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3001Y1 -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 Google Patents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3001Y1
KR200383001Y1 KR20-2005-0002546U KR20050002546U KR200383001Y1 KR 200383001 Y1 KR200383001 Y1 KR 200383001Y1 KR 20050002546 U KR20050002546 U KR 20050002546U KR 200383001 Y1 KR200383001 Y1 KR 2003830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fitted
stepped portion
main body
interi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2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인하
Original Assignee
서인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인하 filed Critical 서인하
Priority to KR20-2005-0002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30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30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30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26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 E04F19/028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specially adapted for cushioning impacts used at protruding cor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19/0495Plinths fixed around wall openings or around corners of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9/00Other details of constructional par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19/02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 E04F19/0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 E04F2019/0454Borders; Finishing strips, e.g. beadings; Light coves for use between floor or ceiling and wall, e.g. skirtings with decorative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실내 인테리어를 함에 있어서 벽면의 모서리부분을 어린이나 노약자들에게 보호하고 또한 실내에 부드러운 분위기의 연출을 위하여 별도의 몰딩을 부착하고 그 상하부에는 장식마감재를 설치하여 인테리어 기둥의 분위기를 갖도록 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장식마감재를 종래와 같이 단일체로 구성한 것이 아니라 조립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운송과정이 매우 용이하며 또한 MDF의 원자재 소요를 극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시공 장소의 공간 높이에 따라 받침체의 높이를 각기 달리 하는 점이 있더라도 종래와 같이 전체적으로 각기 별개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본 고안에서는 받침체만을 구비하여 조립할 수 있고 또한 각 연결부위는 외관적으로 식별이 되지 않고 단일체로 된 것과 동일한 외관으로 감득되게 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장식마감재(D)를 본체(10)와 마감부재(20) 그리고 받침체(30)로 조립되게 하고, 본체(10)와 마감부재(20), 받침체(30)에는 개방부(40)(40')(40")를 형성하며 본체(10)의 내면 상부에는 마감부재(20)가 끼워지는 단턱부(50)를 형성하고, 하단부에도 단턱부(60)를 구성하며 받침체(30)의 상단 내면부에 상기한 단턱부(60)가 끼워져 합치되는 단턱부(70)를 구성하여 조립식으로 된 것이다.

Description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ASSEMBLING FINISHING MATERIALS OF AN EDGE MOLDING FOR INTERIOR DESIGN}
본 고안은 아파트나 건물 내부의 실내장식을 위하여 사용되는 모서리몰딩의 상하부에 연결하여 설치되는 마감장식재의 구조를 조립식으로 개량하여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또한 원자재의 절감을 가질 수 있어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안출한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국민의 생활수준과 소득의 향상에 따라 주거문화와 환경을 쾌적하게 하기 위하여 신축하는 아파트나 일반주택은 물론 기존의 아파트나 주택을 리모델링할 때에는 실내벽면을 벽지로 도배를 하거나 또는 장식용 패널을 부착하는 아트윌(Art wall)로 내부 장식을 하게 되고, 벽면과 천정, 바닥면이 서로 만나게 되는 다수의 코너부분이나 모서리부분 등에는 인테리어 몰딩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실내 내부의 구획된 각 공간의 입구부분의 벽면이나 모서리벽면에는 장식용 공틀 내지는 인테리어 기둥을 몰딩재를 조합하여 구성하게 된다.
여기에서 몰딩재로는 폐 원목을 이용하여 고밀도로 압축 강화하여 된 강화목(MDF)이 사용되며, MDF의 외 표면에 별도의 시트지를 부착시켜 천연목에 가까운 질감과 미려한 외관 및 다양한 색상을 표출함은 물론 외부로부터 습기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이 된다.
그리고 아파트나 일반주택의 실내 모서리 벽면은 대개 직각의 형태로 되어 있어 일상생활중에 어린이나 노약자가 부주위로 부딪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는데 이때에는 모서리 부분의 첨예한 구조로 인하여 인체에 큰 상해를 주는 결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실내의 분위기에서도 이러한 모서리 벽면부분이 그대로 외부로 노출이 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결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실내 인테리어를 시공하면서 벽면의 코너부분에는 단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된 몰딩을 수직 상으로 부착하고 몰딩의 상, 하부 즉, 천정면과 바닥면의 부분에는 적절한 높이로 별도의 마감장식재를 부착하여 중후한 실내분위기를 연출하고 있음이 현실이라 하겠다.
그러나 종래에 사용된 상기한 용도의 몰딩재에 연결하여 부착되는 마감장식재는 단일몸체로 형성되는 관계로 그 외 표면에 곡면 형상의 부드러운 인상의 굴곡면을 형성하기 위하여는 상당한 두께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한 MDF 재료의 손실이 많었을 뿐만 아니라, 실내 인테리어가 요구되는 장소의 공간 높이가 각기 다르기 때문에 길이가 서로 다른 마감재 전체를 길이별로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움과 이에 따른 비경제성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마감장식재가 하나의 단일몸체로 구성되었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중량이 매우 무거운 관계로 운송과정이 용이하지 못하였고, 시공에서도 많은 노력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에 착안한 것으로, 본 고안은 실내 인테리어를 시공하면서 벽면의 코너부분에는 단면이 라운드 형상으로 된 몰딩을 수직 상으로 부착하고 몰딩의 상, 하부 즉, 천정면과 바닥면의 부분에는 적절한 높이로 별도의 마감장식재를 부착함에 있어서, 마감장식재를 3단의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매우 간편 용이하게 조립시공이 이루어지도록 한 조립식 마감재를 제공하려는 데에 그 주 목적이 있는 것으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을 분리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상태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고안이 조립된 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이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은 벽면(W)의 모서리부분에 고정 설치되는 몰딩(M)의 상하부에 적정 길이로 연결하여 설치되는 장식마감재(D)를 구성함에 있어서,
장식마감재(D)를 본체(10)와 마감부재(20) 그리고 받침체(30)로 조립되게 하였다.
그리고 본체(10)와 마감부재(20), 받침체(30)에는 벽면(W)의 모서리부분에 끼워질 수 있도록 개방부(40)(40')(40")를 형성하였다.
본체(10)의 내면 상부에는 마감부재(20)가 끼워져 안착되는 단턱부(50)가 형성되었고, 하단부에도 단턱부(60)가 형성되었다.
받침체(30)의 상단 내면부에는 상기한 단턱부(60)가 끼워져 합치되는 단턱부(70)가 구성되었다.
여기에서 본체(10)의 외관은 분위기 연출을 위하여 다양한 형상의 굴곡면(10')과 하단 표면부에는 내측으로 곡면테두리(10")를 형성하였고 , 받침체(30)의 높이는 다양한 규격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몰딩(M)과 본체(10), 마감부재, 받침체(30)는 압축강화목인 MDF 로 되었고, 몰딩(M)의 단면은 반구형으로 표현하였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로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서리면을 갖는 몰딩(M')으로 시공시에는 마감부재(20)의 개방부(40")를 몰딩(M')과 서로 부합하여 합치되는 동일한 형상으로 구성하게 된다.
또한 시공장소의 요구에 따라 마감부재(20)가 끼워지지 않고 몰딩(M')이 본체(10)에 연결되면서 외관적으로 마감처리되는 방식의 도 7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파트나 일반주택 내지는 상업용건물의 실내 내부를 인테리어 함에 있어서, 먼저 벽면(W)의 모서리부분에 몰딩(M)을 접착제로 고정시키게 되는데 그 길이는 장식마감재(D)내로 인입될 수 있는 정도이면 적합하다.
다음으로 몰딩(M)의 상하부에 즉, 천정부분과 바닥면이 연결되는 부분에 장식마감재(D)를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본 고안은 도 3에 단면도로 예시한 바와 같이 적절한 길이로 미리 구비된 받침체(30)를 위치하고 그 상부에 본체(10)를 위치시키면 이때 단턱부(60)(70)가 서로 합치하여 연결되는 것이며 서로 연결되는 부분은 본체(10)의 내면방향으로 형성된 곡면테두리(10")에 의하여 외관적으로 식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전체적인 외관에서는 단일체로 된 것과 같이 동일하게 감득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체(10)의 상부에는 마감부재(20)를 끼우게 되는데 단턱부(50)위에 안착이 되는 것이고, 이때 마감부재(20)의 두께를 단턱부(50)의 높이 보다 약간 높게 위치하도록 함이 외관적으로 바람직하며, 상기한 모든 조립부위에는 강력접착제로 접착을 시키게 된다.
또한 몰딩(M)의 상부 즉, 천정부분과 연결되는 부분 역시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서 상기한 과정을 반복하여 설치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같은 과정으로 본 고안의 설치를 완료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공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모서리면을 갖는 몰딩(M')에 시공할 시에는 도 5와 도 6 내지는 도 7과 도 8에 예시한 바와 같이 실시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실내 인테리어를 함에 있어 벽면의 모서리부분을 어린이나 노약자들에게 보호하고 또한 실내에 부드러운 분위기의 연출을 위하여 별도의 몰딩(M)을 부착하되, 시공자의 요구에 따라서는 모서리 면을 갖는 몰딩(M')을 먼저 부착하고, 그 상하부에는 장식마감재(D)를 설치하여 인테리어 기둥의 분위기를 갖도록 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장식마감재(D)를 종래와 같이 단일체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조립체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운송과 보관과정이 매우 용이하며 또한 MDF의 원자재 소요를 최소화하여 제조원가를 저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인테리어 시공 장소의 공간 높이에 따라 받침체의 높이를 각기 달리 하는 점이 있더라도 종래와 같이 전체적으로 각기 별개로 구비할 필요가 없이 본 고안에서는 받침체만을 구비하여 간단히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고 또한 각 연결부위는 외관적으로 식별이 되지 않기 때문에 단일체로 된 것과 동일한 외관으로 감득되는 작용효과를 발휘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이 결합된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결합된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분리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결합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0" : 곡면테두리
20 : 마감부재
30 : 받침체
40 40' 40" : 개방부
50 : 단턱부
60 : 단턱부
70 : 단턱부

Claims (3)

  1. 장식마감재(D)를 구성함에 있어,
    본체(10)와 마감부재(20) 그리고 받침체(30)를 각기 별개로 하여 조립되게 하고, 본체(10)와 마감부재(20), 받침체(30)에는 개방부(40)(40')(40")를 형성하며
    본체(10)의 내면 상부에는 마감부재(20)가 끼워지는 단턱부(50)와 하단부에 단턱부(60)를 구성함과 받침체(30)의 상단 내면부에 상기한 단턱부(60)가 끼워져 합치되는 단턱부(70)로 된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2.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의 하단 표면부에는 내측으로 곡면테두리(10")를 형성한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3. 제1항에 있어서,
    본체(10)와 받침체(30)가 서로 조립된 후, 마감부재(20)가 끼워지지 않고 몰딩재가 끼워져 마감이 되도록 한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KR20-2005-0002546U 2005-01-27 2005-01-27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KR2003830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546U KR200383001Y1 (ko) 2005-01-27 2005-01-27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2546U KR200383001Y1 (ko) 2005-01-27 2005-01-27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3001Y1 true KR200383001Y1 (ko) 2005-04-28

Family

ID=43684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2546U KR200383001Y1 (ko) 2005-01-27 2005-01-27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300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50B1 (ko) * 2006-11-08 2007-02-0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외벽 미관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0150B1 (ko) * 2006-11-08 2007-02-08 주식회사 토펙엔지니어링 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외벽 미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63457B2 (en) Construction element for use in interior decoration
US8028481B2 (en) Caisson ceiling system
US6315026B1 (en) Cornice box
KR200383001Y1 (ko) 건축내장용 모서리몰딩의 조립식마감재
KR200431159Y1 (ko) 건축내장용 방음패널
KR200424730Y1 (ko) 실내장식용 천정틀
JP2004346527A (ja) 壁式構造の建物
JPH0113170Y2 (ko)
KR102608834B1 (ko) 이음부가 없는 외벽부재를 구비하는 우물천장 조립체
JP4914645B2 (ja) 引き戸の取付構造
JP3955008B2 (ja) 屋外構築物の壁面構造
KR200283914Y1 (ko) 간이 부착식 문틀마감재
JP4105965B2 (ja) 押入ユニットとそれを用いた吊押入
JP1755178S (ja) バルコニー
JP2001253198A (ja) 構造体
JP3089540B2 (ja) 家屋の通気装置
KR20220151391A (ko) 조립식 에그형 pc 주택 모듈
JP2001164691A (ja) 折上げ天井とその施工方法
KR200424792Y1 (ko) 목재와 벽돌, 황토, 장식용 자갈을 이용한 시스템 인테리어판넬
JP2023050686A (ja) 天井構造及び天井構造の施工方法
JP2739569B2 (ja)
CN201099931Y (zh) 一种建筑墙体
JP2002174019A (ja) 居室構造
JPH03170992A (ja) 建築物模型用ブロック
US20070079563A1 (en) Window shadow and skirting system for manufactured and mobile hom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