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524Y1 -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 Google Patents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524Y1
KR200424524Y1 KR2020060014743U KR20060014743U KR200424524Y1 KR 200424524 Y1 KR200424524 Y1 KR 200424524Y1 KR 2020060014743 U KR2020060014743 U KR 2020060014743U KR 20060014743 U KR20060014743 U KR 20060014743U KR 200424524 Y1 KR200424524 Y1 KR 20042452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p
cartridge type
gear
roll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74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우석
Original Assignee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정크린마스터(주) filed Critical 삼정크린마스터(주)
Priority to KR20200600147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524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52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524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 A47L13/24Frames for mops; Mop heads
    • A47L13/254Plate frames
    • A47L13/256Plate frames for mops made of cloth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42Details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더러워진 걸레부분은 감아두고 깨끗한 걸레부분이 펼쳐지도록 밀걸레의 걸레 홀더에 장착된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를 조절하는 과정이 오염된 걸레부분에 직접 손이 닿지 않고도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는 한 쌍의 롤러가 전후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축 결합되는 바디의 상부면에 밀대 브래킷이 구비된 걸레 홀더, 각각의 롤러에 양단이 감긴 상태에서 양측 롤러 사이에 펼쳐진 부분은 걸레 홀더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걸레, 밀대 브래킷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밀대를 포함한 구조의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걸레 홀더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걸레 홀더에 축 결합되는 조절기어; 사용 후 오염된 걸레부분이 감기는 구동롤러에 축 결합된 상태로 그 외주연이 조절기어와 외접되는 구동기어; 사용 전 걸레부분이 감기는 종동롤러에 축 결합된 상태로 걸레 홀더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종동기어; 상기한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양측 롤러에 걸레가 감긴 상태가 해당 탄성력 이하에서는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된 래칫;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ade more hygienic by allow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roll cartridge type mop attached to the mop holder of the mill mop so that the dirty mop part is wound up and the clean mop part is unfolded without touching the contaminated mop part directly. The purpose is to make it.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for this is a mop holder provided with a push rod brack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e pair of rollers are axial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both ends wound on each roller In the roll cartridge-type mill mop structure, including a mop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holder and a mop rod hinged to the mop bracket, the unfolded portion between the rollers on both sides of the mop holder is rotated by a user's hand. Adjusting gear axially coupled to the mop holder in a state protruding to one side; A drive gear whose outer circumference is circumscribed with a control gea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minated mop portion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roller which is wound after use; A driven gea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op holder in a state in which the mop part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en roller to be wound before use; A ratchet form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rag is wound on both rollers is not released below the elastic force; It is made, including.

밀걸레, 조절기어, 래칫, 걸레 홀더  Mop, Adjuster, Ratchet, Mop Holder

Description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도 1 내지 도 2는 종래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 to 2 are views for explain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 cartridge type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레 홀더의 분해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측면도.5 is a side view of a roll cartridge type wheat 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측단면도.6 to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roll cartridge type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작동상태도.8 is an operational state of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Code for Major Code in Drawing]

100 :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 110 : 밀대100: roll cartridge type mop 110: push rod

120 : 걸레 홀더 122 : 하부바디120: mop holder 122: lower body

124 : 상부바디 126 : 전방커버124: upper body 126: front cover

128 : 후방커버 130 : 조절기어128: rear cover 130: adjustment gear

132 : 구동기어 134 : 종동기어132: drive gear 134: driven gear

136 : 구동롤러 138 : 종동롤러136: drive roller 138: driven roller

140 : 베이스 플레이트 142 : 테두리140: base plate 142: border

150 : 걸레 160 : 토션 스프링150: mop 160: torsion spring

170 : 벨크로 테이프 180 : 래칫170: Velcro tape 180: ratchet

본 고안은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걸레 홀더에 장착된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의 오염된 걸레부분은 감아두고 깨끗한 걸레부분이 펼쳐지도록 하는 과정이 보다 용이하고 청결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청소 중 팽팽해진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에 의해서 커버가 개방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형성된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cartridge type mop, and more particularly, to make it easier and cleaner to clean the mop portion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mounted on the mop holder and to spread the clean mop par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 cartridge type mop formed to prevent the cover from being opened by the roll cartridge type mop that is tightened during cleaning.

밀걸레는 앉아서 바닥면을 닦는 경우에 비하여 서서 이동하면서 바닥면을 닦을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쪼그려 앉은 채로 바닥면을 닦는 경우에 비하여 힘을 덜 들이며 보다 많은 면적을 빠른 시간 안에 닦을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 이러한 밀걸레는 그 고안목적에 맞게 건물 등의 바닥면을 닦는데 주로 사용되고 있지만, 높은 벽면이나 난간 등 사용자의 팔이 직접 닿지 않는 위치를 청소할 경우에도 종종 사용되고 있다.Wheat rag is designed to wipe the floor while standing and moving compared to the case of sitting and wiping the floor, it is designed to wipe more area in less time and less effort than wiping the floor while squatting. Such a mop is mainly used to clean the floor of a building, etc.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ts design, but is often used to clean a location where a user's arm does not directly touch, such as a high wall or a railing.

일반적인 밀걸레의 구성요소에는 천재질의 걸레와, 걸레의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걸레 홀더와, 걸레 홀더의 일측으로 사용자의 손으로 쥘 수 있도록 막대형상으로 길게 연장된 밀대가 공통적으로 포함된다. 그리고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걸레, 걸레 홀더, 밀대를 기본적인 구성 부품으로 갖춘 상태에서, 사용자의 편의증대 및 청소효율 등의 향상을 위하여 여러 가지 장치가 부가되거나, 걸레 또는 걸레 홀더의 구조가 다양하게 개선된 형태의 밀걸레(밀대걸레)가 공급되고 있다.The elements of a general wheat mop include a mop of genius, a mop holder formed to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mop, and a rod extending in a rod shape to be held by a user's hand to one side of the mop holder in common. In recent years, with the basic components as the mop, mop holder, and push rod as described above, various devices are added to increase user convenience and improve cleaning efficiency, or the mop or mop holder has various structures. An improved type of wheat mop is available.

도 1 내지 도 2는 대한민국 특허청의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03071호('밀대 및 카트리지가 내장된 밀대걸레')에 게재된 도면들 중 일부이다. 밀대걸레(10)에 장착되는 걸레는 세탁주기 및 수명의 연장을 목적으로 길이가 충분히 길게 형성된 상태에서 걸레 홀더(20)의 양측에 위치된 한 쌍의 롤러(42, 44)에 감길 수 있는 카트리지 타입으로 구성된다. 즉, 일측의 롤러에는 사용되기 전의 깨끗한 걸레부분이 감겨지고, 다른 일측의 롤러에는 사용된 후 더러워진 걸레부분이 감겨지도록 구성된 상태에서 걸레 홀더(20)의 바디(22) 하부면은 양측 롤러 사이에서 펼쳐진 부분으로 감싸지도록 구성된 것이다.1 to 2 are some of the drawings published in the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0403071 ('Mip mop with a built-in straw and cartridge') of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 mop mounted on the mop 10 is a cartridge which can be wound around a pair of rollers 42 and 44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mop holder 20 in a state where the length of the mop is sufficiently long for the purpose of extending the washing cycle and life. It consists of a type. That is,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22 of the mop holder 20 is formed between both rollers in a state in which a clean mop part before use is wound on the roller on one side and a dirty mop part is wound on the roller on the other side. It is configured to be wrapped in an unfolded part.

걸레 홀더(20)의 바디(22)에는 한 쌍의 롤러(42,44)가 축 결합된 상태에서 개별적으로 동작되도록 그 전후방향에 걸레수용부(24)가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밀대(12)의 힌지조립을 위해 바디(22)의 상부 중앙부에 마련된 밀대 브래킷(26)의 전후방 양측에는 한 쌍의 롤러 사이에 펼쳐진 걸레(40)가 상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덮기 위한 커버(28)가 밀대 브래킷(26)의 측면에 힌지 결합된다.In the body 22 of the mop holder 20, the mop accommodating portion 24 is formed in a groove 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so that the pair of rollers 42 and 44 are individually operated in the axially coupled state. And cover 28 to cover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push rod bracket 26 provided in the upper center portion of the body 22 for the hinge assembly of the push rod 12 so that the mop 40 spread between the pair of rollers is not exposed to the top. ) Is hinged to the side of the push rod bracket (26).

커버(28)는 걸레의 노출을 막는 역할뿐 아니라 양측 롤러(42,44) 사이에 펼쳐진 걸레의 위치를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즉, 사용자가 청소를 위해 아직 사용되지 않은 부분이 바디(22)의 하측으로 위치되도록 한 상태에서 청소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양측 롤러가 회전되어 걸레가 스스로 풀리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양측 롤러에 펼쳐진 걸레의 상태가 청소하는데 너무 팽팽하지도 너무 헐겁지도 않은 정도로 유지되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양측 커버(28)의 하부면에는 록커(28a)가 돌출 형성되고, 그 록커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디(22)에는 락킹 홈(2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카트리지 타입의 걸레(40)를 걸레 홀더(20)에 끼우는 과정 또는 걸레의 위치를 조절하는 과정에서 록커(28a)와 함께 락킹 홈(22a)에 빨려 들어가는 걸레의 길이를 감안하여 양측 롤러(42,44) 사이에 펼쳐진 걸레의 길이를 설정해야만 한다.The cover 28 serves to prevent the exposure of the mop, as well as to maintain the position of the mop spread between the rollers 42 and 44 on both sides. In other words, the rollers are rotated on both sides in the process of cleaning in a state in which the user has not yet been used for cleaning to be positioned below the body 22 to prevent the mop from self-releasing itself, as well as spread on both rollers. This is to ensure that the mop's condition is not too tight or too loose for cleaning. To this end, lockers 28a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s of both cover 28, and locking grooves 22a are formed in the body 22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lockers. Therefore, in consideration of the length of the mop sucked into the locking groove 22a together with the locker 28a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artridge type mop 40 into the mop holder 20 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p, both sides of the roller You have to set the length of the rag spread between (42, 44).

한편, 전술한 밀대걸레에 사용되는 걸레 카트리지는 걸레의 양측 끝단이 양측 롤러에 각각 고정된 구조로서, 걸레의 위치를 조절하거나 교환하게 되는 경우에 바디 양측에 마련된 각각의 커버(28)를 개방한 후 걸레수용부(24)로부터 롤러 및 걸레를 들어 올린 상태에서 일측 롤러에 감겨 있는 깨끗한 상태의 걸레를 풀어내고 다른 일측의 롤러에는 오염된 부분의 걸레를 감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mop cartridge used in the above-described mop mop is 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the mop are fixed to both rollers, and each cover 28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dy when the mop position is adjusted or replaced is opened. After lifting the roller and the mop from the mop receiving portion 24, the mop in a clean state wound on one side of the roller is released, and the other side of the roller is wound with a dirty mop.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밀대걸레(밀걸레)는 사용으로 더러워진 걸레부분을 일측의 롤러에 감고 깨끗한 상태의 걸레부분을 바디 하부측으로 노출시키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손이 직접 더러워진 걸레부분에 닿을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위생적이지 못하였고 사용자에게 상당한 불쾌감을 줄 수밖에 없었다.By the way, the mop mop (mill mop) as described above was forced to touch the dirty mop part in the process of winding the dirty mop part by using the roller on one side and exposing the mop part in the clean state to the lower side of the body. As a result, it was not hygienic and had a significant discomfort to the user.

또한, 청소를 실시하는 과정에서 바닥면과 걸레부분이 밀착된 상태에서 밀대로부터 전달되는 힘을 상대적으로 더 받는 측은 팽팽해지고 반대측은 느슨한 상태가 되는데, 이 과정에서 팽팽하게 당겨진 걸레부분에 의해서 커버의 락커가 락킹 홈으로부터 빠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during the cleaning process, the side that receives relatively more force transmitted from the push rod becomes taut and the opposite side becomes loose while the bottom surface and the mop part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this process, the mop part of the cover is pulled tightly. There was a problem that the locker often falls out of the locking groove.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밀대걸레에 사용되는 카트리지 식 걸레의 양측단에는 각각 롤러가 일체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한번 사용된 걸레부분을 세탁하는데 어려움이 있었을 뿐만 아니라 걸레부분을 폐기할 때에 롤러 부분까지도 그대로 폐기처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rollers are integrally fixed at both ends of the cartridge type mop used in the conventional mop as described above, it is difficult to wash the mop part once used, and the roller part when the mop part is disposed of. There was a problem that even disposal.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밀걸레 사용자가 사용으로 더러워진 걸레부분은 감아두고 깨끗한 상태의 걸레부분이 펼쳐지도록 밀걸레의 걸레 홀더에 장착된 롤 카트리지를 조작하는 과정이 더럽게 오염된 걸레부분에 직접 손을 닿지 않고도 가능하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이며 청소중 불쾌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the roll cartridge mounted on the mop holder of the mop so as to spread the clean mop part while keeping the mop part dirty by the user using the mop mop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oll cartridge type wheat mop that enables the process to be done without touching the dirty contaminated mop part directly, thereby reducing discomfort during cleaning.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의 다른 목적은 바닥면에 접하도록 양측 롤러 사이에 펼쳐진 걸레부분이 청소중 팽팽하게 긴장되더라도 걸레 홀더의 상부를 덮는 커버가 스스로 개방되지 않도록 하여 사용자가 보다 안정되고 편안한 상태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technolog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the cover covering the top of the mop holder does not open by itself even if the mop portion stretched between the rollers on both sides to contact the bottom surface does not open by itself, the user is more stable and comfortable To do the cleaning.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는 한 쌍의 롤러가 전후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축 결합되는 바디의 상부면에 밀대 브래킷이 구비된 걸레 홀더, 각각의 롤러에 양단이 감긴 상태에서 양측 롤러 사이에 펼쳐진 부분은 걸레 홀더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걸레, 밀대 브래킷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밀대를 포함한 구조의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에 있어서,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걸레 홀더의 일측면으 로 돌출된 상태로 걸레 홀더에 축 결합되는 조절기어; 사용 후 오염된 걸레부분이 감기는 구동롤러에 축 결합된 상태로 그 외주연이 조절기어와 외접되는 구동기어; 사용 전 걸레부분이 감기는 종동롤러에 축 결합된 상태로 걸레 홀더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종동기어; 상기한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양측 롤러에 걸레가 감긴 상태가 해당 탄성력 이하에서는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된 래칫;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s as follows. That is,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p holder having a push rod brack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in which a pair of rollers are axial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both sides of which are wound on both rollers. The rolled portion between the rollers is a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having a mop position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holder and a push rod hinged to the push rod bracket, so that one side of the mop holder can be rotated by a user's hand. An adjusting gear axially coupled to the mop holder in a protruding state; A drive gear whose outer circumference is circumscribed with a control gea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minated mop portion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roller which is wound after use; A driven gea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op holder in a state in which the mop part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en roller to be wound before use; A ratchet form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rag is wound on both rollers is not released below the elastic force; It is made, including.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서 걸레 홀더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수용되는 상자형으로 그 양측으로 각 롤러의 축이 축 지지되도록 형성된 하부바디와, 하부바디의 중앙 상측에 결합되며 그 상부면에 밀대 브래킷이 돌출 형성된 상부바디와, 상부바디의 전후방측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그 내측면이 상부바디에 힌지 결합된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로 구분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mop holder is a box-shaped housing in which a driving roller and a driven roller are accommodated, and a lower body formed so that the shafts of the rollers are axially supported on both sides thereof, and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center of the lower body, and a push rod bracket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The protruding upper body and the inner side is formed of a structure formed into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hinged to the upper body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body.

그리고 전술한 구성에서 걸레 홀더의 바디부 하부에는 걸레 홀더를 이루는 바닥면의 평평도를 높이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가 추가 조립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And in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 base plate for increasing the flatness of the bottom surface constituting the mop holder in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portion of the mop holder can be configured to be assembled.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는 걸레 홀더의 바디부 하단 일부가 압입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소정높이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edge of the base plate may be form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so that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ortion of the mop holder.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의 소정구간과, 카트리지 타입의 걸레 양측 끝단에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Velcro tapes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ends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nd at both ends of the cartridge type mop.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의 회전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래칫은 걸레 홀더의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래칫하우징과, 래칫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외측단이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의 치(齒)에 물리도록 돌출 형성된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를 탄력 지지하도록 래칫하우징에 수용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atchet for limiting the degree of rotation of the drive gear or the driven gear is a ratchet hous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of the mop holder, and the outer end of the ratchet housing is housed in the ratchet housing. It may include a striker protruding to bite the denture, and an elastic body accommodated in the ratchet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striker.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를 상부바디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에는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가 닫힌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이 장착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hinge shaft to hinge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o the upper body may be equipped with a torsion spring for inducing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o be in a closed state.

전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서 구동롤러와 중동롤러가 축지지되는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양측면 중에서 기어가 위치된 측면에는 각각 반원형으로 관통된 축공이 형성되어지되, 다른 일측면에는 구동롤러와 중동롤러의 축지지를 위한 축지지시트가 각각 반원의 홈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two sides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Middle East roller is supported by the shaft hole is formed in each of the axial hole penetrat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roller and Axial support sheets for axial support of the Middle Eastern rollers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 semicircle, respectively.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걸레 홀더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측면도이며, 도 6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측단면도이며,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작동상태도이다.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roll cartridge type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mop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view of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view of the operation state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100)는 걸레 홀더(120)의 일측면에 걸레 홀더(120)에 장착된 롤 카트리지 타입 의 걸레(150)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어(130), 걸레 홀더(120)의 내부에 구비된 한 쌍의 롤러 중에서 이미 사용된 후의 걸레부분이 감기는 구동롤러(136)와 동일 축 상에 형성된 구동기어(132), 구동롤러(136)에 대응하여 사용되기 전의 깨끗한 걸레부분의 감겨 있는 종동롤러(138)와 동일축상에 형성된 종동기어(134)가 노출 형성된 구조를 제공한다.3 to 8,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roll cartridge type mop 150 mounted on the mop holder 120 on one side of the mop holder 120. The control gear 130 for adjusting, the drive gear 132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drive roller 136, the mop part after the already used among the pair of rollers provided inside the mop holder 120 is wound, It provides a structure in which the driven gear 134 formed on the same axis as the driven roller 138 of the clean mop portion before being used corresponding to the drive roller 136 is exposed.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해 구성된 조절기어(130), 구동기어(132), 종동기어(134)의 구조 및 작동관계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조절기어(130)와 구동기어(132)가 서로 외접기어 형태로 맞물리게 형성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절기어(130)를 손으로 쥔 상태에서 사용자의 임의로 조절기어(130)를 어느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기어(132)가 맞물려 회전되면서 구동롤러(136)가 이에 순응하여 회전되는 구조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구동롤러(132)와 종동롤러(134)에는 롤 카트리지 타입의 걸레(150)의 양측단이 각각 고정 장착된 상태이므로 전술한 바와 같이 조절기어의 회전과 함께 구동된 구동롤러(136)의 회전력은 롤 카트리지 타입의 걸레(150)를 매개로 하여 종동롤러(138)에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종동롤러(138)는 구동롤러(136)가 순방향 회전되는 조건에서 롤 카트리지 타입의 걸레(150)의 일부가 구동롤러(136)에 감길 때에 구동롤러(136)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 동작되지만, 구동롤러가 역방향 회전되는 조건이거나 양측 롤러 사이에 펼쳐진 롤 카트리지 타입의 걸레(150)가 느슨한 상태의 조건에서는 구동롤러(136)의 회전력이 종동롤러(138)에 전달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in more detail the structure and operation of the control gear 130, the drive gear 132, the driven gear 134 is configu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gear 130 and the drive gear 132 As the external gears are formed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when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gear 130 in any one direction while the user grasps the control gear 130 by hand, the driving gear 132 is engaged to rotate and the driving roller 136 rotates. ) Rotates in compliance with this. Since both ends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are fixedly mounted to the driving roller 132 and the driven roller 134,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er 136 driven together with the rotation of the adjustment gear as described above. Is configured to be delivered to the driven roller 138 via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In particular, the driven roller 138 is rotated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roller 136 when a part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is wound on the drive roller 136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drive roller 136 is rotated forward However,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er 136 is configured not to be transmitted to the driven roller 138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the driving roller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or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spread between the two rollers is loose.

특히, 조절기어(130)와 구동기어(132) 및 종동기어(134)의 관계에 있어서 사 용자가 조절기어(130)를 작은 힘으로 돌리게 되더라도 그에 치 결합된 구동기어(13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는 조건으로 조절기어(130)와 구동기어(132)의 회전비가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32) 및 종동기어(134)에 비하여 조절기어(130)의 크기가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rol gear 130, the drive gear 132 and the driven gear 134, even if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gear 130 with a small force, the drive gear 132 coupled thereto is smoothly rotated. It is preferable that the rotation ratio of the control gear 130 and the drive gear 132 is set to be a condition that can be.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ize of the adjusting gear 130 is larger than that of the driving gear 132 and the driven gear 134 as shown in the figure.

즉, 본 고안에 따른 밀걸레(100)를 사용하는 자가 청소에 의하여 오염된 걸레부분은 구동롤러(136)에 감기도록 하고 깨끗한 상태의 걸레부분이 종동롤러(138)에서 풀려 걸레 홀더(120)의 하부면으로 노출되도록 조절하는 과정이 더럽게 오염된 걸레부분을 만질 필요 없이 조절기어(13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만으로도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the mop part contaminated by self-cleaning using the m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ound on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mop part in a clean state is released from the driven roller 138 and the mop holder 120. The process of adjusting to be expos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will be possible only by rotating the control gear 130 in the forward direction without having to touch the dirty contaminated mop.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100)의 걸레 홀더(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136)와 종동롤러(138)가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수용되는 상자형상의 하부바디(122)와, 하부바디의 중앙부 상측에 조립되며 그 상부면에는 막대형상의 밀대(110) 하단이 힌지 결합될 수 있도록 밀대 브래킷(124a)이 돌출 형성된 상부바디(124)와, 구동롤러(136)가 수용된 하부바디(122)의 전방구간을 덮으며 구동롤러에 감긴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150)의 위치조절시 걸레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그 내측면이 상부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전방커버(126)와, 종동롤러(138)가 수용된 하부바디(122)의 후방구간을 덮으며 종동롤러(138)에 감긴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150)의 위치조절시 걸레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그 내측면이 상부바디에 힌지 결합되는 후방커버(128)로 구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The mop holder 120 of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box shape in which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driven roller 138 are accommodat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s shown in FIG. 4. The lower body 122 and the upper body of the lower body is assembled to the upper body and the upper body 124 protruding the push rod bracket 124a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od-shaped push rod 110 is hinged, The front cover which covers the front section of the lower body 122 accommodated with the roller 136 and the inner side is hinged to the upper body to allow the mop to pass through whe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 126 and an inner side surface of the lower body 122 in which the driven roller 138 is accommodated to allow passage of the mop when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wound on the driven roller 138. To the rear cover 128 hinged to the upper body Minutes.The which may be formed.

특히, 하부바디(122)의 하측으로는 하부바디(122)에 상부바디(124)가 조립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체결수단의 일부로 하부바디(122)의 저면에 볼트공 등의 형성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에서는 볼트공 등의 구조물 형성으로 인해 평평하지 못한 걸레 홀더(120)의 저면 평평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볼트공 등에 이물질이 끼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140)가 추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 베이스 플레이트(140)는 하부바디(122)와 상부바디(124)를 볼트결합한 후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바디(122)의 하단부 일부가 억지끼움식의 압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그 테두리(142) 부분이 소정의 높이로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테두리(142)의 외측면의 상하 모서리 부분, 즉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와 접하게 되는 모서리 부분은 걸레의 마모를 줄이기 위하여 라운딩된 구조로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a bolt hole or the lik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122 as part of a fastening means for maintaining the assembled state of the upper body 124 on the lower body 122 to the lower side of the lower body 122. In the roll cartridge type wheat ra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ase plate may not only increase the bottom flatness of the mop holder 120 which is not flat due to the formation of a structure such as a bolt hole, and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being caught in the bolt hole. 140 may be further formed. After the base plate 140 is bolted to the lower body 122 and the upper body 124, as shown in FIG. 6, a portion of the lower end of the lower body 122 can be press-fitted by pressing the edge ( 142) the portion is formed of a structure protruding to a predetermined height. The upper and lower corner portions of the outer surface of the edge 142, that is, the edge portion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roll cartridge type mop have a rounded structure to reduce wear of the mop.

이와 같이 걸레 홀더(120)의 하부바디(122) 저면에 베이스 플레이트(140)를 더 조립시키면서까지 하부바디(122)의 저면에 볼트공을 형성하는 이유는 걸레 홀더(120)의 상부면을 이루는 상부바디(124)에는 최대한 볼트공 등의 구조물을 형성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디자인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청소 중에 발생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이 끼일 수 있는 공간을 최대한으로 줄이기 위함이다. 하부바디(122)와 상부바디(124)의 볼트 조립을 위하여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바디(122)의 내부공간과 상부바디(124)의 내부공간에는 각각 볼트 체결용 돌출물이 형성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The reason why the bolt hole is formed on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122 until the base plate 140 is further assembled to the bottom of the lower body 122 of the mop holder 120 constitutes the upper surface of the mop holder 120. The upper body 124 is not only to improve the design of the product by not forming a structure such as bolt holes as much as possible, as well as to reduce the space that can be caught foreign matters such as dust generated during cleaning to the maximum. For assembling the bolts of the lower body 122 and the upper body 124, as shown in FIGS. 4 and 6, the inner space of the lower body 122 and the inner space of the upper body 124 are each provided with bolt fastening protrusions. The formed structure is achieved.

또한, 하부바디(122)와 상부바디(124)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부바디(124)를 기준으로 하부바디의 전후방으로 각각 개방된 공간을 덮는 전방커버(126) 및 후방커버(128)의 조립이 이루어진다. 상부바디(124) 측을 향하는 전방커버(126) 및 후방커버(128)의 내측면에는 각각 상부바디(124)에 마련된 힌지결합홈(124b)에 끼워지기 위한 힌지브래킷(126b,128b)이 돌출 형성되는데, 이 힌지브래킷(126b,128b)은 전방커버(126) 및 후방커버(128)에 각각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조립 및 작동될 수 있는 것이다. 힌지브래킷(126b,128b)이 힌지결합홈(124b)에 장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상부바디(124)에 대하여 전방커버(126) 및 후방커버(128)의 회동이 허용되도록 하기 위한 힌지축(126a,128a)에는 특별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이상 전방커버(126) 및 후방커버(128)는 하부바디(122)에 대하여 닫힌 상태가 되도록 하는 조건이 되도록 도 7에서와 같이 토션 스프링(160)이 장착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사용자의 조절기어(130) 조작에 의하여 구동롤러(136)가 회동되면서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150)의 움직임이 있을 경우에는 그 걸레의 움직임은 허용될 수 있지만, 걸레의 위치조절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걸레로부터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가 완전히 개방되는 현상은 방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assembling of the front cover 126 and the rear cover 128 covering the open space in the front and rear of the lower body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124 in the state where the lower body 122 and the upper body 124 is assembled. This is done. Hinge brackets 126b and 128b protrude from the inner side surfaces of the front cover 126 and the rear cover 128 facing the upper body 124, respectively, to be fitted into the hinge coupling grooves 124b provided in the upper body 124. The hinge brackets 126b and 128b are formed in the front cover 126 and the rear cover 128, respectively, and can be assembled and operated in a more stable state. Hinge for maintaining the hinge brackets 126b and 128b mounted on the hinge coupling groove 124b and allowing rotation of the front cover 126 and the rear cover 128 with respect to the upper body 124. The torsion spring 160 is as shown in FIG. 7 so that the front cover 126 and the rear cover 128 are closed to the lower body 122 unless a special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hafts 126a and 128a. ) Can be mounted. That is, when there is a movement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while the driving roller 136 is rotated by the manipulation gear 130 of the user, the mop movement may be allowed, but the position of the mop is adjusted. The phenomenon that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is completely opened by the force applied from the mop at is configured to be prevented.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150)에서는 천 재질이나 부직포 재질로 제작된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150)의 세탁이나 폐기 처분이 보다 용이해질 수 있도록 더럽게 오염된 걸레부분이 감기는 구동롤러(136) 및 깨끗한 상태의 걸레부분이 감겨있는 종동롤러(138)와는 분리 결합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천 재질 또는 부직포 재질로 제작된 걸레(150)의 양측 끝단에는 벨크로 테이프의 분리면이 형성되고, 구동롤러(136) 및 종동롤러(138)의 도중에는 전술한 벨크로 테입프(170)의 일면과 대응되는 고정면이 형성되는 것이다.In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driving roller to which dirty contaminated mop parts are wound so that washing or disposal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made of cloth material or non-woven material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136) and the driven roller 138 wound around the mop portion of the clean state is made of a structure capable of separating and coupling. That is, separate ends of the Velcro tape are formed at both ends of the mop 150 made of cloth or non-woven material, and one side of the aforementioned Velcro tape 170 is formed in the middle of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driven roller 138. The fixed surface corresponding to the will be formed.

전술한 바와 같은 구동롤러(136) 및 종동롤러(138)의 장착을 위하여 하부바디(122)와 전/후방커버(126,128)에는 각각 반원형의 축공(122c,126c,128c) 및 축 지지시트(122d,126d,128d)가 형성된다. 즉, 구동롤러(136)와 구동기어(132) 사이의 축이 위치되는 구간과, 종동롤러(136)와 종동기어(134) 사이의 축이 위치되는 구간은 관통된 구조가 될 수 있도록 하부바디(122)와 전/후방커버(126,128)에는 각각 서로 대향되는 반원형상의 축공(122c,126c,128c)이 관통된 채로 형성되는 것이다. 반면에, 반대편에 위치되는 구동롤러(136)와 종동롤러(138)의 축단부는 걸레 홀더(120)의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 상태에서 축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축지지시트(122d,126d,128d)가 반원의 홈형상으로 하부바디(122)와 전/후방커버(126,128)에 각각 대향된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다. 구동롤러(136)와 구동기어(132)의 축연결부, 종동롤러(138)와 종동기어(134)의 축연결부는 서로 분리 및 조립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order to mount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driven roller 138 as described above, the lower body 122 and the front / rear cover 126, 128 have semicircular shaft holes 122c, 126c, 128c and shaft support sheet 122d, respectively. 126d and 128d are formed. That is, the section in which the shaft between the drive roller 136 and the drive gear 132 is located and the section in which the axis between the driven roller 136 and the driven gear 134 are located have a lower body so as to have a penetrated structure. Semicircular shaft holes 122c, 126c and 128c facing each other are formed through the 122 and the front / rear covers 126 and 128,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shaft end portions of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driven roller 138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in order not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mop holder 120, the shaft support sheet (122d, 126d, 128d) ) Is formed in a semicircular groove shape with the lower body 122 and the front / rear covers 126 and 128 opposed to each other.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of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driving gear 132,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of the driven roller 138 and the driven gear 134 may be formed in a structure that can be separated and assembled with each other.

또한, 조절기어(130)의 축결합을 위해서 하부바디(122)와 상부바디(124)의 해당 위치에는 반원형상의 축공(122e,124e)이 관통 형성된다. 조절기어(130)를 하부 및 상부바디에 축 결합시키기 위해 형성된 샤프트(130a)는 내부가 빈 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절기어(130)의 외측면으로는 샤프트에 중공부에 끼워져 조절기어가 샤프트에 조립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훅커(130b)가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semi-circular shaft holes 122e and 124e are formed through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lower body 122 and the upper body 124 for the shaft coupling of the adjustment gear 130. The shaft 130a formed to axially couple the adjusting gear 130 to the lower body and the upper body is formed in a hollow cylinder shape, and the outer side of the adjusting gear 130 is fitted to the hollow part of the shaft so that the adjusting gear is the shaft. Hooker 130b to be maintained in the assembled state will be formed.

그리고 하부바디(122)의 전방면과 후방면 상측에는 각각 걸레의 도중이 통과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슬롯(122f)이 형성되어진다.In addition, slots 122f are formed o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of the lower body 122 to allow the middle of the mop to pass.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100)에서는 걸레의 위치가 새롭게 조절된 상태에서 청소가 진행되더라도 설정된 걸레의 위치가 쉽게 변경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래칫(180)이 형성된다. 즉, 래칫은 도 5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32)와 종동기어(134)의 일측면에 구동기어(132) 및 종동기어(134)의 기어이(齒)에 외측단이 물리는 스트라이커(184)와, 스트라이커(184)의 내측단이 수용되도록 하부바디(122)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래칫하우징(182)과, 스트라이커(184)를 탄력 지지하는 채로 래칫하우징(182)에 수용되는 탄성체(186)와, 래칫하우징(182)의 개방된 측을 막는 마감볼트(18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래칫(180)의 스트라이커(184) 외측단이 구동기어(132) 및 종동기어(134)에 맞물려 있게 됨으로써, 구동롤러(136) 및 종동롤러(138)에 감긴 상태의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에 청소 중 힘이 전달되더라도 소정의 힘 이하에서는 걸레의 풀림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사용자가 조절기어(130)를 돌리게 될 때에는 구동기어(132) 측의 스트라이커(184)를 탄력지지하고 있던 탄성체(186)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되면서 구동기어(132)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되며, 걸레를 매개로 구동롤러(136)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종동기어(134) 측의 스트라이커(184) 또는 탄성체가 압축되면서 종동기어의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roll cartridge type wheat rag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cleaning is carried out in a newly adjusted position of the mop, a ratchet 180 is formed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et mop is not easily changed. That is, as shown in FIGS. 5 and 8, the ratchet bites the outer end of the gear of the driving gear 132 and the driven gear 134 on one side of the driving gear 132 and the driven gear 134. The striker 184, the ratchet housing 182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ower body 122 so that the inner end of the striker 184 is accommodated, and the ratchet housing 182 are accommodated in the ratchet housing 182 while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riker 184. It comprises an elastic body 186 and a closing bolt 188 blocking the open side of the ratchet housing 182. In this way, the outer end of the striker 184 of the ratchet 180 is engaged with the drive gear 132 and the driven gear 134, so that the roll cartridge type mop wound around the drive roller 136 and the driven roller 138 Even if the force is transmitted during cleaning, the cloth is not loosened below a predetermined force. On the other hand, when the user rotates the control gear 130, the elastic body 186, which is elastically supporting the striker 184 on the drive gear 132 side is compressed as shown in Fig. 8 of the drive gear 132 The rotation is possible, and the striker 184 or the elastic body of the driven gear 134 side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er 136 is compressed so that the rotation of the driven gear becomes possible.

특히,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서는 조절기어(130)의 회전방향을 오른손잡이 사용자의 사용에 편리하도록 설정되었으나, 왼손잡이 사용자의 사용이 용이할 수 있도록 조절기어의 위치 및 방향 등은 별도로 설정될 수도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control gear 130 is set to be convenient for the use of the right-handed user, the position and direction of the control gear, etc. to facilitate the use of the left-handed user It may be set separately.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의 사용상태를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The use state of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100)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천 부재 또는 부직포 부재로 제작되어 별도로 제공되는 걸레(150)의 장착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 때, 장착될 걸레는 아직 전체가 깨끗한 상태이므로 그 일단을 후방커버(128) 내측의 수용된 종동롤러(138)에 부직포 테이프로써 상호 부착시킨 후에 종동기어(134)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종동롤러(138)에 걸레(150)의 대부분이 감기도록 한다.First, in order to use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th mop or non-woven member should be made of the mop 150 provided separately. At this time, since the mop to be mounted is still in a clean state, one end thereof is attached to the driven roller 138 accommodated inside the rear cover 128 with a nonwoven tape, and then the driven gear 134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o drive the driven roller ( 138) so that most of the mop 150 is wound.

그런 다음, 롤 카트리지 타입 걸레(150)의 다른 일측단은 걸레 홀더(120)의 하부면을 지나 전방커버(126) 내측에 수용된 구동롤러(136)에 부직포 테이프로써 상호 부착시킨 후에 종동기어(134)를 역방향으로 돌리거나, 조절기어(130)를 정 방향으로 돌려 걸레 홀더 하부면에 펼쳐진 걸레의 상태가 청소에 알맞은 정도의 긴장상태가 되도록 조절한다. 구동롤러(136)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움직이는 걸레는 베이스 플레이트(140)에 마련된 테두리(142)의 상하 모서리부분이 라운딩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서 보다 자연스러운 움직임이 가능하게 된다.Then, the other end of the roll cartridge type mop 150 is attached to the driving roller 136 accommodated inside the front cover 126 past the lower surface of the mop holder 120 and then driven by the non-woven tape 134 ) Rotate in the reverse direction, or adjust the control gear 130 in the forward direction so that the state of the mop sprea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holder is adjusted to a tension enough for cleaning. The mop moving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ing roller 136 is form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edge 142 provided on the base plate 140 are rounded, thereby enabling more natural movement.

걸레 홀더의 하측으로 노출된 걸레부분이 청소로 더럽게 오염되어 걸레의 위치조절이 필요하게 되면, 사용자는 조절기어(130)를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정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따라서 구동기어(132)를 통해 조절기어(130)의 회전력을 받은 구동롤러(136)가 회전되면서 더럽게 오염된 걸레부분은 구동롤러(136)에 감기게 되면서 중동롤러(138)에 감겨져 있던 깨끗한 걸레부분이 걸레 홀더(120)의 하부로 이동되어진다.When the mop portion exposed to the lower side of the mop holder is dirty and cleaned to be necessary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mop, the user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while holding the adjusting gear 130 by hand. Therefore, while the driving roller 136 receive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adjusting gear 130 through the driving gear 132, the dirty contaminated mop portion is wound on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clean rag wound around the Middle East roller 138. The portion is moved to the bottom of the mop holder 120.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사용자는 걸레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청소를 수행하게 되는데, 걸레의 위치조절과정에서 사용자는 더럽게 오염된 걸레부분을 직접 손으로 만지지 않아도 됨으로서 보다 청결하고 위생적인 조건에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performs cleaning while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p. In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op, the user does not have to touch the dirty contaminated mop directly by hand to perform cleaning in a cleaner and hygienic condition. You can do it.

또한, 구동롤러(136) 및 종동롤러(138)에 감겨진 상태의 걸레는 구동기어(132) 및 종동기어(134)가 래칫(180)에 위해서 회전이 제한됨으로서 사용자가 조절기어(130)를 임의적으로 작동시키지 않는 한 풀리지 않게 될 뿐만 아니라, 청소 중 팽팽해진 걸레의 탄성에 의해서 커버가 개방될 염려가 없으므로 보다 안정된 상태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mop wound in the driving roller 136 and the driven roller 138 is limited to the rotation of the drive gear 132 and the driven gear 134 for the ratchet 180, so that the user can adjust the control gear 130 Not only does not loosen unless it is operated arbitrarily, there is no fear that the cover is opened by the elasticity of the mop tightened during cleaning, it is possible to perform the cleaning in a more stable state.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can be carried out in various modifications within the range permitt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밀걸레의 걸레 홀더에 장착되는 걸레가 롤 카트리지 타입의 것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걸레의 위치조절을 실시할 때에 청소에 의해 더럽게 오염된 걸레부분에 직접 손이 닿지 않고 조절기어를 회전시키면 되기 때문에 보다 간단하고 위생적인 걸레의 위치조절 및 걸레의 교환이 가능한 효과가 발현된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ag mounted on the rag holder of the rag is mounted as a roll cartridge type, the user does not directly touch the dirty rag part by cleaning when the use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rag. Since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adjusting gear without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mop, the mop can be changed more easily and hygienic.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기술은 걸레 홀더의 측면에 롤러의 회전을 일정부분 제한시키는 래칫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레의 설정된 위치가 보다 안정될 수 있으며 청소 중에 팽팽해지는 걸레에 의해서 커버가 개방되는 등의 현상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techniqu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ecause the ratchet is formed on the side of the mop holde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roller to a certain portion can be more stable position of the mop and the cover is opened by the mop to tighten during cleaning, etc. The phenomenon can be prevented.

Claims (8)

한 쌍의 롤러가 전후방향에 소정 간격을 두고 축 결합되는 바디의 상부면에 밀대 브래킷이 구비된 걸레 홀더, 각각의 롤러에 양단이 감긴 상태에서 양측 롤러 사이에 펼쳐진 부분은 걸레 홀더의 하부면에 위치되는 걸레, 밀대 브래킷에 하단이 힌지 결합되는 밀대를 포함한 구조의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에 있어서,Mop holder provided with a push rod brack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that the pair of rollers are axially coup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portion spread between the two rollers while both ends are wou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p holder In the roll cartridge type wheat rag having a structure including a mop to be positioned, the bottom is hinged to the rod bracket, 사용자의 손으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걸레 홀더의 일측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걸레 홀더에 축 결합되는 조절기어;An adjusting gear axially coupled to the mop holder in a state of protruding to one side of the mop holder so as to be rotated by a user's hand; 사용 후 오염된 걸레부분이 감기는 구동롤러에 축 결합된 상태로 그 외주연이 조절기어와 외접되는 구동기어;A drive gear whose outer circumference is circumscribed with a control gear in a state in which the contaminated mop portion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ing roller which is wound after use; 사용 전 걸레부분이 감기는 종동롤러에 축 결합된 상태로 걸레 홀더의 일측면에 돌출 형성되는 종동기어;A driven gear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mop holder in a state in which the mop part is axially coupled to the driven roller to be wound before use; 상기한 구동기어 및 종동기어에 소정의 탄성력을 가하여 양측 롤러에 걸레가 감긴 상태가 해당 탄성력 이하에서는 해제되지 않도록 형성된 래칫;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A ratchet form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elastic force to the drive gear and the driven gear so that the state in which the rag is wound on both rollers is not released below the elastic force; Roll cartridge type wheat rag,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제 1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레 홀더는 구동롤러와 종동롤러가 수용되는 상자형으로 그 양측으로 각 롤러의 축이 축 지지되도록 형성된 하부바디와, 하부바디의 중앙 상측에 결합되며 그 상부면에 밀대 브래킷이 돌출 형성된 상부바디와, 상부바디의 전후방측에 개폐가 가능하도록 그 내측면이 상부바디에 힌지 결합된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로 구분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op holder is a box-shaped rece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is a lower body formed so as to support the shaft of each roller on both sides thereof, coupled to the upper upper surface of the center of the lower body Roll cartridge type wheat mop,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is formed with a push bracket bracket protruding, and the inner side is divided into a front cover and a rear cover hinged to the upper body so as to be opened and closed on 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upper body.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한 걸레 홀더의 바디부 하부에는 걸레 홀더를 이루는 바닥면의 평평도를 높이기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가 추가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a base plate for increasing the flatness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mop holder is further assembled under the body part of the mop holder.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테두리는 걸레 홀더의 바디부 하단 일부가 압입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소정높이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4. 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edge of the base plate protrudes a predetermined height upward so that a part of the lower end of the body part of the mop holder can be press-fitted.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의 소정구간과, 카트리지 타입의 걸레 양측 끝단에는 각각 벨크로 테이프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The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Velcro tape is formed at predetermined ends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driven roller, and at both ends of the cartridge type mop.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의 회전정도를 제한하기 위한 래칫은 걸레 홀더의 바디에 일체로 형성된 래칫하우징과, 래칫하우징에 수용된 상태에서 그 외측단이 구동기어 또는 종동기어의 치(齒)에 물리도록 돌출 형성된 스트라이커와, 스트라이커를 탄력 지지하도록 래칫하우징에 수용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The ratchet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ratchet for limiting the rotational degree of the driving gear or the driven gear has a ratchet housing formed integrally with the body of the mop holder, and the outer end of the ratchet housing is accommodated in the ratchet housing. A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comprising: a striker protruding from the teeth of a gear; and an elastic body accommodated in the ratchet housing to elastically support the striker. 제 2항에 있어서,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를 상부바디에 힌지 결합되도록 하는 힌지축에는 전방커버 및 후방커버가 닫혀진 상태가 되도록 유도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The roll cartridge type mill cloth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a hinge shaft for hinge-engaging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o the upper body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for guiding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to be in a closed state. 제 2항에 있어서, 구동롤러와 중동롤러가 축 지지되는 상부바디와 하부바디의 양측면 중에서 기어가 위치된 측면에는 각각 반원형으로 관통된 축공이 형성되어지되, 다른 일측면에는 구동롤러와 중동롤러의 축지지를 위한 축 지지시트가 각각 반원의 홈형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side of the gear is located in the side of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body in which the driving roller and the Middle East roller is axially supported, respectively, the shaft hole is formed in a semi-circular shape, the other side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Middle East roller A roll cartridge type mill mop, characterized in that shaft support sheets for shaft support are each formed in a semicircular groove shape.
KR2020060014743U 2006-06-01 2006-06-01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200424524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43U KR200424524Y1 (en) 2006-06-01 2006-06-01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743U KR200424524Y1 (en) 2006-06-01 2006-06-01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524Y1 true KR200424524Y1 (en) 2006-08-23

Family

ID=41773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743U KR200424524Y1 (en) 2006-06-01 2006-06-01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524Y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29B1 (en) * 2007-08-13 2009-06-16 박영춘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KR20160125263A (en) * 2015-04-21 2016-10-31 김영곤 Clean divice
KR20230001573A (en) 2021-06-28 2023-01-05 희성전자 주식회사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129B1 (en) * 2007-08-13 2009-06-16 박영춘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KR20160125263A (en) * 2015-04-21 2016-10-31 김영곤 Clean divice
KR101681204B1 (en) 2015-04-21 2016-12-12 김영곤 Clean divice
KR20230001573A (en) 2021-06-28 2023-01-05 희성전자 주식회사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1365884Y (en) Manual cleaning tool
KR200424524Y1 (en)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WO2008128402A1 (en) Self-cleaning device of filtering net and air conditioner having it
KR200144868Y1 (en) Mop fixing device of vacuum cleaner
CN214804447U (en) Mopping assembly and intelligent cleaning robot
GB2296426A (en) A vacuum cleaner with damp cloth apparatus
KR100760645B1 (en) Push stick with a duster for cleaning a floor
KR20040100189A (en) Belt style of outomatic mop
KR200443426Y1 (en) A Wiping mop
KR950004471B1 (en) Coupling device for wet duster roller of vacuum cleaner
CN217792878U (en) Carpet/pet cleaning brush with extremely high cleaning efficiency of motor
KR20070030636A (en) Robot Cleaner
CN217365686U (en) Wheel set structure for cleaning tool
KR20040032829A (en) wet duster
CN114711672B (en) Cleaning device
KR200253548Y1 (en) Electromotive Steam Wiping Cleaner
CN217218911U (en) Mop assembly and floor cleaning machine
KR200144848Y1 (en) Mop device of vacuum cleaner
KR200373043Y1 (en) a damp cloth cleaner
JP4244587B2 (en) Toilet equipment
KR20190000989A (en) Mattress cleaning device
KR101302659B1 (en) blanket cleaner
KR200303861Y1 (en) Tape cleaner tool with cover
KR200144825Y1 (en) Mop device of vacuum cleaner
KR200384131Y1 (en) Clea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