)에 연결된 호스(141)와 펌프(131)의 전원스위치(133)가 연결된 케이블을 천막(120) 안쪽으로 연장하여 호스(141)에 고정된 샤워기(140)와 전원스위치(133)를 샤워기걸이(160)에 걸어둔다. 그리고 펌프(131)를 배터리(135)의 (+)극과 (-)극에 연결한다.
사용자는 천막(120)으로 들어가 옷을 벗고 전원스위치(133)를 온(On) 모드로 전환한다. 그러면 펌프(131)가 배터리(135)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물탱크(130)의 물을 샤워기(140)로 분사한다. 샤워기(140)를 통해 분사된 물을 이용하여 사용자는 샤워한다. 그리고 샤워가 끝나면 전원스위치(133)를 오프(Off) 모드로 전환하여 전원을 차단한다. 그러면 펌프(131)가 정지하면서 물의 공급은 차단된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131)에는 차량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시거 잭 플러그(137)가 케이블로 연장된다. 따라서 시거 잭 플러그(137)를 인접한 자동차의 시거 잭에 삽입하여 전원을 공급받는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시거 잭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압은 12V로서, 제1 실시예와 같이 12V의 적정전압에서 작동하는 펌프가 바람직하다.
한편, 앞에서 설명한 제1, 제2 실시예에서는 물탱크(130)의 물을 펌프(131)에 의해 샤워기(140)로 공급한다고 설명하였으나, 펌프가 없을 경우에는, 물탱크(130)를 샤워기(140)보다 높게 위치하고 샤워기(140)에 밸브를 설치하여 밸브에 의해 물탱크(130)의 물이 분사되도록 제어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피서지, 낚시터, 야영장, 등산로, 공사현장, 해수욕장 및 계곡과 같이 장소에 구애 없이 어디서라도 파라솔을 이용하여 천막을 두른 후에 내부에서 탈의하거나 샤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파라솔을 세우기 위해 쐐기를 지면에 박아 고정함에 있어, 쐐기에 나사현이 형성되어 용이하게 박을 수 있으며, 또한 지면에 박힌 쐐기는 견고하여 파라솔이 바람 등에 의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의 물탱크는 자바라식으로서, 휴대하고 다니기에 편리하다.
또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의 샤워기걸이는 파라솔의 기둥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며, 샤워기걸이가 기둥에 안정적으로 장착됨으로써, 샤워기를 안정적으로 걸어 위치시킨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배터리 전압 으로도 작동하는 펌프를 선택함으로써, 차량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샤워실 및 탈의실로 사용하지 않고 파라솔만으로 그늘을 형성하여 휴식장소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6)

  1. 기둥의 상단에 방사형으로 장착된 다수 개의 활대가 접히거나 펼쳐지며, 다수 개의 활대에 고정되어 상기 활대를 따라 접히거나 펼쳐지는 가리개를 구비한 파라솔을 이용한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활대의 끝단에 연결되어 펼쳐진 가리개의 원주를 따라 펼쳐져 상기 파라솔 내부와 외부를 경계 짓는 천막과,
    물이 저장된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의 물을 공급 받아 분사하며 상기 천막 안쪽에 위치하는 샤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가 상기 천막 안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샤워기로 강제 이송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가 작동하는 데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는,
    전원을 공급 및 차단하는 전원스위치가 상기 천막 안에 위치하며 전원을 공급 받아 상기 물탱크의 물을 상기 샤워기로 강제 이송하는 펌프와,
    차량의 시거 잭에 삽입되어 차량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게 상기 펌프에서 연장된 시거 잭 플러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자바라식 물탱크로서 내부에 채워진 물의 양에 따라 신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에는 샤워기걸이가 장착되는데, 상기 샤워기걸이는 일측과 타측에 각각 개방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과 타측 중에서 어느 한 측의 관통공 또는 양측 관통공은 그 내측면이 이중으로 굴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파라솔의 기둥은 지면에 박혀 있는 쐐기에 끼워지며,
    상기 쐐기는 하단이 뾰족한 실린더 구조로서, 외측에는 나사현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직경방향으로 관통한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외 휴대용 샤 워장치.
KR2020060017040U 2006-06-23 2006-06-23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KR2004253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40U KR200425326Y1 (ko) 2006-06-23 2006-06-23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40U KR200425326Y1 (ko) 2006-06-23 2006-06-23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5326Y1 true KR200425326Y1 (ko) 2006-09-05

Family

ID=41773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40U KR200425326Y1 (ko) 2006-06-23 2006-06-23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5326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3177A (zh) * 2014-12-30 2015-04-22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建筑工程研究所 一种淋浴箱组
KR20210048116A (ko) 2019-10-23 2021-05-03 김태동 간이 샤워부스
KR102334875B1 (ko) 2021-06-28 2021-12-02 박지민 비상 샤워 장치
KR20230001324A (ko) 2021-06-28 2023-01-04 박지민 비상 샤워 장치
KR20230001325A (ko) 2021-06-28 2023-01-04 박지민 비상 샤워용 세안 장치
KR20230052074A (ko) 2021-10-12 2023-04-19 서홍제 휴대용 샤워박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3177A (zh) * 2014-12-30 2015-04-22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建筑工程研究所 一种淋浴箱组
KR20210048116A (ko) 2019-10-23 2021-05-03 김태동 간이 샤워부스
KR102334875B1 (ko) 2021-06-28 2021-12-02 박지민 비상 샤워 장치
KR20230001324A (ko) 2021-06-28 2023-01-04 박지민 비상 샤워 장치
KR20230001325A (ko) 2021-06-28 2023-01-04 박지민 비상 샤워용 세안 장치
KR20230052074A (ko) 2021-10-12 2023-04-19 서홍제 휴대용 샤워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5326Y1 (ko) 야외 휴대용 샤워장치
US4934001A (en) Portable shower/spray apparatus
CN110301262B (zh) 一种用于改善生态环境的具有挡雨功能的垂直绿化墙
CN210976830U (zh) 一种沙漠地锚组件
CN205682671U (zh) 一种雨伞
CN206942313U (zh) 一种防晒帐篷
KR100974027B1 (ko) 에어튜브로 이루어진 텐트용 골조와 이를 이용한 텐트
CN206337893U (zh) 一种旅游户外帐篷
CN209644212U (zh) 一种户外沙滩用便于固定的伞
KR101228542B1 (ko) 이중지붕이 구비된 텐트
CN2832016Y (zh) 折叠式浴缸
EP0887597A2 (en) Support for independently-powered interchangeable sun shielding-ventilation-gas heating devices
CN204949821U (zh) 一种新式多功能遮阳伞
KR102278368B1 (ko) 간이 샤워부스
CN214062545U (zh) 一种水上帐篷及水上居住系统
CN205234372U (zh) 便携式伸缩收纳淋浴装置
KR200320121Y1 (ko) 파고라 조형물의 차양막 장력조절구조
CN207666134U (zh) 一种较全功能雨伞
CN214432387U (zh) 一种防风效果好的蓝牙伞
KR200467238Y1 (ko) 휴대용 바람막이 장구
KR200160002Y1 (ko) 조립식 간이 샤워장
CN214786337U (zh) 一种景观亭
KR102664232B1 (ko) 나팔꽃형상의 접이식 차광막을 갖는 플라워 타워용 파라솔
JP3225636U (ja) 非金属製環境保護型傘の構造
CN2290336Y (zh) 伸缩式桑那浴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