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01573A -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 Google Patents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01573A
KR20230001573A KR1020210083740A KR20210083740A KR20230001573A KR 20230001573 A KR20230001573 A KR 20230001573A KR 1020210083740 A KR1020210083740 A KR 1020210083740A KR 20210083740 A KR20210083740 A KR 20210083740A KR 20230001573 A KR20230001573 A KR 202300015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handle
cleaning member
coupled
type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37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웅선
Original Assignee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희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희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837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01573A/en
Publication of KR20230001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01573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0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L25/005Domestic clean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sing adhesive or tacky surfaces to remove dirt, e.g. lint rem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7/00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 B08B7/0028Cleaning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ther subclass or a single group in this subclass by adhesive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10Handled articles or webs
    • B65H2701/19Specific article or web

Landscapes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r type small cleaner used in a cleanroom to clean electronic devices such as a display device. The roller type cleaner of the embodiment comprises: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which are frames with a predetermined length, comprise a handle coupling unit and a roller coupling unit wherein both ends of the handle coupling unit are bent to one side, and have the roller coupling unit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which are plates with a predetermined area, comprise a first coupling unit in an edge of one side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unit of the first main frame and a second coupling unit which is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unit of the second main frame, and are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while facing each inner face; a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ing rollers which are coupled to the roller coupling unit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and a cleaning member which has an end of one side wound to the first driving roller and an end of the other side wound to the second driving roller while going through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and is supplied from the first roller and wound to the second roller.

Description

클린룸 내에 사용되는 롤러형 클리너{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본 발명은 클린룸 내에 사용되는 롤러형 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린룸 내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전자기기를 클리닝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롤러형 소형 클리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ller-type cleaner used in a clean room, and more particularly, to a roller-type compact cleaner used for cleaning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in a clean room.

가정, 직장 등의 실생활에서는 먼지나 머리카락, 보풀 등과 같은 각종 이물질을 떼어 내기 위하여 청소용구가 사용된다. In real life such as home and workplace, cleaning tools are used to remove various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hair, and lint.

청소용구는 클리닝 대상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한 쌍의 롤러에 클리닝용 천(또는 테이프)이 감긴 구조로서, 일 측의 롤러에 깨끗한 천이 감긴 상태에서 타 측의 롤러로 이동하면서 오염된 천이 감기는 구조를 이룬다. 이를 위하여 한 쌍의 롤러는 서로 연동하는 공급 롤러와 권취 롤러로 구분될 수 있으며, 내부에는 별도의 작동모듈이 구비되어 작동모듈의 동작으로 천이 공급 롤러에서 풀림과 동시에 권취 롤러에 감기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롤러 방식의 청소용구는 롤러에 카트리지를 교체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오염된 천을 세척하지 않아도 되는 편리함이 있다.Various types of cleaning tools can be used depending on the cleaning target. In general, a cleaning cloth (or tape) is wound around a pair of rollers. Contaminated cloth forms a winding structure. To this end, the pair of rollers can be divided into a supply roller and a take-up roller that interlock with each other, and a separate operation module is provided inside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operation module unwinds the cloth from the supply roller and simultaneously winds it on the take-up roller. Such a roller-type cleaning tool is made in such a way that a cartridge is replaced with a roller, so there is convenience in not having to wash contaminated cloth.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롤러형 청소용구는 내부에 작동을 위한 작동 모듈이 구비되어 구조가 복잡하고, 이로 인하여 소형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롤러형 청소용구는 오염된 면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되어 천에 흡착된 먼지나 오염물이 분리되어 주변을 다시 오염시킬 염려가 있다.However, such a conventional roller-type cleaning tool is provided with an operation module for operation therein and has a complicated structure, and thus has a disadvantage in that miniaturization is impossible. In addition, in the conventional roller-type cleaning tool, the contaminated surface is exposed to the outside as it is, and dust or contaminants adsorbed to the cloth are separated and there is a risk of contaminating the surroundings again.

특히, 디스플레이 장치와 같은 각종 전자기기는 높은 수준의 청결상태가 유지되는 클린룸 내에서 점검 및 클리닝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장치를 클리닝 대상으로 하는 경우 청소용구가 소형화되어야 하고, 청소용구로부터 오염물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청소용구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손상을 가하지 않아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청소용구는 클린룸 내부에서 사용하기에는 소형화, 재오염 및 안전성 문제에 매우 불리한 한계를 나타내고 있다.In particular, various electronic devices such as display devices are inspected and cleaned in a clean room where a high level of cleanliness is maintained. In this way, when the display device is to be cleaned, the cleaning tool must be miniaturized, contaminants must not be generated from the cleaning tool, and the cleaning tool must not damage the display device. However, conventional cleaning tools exhibit very unfavorable limitations in miniaturization, re-contamination and safety problems for use inside a clean room.

한국등록실용신안 20-0424524호(롤 카트리지 타입 밀걸레)Korea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20-0424524 (roll cartridge type wheat mop) 한국등록특허 10-1776564호(무한궤도클리너)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776564 (caterpillar clean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소형화가 가능하여 클린룸 내에서 각종 전자기기를 클리닝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롤러형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ropo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er-type cleaner that can be miniaturized and can be usefully used for clean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a clean room.

또한, 본 발명은 흡착된 오염물이 다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클린룸 내부의 청결상태가 유지될 수 있는 롤러형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er-type cleaner capable of maintaining a clean state inside a clean room by preventing adsorbed contaminants from being separated again.

또한,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손상과 재오염을 방지하면서 전자기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롤러형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er-type cleaner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contaminants attached to electronic devices while preventing damage and recontamination of electronic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사용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자기기용 롤러형 클리너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oller-type cleaner for electronic devices that can improve ease of use.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의 롤러형 클리너는,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프레임으로, 손잡이 결합부와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양 단부가 일 측으로 벤딩되는 롤러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 결합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2 메인 프레임,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의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일 측 가장자리의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의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내면이 서로 마주하면서 상기 제 1, 2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 상기 제 1, 2 메인 프레임의 양 측에서 상기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2 구동 롤러, 및, 일 측 단부가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 감기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 2 구동 롤러에 감기며,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 2 구동 롤러에 권취되는 클리닝 부재를 포함한다.The roller type cleaner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udes a handle coupling portion and a roller coupling portion in which both ends of the handle coupling portion are bent to one side, and the roller coupling portion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 first coupling portion at one edge coupled to a handl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main frame, and a second main frame A pair of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having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and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while inner faces facing each oth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ing rollers coupled to a roller coupling part, one end of which is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riving roller pa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knob plates and a cleaning member that is su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and wound around the second driving roller.

또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서 외부 표면에 오염물을 흡착한 후, 오염된 면이 내측으로 향하는 역방향으로 상기 제 2 구동 롤러에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may be configured to adsorb contaminants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roller and then wind the second driving roller in a reverse direction with the contaminated surface inward.

또한, 적어도 일 측의 상기 손잡이 플레이트는, 상기 클리닝 부재가 이동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가이드 돌기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handle plate of at least one side may be formed by protruding guide protrusion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moves.

또한, 적어도 일 측 손잡이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 돌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불연속으로 형성되면서 단부는 길이 방향을 향하는 쐐기 형상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while the guide projections of at least one side of the handle plate are formed discontinuously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 end portion may form a wedge shape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또한, 상기 제 1 결합부는, 제 1 손잡이 플레이트의 단부와 제 2 손잡의 플레이트의 단부가 서로 반복적으로 맞물리면서 경첩 구조로 상기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art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in a hinge structure while the end of the first handle plate and the end of the second handle plate are repeatedly engaged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가 펼쳐질 때 경첩 구조의 상기 제 1 결합부 단부에 지지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are unfolded, the first main frame may have a plurality of protruding protrusion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hinge structure.

또한, 상기 구동 롤러는, 양 단부의 가장자리가 소정의 곡률로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roller may form a curved portion in which edges of both ends are convex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또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 측 단부의 폭이 좁고 타 측 단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폭이 좁은 일 측 단부가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 먼저 감기면서 폭이 넓은 타 측 단부가 내 측 클리닝 부재의 양 측 절단면을 덮으면서 감기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has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one end is narrow and the other end is relatively wide in the entire length direction, and the narrow end is first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to increase the width. The other wide end may be configured to be wound while covering cut surfaces on both sides of the inner cleaning member.

또한, 상기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2 메인 프레임의 상기 손잡이 결합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may be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movable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using the handl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as a guide rail.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여 소형화에 유리하며, 클린룸 내에서 각종 전자기기를 클리닝하는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and is advantageous for miniaturization, and can be effectively applied to cleaning various electronic devices in a clean room.

또한, 본 발명은 흡착된 오염물이 다시 분리되지 않으므로, 클린룸 내부의 청결상태를 유지하고 전자기기의 재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adsorbed contaminants are not separated again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aintain cleanliness inside the clean room and prevent re-contamination of electronic devices.

또한, 본 발명은 부품과 전자기기의 충돌을 방지하거나 최소로 하므로, 클리닝 중 충돌에 의한 전자기기의 오염 및 손상을 방지하면서 사용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or minimizes a collision between a component and an electronic device, it has an effect of improving safety and convenience of use while preventing contamination and damage of the electronic device due to collision during cleaning.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클리너를 나타낸 분해도,
도 3은 도 1의 클리너를 나타낸 A-A' 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1의 클리너를 나타낸 B-B'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의 주요부인 클리닝 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6은 도 5의 클리닝 부재가 롤러에 감긴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eaner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Figure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cleaner of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in the AA 'direction showing the cleaner of Figure 1;
4 is a BB′ direction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leaner of FIG. 1;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cleaning membe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nfolded;
6 is a conceptu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of FIG. 5 is wound around a roller;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The technical problems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nd its practice will be clarified by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일 측, 타 측, 제 1, 제 2, 내, 외 등과 같은 표현은 상대적인 위치나 방향, 순서를 나타내는 것으로, 기술적 의의가 사전적 의미에 구속되는 것은 아니라 할 것이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ifferences in the present embodiment,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re not mutually exclusive. That i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shap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may be implemented in relation to one embodiment in another embodiment, and the location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Alternativel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rrangement may be changed,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in the drawings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across several aspects, and the shape, such as length, area and thickness,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expressions such as one side, the other side, first, second, inside, outside, etc. indicate relative positions, directions, and orders, and their technical meanings are not limited to dictionary mean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롤러형 클리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롤러형 클리너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각각 도 1의 롤러형 클리너를 나타낸 A-A' 및 B-B' 방향의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er-typ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roller-type cleaner of FIG. 1, and FIGS. 3 and 4 are A-A' and B-B' respectively showing the roller-type cleaner of FIG. 1 It is a cross section of the direction.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클리너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의 메인 프레임(100)과, 메인 프레임의 중앙 영역에서 서로 마주하면서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손잡이 플레이트(200)와, 메인 프레임의 양 단부에서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구동 롤러(300)와, 한 쌍의 손잡이 플레이트 내부를 관통하면서 양 단부가 각각 구동 롤러에 감기는 클리닝 부재(4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these drawings, the cleaner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pair of main frames 10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pair of handle plates 200 coupled to the main frame while facing each other in the central region of the main frame, and a main frame It includes a pair of driving rollers 300 coupled to the main frame at both ends thereof, and a cleaning member 400 having both ends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s while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pair of handle plates.

메인 프레임(100)은 클리너의 뼈대를 형성하는 구성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프레임의 단부가 일 측으로 벤딩되어 'ㄷ'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메인 프레임(100)은 손잡이 플레이트(200)를 결합시키는 플레이트 결합 영역과, 플레이트 결합 영역의 양 단부가 일 측의 수직 방향으로 벤딩되어 구동 롤러(300)를 결합시키는 롤러 결합 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메인 프레임(100)은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1, 2 메인 프레임(100-1,100-2)으로 구성되며,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ㅁ' 형상의 프레임 틀을 형성한다.The main frame 100 is a component that forms the skeleton of the cleaner, and an end portion of the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may be bent to one side to form a 'c' shape. The main frame 100 may be divided into a plate coupling area for coupling the handle plate 200 and a roller coupling station for coupling the driving roller 300 by bending both ends of the plate coupling region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 The main frame 100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100-1 and 100-2 facing each other, and both ends are disposed in a direction facing each other to form a 'ㅁ'-shaped frame frame. .

또한, 메인 프레임(100)은 단면이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으며, 후술하는 손잡이 플레이트(200)와 구동 롤러(300)가 쉽게 결합되고 회전될 수 있도록 원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인 프레임(100)의 플레이트 결합 영역과 롤러 결합 영역은 각각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손잡이 플레이트(200)의 폭과 구동 롤러(300)의 길이를 고려하여 적절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in frame 100 may have a cross section of various shapes such as a circular shape and a polygonal shape, and preferably has a circular shape so that the handle plate 200 and the driving roller 300 described later can be easily coupled and rotated. In addition, the plate coupling area and the roller coupling area of the main frame 100 each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may have an appropriate length in consideration of the width of the handle plate 200 and the length of the driving roller 300 .

손잡이 플레이트(200)는 한 쌍의 구동 롤러(300)를 따라 감기는 클리닝 부재(400)를 외부로부터 차폐하면서 클리닝 부재(400)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동시에 사용자가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손잡이 기능을 제공한다. 손잡이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로 구성되며, 플레이트의 일 측 가장자리는 제 1 메인 프레임(100-1)에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부(210)가 형성되고, 타 측 가장자리에는 제 2 메인 프레임(100-2)에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부(220)가 형성된다. 이러한 손잡이 플레이트(200)는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200-1,200-2)로 구성된다. The handle plate 200 shields the cleaning member 400 wound along the pair of driving rollers 300 from the outside, guides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400, and at the same time provides a handle function so that the user can easily use the cleaning member 400. do. The handle plate 200 is composed of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width and length, and one side edge of the plate is formed with a first coupling part 210 for coupling to the first main frame 100-1, and the other side A second coupling part 220 for coupling to the second main frame 100-2 is formed at the edge. The handle plate 200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200-1 and 200-2 facing each other.

또한, 손잡이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제 1 결합부(210)는 경첩 구조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제 1 손잡이 플레이트(200-1)의 경첩과 제 2 손잡이 플레이트(200-2)의 경첩은 서로 형합하는 형상을 이루면서,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200-1,200-2)를 제 1 메인 프레임(100-1)에 힌지 결합시킨다. 따라서,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200-1,200-2)는 제 1 메인 프레임(100-1)을 축으로 서로 마주하면서 접히거나, 나란하게 펼쳐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coupling part 210 formed on the handle plate 200 may form a hinge structure. Therefore, while the hinges of the first handle plate 200-1 and the hinges of the second handle plate 200-2 form a shape that matches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200-1 and 200-2 are connected to the first main frame. Hinge to (100-1).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200-1 and 200-2 may be folded or unfolded side by side while facing each other with the first main frame 100-1 as an axis.

또한, 손잡이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제 2 결합부(220)는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200-1,200-2)가 마주하도록 접힌 상태에서 제 2 메인 프레임(100-2)에 결합되도록 하고,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200-1,200-2)의 제 2 결합부(220)에는 이들의 결합을 고정하기 위한 록킹 수단(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록킹 수단은 서로 형합하는 구조의 록킹 후크와 록킹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formed on the handle plate 200 is coupled to the second main frame 100-2 in a folded state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200-1 and 200-2 face each other, and , A locking means (not shown) may be formed in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200-1 and 200-2 to fix their coupling. For example, the locking means may be composed of a locking hook and a locking groove having a structure that conforms to each other.

제 1 결합부(210)와 제 2 결합부(220)는 각각 제 1 메인 프레임(100-1)과 제 2 메인 프레임(100-2)을 감싸면서 결합된다. 따라서 손잡이 플레이트(200)는 제 1, 2 메인 프레임(100-1,10-2)을 가이드 레일로 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유동할 수 있다. 이러한 손잡이 플레이트(200)는 소정의 길이로 위치 변경이 가능하여 어느 일 측의 구동 롤러(300)에 근접하여 구동 롤러(300)에 감겨진 클리닝 부재(400)를 가압함으로써, 사용시 구동 롤러(300)가 사용자의 의지와 무관하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art 210 and the second coupling part 220 are coupled while surrounding the first main frame 100-1 and the second main frame 100-2, respectively. Therefore, the handle plate 200 can fl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100-1 and 10-2 as guide rails. The handle plate 200 can change its position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presses the cleaning member 400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 300 in close proximity to the driving roller 300 on either side, thereby driving the driving roller 300 during use. ) can be prevented from rotating regardless of the user's will.

또한, 손잡이 플레이트(200)는 클리닝 부재(400)가 일 측 구동 롤러(300)에서 타 측 구동 롤러(300)로 감길 때, 클리닝 부재(40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돌기(230)를 구비한다. 가이드 돌기(230)는 손잡이 플레이트(200)의 길이 방향 즉, 클리닝 부재(4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 돌기(230)는 클리닝 부재(400)가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 함과 동시에 폭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타 측 구동 롤러(300)의 정확한 위치에서 감길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handle plate 200 is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230 for guiding the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400 when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from the driving roller 300 on one side to the driving roller 300 on the other side. do. The guide protrusion 230 is formed lo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andle plate 200, that is,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cleaning member 400. The guide protrusion 230 guides the cleaning member 400 to mov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revents the cleaning member 400 from moving in the width direction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cleaning member 400 can be wound at an accurate position on the driving roller 300 on the other side.

또한, 제 1, 2 손잡의 플레이트(200-1,200-2) 중 적어도 어느 일 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2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 방향을 따라 불연속되는 다수개로 분할되면서 단부가 이동 방향을 향하는 쐐기 형상을 이룬다. 이와 같은 쐐기 형상의 가이드 돌기(230)는 클리닝 부재(400)가 일 측 방향으로만 이동하도록 가이드 하여 역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방지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the guide protrusion 230 form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200-1 and 200-2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discontinuous part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end It forms a wedge shape pointing in the direction of travel. The wedge-shaped guide protrusion 230 guides the cleaning member 400 to move only in one direction and prevents it from being wound in the reverse direction.

구동 롤러(300)는 클리닝 부재(400)를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공급하는 구성으로, 한 쌍의 제 1, 2 구동 롤러(300-1,300-2)로 구성된다. 클리닝 부재(400)는 일 측의 제 1 구동 롤러(300-1)에 감긴 상태에서 타 측의 제 2 구동 롤러(300-2)로 이동하여 감기게 된다. 따라서 제 1 구동 롤러(300-1)는 미사용의 깨끗한 클리닝 부재(400)를 공급하는 공급 롤러로 기능하고, 제 2 구동 롤러(300-2)는 사용된 클리닝 부재(400)를 권취하는 권취 롤러로 기능한다. The driving roller 300 supplies the cleaning member 400 from one side to the other, and is composed of a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ing rollers 300-1 and 300-2.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by moving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300-1 on one side to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on the other side. Therefore, the first driving roller 300-1 functions as a supplying roller for supplying clean unused cleaning members 400,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serves as a take-up roller for winding the used cleaning member 400. function as

이러한 구동 롤러(300)는 제 1, 2 메인 프레임(100-1,100-2)의 양 단부 즉, 롤러 결합 영역에서 손잡이 플레이트(200)를 사이에 두고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제 1 구동 롤러(300-1)에 감긴 클리닝 부재(400)는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200-1,200-2) 사이를 통과하면서 제 2 구동 롤러(300-2)에 감기게 된다. The driving rollers 300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knob plate 200 interposed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100-1 and 100-2, that is, in the roller coupling area. Accordingly, the cleaning member 400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300-1 is wound around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while pa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200-1 and 200-2.

또한, 구동 롤러(300)는 원통 형상을 이루면서 양 측 단부(310)는 소정의 곡률을 가지면서 완만하게 만곡되는 형상을 이룬다. 클리너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갖은 전자기기를 청소할 때, 구동 롤러(300)가 디스플레이 패널에 충격될 수 있다. 구동 롤러(300)의 단부가 완만한 곡률을 갖는 경우 이러한 충격에 의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손상을 최소로 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riving roller 300 has a cylindrical shape while both end portions 310 have a predetermined curvature and are gently curved. When cleaning an electronic device with a display panel or the like using a cleaner, the driving roller 300 may impact the display panel. When the end of the driving roller 300 has a gentle curvature, damage to the display panel due to such an impact can be minimized or prevented.

클리닝 부재(400)는 구동 롤러(300)에 감긴 상태에서 전자기기에 부착된 먼지나 오염물을 흡착하여 제거하는 구성으로, 무진천, 극세사천, 접착 테이프 등 다양한 종류의 흡착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종류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cleaning member 400 absorbs and removes dust or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electronic device while being wound around the driving roller 300, and may b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adsorption means such as dust-free cloth, microfiber cloth, and adhesive tape. , but not limited to that type.

클리닝 부재(400)는 일 측이 제 1 구동 롤러(300-1)에 감기고, 타 측이 제 2 구동 롤러(300-2)에 감긴 상태에서 제 1 구동 롤러(300-1)한 쌍에 감긴 깨끗한 부분을 이용하여 먼지나 오염물을 흡착한 후 사용자의 조작으로 제 2 구동 롤러(300-2)로 이동하면서 감기게 된다. 이때, 클리닝 부재(400)는 제 1 구동 롤러(300-1)와 제 2 구동 롤러(300-2)에 역방향으로 감기도록 구성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400)는 제 1 구동 롤러(300-1)에서 외부 표면이 제 2 구동 롤러(300-2)에는 내부 표면을 이루도록 감긴다.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around a pair of first driving rollers 300-1 in a state where one side is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300-1 and the other side is wound around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After adsorbing dust or contaminants using the clean part, it is wound while moving to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by user's manipulation. At this time, the cleaning member 400 is configured to be reversely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300-1 and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That is, as shown in FIG. 2 ,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so that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roller 300-1 forms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클리닝 부재(400)에 흡착된 오염물은 구동 롤러(300)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터치 등으로 인하여 다시 분리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클리닝 부재(400)가 역방형으로 감기는 구조에 의하여 오염물을 흡착한 클리닝 부재(400)의 표면은 제 2 구동 롤러(300-2)에서 내측을 향하여 감기게 되므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클리닝 부재(400)의 반대면(깨끗한 면)을 터치하여 제 2 구동 롤러(300-2)를 조작하게 되므로, 흡착된 오염물이 다시 분리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전자기기의 재오염이 발생되지 않는다.Contaminants adsorbed on the cleaning member 400 may be separated again due to a user's touch for operating the driving roller 300 . However, since th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400 adsorbing contaminants is wound inward on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by the structur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in a reverse direc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toward the outside. not exposed Therefore, since the user touches the opposite surface (clean surface) of the cleaning member 400 to operate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adsorbed contaminants from being separated again, and the electronic device No recontamination of

또한, 본 발명은 클리닝 부재(400)는 제 1 구동 롤러(300-1)에서 오염물을 흡착한 뒤, 한 쌍의 손잡이 플레이트(200) 내부를 따라 제 2 구동 롤러(300-2)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400)의 이동 중 충격 등에 의하여 오염물이 클리닝 부재(4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나, 분리된 오염물이 손잡이 플레이트(200) 내부에 갇히므로 오염물 분리에 의한 전자기기의 재오염이 발생되지 않는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ning member 400 absorbs contaminants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300-1 and then moves to the second driving roller 300-2 along the inside of the pair of handle plates 200. It consists of Therefore, contaminants may be separated from the cleaning member 400 by an impact or the like during movement of the cleaning member 400, but since the separated contaminants are trapped inside the handle plate 200, re-contam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occurs due to the separation of the contaminants It doesn't work.

또한, 본 실시예의 롤러형 클리너는 사용 후 롤러 카트리지(구동 롤러와 클리닝 부재의 결합체)를 쉽게 교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하여 제 1 메인 프레임(100-1)에는 걸림 돌기(110)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roller type cleaner of this embodiment is configured to easily replace the roller cartridge (combination of the driving roller and the cleaning member) after use. To this end, a locking protrusion 110 is formed on the first main frame 100-1.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메인 프레임(100-1)의 내측에는 수직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 돌기(110)가 형성되고, 걸림 돌기(110)는 제 1 결합부(210)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한 쌍의 손잡이 플레이트(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 1 메인 프레임(100-1)이 수직 방향으로 직립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걸림 돌기(110)는 제 1 메인 프레임(10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 형성되며, 각 걸림 돌기(110)는 지그재그 구조로 배치되는 양 측의 제 1 결합부(210)에 지지되어 제 1 메인 프레임(100-1)을 수직 방향으로 유지시킨다. 따라서 제 1 메인 프레임(100-1)은 손잡이 플레이트(2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손잡이 플레이트(200)에 간섭되지 않으므로, 사용자는 롤러 카트리지를 제 1 메인 프레임(100-1)으로부터 쉽게 분리하거나 조립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 a locking protrusion 110 protru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main frame 100-1, and the locking protrusion 110 is configured to be caught by the first coupling part 210. This allows the first main frame 100-1 to stand upr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the pair of handle plates 200 are unfolded. To this en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110 ar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main frame 100-1, and each locking protrusion 110 is attached to the first coupling part 210 on both sides arranged in a zigzag structure. It is supported and maintains the first main frame 100-1 in a vertical direction. Therefore, since the first main frame 100-1 does not interfere with the handle plate 200 while the handle plate 200 is unfolded, the user can easily separate or assemble the roller cartridge from the first main frame 100-1. there is.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클리너의 주요부인 클리닝 부재가 펼쳐진 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클리닝 부재가 롤러에 감긴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which is a main part of the cleane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unfolded, and FIG. 6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of FIG. 5 is wound around a roller.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클리닝 부재(400)는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 측의 폭(w1)이 좁고 타 측의 폭(w2)이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룬다(w1<w2). 이러한 클리닝 부재(400)는 좁은 폭의 단부가 클리닝이 이루어지는 제 1 구동 롤러(100-1)에 감긴다.Referring to FIG. 5 , the cleaning member 400 of this embodiment has a trapezoidal shape with a narrow width w1 on one side and a relatively wide width w2 on the other side with respect to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w1 < w2). The narrow end of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100-1 where cleaning is performed.

따라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리닝 부재(400)는 제 1 구동 롤러(100-1)에 좁을 폭을 갖는 단부부터 감기기 시작하면서 외측으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넓은 폭으로 감기고, 이에 따라 클리닝 부재(400)는 내측 클리닝 부재의 양 측 절단면(410)을 덮게 된다. 이와 같이 외측 클리닝 부재(400)가 내측 클리닝 부재(400)의 양 측 절단면(410)를 덮으면서 감기도록 구성됨으로써, 절단면(41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이물질에 의한 전자기기의 오염을 최소로 하고, 절단면(410)과 전자기기 사이의 간섭에 의한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한다. Accordingly, as shown in FIG. 6 , the cleaning member 400 starts to be wound around the first drive roller 100-1 from the end having a narrow width and is wound toward the outside with a relatively wide width. Accordingly, the cleaning member 400 ) covers the cut surfaces 410 on both sides of the inner cleaning member. In this way, the outer cleaning member 400 is configured to be wound while covering the cut surfaces 410 on both sides of the inner cleaning member 400, thereby minimizing contamination of the electronic device by foreign substances that may occur on the cut surface 410. , Prevent damage to electronic devices due to interference between the cutting surface 410 and electronic devices.

또한, 클리닝 부재(400)는 제 1 구동 롤러에 반복적으로 중첩되면서 감기는데, 외 측의 클리닝 부재(400)는 양 측의 절단면(410)이 내측 중심부를 향하게 된다. 따라서 클리닝 부재(400)가 전자기기에 접촉되면서 클리닝하는 경우 양 측 절단면(410)은 전자기기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므로, 절단면(410)과 전자기기 사이의 충돌에 의한 전자기기의 손상을 방지한다. In addition, the cleaning member 400 is wound while being repeatedly overlapped with the first driving roller, and the cut surfaces 410 on both sides of the outer cleaning member 400 face the inner center. Therefore, when cleaning while the cleaning member 400 contacts the electronic device, both cutting surfaces 410 can be separated from the electronic device, preventing damage to the electronic device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cutting surface 410 and the electronic devic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Although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shown and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ll of these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to be considered and included in the appended clai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100-1, 100-2 : 메인 프레임 110 : 걸림돌기
200, 200-1, 200-2 : 손잡이 플레이트 210 : 제 1 결합부
220 : 제 2 결합부 230 : 가이드 돌기
300, 300-1, 300-2 : 구동 롤러
400 : 클리닝 부재
100, 100-1, 100-2: main frame 110: stumbling block
200, 200-1, 200-2: handle plate 210: first coupling part
220: second coupling part 230: guide protrusion
300, 300-1, 300-2: drive roller
400: cleaning member

Claims (9)

소정의 길이를 갖는 프레임으로, 손잡이 결합부와 상기 손잡이 결합부의 양 단부가 일 측으로 벤딩되는 롤러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롤러 결합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제 1, 2 메인 프레임;
소정의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로,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의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일 측 가장자리의 제 1 결합부와, 상기 제 2 메인 프레임의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제 2 결합부로 이루어지고, 내면이 서로 마주하면서 상기 제 1, 2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
상기 제 1, 2 메인 프레임의 양 측에서 상기 롤러 결합부에 결합되는 한 쌍의 제 1, 2 구동 롤러; 및
일 측 단부가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 감기고, 타 측 단부가 상기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하면서 상기 제 2 구동 롤러에 감기며,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서 공급되어 상기 제 2 구동 롤러에 권취되는 클리닝 부재;를 포함하는, 롤러형 클리너
A pair of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having a fram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cluding a handle coupling portion and a roller coupling portion in which both ends of the handle coupling portion are bent to one side, and the roller coupling portions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area, comprising a first coupling part at one edge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main frame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main frame, a pair of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coupled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while facing each other;
a pair of first and second driving rollers coupled to the roller coupling part at both sides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and
One end is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and the other end is wound around the second driving roller while passing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and is supplied from the first driving roller to the second driving roller. Rolled-up cleaning member; including, roller-type cleaner
제 1 항에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서 외부 표면에 오염물을 흡착한 후, 오염된 면이 내측으로 향하는 역방향으로 상기 제 2 구동 롤러에 감기도록 구성되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leaning member,
After adsorbing contaminants on an outer surface on the first drive roller, the roller-type cleaner is configured to be wound on the second drive roller in a reverse direction with the contaminated surface inward.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측의 상기 손잡이 플레이트는,
상기 클리닝 부재가 이동하는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한 가이드 돌기가 내면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handle plate of at least one side,
Guide protrusions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which the cleaning member moves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roller-type cleaner.
제 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일 측 손잡이 플레이트의 상기 가이드 돌기는
길이 방향을 따라 불연속으로 형성되면서 단부는 길이 방향을 향하는 쐐기 형상을 이루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guide protrusion of at least one handle plate
A roller-type cleaner formed discontinuously along the lengthwise direction and forming a wedge shape with an end portion directed in the lengthwise direc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는,
제 1 손잡이 플레이트의 단부와 제 2 손잡의 플레이트의 단부가 서로 반복적으로 맞물리면서 경첩 구조로 상기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coupling part,
An end of the first handle plate and an end of the second handle plate are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art in a hinge structure while being repeatedly engaged with each other, roller type cleaner.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인 프레임은,
상기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가 펼쳐질 때 경첩 구조의 상기 제 1 결합부 단부에 지지되는 다수의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first main frame,
Whe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are unfolded, a plurality of locking protrusions supported at the end of the first coupling part of the hinge structure protru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롤러는,
양 단부의 가장자리가 소정의 곡률로 볼록한 만곡부를 형성하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driving roller,
A roller type cleaner in which the edges of both ends form convex curved portions with a predetermined curvature.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리닝 부재는,
전체 길이 방향에 대하여 일 측 단부의 폭이 좁고 타 측 단부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은 사다리꼴 형상을 이루고,
폭이 좁은 일 측 단부가 상기 제 1 구동 롤러에 먼저 감기면서 폭이 넓은 타 측 단부가 내 측 클리닝 부재의 양 측 절단면을 덮으면서 감기도록 구성되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leaning member,
Forming a trapezoidal shape in which the width of one end is narrow and the width of the other end is relatively wide with respect to the entire length direction,
A roller-type cleaner, wherein one narrow end is first wound around the first driving roller while the other wide end is wound while covering both cut surfaces of the inner cleaning member.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2 손잡이 플레이트는,
상기 제 1, 2 메인 프레임의 상기 손잡이 결합부를 가이드 레일로 하여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유동 가능하도록 상기 손잡이 결합부에 결합되는, 롤러형 클리너.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handle plates,
A roller-type cleaner coupled to the handle coupling portion so as to be movable to one side or the other side using the handle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and second main frames as a guide rail.
KR1020210083740A 2021-06-28 2021-06-28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KR2023000157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740A KR20230001573A (en) 2021-06-28 2021-06-28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3740A KR20230001573A (en) 2021-06-28 2021-06-28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01573A true KR20230001573A (en) 2023-01-05

Family

ID=849260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3740A KR20230001573A (en) 2021-06-28 2021-06-28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01573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43876A1 (en) * 2020-11-10 2023-02-09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Reel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reel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524Y1 (en) 2006-06-01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101776564B1 (en) 2016-03-15 2017-09-07 박두현 Caterpillar clean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4524Y1 (en) 2006-06-01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101776564B1 (en) 2016-03-15 2017-09-07 박두현 Caterpillar clean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043876A1 (en) * 2020-11-10 2023-02-09 Showa Denko Materials Co., Ltd. Reel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reel bod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rt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71432A1 (en) Cleaning Module, Cleaning Apparatus and Method of Cleaning Photomask
KR20230001573A (en) Roller type cleaner used in cleanrooms
JPH0972156A (en) Window regulator
KR101427402B1 (en) Portable cleaning module for a wheelchair
JP3194891B2 (en) Conveyor device for laser cutting machine
ATE123394T1 (en) WRINGING DEVICE FOR A MOP.
KR20140033983A (en) Window cleaner having rubber blade which can be stably attached and detached
CN216854574U (en) Mobile device
KR102414327B1 (en) Wheel Cleaner
KR20200051392A (en) Window cleaning tool
US5021912A (en) Apparatus for cleaning the recording/playing head, capstan and pinch roller of a cassette type audio recorder/player
JP2018187368A (en) Surface treatment apparatus
JPH0244239Y2 (en)
JP2000041905A (en) Glass cleaning device
CN110538844A (en) cleaning device for backlight module
JP2001106470A (en) Moving handrail clean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KR100580951B1 (en) Robot cleaner
US20120110760A1 (en) Rotary screen cleaner
KR101679505B1 (en) Cleaning member for cleaning windows
JP2001072373A (en) Cleaning device for passenger conveyor handrail
CN217285666U (en) Cleaning wiping cloth
KR20070028841A (en) Robot cleaner
JPH10276941A (en) Glass gleaning device
US20210127913A1 (en) Window cleaning tool
KR100545253B1 (en) Teleoperated mopping robot for decontaminating contaminated hot-cell flo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