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730Y1 - 실내장식용 천정틀 - Google Patents

실내장식용 천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730Y1
KR200424730Y1 KR2020060014644U KR20060014644U KR200424730Y1 KR 200424730 Y1 KR200424730 Y1 KR 200424730Y1 KR 2020060014644 U KR2020060014644 U KR 2020060014644U KR 20060014644 U KR20060014644 U KR 20060014644U KR 200424730 Y1 KR200424730 Y1 KR 2004247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iling
frame
construction
interior
fac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6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광희
Original Assignee
우광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광희 filed Critical 우광희
Priority to KR20200600146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7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7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73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22Connection of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to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장식용 천정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현저하게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 창출이 가능하며 천장 높이를 높이므로서 조명등 설치 후에 훨씬 안정감을 느끼도록 한 실내장식용 천정틀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물품 전체를 구성하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내장식용 천정틀(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안쪽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장식되는 장식판(20)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 부착되는 마감재(12)와, 상기 프레임(10)과 천정 마감재(210)가 만나는 직각 부분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설치되는 부목(220)으로 구성되어, 프레임(10)의 측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브라케트(204)에 끼워지는 앵커볼트(202)를 콘크리트층(200)에 매립 고정하여 이루는 것이다. 따라서 실내장식용 천정틀을 공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하므로 저코스트를 달성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다자인 개발이 가능하여 미려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기존 천장의 속으로 깊숙하게 들어가 설치되므로 천장 높이가 높게 되어 실내 거주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공장 제작 후 시공하는 것이 공기의 단축, 공사비 절감효과가 있으며, 천장에 다른 인테리어물을 고정할 경우에도 시공안전을 보장하고 강도가 높아 무난한 부가시공이 가능해진다.
천정용 장식물, 등박스, 천정우물, 조명등

Description

실내장식용 천정틀{Interior ceiling frame}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 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다른 형태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다른 형태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다른 형태의 저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 12 : 프레임 마감재
14 : 고정홈 20 : 장식판
100 : 실내장식용 천정틀 200 : 콘크리트층
202 : 앵커볼트 204 : 브라케트
210 : 천정 마감재 220 : 부목
230 : 마감홈
본 고안은 실내장식용 천정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공장에서 사전에 제작되어 현장에서 간단하게 시공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기를 단축시키고 안전사고의 위험이 없으며 현저하게 시공단가를 낮출 수 있고 다양한 디자인 창출이 가능하며 천장 높이를 높이므로서 조명등 설치 후에 훨씬 안정감을 느끼도록 한 실내장식용 천정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장식용 천정틀(천정용 등박스; 천정우물)이라는 것은, 실내장식물의 일종으로서 천장에 설치되는 각종 조명등과 조화를 이루어 실내 인테리어를 한층 돋보이도록 하는 것이며, 주로목재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다양한 다자인으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현대산업사회 또는 정보화 사회에서의 제품 디자인(설계 포함)은 제품 개발 컨셉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 이유는 오늘날과 같은 첨단기술사회에서는 어느 회사 제품이나 기술력은 대동소이하다 할 것이고 경쟁력의 관건은 소비자의 미적 욕구, 즉 감성에 호소하는 디자인의 미려함이 제품선택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점에서 디자인 개발은 중요 요소 중 하나이다.
한편, 실내 인테리어 분야에서의 디자인에 있어서도 다른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디자인이 매우 중요하지만 여기에는 독특한 기능적 디자인이라고 하는 측면이 많이 고려된다. 또 고객이 원하는 것은 저렴한 가격이나 뛰어난 디자인 면뿐만 아니라 항상 그 이상의 '가치'를 추구하며 자기발전을 해나가는 것을 원하는데, 그것은 바로 서비스나 브랜드 이미지와 더불어 '기능적 디자인'을 원한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소비자들의 욕구를 총족하는 실내장식용품으로서의 천정 등박스(천정틀)를 제공하고자 한다.
거실은 주택의 중심 공간으로서 휴식과 대화, 독서, 음악감상이나 가족의 단란한 모임 등 여러가지 기능을 갖는다. 그러므로 창이 넓은 면적의 공간으로 다양한 기능을 수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거실에서의 대화를 위한 공간은 공간의 크기와 모이는 사람의 수에 따라 달라지지만, 일반적으로 안락의자에 앉을 경우에는, 1인당 최소한 700 × 700mm 정도의 공간이 필요하고, 방석을 사용해서 바닥에 앉을 경우에는 이보다 적은 600 × 600mm 정도가 필요하다. 좌석배치의 거리는 서로 마주보고 긴장감 없이 대화할 수 있는 거리로 2.2 ~ 2.5m 정도가 적당하다.
음악을 위한 공간으로서의 거실은 음악감상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되며 여러가지 흡음재, 방음재 등을 사용하여 음의 잔향이나 외부공간으로의 유출 등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거실은 실내생활의 주된 공간, 나아가 삶의 대부분을 보내는 공간이기 때문에 그 인테리어의 중요성은 재삼 논의의 여지가 없을 정도로 중요하다 하겠다.
실내 디자인에 있어서 시각적인 효과는 일차적으로 색채에 의해서 시작되며, 같은 색상이라고 할지라도 조명의 방식과 밝기에 따라서 전혀 다르게 느껴지기도 하므로, 거실의 전체적인 분위기에 맞는 적절한 자연-인공 조명을 적용하여 아늑하고 품격있는 분위기를 연출하도록 한다.
여기에 천정에 설치되는 조명등 주위의 인테리어는 아트월과 더불어 거실 전 체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아트월(Art wall)이란 장식벽면, 또는 장식벽체로서 목조 또는 합성수지재나 직물지, 종이재, 아크릴 등 각종 인테리어 재료를 이용하여 아름답게 꾸민 장식물을 말한다.
거실 분위기 연출의 3대 요소인 거실장, 아트월, 천장우물은 실내 인테리어의 핵심 주제이다.
종래의 천정틀은 개인주택이나 공동주택(아파트, 빌라)을 망라하여 현장에서 직접 제작되어 시공된다. 즉, 시행자와 시공자가 적당한 디자인의 천정틀을 결정하고 건축 기술자에게 지시하여 현장에서 직접 제작 및 시공하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이 현장제작의 경우, 그 제작에 소요되는 시간이 오래 걸릴 수 밖에 없고 제작에 따른 비용이나 제작 후 천장에 설치하는 시공단가(인건비 포함) 등은 상승할 수 밖에 없었다.
또 이러한 종래의 천정용 등박스는 원이나 사각형상 그대로 하나의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있고 특히, 목재의 경우 제작 시에 많은 조각(자투리)이 생겨 투입 자재 대비 생산량이 극히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고, 천정 높이에서 그 이하로 설치되기 때문에 천정 높이가 낮아지고 또 b여기에 조명등까지 설치하면 천정 높이는 현저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최근에는 이와 같은 종래 등박스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호형상의 막대를 조립하여 다양한 모양으로 등박스를 연출할 수 있는 기술이 소개된 바 있으나, 이는 폭 과 높이가 일정하게 제한되어 있고 그 디자인이 조잡하여 이를 통한 미감 연출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등박스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인테리어품으로서의 새로운 개념의 천정우물의 제안을 통하여 인테리어 공사에 따른 시공 상의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고 실내 인테리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실내장식용 천정틀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개선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실내장식용 천정틀에 있어서 공장에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적용되는 주택에서 간단하게 시공할 뿐으로 인테리어 공사가 마무리될 수 있는 실내장식용 천정틀(천정 설치용 등박스)을 제공함을 기술적 과제로 삼는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물품 전체를 구성하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내장식용 천정틀(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안쪽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장식되는 장식판(20)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 부착되는 마감재(12)와,
상기 프레임(10)과 천정 마감재(210)가 만나는 직각 부분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설치되는 부목(220)으로 구성되어,
프레임(10)의 측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브라케트(204)에 끼워지는 앵커볼 트(202)를 콘크리트층(200)에 매립 고정하여 이루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더하여, 상기 장식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안쪽에 고정홈(14)을 형성하여 장식판(20)의 가장자리를 받아들여 고정하는 끼워맞춤 형태로 고정하면, 장식판(20)이 상기 프레임(10)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스스로 휘어진다거나 이탈할 염려가 없게 된다.
또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마감재(12) 뒤쪽에 마감홈(230)을 형성하게 되면 를 도배 시에 벽지 끝단을 밀어 넣어 말끔하게 마감할 수 있어 인테리어의 원래 목적인 미려한 실내장식의 근본을 달성하게 된다.
또 본 물품의 설치로 인하여 천정 구조물이 전체적으로 견고하게 되어 강도가 향상되므로 다른 천정물품의 부가설치 시에 안전을 보장한다.
이어서 본 고안의 실내장식용 천정틀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주요 구조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다른 형태의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다른 형태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 다른 형태의 저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의 실내장식용 천정틀(이하, ‘천정틀’이라고 약칭함)이다. 이 천정틀(100)은 주로 사각형태로 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라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이나 삼각형 또는 이들의 중간형태, 조합형태 등으로 응용가능하다.
상기 천정틀(100)의 외곽은 이 물품 전체를 구성하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으 로 구성되어 있다. 이 프레임(10)의 안쪽에는 다양한 디자인이 적용된 장식판(20)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장식판(20)이 프레임(10)에 고정되는 형태에 대하여는 특별한 구조를 요하지 않지만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10) 안쪽에 고정홈(14)을 형성하여 장식판(20)의 가장자리를 받아들여 고정하는 짜맞춤 형태를 채택하고 있다. 이렇게 하는 경우에는 상기 장식판(20)이 프레임(10)의 고정홈(14)에 끼워맞춤되는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강고하게 상호 고정이 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천정틀(100)이 대형일 경우에는,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여 상기 장식판(20)의 중간에 휨이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보강대(도시하지 않음)를 부가 설치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천정틀(100)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천정틀(100)은 주택의 통상의 콘크리트층(200)에 앵커볼트(202) 등의 고정수단에 의하여 고정 설치된다. 상기 앵커볼트(202)는 프레임(10)의 측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브라케트(204)에 상표권자져서 콘크리트층(200)에 매립 고정된다.
부호 12는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 부착되는 마감재, 210은 통상의 천정 마감재, 220은 본 고안의 프레임(10)과 천정 마감재(210)가 만나는 직각 부분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설치되는 부목이다. 이 부목(220)의 설치로 인하여 천정 중간에 매우 견고하게 천정 마감재(210)를 고정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기타 다른 천정 인테리어를 부가 설치할 때에 강도를 보장할 수 있다.
또 본 고안에서는 본 고안의 천정틀(100)이 설치되고 난 후에 벽지로 도배를 하여 마감할 때에 벽지 끝단을 미려하게 마감하기 위하여, 즉 벽지 끝단이 외부로 노출됨으로서 보기 흉하게 되어 도리어 미관을 해치게 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마감재(12)에 마감홈(230)을 형성하고 있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배 시에 이 마감홈(230) 내에 벽지 끝단을 밀어 넣으므로써 외부로 벽지 끝단이 전혀 보이지 않게 됨으로써 실내 인테리어의 핵심인 미려한 마감, 깨끗한 마감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기 장식판(20)이 프레임(10)의 고정홈(14)에 끼워맞춤되는 형태로 고정되기 때문에 매우 강고하게 상호 고정이 되며, 마감홈(230)의 채택으로 벽지 끝단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여 미려한 마감, 깨끗한 마감을 실현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실내장식용 천정틀에 의하면, 공장에서 직접 제작하여 현장에 설치하므로 저코스트를 달성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다양한 다자인 개발이 가능하여 미려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고, 기존 천장의 속으로 깊숙하게 들어가 설치되므로 천장 높이가 높게 되어 실내 거주자로 하여금 안정감을 느끼게 하며, 공장 제작 후 시공하는 것이 공기의 단축, 공사비 절감효과가 있으며, 천장에 다른 인테리어물을 고정할 경우에도 시공안전을 보장하고 강도가 높아 무난한 부가시공이 가능해진다.

Claims (3)

  1. 물품 전체를 구성하고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1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실내장식용 천정틀(100)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안쪽에 다양한 디자인으로 장식되는 장식판(20)이 배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저면에 부착되는 마감재(12)와,
    상기 프레임(10)과 천정 마감재(210)가 만나는 직각 부분에 강도보강을 위하여 설치되는 부목(220)으로 구성되어,
    프레임(10)의 측면에 부착된 다수개의 브라케트(204)에 끼워지는 앵커볼트(202)를 콘크리트층(200)에 매립 고정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천정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판(20)은, 상기 프레임(10)의 안쪽에 고정홈(14)을 형성하여 장식판(20)의 가장자리를 받아들여 고정하는 끼워맞춤 형태로 고정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천정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재(12)는, 도배 시에 벽지 끝단의 원활한 마감을 위하여 마감홈(230)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장식용 천정틀.
KR2020060014644U 2006-06-01 2006-06-01 실내장식용 천정틀 KR2004247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644U KR200424730Y1 (ko) 2006-06-01 2006-06-01 실내장식용 천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644U KR200424730Y1 (ko) 2006-06-01 2006-06-01 실내장식용 천정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730Y1 true KR200424730Y1 (ko) 2006-08-25

Family

ID=41773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644U KR200424730Y1 (ko) 2006-06-01 2006-06-01 실내장식용 천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73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00B1 (ko) * 2011-10-20 2013-07-09 주식회사 비와이티 선박용 선실 벽지의 가장자리 마감재
KR101311044B1 (ko) 2012-02-21 2013-09-24 이남진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 및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을 시공하는 방법
KR20210155071A (ko) * 2020-06-15 2021-12-22 이해민 시공이 편리한 우물천장 조립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4000B1 (ko) * 2011-10-20 2013-07-09 주식회사 비와이티 선박용 선실 벽지의 가장자리 마감재
KR101311044B1 (ko) 2012-02-21 2013-09-24 이남진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 및 인테리어 아트홀과 등박스 모듈을 시공하는 방법
KR20210155071A (ko) * 2020-06-15 2021-12-22 이해민 시공이 편리한 우물천장 조립체
KR102428669B1 (ko) 2020-06-15 2022-08-03 이해민 시공이 편리한 우물천장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5724C (en) Building component
KR200424730Y1 (ko) 실내장식용 천정틀
KR20090120864A (ko) 윈도우블록
KR102047400B1 (ko) 다목적 커튼월
CN211923678U (zh) 一种内装式的整体卫浴
JP2007224499A (ja) 通気・採光用床構造
JP4159405B2 (ja) 壁式構造の建物
KR102608834B1 (ko) 이음부가 없는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우물천장 조립체
KR102569942B1 (ko) 건축용 패널
CN2470435Y (zh) 插销嵌入式龙骨架
KR200383001Y1 (ko)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CN110894042A (zh) 双层吊顶
KR200357096Y1 (ko) 건축용 마감재
JP7476717B2 (ja) 和室の内装構造
CN104963437A (zh) 一种陶瓷装饰的玻璃建筑幕墙结构
KR200469813Y1 (ko) 인테리어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패널
KR102201498B1 (ko) 대리석 안내데스크
KR200262033Y1 (ko) 자수정이 함입된 장식재
WO2008123655A1 (en) The sound-absorbing building panel
US20050138770A1 (en) Composite pressure-cast bar
CN2498250Y (zh) 结构改良的踢脚板
KR101253299B1 (ko) 인테리어용 패널
KR200347265Y1 (ko) 천장패널용 스트레치 시트 설치구조
KR100840291B1 (ko) Eps 조형 몰딩
KR100223958B1 (ko) 구조물용 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