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03129B1 -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 Google Patents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03129B1
KR100903129B1 KR1020070081381A KR20070081381A KR100903129B1 KR 100903129 B1 KR100903129 B1 KR 100903129B1 KR 1020070081381 A KR1020070081381 A KR 1020070081381A KR 20070081381 A KR20070081381 A KR 20070081381A KR 100903129 B1 KR100903129 B1 KR 1009031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roll
water
cloth
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13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90016994A (en
Inventor
박영춘
구본홍
Original Assignee
박영춘
구본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춘, 구본홍 filed Critical 박영춘
Priority to KR102007008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03129B1/en
Publication of KR20090016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699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31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312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5Arrangements of batteries or cells; Electric power suppl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7Wound-up or endless cleaning bel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63Driving mean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A47L11/4069Driving or transmission means for th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91Storing or parking devices, arrangements therefor; Means allowing transport of the machine when it is not being used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 및 그것의 거치대로 이루어진 스팀 행주장치는, 밑면으로 스팀을 분사함과 아울러 티슈형 롤 행주가 통과하도록 이루어진 스팀 행주기와, 상기 스팀 행주기가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 행주기에 물과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거치대로 구성됨으로써, 거치시에는 예열과 더불어 물과 전기를 자동으로 공급받을 수 있고, 사용시에는 스팀 행주기를 거치대로부터 분리하여 간편하게 휴대하면서 음식점의 식탁, 사무실 책상 등을 편리하게 청소할 수 있으며, 특히 충전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면서도 신속하고, 충분한 시간 동안 스팀 발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청소 효율 및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Steam hang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team hanger device consisting of a cradle thereof, the steam hanger to inject steam to the bottom surface and the tissue roll cloth to pass, and the steam hanger in the state where the steam hanger is placed It consists of a cradle that can supply water and power, so that it can be preheated and automatically supplied with water and electricity when it is mounted. When using, the steam hang cycle can be separated from the cradle and used to carry a restaurant's dining table and office desk. It is possible to clean easily, and in particular, since it is configured to generate steam for a fast and sufficient time while using a charged battery as a power source, the cleaning efficiency and convenience are greatly improved.

음식점, 탁자, 행주, 스팀, 롤 티슈, 휴대, 거치대, 청소 Restaurant, Table, Dishcloth, Steam, Roll Tissue

Description

스팀 행주기, 그것의 거치대 및 이들로 이루어진 스팀 행주장치{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본 발명은 휴대하면서 음식점의 식탁, 사무실 책상 등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스팀 행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스팀이 분사되는 바닥부에 티슈형 롤 행주가 구비되어 식탁 또는 책상 등을 손쉽게 청소할 수 있고, 거치시에는 예열과 더불어 자동으로 전기가 충전되고 물도 공급받을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팀 행주기, 그것의 거치대 및 이들로 이루어진 스팀 행주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dishcloth device that can easily clean a dining table, office desk, etc. of the restaurant while being carried, and is provided with a tissue roll dishcloth at the bottom of the steam is sprayed to easily clean the table or desk, etc.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am hang cycle, a cradle thereof, and a steam hanger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be automatically charged with electricity and supplied with water.

일반적으로 음식점의 식탁 또는 사무실 책상 등의 청소용으로 사용되는 행주는 단순히 물걸레 형태로 만들어진 것으로서, 통상 일정 크기의 천류 등으로 이루어져, 물에 젖은 상태로 사용하게 된다.In general, dish towels used for cleaning a dining table or an office desk of a restaurant are simply made of a mop, and are usually made of a stream of a certain size and used in a wet state.

그러나 이와 같은 물걸레형 행주는 자주 빨아서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고, 또한 삶거나 소독하지 않을 경우에 각종 세균의 번식 등으로 위생 측면에서도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다.However, such a mop-like cloth has a problem that must be sucked and used frequently, and also has a considerable problem in hygiene aspects such as breeding of various bacteria when not boiled or disinfected.

이와 같은 문제 때문에 1회용 티슈형 행주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고온의 스팀 등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식탁이나 책상 등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Disposable tissue-type dishcloths are widely used and used for such a problem. However, since high-temperature steam or the like is not supplied, there is a limit in cleaning a table or a desk more cleanly.

한편, 일반적인 실내 공간을 청소하기 위한 스팀 청소기가 보급되고 있으나, 이러한 스팀 청소기는 실내 공간의 바닥 등을 청소하기 위해 만들어진 것으로서, 음식점 등에서 식탁을 청소하기에는 사용 양태는 물론 크기가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a steam cleaner for cleaning a general indoor space has been widespread, such a steam cleaner is made to clean the floor of the indoor spa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ze of the use as well as the mode of use for cleaning the table in a restaurant, etc. .

즉, 일반 스팀 청소기는 스팀 발생에 A/C전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거추장스런 전선이 있어야만 하고, 신속한 스팀 발생이 어려우며, 또 물을 직접 부어 담아서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옮겨 다니면서 자주 닦아야하는 음식점 등에서 탁자 청소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스팀이 발생되는 바닥부에 천으로 만든 걸레를 부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식탁 등과 같이 특히 위생적인 청결을 요구하는 부분을 청소하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general steam cleaners use A / C power to generate steam, so they must have cumbersome wires, and it is difficult to generate steam quickly, and it is necessary to pour water directly to clean the table. May not be suitable. In addition, since the mop made of cloth is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steam genera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suitable for cleaning the part that requires particularly hygienic cleanliness, such as a dining table.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충전된 배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음식점 식탁이나 사무실 책상 등을 간편하고도 손쉽게 청소할 수 있는 스팀 행주기, 그것의 거치대 및 이들로 이루어진 스팀 행주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configured to be carried by using a charged battery as a power source, steam hang cycle that can easily and easily clean the dining table or office desk, its cradle And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steam dishcloth device consisting of these.

또한 본 발명은,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됨으로써, 탁자 등의 청소 영역을 보다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는 스팀 행주기 및 스팀 행주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 hang cycle and a steam hanger capable of cleaning the cleaning area such as a table more cleanly by being configured to be cleaned while spraying high temperature steam.

또한 본 발명은, 티슈 구조의 일회용 롤 행주를 장착하여 연속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용한 부분은 찢어내고 새로운 행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스팀 행주기 및 스팀 행주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In another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by providing a disposable roll cloth of the tissue structure is configured to enable continuous use, the other purpose to provide a steam hanger and steam dishwashing device that can be used by tearing off the used portion and easily replaced with a new dishcloth have.

또한 본 발명은, 스팀 행주기를 거치하여 둘 때 물과 전기를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이 더욱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스팀 행주기의 거치대 및 스팀 행주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am hanger cradle and a steam dishwasher so that the water and electricity can be automatically supplied when placed through the steam hang cycle, so that the use can be made more convenient.

또한 본 발명은 스팀 행주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스팀 발생을 위한 예열 기능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스팀 행주기의 사용 시간을 길게 함과 더불어 신속한 스팀 발생으로 보다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스팀 행주기, 그것의 거치대 및 이들로 이루어진 스팀 행주장치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filled in the state in which the steam hang cycle is mounted on the cradle as well as configured to have a preheating function for steam generation, thereby prolonging the use time of the steam hang cycle and more conveniently with rapid steam genera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steam rinse cycle that can be used, a cradle thereof, and a steam rinsing device consisting thereof.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 장치는, 티슈 구조의 롤 행주를 장착하여 연속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롤 행주에 스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팀 행주기와; 상기 스팀 행주기와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스팀 행주기가 거치될 때, 스팀 행주기에 물 또는 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거치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팀 행주기 사용시에 스팀 발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팀 행주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 행주기의 스팀 발생부 또는 스팀 발생부에 제공되는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예열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eam dishwashing device, comprising: a steam hanger configured to be used continuously by mounting a roll cloth having a tissue structure, and to provide steam to the roll dishcloth; 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separately from the steam hang cycle as needed, and when the steam hang cycle is mounted, the cradle is configured to supply at least one or more of water or electricity to the steam hang cycle.
Here, the cradle, at least one of the water provided in the steam generating unit or the steam generating unit of the steam hang cycle in the state where the steam hang cycle is mounted on the cradle so that steam can be generated quickly when using the steam hang cycle. It is preferable to have a preheating function of heating.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는, 하부에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 플레이트를 갖는 본체 프레임과; 티슈 구조의 롤 행주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롤 구조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분사 플레이트의 밑면을 거쳐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행주 장착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는 물 저장통과;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물 저장통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상기 분사 플레이트를 통해 밖으로 공급하는 스팀 발생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object, the main frame having a spray plate in which steam is injected; A dish cloth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roll cloth of the tissue structure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via the bottom surface of the spray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roll cloth is roll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A water reservoir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am generating unit for converting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into steam to supply out through the injection plate.

상기 행주 장착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되어 롤 행주가 감겨 있는 행주 롤기구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행주 롤기구에서 제공된 롤 행주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하는 행주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dishcloth mounting portion includes a dishcloth roll mechanism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wound with a roll dishcloth, and a dishcloth fixing mechanism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to fix the roll dishcloth provided by the dishcloth roll mechanism to the main body frame. It is configured by.

상기 행주 롤기구는, 롤 행주가 감겨진 롤 바디의 양쪽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 사이드 커버와, 상기 양쪽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결합되어 상기 롤 바디에 감겨진 롤 행주가 풀리면서 배출될 때 롤 행주에 장력을 제공하는 롤 탄성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oth roll roll mechanism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oll body in which the roll cloth is woun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side, and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both side covers and wound around the roll body. And a roll elastic device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roll cloth when the roll cloth is released as it is released.

여기서 상기 양쪽 사이드 커버에는, 외력에 의해 사이드 커버를 양쪽으로 벌려주거나 모아주는 연결고리 어셈블리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 연결고리 어셈블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롤 바디를 덮어주는 리어 커버를 개방할 때, 양쪽 사이드 커버를 양쪽으로 벌려주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oth side cover, the linkage assembly that opens or collects the side cover to both sides by the external force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wherein the linkage assembly is provided on the body frame, the rear cover to cover the roll body When opening,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to open both side covers to both sides.

한편, 상기 스팀 행주기는, 상기 행주 고정기구가 롤 행주를 고정할 때 함께 연동되어 행주 롤기구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hang cycle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clude a rotation limit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when the hanger fixing mechanism to fix the roll hange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wash roll mechanism.

상기 행주 고정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롤 행주의 끝단부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 바와, 상기 고정 바와 본체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 바가 본체 프레임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cloth fixing mechanism is a fixing bar for fixing the end portion of the roll cloth to the main fram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provided between the fixing bar and the main frame to provide an elastic force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xing ba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main frame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ed elastic member.

여기서 상기 행주 고정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바를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dish fixing mechanism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lever which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so that the fixing bar is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frame.

또한 상기 행주 롤기구와 행주 고정기구는, 전동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분사 플레이트 밑면에 새로운 롤 행주를 제공함과 아울러 롤 행주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towel roll mechanism and the dish fixing mechanism may be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he electric motor while providing a new roll dish on the bottom of the spray plate and to fix the roll dish to the main frame.

다음,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거치대는, 상기한 스팀 행주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 어 상기 스팀 행주기를 삽입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거치부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 행주기의 물 저장통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물 공급부와, 상기 스팀 행주기에 전원을 제공하거나 제어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Next, the cradle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 problem, is for mounting the steam hang cycle, the 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tructure is made to insert the steam hang cycle to be seated And a water supply unit configured to supply water from the outsid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reservoir of the steam hang cycle, and a power connection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steam hang cycle or inputting / outputting a control signal. .

상기 물 공급부에는, 상기 스팀 행주기의 물 저장통에 물을 공급하는 출수 꼭지가 포함되고,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스팀 행주기가 거치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출수 꼭지를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출수꼭지 승강장치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tap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reservoir of the steam hang cycle, and the cradle includes a water tap lift device for automatically elevating the water tap when the steam hang cycle is mounted or separated.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 및 그것의 거치대, 이들로 이루어진 스팀 행주장치는, 음식점의 탁자, 사무실 책상 등을 손쉽고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steam hanger and its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am hanger made of them,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and simply cleaning the table, the office desk and the like of the restaurant.

또한 본 발명의 스팀 행주장치는, 거치시에는 자동으로 전기가 충전됨과 아울러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팀 행주기를 휴대하면서 간편하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steam dish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automatically supplied with electricity and water is supplied when mounted,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easily and easily while carrying the steam hang cycle.

또한 본 발명의 스팀 행주기는, 고온의 스팀을 분사하면서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탁자 등의 청소 영역을 보다 깨끗하고 청결하게 청소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steam hang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leaned while spraying high-temperature steam,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the cleaning area such as a table can be cleaned more cleanly and cleanly.

또한 본 발명의 스팀 행주기는, 티슈 구조를 갖는 일회용 롤 행주를 연속 이 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새로운 행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since the steam hang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facilitate the continuous roll towel having a tissue structure, it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easily replaced with a new towel.

또한 본 발명의 스팀 행주기의 거치대 및 스팀 행주장치는, 스팀 행주기를 거치대에 거치한 상태에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됨과 아울러, 스팀 행주기가 거치대에 안치된 상태에서 스팀 발생을 위한 예열이나 순간 가열 기능을 갖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팀 행주기의 사용 시간을 길게 함과 아울러 신속한 스팀 발생으로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radle of the steam hang cycle and the steam hanger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charged in a state in which the steam hang cycle mounted on the cradle, and preheating or instant heating function for steam generation in a state where the steam hang cycle is placed in the cradle Since it is configured to have a long time to use the steam hang cycle, and also provides an advantage that can be used more conveniently by rapid steam genera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가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cradl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10)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로 보관되면서, 스팀발생을 위해 전기를 충전함과 아울러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참조부호 B는 거치대(100)에 물을 공급하는 물병을 나타내고, V는 수도 등으로부터 거치대(100)에 물을 공급하는 호스용 밸브를 나타내며, J는 전원이 유입되는 외부 전원코드를 나타낸다.As shown, the steam row cy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with water while charging electricity for steam generation while being stored in a cradle 100 when not in use. In FIG. 1, reference numeral B denotes a water bottle for supplying water to the holder 100, V denotes a hose valve for supplying water to the holder 100 from tap water, etc., J denotes an external power cord into which power is introduced. Indicates.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10) 및 거치대(100)의 구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tructure of the steam hang cycle 10 and the crad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도 2 내지 도 30은 스팀 행주기(10)(10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1 내지 도 37은 거치대(100)(100A)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2 to 30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steam row cycle (10) (10A), Figures 31 to 37 are views fo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the holder (100) (100A).

먼저 도 2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10)(10A)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First,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eam row cycle 10 (1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도 2는 상부에서 본 스팀 행주기(10)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3은 하부에서 본 스팀 행주기(10)의 외관 사시도이다.2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hang cycle 10 seen from above, and FIG. 3 is an external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hang cycle 10 seen from below.

도 2와 도 3을 참조하면, 스팀 행주기(10, 이하 행주기) 외부는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물 저장통(20)과, 물 저장통(20) 뒤의 손잡이(13)와, 행주기(10) 뒤쪽에 설치되면서 롤 행주(70)가 장착되는 행주 롤기구(50)와, 상기 물 저장통(20)과 손잡이(13)를 하부에서 지지함과 아울러 상기 행주 롤기구(50)가 설치되는 본체 프레임(15)과, 상기 롤 행주(70)를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고정시키는 행주 고정기구(60)로 구성된다.2 and 3, the outside of the steam hang cycle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hang cycle) includes a water reservoir 20 formed on the upper front, a handle 13 behind the water reservoir 20, and a hang cycle 10. The main body is installed at the rear and supports the towel roll mechanism 50 to which the roll towel 70 is mounted, and the water reservoir 20 and the handle 13 from the bottom, and the towel roll mechanism 50 is installed. It consists of the frame 15 and the cloth fixing mechanism 60 which fixes the said roll cloth 70 to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frame 15. As shown in FIG.

행주기(10)의 바닥에는 상기 롤 행주(70)가 둘러지게 되는데, 이 롤 행주는 상기 행주 롤기구(50)로부터 제공되어 행주기(10)바닥을 지나 앞쪽의 상기 행주 고정기구(60)에 고정되게 장착된다.The roll cloth 70 is enclosed at the bottom of the hang cycle 10, which is provided from the roll roll mechanism 50 and passes over the bottom of the hang cycle 10 so as to pass the hanger fixing mechanism 60 in front of the hang cycle 10. It is fixedly mounted on.

이러한 행주기(10)의 내부 구조를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An internal structure of the row cycle 1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4.

도 4는 행주기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이고, 도 5는 물 저장통의 내부 구조를 보인 투영도이다.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row cycle, Figure 5 is a projectio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reservoir.

먼저 상기 행주기(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되는 물 저장통(20)의 자세한 구조를 살펴본다. First,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water reservoir 20 formed on the front of the row cycle 10 will be described.

상기 물 저장통(20)의 일측에는 거치대(100) 등을 통해서 물이 유입되는 급수부(21)와 증기 배출구(210)가 설치되고, 상기 물 저장통(20)의 하부에는 후술될 스팀 챔버(45)로 물을 공급하는 수량 조절기(26), 물 공급관(27) 등이 구성된다.One side of the water reservoir 20 is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unit 21 and the steam outlet 210 through which the water is introduced through the cradle 100, etc., and a steam chamber 45 to be described later below the water reservoir 20. ), A water regulator 26, a water supply pipe 27, and the like that supply water to the water.

여기서 상기 수량 조절기(26)는 상기 물 저장통(20)에서 스팀 챔버(45)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는 자동밸브기구이며, 소형 펌프로 구성하여 물을 강제 공급하는 방식도 가능하고, 자연유입방식도 가능하다. 아니면 혼용하는 방식도 가능하다.The water regulator 26 is an automatic valve mechanism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reservoir 20 to the steam chamber 45, it is possible to force the water supply by configuring a small pump, natural inflow It is also possible. Or a mixed approach is possible.

상기 물 저장통(20)의 내부에는, 수위 센서(240), 물 가열체(220), 수온감지 센서(23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water reservoir 20, it is preferable that the water level sensor 240, the water heater 220, and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230 are provided.

먼저 상기 수위 센서(240)는 물 저장통(20)에 저장된 물의 양을 감지하는 장치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수위 센서(240)는 물 저장통(20) 내 상부에 만수위 단자(241)가, 하부에 저수위 단자(242)가 설치되고, 저수위 단자(242) 밑에 공통 단자(243)가 설치되어, 만수위 단자(241)와 공통 단자(243)간에 전류가 통하는지 여부로 만수위를 감지하고, 또 저수위 단자(242)와 공통 단자(243) 간에 전류가 통하는지 여부로 저수위를 감지해내는 실시예를 보여준다. First, the water level sensor 240 is a device for detecting the amount of water stored in the water reservoir (20). Referring to FIG. 5, the water level sensor 240 has a high water level terminal 241 at an upper portion of the water reservoir 20, a low water level terminal 242 at a lower portion thereof, and a common terminal 243 under the low water level terminal 242. Is installed, and detects the high water level whether or not the current flows between the low water level terminal 241 and the common terminal 243, and detects the low water level whether the current flows between the low water level terminal 242 and the common terminal 243. I show an example.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반드시 상기와 같은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다양 한 방식의 수위 센서를 채택하여 구성할 수 있겠다.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may be configured by adopting a water level sensor of various methods.

다음, 상기 물 가열체(220)는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물 저장통(20)의 물을 예열시키거나 가열시키는 장치로서, 열코일이나 열판 등으로 구성된다.Next, the water heater 220 is a device for preheating or heating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witch, and is composed of a hot coil or a hot plate.

다음, 상기 수온감지 센서(230)는 물 저장통(20)의 물 온도를 감지하고 후술될 제어 회로부(30)에 이 감지 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물 가열체(220)를 계속 예열하거나 가열할 것인지, 아니면 일정 온도로 유지만 시킬 것인지를 판단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Next,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230 detects the water temperature of the water reservoir 20 and transmits this detection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unit 30 to be described later, to continue to preheat or heat the water heater 220. In other words, it is a device to determine whether to maintain only a certain temperature.

도 6은 물 저장통(20)에 구비되는 급수부(21)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water supply part 21 provided in the water reservoir 20.

이 급수부(21)는 행주기(10)를 거치대(100)에 거치할 때, 자동으로 개방되면서 거치대(100)로부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water supply unit 21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ceive water from the holder 100 while being automatically opened when mounting the row cycle 10 to the holder 100,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상기 급수부(21)는 물 저장통(20)의 상부로 노출되어 결합되고 중앙부에 홀(22a)이 형성된 입수구(22)와, 상기 입수구(22)의 하부에 나사 등으로 결합되어 상기 물 저장통(20)으로 물이 흘러나가는 출수구(25)와, 상기 입수구(22)와 출수구(25) 사이에 구비되어,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 안착되면 하강하는 거치대(100)의 출수 꼭지(160)에 의해 눌려지면서 상기 입수구(22)의 홀(22a)을 개방하도록 구성된 누름 마개(23)와,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서 분리되면 상기 누름 마개(23)가 상승하면서 입수구(22)의 홀(22a)을 막도록 상기 누름 마개(2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로 이루어진다.The water supply unit 21 is expos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water reservoir 20 and coupled to the water inlet 22 having a hole 22a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water inlet 22 with a screw or the like. 20 is provided between the water outlet (25) and the water outlet 22 and the water outlet 25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out, the water tap of the cradle 100 is lowered when the hang cycle 10 is seated on the cradle 100 The pressing stopper 23 configured to open the hole 22a of the water inlet 22 while being pressed by the 160, and the pressing stopper 23 rises when the row cycle 1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100. It is made of an elastic member 24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pressing stopper 23 to block the hole (22a) of the inlet (22).

그리고 상기 누름 마개(23)는 상부(23a)가 하부(23b) 보다 외경이 작게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출수구(25)의 상부에는 상기 누름 마개(23)가 눌려져서 하강되면 상 하부의 단차에 의해 개방되는 복수의 출수홀(25a)이 형성된다.In addition, the pressing stopper 23 is formed to have a step diameter smaller than the upper portion 23a than the lower portion 23b. When the pressing stopper 23 is pressed down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let port 25, A plurality of water outlet holes 25a are opened by the opening.

상기와 같이 급수부(21)가 구성됨으로써, 거치대(100)에 행주기(10)를 거치시키면, 도 34의 거치대(100)의 출수 꼭지(160)가 자동으로 하강하면서 상기 누름 마개(23)를 누르게 됨에 따라, 거치대(100)에서 급수부(21) 내로 유입된 물은 출수구(25)의 출수홀(25a)을 통해 물 저장통(20) 내부로 유입되어 저장된다.As the water supply unit 21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w cycle 10 is placed on the holder 100, the tap spigot 23 of the holder 100 of the holder 100 of FIG. 34 is automatically lowered. As it is pressed, water introduced into the water supply unit 21 from the holder 100 is introduced into the water reservoir 20 through the outlet hole 25a of the outlet port 25 and stored.

이러한 상기 급수부(21)는 상기 물 저장통(20)에 나사 결합되어, 필요시에는 상기 급수부(20)를 손으로 열고 물 저장통(20) 내부로 물을 직접 부어 담을 수도 있고, 내부의 물을 밖으로 빼낼 수도 있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water supply unit 21 is screwed to the water reservoir 20, if necessary, open the water supply unit 20 by hand, and may directly pour water into the water reservoir 20, the water inside It is desirable to be configured to be able to pull out.

또한 상기 급수부(21)는 상기 물 저장통(20) 상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수직으로 하강하는 거치대(100)의 출수 꼭지(160)와 수직으로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수평이나 사선 구조로 설치되고 결합될 수도 있겠다. In addition, the water supply unit 21 is installed vertically on the water reservoir 20, it is preferable to be coupled vertically with the outlet tap 160 of the cradle 100 to descend verticall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horizontal It can also be installed and combined in a diagonal configuration.

도 7a와 도 7b는 상기 증기 배출구(210)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7A and 7B are views illustrating the steam outlet 210.

증기 배출구(210)는, 예열이나 가열 과정에서 정상적이든 비정상적이든 과도하게 스팀이 발생되어, 물 저장통(20) 내부의 압력이 일정 수준을 초과할 경우, 평상시에는 탄성 부재(214)에 의해 닫혀있던 밸브(215)가 증기압에 의해 밀려나 자동으로 열리면서 증기를 배출시켜, 물 저장통(20) 내부의 증기압이 일정 수준 이하로 유지되게 한다.When the steam outlet 210 is steamed excessively, whether normal or abnormal during the preheating or heating process, and the pressure inside the water reservoir 20 exceeds a certain level, the steam outlet 210 is normally closed by the elastic member 214. The valve 215 is pushed by the steam pressure to open automatically to discharge the steam, so that the steam pressure inside the water reservoir 20 is maintained below a certain level.

여기서 증기압이 배출되는 경로는, 상기 밸브(215)가 개폐하는 유입구(211)로부터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 배출 케이스(212) 사이, 그리고 상단부에 형성된 스팀 배출구(213) 순으로 이루어진다.Here, the path through which the steam pressure is discharged is formed between the inlet 211 through which the valve 215 is opened and closed between the discharge case 212 having a double structure and the steam outlet 213 formed at the upper end thereof.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물 저장통(20) 내부는 보온 처리하여 내부 온도를 오래 유지하게끔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한번 예열되거나 가열된 물이 쉽게 식는 것을 막아, 재가열하는데 소요되는 시간과 전력 소모량을 줄이기 위함인데, 실시 조건에 따라 진공 보온 방식을 사용하거나 물 저장통(20)을 보온재로 마감 처리할 수도 있겠다.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the inside of the water reservoir 2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keep the internal temperature for a long time by the heat treatment. This is to prevent the preheated or heated water from cooling down easily, and to reduce the time and power consumption required to reheat.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may be possible to use a vacuum insulation method or finish the water reservoir 20 with a heat insulating material.

또한 상기 물 저장통(20)은 상부 일부를 하부와 나사 등의 구조로 분리 결합시킬 수 있도록 형성해서, 내부 청소나 수리 등을 요하는 경우에는 하부로부터 분리시켜 개방되게끔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ater reservoir 20 is formed so that the upper portion can be separated and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and the structure of the screw, etc., may be configured to be opened to separate from the lower portion when the internal cleaning or repair is required.

상기 물 저장통(20)은 상기 본체 프레임(15)으로부터 탈장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The water reservoir 20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body frame 15.

본 실시예에서 상기 물 저장통(20)은 행주기(10)의 전면 상부를 구성하는 구조로 예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본체 프레임(15)의 전면 상부에 커버를 구성하고, 그 내부에 물 저장통(20)이 위치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reservoir 20 is illustrated as a structure constitu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row cycle 1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nditions to form a cover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of the body frame 15, the water inside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reservoir 20 to be located.

다음, 행주기(10)의 하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the substructure of the row cycle 10 will be described.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행주기(10)의 물 저장통(20) 밑에는 제어 회로부(30)가 설치되고, 이 제어 회로부(30)의 밑에는 스팀 챔버(45), 챔버 가열체(41) 및 온도감지 센서(43) 등으로 이루어진 스팀 발생부(40)가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4, a control circuit unit 30 is installed under the water reservoir 20 of the row cycle 10, and a steam chamber 45 and a chamber heater 41 under the control circuit unit 30. And a steam generator 40 including a temperature sensor 43 and the like.

먼저 상기 제어 회로부(30)는 일반적인 제어 기구의 구성과 같이 PCB 기판 위에 구성되며, 각 센서들로부터의 신호나, 스위치의 조작에 따른 신호를 입력받아 물공급, 전류, 온도 등 행주기(10)의 모든 제어 요소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후술될 거치대(100)의 제어 회로부(116; 도 33 참조)와도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행주기(10)와 거치대(100)간의 상호 제어기능도 수행하게 된다. 그 자세한 기능은 상기 제어 회로부(30)와 연관된 각 장치들이 설명되면서, 연결되어 충분히 설명되기에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First, the control circuit unit 30 is configured on a PCB substrate as in a general control mechanism, and receives a signal from each sensor or a signal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a switch, and provides a row cycle 10 such as water supply, current, and temperature. And to control all control elements of the. In addition, the control circuit unit 116 (see FIG. 33) of the cradle 1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also exchange signals with the row cycle 10 and the cradle 100. The detailed function is described in detail as each device associated with the control circuit unit 30 is described, and thus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스팀 발생부(40)를 구성하는 상기 스팀 챔버(45)는 전술된 수량 조절기(26)에 의해 내부로 유입된 물을 기화시키게끔, 내부나 외부에는 열판이나 열코일 등으로 이루어진 챔버 가열체(41)가 설치되어 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스팀 챔버(45) 자체가 열판이나 열관 등으로 형성되어, 가열체 역할을 할 수도 있다.The steam chamber 45 constituting the steam generator 40 is to vaporize the water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by the above-described water regulator 26, the chamber heating body made of a hot plate or a hot coil inside or outside 41 is provid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the steam chamber 45 itself may be formed of a hot plate, a heat pipe, or the like to serve as a heating element.

여기서 물을 가열하는 방식이나 구조는 공지의 스팀발생 방식이나 구조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주파 유도가열 방식의 구조를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method or structure of heating the water can be used by selecting a variety of known steam generation method or structure, preferably can be used by adopting the structure of the high frequency induction heating method.

한편, 상기 스팀 챔버(45)에는 내부나 외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 센서(43)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될 손잡이(13) 상면의 작동 스위치(171) 에는, 전술된 수량 조절기(26)를 가동시켜 스팀 챔버(45)에 물을 공급해서 스팀이 발생되게 하는 발생 단계(STEAM)가 구비되어 있는데, 사용자가 작동 스위치(171)를 이 발생 단계로 조작했는데 상기 스팀 챔버(45)의 온도가 스팀을 생성시킬 만큼 충분히 가열되어 있지 않는 상태라면, 물의 일부는 기화되지 않고 스팀 챔버(45) 밑으로 누수 되어 버릴 것이다. 이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온도감지 센서(43)는 스팀 챔버(45)의 온도를 감지해서, 상기 제어 회로부(30)로 하여금 스팀 챔버(45)가 충분히 가열될 때까지는 스팀 챔버(45) 내부로의 물공급을 지연시키게끔, 신호 입력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스팀 챔버(45)가 일정 온도에 도달되면, 과열되지 않고 그 온도로 유지만 되도록, 상기 챔버 가열체(41)를 가열하는 전류를 제한하는 등의 신호를 상기 제어 회로부(30)에 입력하는 기능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steam chamber 45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43 for sensing the temperature of the inside or outside. The operation switch 171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13 to be described later, there is provided a generation step (STEAM) to operate the water regulator 26 described above to supply water to the steam chamber 45 to generate steam, If the user operated the operation switch 171 to this generation step and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chamber 45 is not heated enough to generate steam, some of the water is not vaporized and leaks under the steam chamber 45. It will be. In order to prevent such leakage, the temperature sensor 43 senses the temperature of the steam chamber 45, so that the control circuit unit 30 until the steam chamber 45 is sufficiently heated, the steam chamber 45 It will perform the function of signal input to delay the water supply to the inside. In addition, when the steam chamber 45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a signal is input to the control circuit unit 30 such as to limit a current for heating the chamber heating body 41 such that the steam chamber 45 is maintained at the temperature without being overheated. It also functions.

상기 스팀 챔버(45)에서 발생된 스팀은, 도 4 및 도 9를 참조하면, 스팀 챔버에 형성된 홀(45a)을 통해 증기실(47) 내부로 배출된다. 4 and 9, the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chamber 45 is discharged into the steam chamber 47 through the hole 45a formed in the steam chamber.

행주기(10)의 바닥부에는 상기 스팀 챔버(45)에서 생성되어 증기실(47)로 배출된 스팀이 분사되도록 다수의 분사홀(19a)을 갖는 분사 플레이트(19)가 설치된다. 이 분사 플레이트(19)는 금속판이나 고온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합성수지판 등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하지만, 실리콘 재질로 구성하거나, 아니면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으로 구성한 후 그 위에 실리콘 재질로 마감 처리하는 구성이 보다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상기 분사 플레이트(19)의 밑면으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행주 롤기구(50)에서 제공되어 행주기(10)의 앞쪽으로 이어지는 티슈형 롤 행주(70)가 둘러지게 되는데, 스팀에 젖은 상기 롤 행주(70)가 분사 플레이 트(19)에 밀착되어 일체로 식탁이나 책상을 닦기 위해서는, 상기 행주기(10) 바닥부가 밀착력이 높은 실리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물론 롤 행주(70)를 상기 행주기(10) 바닥부에 밀착시킬 수 있는 재질이라면, 실리콘 재질이 아니더라도 구성 가능하겠다.A spray plate 19 having a plurality of injection holes 19a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row cycle 10 so that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chamber 45 and discharged into the steam chamber 47 is injected. The spray plate 19 may be made of a metal plate or a synthetic resin plate that can withstand high temperatures sufficiently. However,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configuration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or a metal plate or a synthetic resin plate and then finished with a silicon material thereon. Because, as shown in Figure 3, the lower surface of the injection plate 19, the tissue roll roll 70 provided in the dish roll mechanism 50 to extend to the front of the hang cycle 10 is enclosed In order for the roll cloth 70 wetted with steam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pray plate 19 to clean the table or desk integr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bottom part of the hang cycle 10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having high adhesion. to be. Of course, if the roll cloth 70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ottom portion of the hang cycle 10, even if the silicon material can be configured.

실시 조건에 따라, 상기 증기실(47)은 구성되지 않고, 스팀 챔버(45)에서 생성된 스팀이 상기 분사 플레이트(19)로 바로 분사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steam chamber 47 is not configured,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steam generated in the steam chamber 45 is directly injected into the spray plate 19.

한편, 상기 롤 행주(70)는 일반적인 화장지보다 두껍고 질긴 종이재로서, 통상 사용되는 키친타월 등의 재질도 이용할 수 있으며, 수분 등에도 충분한 강성을 갖도록 종이 재질에 미세한 실이나 섬유질이 추가된 구조로 직조되거나, 부직포류 또는 천류 등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roll cloth 70 is a paper material thicker and tougher than a general toilet paper,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material such as kitchen towels that are commonly used,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fine thread or fiber is added to the paper material to have sufficient rigidity to moisture, etc. It is also possible to form a woven fabric or a nonwoven fabric or a cloth.

실시 조건에 따라서 상기 롤 행주(70)는, 스팀이 원활하게 통과될 수 있게끔 다수의 홀이나 통기공을 갖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 cloth 70 may be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holes or vents to allow steam to pass smoothly.

상기 롤 행주(70)는 행주기(10)의 일측에 롤 구조로 감긴 상태에서, 바닥부의 분사 플레이트(19)를 거쳐 타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행주 장착부에 장착되어 이용된다.The roll dishcloth 70 is mounted on and used in a dishwasher mounting portion which can be fixed to the other side via the spray plate 19 at the bottom in a roll structure wound on one side of the hang cycle 10.

다음,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중요 구성 부분인 행주 장착부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escription will be given of the dish towel mounting portion which is an important component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행주 장착부는 행주기의 뒤쪽에 롤 행주(70)를 감겨진 상태로 장착함과 아울러, 이 감겨진 롤 행주(70)에서 풀려진 롤 행주의 끝부분을 행주기의 앞쪽에서 고 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부분이다.The dishcloth mounting portion is configured to mount the roll dishcloth 70 in the wound state at the rear of the dishcloth, and to fix the end of the roll dishcloth released from the rolled roll dishcloth 70 at the front of the dishcloth. Part.

행주 장착부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체 프레임(15)의 뒤쪽에 설치되어 롤 행주(70)가 감겨져 있는 행주 롤기구(50)와, 이 행주 롤기구(50)에서 제공된 롤 행주(70) 끝부분을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고정하는 행주 고정기구(60)로 구성된다.3 and 4, the dish cloth attaching unit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main frame 15 and the roll cloth 70 is wound around the roll cloth 70, and the roll cloth provided by the cloth roll mechanism 50. (70) It is composed of a cloth fixing mechanism (60) for fixing the end portion of the main body frame (15).

이러한 행주 장착부에 대하여, 이하 크게 두 가지 실시예로 나누어 설명한다.Such a dish moun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below in largely two embodiments.

도 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행주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고,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행주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8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h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4 to 30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h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행주 장착부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dishcloth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상기 행주 롤기구(50)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First, the cloth roll mechanism 50 is demonstrated with reference to FIGS. 8-21.

행주 롤기구(50)는, 도 12와 도 14를 참조하면, 롤 행주(70)가 감겨진 롤 바디(51)와, 상기 롤 바디의 양 축삽입부(51a)에 축이 결합되는 사이드 커버(52, 54)와, 감겨진 롤 행주가 풀리면서 배출될 때 롤 행주에 장력을 제공하는 롤 탄성장치(58)와, 양쪽 사이드 커버(52, 54)에 연결되어 후술될 리어 커버(17)의 작동에 따라 사이드 커버(52, 54)를 양쪽으로 벌려주거나 모아주는 연결고리 어셈블 리(500)로 구성된다.12 and 14, the roll cover 50 includes a roll body 51 on which a roll hanger 70 is wound, and a side cover on which shafts are coupled to both shaft inserting portions 51a of the roll body. 52, 54, a roll elastic device 58 for providing tension to the roll cloth when the rolled roll cloth is released while being unwound, and a rear cover 17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by being connected to both side covers 52, 5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side cover (52, 54) is composed of a connecting ring assembly 500 to open or collect on both sides.

여기서 연결고리 어셈블리(500)는, 상기 행주 롤기구(50)의 후면을 덮어주면서 개폐하는 리어 커버(17)와, 상기 사이드 커버(52,54)의 축에 끼워져 있으면서 상기 리어 커버(17)와 접촉하는 연결고리(510)와, 상기 연결 고리(510)에 구비된 랙 기어(515)에 맞물려서 상기 사이드 커버(52,54) 중 적어도 한 쪽을 잡아당기면 다른 쪽 사이드 커버도 밀려나게끔 상대 회전하는 피니언기어 세트(520)와, 상기 연결 고리(510) 일측에 결합되어 사이드 커버(52,54)를 롤 바디(51) 방향으로 밀착시키게끔 탄성을 제공하는 탈장착 탄성부재(530)로 구성된다.The linkage assembly 500 may include a rear cover 17 that opens and closes while covering the rear surface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and the rear cover 17 being fitted to the shafts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ring 510 and the rack gear 515 provided in the connecting ring 510 to pull at least one of the side cover (52,54) to rotate relative to push the other side cover Pinion gear set 520 and the coupling ring 510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emovable elastic member 530 to provide elasticity to close the side cover (52, 54) in the direction of the roll body (51).

이러한 행주 롤기구(5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Each configuration constituting such a cloth roll mechanism 50 will be described.

상기 롤 바디(51)는, 도 12를 참조하면, 그 양측부에 축삽입부(51a)가 형성된다. 상기 사이드 커버(52, 54)는 롤 바디(51)의 양측에 위치되면서 상기 롤 바디의 축삽입부(51a)에 삽입되는 축부(53, 55)가 돌출되어 형성되며, 이 사이드 커버의 축부(53,55)에 상기 연결 고리(510; 도 14 참조)와 롤 탄성장치(58)가 순차적으로 끼워져서 결합된 형상을 갖추고 있다.12, the shaft insertion part 51a is formed in the both sides of the said roll body 51. As shown in FIG. The side covers 52 and 54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roll body 51 and are formed by protruding shaft parts 53 and 55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ng part 51a of the roll body. 53 and 55, the connecting ring 510 (see FIG. 14) and the roll elastic device 58 are sequentially fitted to each other.

상기 롤 바디(51)의 외면은 롤 행주(70)가 감겨지게끔 둥근 원형이다. 롤 바디(51)의 내면 중 적어도 축삽입부(51a)와, 이에 삽입되는 상기 사이드 커버(52, 54)의 축부(53, 55) 부분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을 구속할 수 있도록 서로 동일한 사각 구조로 형성된다. 물론 사각 구조 외에도 상호 구속하는 구조이면 삼각 또는 오각 등 다각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는 달리 상호 구속하는 키(key)를 이용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The outer surface of the roll body 51 is rounded so that the roll cloth 70 is wound. At least the shaft inserting portion 51a of the inner surface of the roll body 51 and portions of the shaft portions 53 and 55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inserted therein are equal to each other so as to restrain rotation in a mutually coupled state. It is formed in a square structure. Of course, in addition to the quadrangular structure, if the structure is mutually restrained, it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tructure such as a triangular or pentagon.

한편 도 12에서와 같이, 롤 바디(51)의 양쪽 축삽입부(51a)에는 돌출된 구조의 롤바디 꼭지(51b)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가 롤 바디(51)로부터 이격되더라도, 롤 바디(51)는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이 롤바디 꼭지(51b)에 의해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에 걸려있게 된다. 그런데 이 롤바디 꼭지(51b)의 적어도 일면이 삭제되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됨으로써, 이 개방부(51c)를 통해서 상기 롤 바디(51)를 상기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로부터 빼내거나 끼울 수 있게 된다. 상기 롤바디 꼭지(51b)의 개방부(51c)의 형상도, 롤 행주가 감긴 둥근 외면은 넓고 상기 다각 구조의 축삽입부(51a)로 갈수록 좁아지는 부채꼴로 이루어져서, 롤 바디(51)를 용이하게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에 끼울 수 있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2, both shaft inserting portions (51a) of the roll body 51 is formed with a roll body faucet 51b of the protruding structure, the side cover both shafts (53, 55) is a roll body ( Even if it is spaced apart from the roll 51, the roll body 51 is not completely separated, and is caught by the roll body spigot 51b on both side portions 53 and 55 of the side cover. However, since at least one surface of the roll body faucet 51b is removed and formed in an open structure, the roll body 51 may be removed or inserted from the side cover both shaft parts 53 and 55 through the opening part 51c. It becomes possible. The shape of the opening part 51c of the roll body 51b also has a rounded outer surface on which the roll cloth is wound, and has a fan shape that narrows toward the shaft insertion part 51a of the polygonal structure, thereby facilitating the roll body 51. I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be fitted to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상기 롤 바디(51)는 종이 재질을 압축하거나 합성수지재를 사용해서, 감겨지는 롤 행주와 마찬가지로, 일회용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oll body 51 is preferably made of a single-use, like a rolled cloth rolled up by compressing a paper material or using a synthetic resin material.

상기 사이드 커버(52, 54)는 대략 원형 바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행주기(10) 외부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분은 외부로 노출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로 숨은 부분에는, 도 8을 참조하듯, 후술할 고정바(62)의 제한 레버(65)와 맞물려 롤 행주(70)의 회전을 제한하는 톱니 플레이트(5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한 레버(65)와 톱니 플레이트(56)는 상기 행주 롤기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본 발명의 회전 제한 기구를 구성하게 된다.The side covers 52 and 54 are preferably formed in a substantially circular wheel structure,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may be rotated outside the row cycle 10 so as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8, in the part hidden inside, the tooth plate 56 which engages with the limit lever 65 of the fixing bar 62 mentioned later and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roll cloth 70 is formed. Here, the limit lever 65 and the tooth plate 56 constitute a rotation limiting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limiting rotation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시 조건에 따라,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의 끝은 그 안쪽보다 외경이 작은 다각구조나 끝이 절단된 원추 모양으로 형성되어, 상기 롤바디 꼭지(51b)의 개방부(51c)로 보다 쉽게 드나들 수 있게 하고, 또 롤바디 축삽입부(51a)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되게끔 구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shown, the ends of the side cover shafts 53 and 55 may be formed in a polygonal structure having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inner side thereof or a conical shape in which the ends are cut, thereby opening the roll body 51b. It can be configured to more easily enter and exit the (51c), and to be more easily coupled to the roll body shaft insertion portion (51a).

상기 연결 고리(510)는, 도 14를 참조하면, 한쪽에 원형의 축삽입부(511)가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에 끼워지지만 회전되지는 않게 결합되며, 다른 쪽은 상기 탈장착 탄성부재(530)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와 탈장착 탄성부재(530)를 연결하면서 좌우로 이격되게끔 구성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14, the connecting ring 510 has a circular shaft insertion portion 511 formed at one side thereof, and is fitted to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but is not rotated. Coupled with the removable elastic member 530, it is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while connecting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and the removable elastic member 530.

상기 연결 고리(510)는,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일측에 연결고리 접촉부(513)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될 리어커버 접촉부(17a)와 상호 접촉하여, 리어 커버(17)를 열면 밀려나고, 닫으면 상기 탈장착 탄성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원상회복되면서, 연결되어 있는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를 상기 롤 바디(51)에 이격되거나 결합되게 한다.17 to 19, the link ring contact portion 513 is formed at one side thereof so that the link ring 510 is in contact with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to be described later, and is pushed when the rear cover 17 is opened. When it is closed, the original cover is restored by the elasticity of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and the side cover both shaft portions 53 and 55 connected to the roll body 51 are spaced or coupled to each other.

상기 연결 고리(510) 일측에는 랙 기어(515)가 형성되는데, 세부사항은 상기 피니언기어 세트(520)를 설명하면서 연결하여 같이 설명한다.A rack gear 51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ng 510, and details of the pinion gear set 520 will be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each other.

한편, 배출되는 롤 행주(70)에 장력을 제공해서 팽팽히 장착되게 하는 상기 롤 탄성장치(58)는, 도 13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중앙에 축삽입부가 형성되어 사이드 커버 축부(53,55)에 끼워져서, 사이드커버 축부와 같이 회전하는 내륜(58a)과, 이 내륜(58a)과는 분리되어 내륜 외부에 설치되면서, 상기 내륜(58a)의 회전에 따라 제한적으로 회전되는 외륜(58c)과, 한쪽 끝은 상기 내륜(58a)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외륜(58c)에 고정되어, 배출되는 롤 행주(70)에 장력을 제공하는 태엽 스프링(58b)과, 상기 외륜(58c)의 외측부에 형성되는 홈(58d)에 맞물려서 외륜(58c)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바(59)와, 이 회전 제한바(59)에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체(59a)로 구성된다. 상기 외륜은 상기 태엽 스프링(58b)을 둘러싸는 스프링 케이스 역할도 하게끔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roll elastic device 58 that provides tension to the discharged roll cloth 70 to be mounted tightly, referring to Figures 13 to 16, the shaft insertion portion is formed in the center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The inner ring 58a, which is fitted to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and rotates like the side cover shaft, and the outer ring 58c, which is separated from the inner ring 58a and installed outside the inner ring, is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inner ring 58a. And a spring (58b) for fixing one end to the inner ring (58a) and the other end to the outer ring (58c) to provide tension to the rolled cloth (70) to be discharged, and the outer ring (58c). It consists of the rotation limit bar 59 which engages with the groove | channel 58d formed in the outer side of this, and restrict | limits rotation of the outer ring 58c, and the elastic body 59a which provides elasticity to this rotation limit bar 59. As shown in FIG. The outer ring is also configured to serve as a spring case surrounding the main spring (58b).

롤 행주(70)를 배출하기 위해 행주 끝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가 회전하게 되고, 이 사이드커버 축부(53,55)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내륜(58a)도 회전하면서 상기 태엽 스프링(58b)의 내측 끝을 잡아당기게 되어, 행주는 항상 인장된 상태에서 배출되게 된다. 이 때 상기 태엽 스프링(58b)의 다른 쪽 끝이 고정되어 있으면, 롤 행주(70)는 20미터든 50미터든 길게 배출될 수 있는 반면, 상기 태엽 스프링(58b)은 감겨질 수 있는 한계가 있게 되어, 어느 정도 롤 행주가 배출되고 나면 더 이상 감겨질 여지가 없게 된다. Pulling the end of the cloth to discharge the roll cloth 70, the side cover both shaft parts (53, 55) is rotated, the inner ring (58a) is also fixed to the side cover shaft parts (53, 55) As it rotates, it pulls the inner end of the main spring 58b, so that the dishcloth is always discharged in the tensioned state. At this time, if the other end of the spring spring 58b is fixed, the roll cloth 70 can be discharged for 20 meters or 50 meters long, while the spring spring 58b has a limit to be wound. After the roll cloth has been discharged to some extent, there is no room for further winding.

이런 문제점 때문에 상기 태엽 스프링(58b)의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외륜(58c)은, 롤 행주가 어느 정도 배출되어 상기 태엽 스프링(58b)이 감겨질 여지가 부족하게 되면, 회전이 허용되어 상기 태엽 스프링(58b)이 풀어지게끔 구성될 필요성이 있다.Because of this problem, the outer ring (58c) is fixed to one end of the mainspring (58b), when the roll cloth is discharged to some extent there is insufficient room for the spring (58b) to be wound, the rotation is allowed to It is necessary to configure the spring spring 58b to be released.

따라서 상기 외륜(58c)은 외측부에 수개의 홈(58d)이 형성되고, 이 홈에 맞물리는 상기 회전 제한바(59)에 의해 회전이 제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 제한바(59)에는 도면과 같이 일측에 탄성체(59a)가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태엽 스프 링(58b)이 어느 정도 감겨져 외륜(58c)이 회전되려는 힘이 상기 탄성체(59a)가 미는 복원력을 초과하게 되면, 상기 회전 제한바(59)는 맞물려 있던 외륜(58c)의 홈(58d)에서 이탈되게 되고, 상기 외륜(58c)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상기 외륜(58c)이 회전하게 되면, 이 외륜(58c)에 한쪽 끝이 고정되어 있는 상기 태엽 스프링(58b)은 풀어지게 되어, 외륜의 회전되려는 힘은 약해지게 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 제한바(59)는 이 외륜(58c)의 회전되려는 힘이 상기 탄성체(59a)의 복원력 이하로 작용하는 홈에 다시 맞물리게 되어 외륜의 회전을 다시 제한하게 됨으로써, 롤 행주에 여전히 유효한 장력을 제공하면서도, 상기 태엽 스프링(58b)이 풀려진 만큼 롤 행주의 계속적인 배출을 반복적으로 허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outer ring 58c has a plurality of grooves 58d formed on the outer side thereof, and the rotation is limited by the rotation limit bar 59 engaged with the groove. The elastic limiter 59a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rotation limiting bar 59 as shown in the drawing, so that the spring 50b is wound to some extent so that the force to rotate the outer ring 58c is pushed by the elastic body 59a. When the restoring force is exceeded, the rotation limit bar 59 is released from the groove 58d of the outer ring 58c that is engaged, and the outer ring 58c rotates. When the outer ring 58c rotates as described above, the spring spring 58b having one end fixed to the outer ring 58c is released, and the force to rotate the outer ring is weakened. The rotation limit bar 59 is then engaged again with the groove which the force to be rotated of the outer ring 58c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body 59a, thereby limiting the rotation of the outer ring again, so that the still effective tension on the roll cloth While providing the winding spring (58b) is to be able to repeatedly allow the continuous discharge of the rolled cloth as it is released.

상기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상기 롤 탄성장치(58)는 롤 행주에 지속적으로 장력을 제공하면서도, 상대적으로 짧은 길이의 태엽 스프링(58b)으로 긴 롤 행주의 무한한 배출과, 사이드 커버(52,54)의 무한한 회전을 허용할 수 있게 된다. By the above configuration, the roll elastic device 58 continuously provides tension to the roll cloth, while the endless discharge of the long roll cloth and the side covers 52 and 54 of the spring spring 58b having a relatively short length. To allow for infinite rotation.

상기 회전 제한바(59)는 상기 외륜(58c)의 홈(58d)에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도록 한쪽 끝이 도면처럼 볼록한 곡면이나 빗면 등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쪽 끝도 상기 탈착을 허용할 수 있는 연결 구조로 본체 프레임(15)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rotation limit bar 59 is preferably formed in a structure such as a convex curved surface or inclined surface such that one end is easily detached to the groove (58d) of the outer ring (58c), the other end is also removable It is desirable to be coupled to the body frame 15 in an acceptable connection structure.

상기 회전 제한바(59)에 한쪽 끝이 결합되는 상기 탄성체(59a)의 다른 쪽 끝은 본체 프레임(15) 일측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body 59a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rotation limit bar 59 is fixedly support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5.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 제한바(59)의 끝단부에 상기 탄성체(59a)가 일직선으로 결합되어, 상기 회전 제한바(59)가 상기 외륜의 홈(58d)에 일직선으 로 이격되면서 회전을 제한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elastic body 59a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rotation limit bar 59 in a straight line, and the rotation limit bar 59 rotates while being spaced in a straight line with the groove 58d of the outer ring.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limit

또한 실시 조건에 따라 상기 외륜(58c)의 외측부에는, 상기 회전 제한바(59)가 상기 수개의 홈(58d)에 정확하게 맞물릴 수 있도록 유도하는 홈구조의 레일이 형성될 수도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a groove-shaped rail may be formed at an outer portion of the outer ring 58c to guide the rotation limit bar 59 to be accurately engaged with the several grooves 58d.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회전 제한바(59)를 외륜의 홈(58d)에 탈착시키는 별도의 레버장치를 형성해서, 사용자가 수동으로 이 레버장치를 조작하여 상기 외륜(58c)의 회전을 허용하거나 구속함으로써, 상기 태엽 스프링(58b)이 풀려지게끔 구성할 수도 있겠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separate lever device is formed to detach the rotation limiting bar 59 to the groove 58d of the outer ring, and the user manually operates the lever device to allow the rotation of the outer ring 58c. Or by constraining the spring spring 58b to be released.

한편, 상기 롤 탄성장치(58)는 스팀에 젖게 되는 롤 행주가 찢어지지 않을 정도의 느슨한 탄성력을 제공하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the roll elastic device 58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ovide a loose elastic force to the extent that the roll cloth that is wet with steam does not tear.

다음, 상기 리어 커버(17)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사이드 커버(52,54)의 일부가 숨는 본체 프레임(15)의 내면 가장자리에 원형으로 형성된 홈 구조의 레일에 양측부가 끼워져, 본체프레임 후상부(15b; 도 4 참조) 밑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행주 롤기구(50)의 후면을 개폐하는 장치인데, 롤 행주(70)가 젖거나 오염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Next, referring to FIGS. 9 and 10, both rear portions of the rear cover 17 are inserted into rails of a groove structure formed in a circular shape on the inner edge of the main frame 15 in which part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are hidden. It is a device that opens and closes the rear surface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while sliding under the body frame rear upper portion 15b (see FIG. 4), thereby preventing the roll cloth 70 from being wet or contaminated.

상기 리어 커버(17)의 네 모서리 중 상부 두 모서리는 도 10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선구조로 삭제되어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갈수록 좁아지는데, 이 사선구조부와, 또 사선구조부에 인접한 양측면의 직선구조부에 리어커버 접촉부(17a)가 형성된다. 이 리어커버 접촉부(17a)는 상기 연결고리 접촉부(513)와 상호 접촉해 서, 도 17의 상태에서 도 18의 상태와 같이, 리어 커버(17)를 올려서 열게 되면, 먼저 사선구조부의 길이 단차에 의해 상기 연결 고리(510)가 밀려나게 되고, 더불어 사이드커버 축부(53,55)도 상기 롤바디 축삽입부(51a)로부터 밀려나게 된다. 그리고 사선구조부 다음의 직선구조부에서 상기 연결 고리(510)는 밀려난 상태로 고정되게 되고, 더불어 사이드커버 축부(53,55)도 밀려난 상태로 고정되게 되어, 롤 바디(51)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리어 커버(17)를 내려서 닫게 되면, 다시 도 17과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사선구조부에서 상기 탈장착 탄성부재(530)의 탄성이 자동으로 상기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를 상기 롤바디 축삽입부(51a)에 결합시키게 된다.The upper two corners of the four corners of the rear cover 17 are deleted in a diagonal structure and narrowed from the bottom to the upper side, as shown in FIG. 10 and the like. The diagonal structure portion and the linear structure portions on both sides adjacent to the diagonal structure portion, respectively.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is formed. When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is in contact with the connecting ring contact portion 513 and is opened by opening the rear cover 17 as shown in FIG. 18 from the state of FIG. The connecting ring 510 is pushed out, and the side cover shaft parts 53 and 55 are pushed out of the roll body shaft inserting part 51a. In addition, the connecting ring 510 is fixed in the pushed-out state in the straight-line structure part after the diagonal structure, and the side cover shafts 53 and 55 are also fixed in the pushed-out state, so that the roll body 51 can be easily replaced. To be able. In addition, when the rear cover 17 is lowered and closed again, as shown in FIGS. 17 and 18, the elasticity of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in the diagonal structure automatically rolls the side cover both shafts 53 and 55 on the roll. It is coupled to the body shaft inserting portion (51a).

상기 연결고리 접촉부(513)와 리어커버 접촉부(17a)가 접촉하는 면은 저항과 마찰력을 줄이기 위해 볼록한 곡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리어커버 접촉부(17a)를 홈 구조의 레일로 형성하고, 상기 연결고리 접촉부(513)는 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게끔 돌출된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겠다.The contact surface of the connecting ring contact portion 513 and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may have a convex curved structure to reduce resistance and fri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may be formed as a rail having a groove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contact portion 513 may be configured to protrude so as to slide along the rail.

또한 실시 조건에 따라, 리어커버 접촉부(17a)는 상기와 같이 리어 커버(17)의 상부 두 모서리가 사선구조로 삭제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모서리는 그대로 두고 리어 커버(17)의 위로 노출되는 상면 내부나, 롤 행주와 마주보는 하면 내부에 사선과 직선구조부로 구성된 리어커버 접촉부를 형성할 수도 있겠다. 이 경우 상기 리어 커버(17) 상면에 리어커버 접촉부가 형성된다면 리어 커버는, 연결 고리(510)의 일부와 탈장착 탄성부재(530)가 장착되는, 본체프레임 후상부(15b; 도 4 참조) 밑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반면 상기 리어 커버(17) 하면에 리어커버 접촉 부가 형성된다면, 리어 커버는 상기 본체프레임 후상부(15b) 위를 슬라이딩하게 될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upper cover edge portion 17a of the rear cover 17 is not formed by deleting the upper two corners of the diagona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exposed to the upper side of the rear cover 17 with the corners intact The rear cover contact part which consists of a diagonal line and a linear structure part may be formed in the inside or the lower surface facing a roll cloth. In this case, if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7, the rear cover is under the body frame rear upper part 15b (see FIG. 4), in which a part of the connecting ring 510 and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are mounted. To slide. On the other hand, if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ar cover 17, the rear cover will slide on the rear portion 15b of the main body frame.

물론 본 실시예처럼 상부 두 모서리를 사선으로 삭제해서 리어커버 접촉부(17a)를 형성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프레임 후상부(15b) 밑으로 상기 리어 커버(17)가 슬라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 경우에도 연결고리 접촉부(513)를 상기 연결 고리(510)의 상부에 위치하게 해서, 상기 리어 커버(17)를 본체프레임 후상부(15b) 위로 슬라이딩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겠다.Of course, in the case of forming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by deleting the upper two corners diagonally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ar cover 17 slides below the main frame rear upper portion 15b as described above. In this case, the connecting ring contact portion 513 may be positioned above the connecting ring 510 so that the rear cover 17 slides over the rear frame 15b of the main body frame.

한편, 상기와 같이 리어 커버(17)를 열면 자동으로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롤바디 축삽입부(51a)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롤 바디(51)를 교체할 수도 있으면서도, 행주기(10)는 상기 사이드 커버(52,54) 중 적어도 한쪽을 손으로 잡고 빼내서 롤 바디(51)를 교체할 수도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사이드 커버 중 한 쪽만 손으로 잡고 빼내도, 양쪽 사이드 커버(52,54)가 다 롤 바디(51)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사용자의 나머지 한 손을 자유롭게 해서, 이 손으로 상기 리어 커버(17)를 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rear cover 17 is opened as described above,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are spaced apart from the roll body shaft insertion portion 51a, and the roll body 51 can be replaced, 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place the roll body 51 by holding at least one of the side covers (52, 54) by hand. In this case, even if only one of the side covers is pulled out by hand, the two side covers 52 and 54 are spaced apart from the roll body 51 so that the other hand of the user is freed, and the rear cover ( It would be more desirable because it could open 17).

이렇게 사이드 커버(52,54) 중 적어도 한쪽만 잡아당겨도 양쪽이 다 잡아당겨지게끔 하기 위해서, 도 17 내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 고리(510) 일측에는 랙 기어(515)가 형성된다. 또한 이 랙 기어(515)와 두 개는 맞물리면서, 랙 기어의 좌우 이격에 따라, 본체프레임 후상부(15b) 내면에 고정된 축을 중심으로 각기 상대 회전하는 짝수 개의 피니언기어 세트(52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사이드 커버(52,54)의 적어도 한 쪽을 잡아당기면, 적어도 하나의 상기 랙 기 어(515)도 잡아당겨지게 되고, 맞물려 있는 상기 피니언기어 세트(520)가 상대 회전하게 됨으로써, 다른 쪽 랙 기어(515), 연결 고리(510) 및 사이드커버 축부(53,55)까지 밀려나게 된다. 그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상기 리어 커버(17)를 올리면, 상기 리어커버 접촉부(17a)의 직선구조부에 연결고리 접촉부(513)가 맞물리게 되면서, 사이드 커버(52,54)는 양쪽이 다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게 되어, 롤 바디(51)를 쉽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롤 바디(51)를 교체한 후에는 상기 리어 커버(17)를 닫게 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탈장착 탄성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양쪽 사이드 커버(52,54)는 자동으로 상기 롤바디 축삽입부(17a)에 결합된다.In this way, in order to allow both sides to be pulled out even when only one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is pulled, as shown in FIG. 17 and FIG. 19, a rack gear 515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ng 510. Is formed. In addition, two rack gears 515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an even number of pinion gear sets 520 are rotated relative to an axis fixed to an inner surface of the rear frame 15b of the main body frame according to the left and right separation of the rack gear. . Therefore, when at least one side of the side cover (52, 54) is pulled, at least one rack gear (515) is also pulled out, and the engaged pinion gear set (520) is rotated relative to the other side, The rack gear 515, the connecting ring 510, and the side cover shafts 53 and 55 are pushed out. When the rear cover 17 is raised by the other hand in this state, the connecting ring contact portion 513 is engaged with the linear structure portion of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and the side covers 52 and 54 are both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t is fixed to, so that the roll body 51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rear cover 17 is closed after the roll body 51 is replaced, as described above, both side covers 52 and 54 are automatically rolled by the elasticity of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It is coupled to the shaft insertion part 17a.

한편 상기 피니언기어 세트(520)는 두 개로 구성될 수도 있고, 그 개수는 짝수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inion gear set 520 may be composed of two, and the number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even.

실시 조건에 따라, 사이드 커버(52,54) 중 적어도 한 쪽을 잡아당기면 다른 쪽 사이드 커버도 밀려나서 롤 바디(51)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상기 기능은 삭제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랙 기어(515)와 피니언기어 세트(520)는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the pulling of at least one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also pushes out the other side cover, thus facilitating the replacement of the roll body 51, thus eliminating the rack gear 515. ) And pinion gear set 520 may not be configured.

상기와 같이 리어커버 접촉부(17a)의 사선구조의 단차에 의해 밀려나거나,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길 수 있는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의 이격 거리는,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롤바디 꼭지(51b)의 길이 중에서 개방부(51c)는 최소한 넘어서야 하며, 개방되지 않은 면까지 넘어서서는 안 되겠다. 꼭지(51b)의 개방부(51c)를 넘어서서 이격되지 않는다면,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로부터 롤 바디(51)를 빼낼 수가 없게 될 것이다. 개방되지 않은 면까지 넘어서서 이격되면, 사 이드커버 축부(53,55)에 롤바디 꼭지(51b)를 걸칠 수가 없게 되어, 롤 바디(51)를 갈아 끼울 때, 사이드커버 축부(53,55)를 롤바디 축삽입부(51a)에 삽입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cover shaft parts 53 and 55 that are pushed by the stepped diagonal structure of the rear cover contact part 17a or that the user can pull by the hand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2. Of the length of 51b, the opening portion 51c should at least be over and not over to the unopened side. If it is not spaced apart beyond the opening 51c of the spigot 51b, it will be impossible to remove the roll body 51 from the side cover shafts 53 and 55. If it is spaced beyond the unopened surface, it becomes impossible to apply the roll body nipple 51b to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so that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are replaced when the roll body 51 is replaced. It may not be easy to insert the roll body shaft insert 51a.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리어 커버(17)를 단순히 행주 롤기구(50)의 후면을 개폐하는 기능만 수행하게 하고,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와 롤바디 축삽입부(51a)를 결합하거나 해제하게끔 작동하는 레버 장치나 전기적 구동장치를 행주기(10) 일측에 별도로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겠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rear cover 17 may simply perform a function of opening and closing the rear surface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and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and the roll body shaft inserting portion 51a may be removed. It is also possible to separately install a lever device or an electric drive device that operates to engage or release on one side of the row cycle 10.

다음, 상기 탈장착 탄성부재(530)는, 도 18과 19를 참조하면, 한쪽 끝이 본체 프레임 후상부(15b) 내 지지부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연결 고리(5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리어 커버(17)를 닫으면, 전술한 바와 같이 롤바디 꼭지(51b)에 걸쳐진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롤바디 축삽입부(51a)에 자동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탄성을 제공한다.Next, the removable elastic member 530, referring to Figures 18 and 19, one end is fixed to the support in the body frame rear upper portion 15b and the other end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ng 510, Closing the rear cover 17 provides elasticity such that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spanning the roll body stem 51b are automatically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roll body shaft inserting portion 51a as described above.

상기 연결 고리(510)와 탈장착 탄성부재(530)는 서로 결합되어, 수평으로 형성된 터널 구조의 홀에 끼워져서 좌우 이격됨으로써, 연결된 사이드커버 축부(53,55)를 가능한 한 수평으로 축선을 따라 상기 롤바디 축삽입부(51a)에 탈착되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nnecting ring 510 and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are coupled to each other and inserted into a horizontally formed hole of a tunnel structure so as to be spaced apart left and right, so that the side cover shaft parts 53 and 55 connected as horizontally as possible along the axis line.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mprised so that the roll body shaft insertion part 51a may be detached.

상기 사이드 커버(52,54) 내면과 롤 탄성장치(58) 사이에 상기 연결 고리의 축삽입부(511; 도 15 및 16 참조) 부분이 위치하게 된다. 이 연결고리 축삽입부(511) 부분은 본체프레임 후측면(15c; 도 20 참조)에 일체로 끼워진 상태로 행주 롤기구(50) 내부를 밀폐하고 있다가, 전술되었듯이 리어 커버(17)를 열면 밀려나서 사이드 커버(52,54)와 함께 상기 본체프레임 후측면(15c) 외부로 이탈되게끔 구성된다. 이탈되어도 연결 고리(510)는 일부가 상기 수평으로 형성된 터널 구조의 홀에 끼워져 있기 때문에, 본체프레임 후상부(15b; 도 4 참조)에 수평으로 지지되게 되고, 같이 이탈된 사이드 커버(52,54)는 자신의 축이 롤 탄성장치(58)의 축삽입부에 끼어져 있어서 수평으로 지지된다. 또한 연결 고리(510)와 사이드 커버(52,54)는 서로가 서로를 수평으로 상호 지지하기도 한다. 상기 리어 커버(17)를 닫으면 탈장착 탄성부재(53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연결고리 축삽입부(511) 부분은 다시 본체프레임 후측면(15c)에 일체로 결합되게 된다.A shaft insertion portion 511 (see FIGS. 15 and 16) of the connecting ring is position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and the roll elastic device 58.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shaft insert 511 seals the inside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while being integrally fitted to the rear surface 15c of the main body frame (see FIG. 20). It is configured to be pushed out to be separated from the main body frame rear side surface 15c together with the side covers 52 and 54. Since the connecting ring 510 is partially inserted into the horizontally formed hole of the tunnel structure, even if it is detached, the connecting ring 510 is horizontally supported on the rear portion 15b of the main body frame (see FIG. 4), and the side covers 52 and 54 which are separated together. ) Is supported horizontally because its axis is fitted 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of the roll elastic device (58). In addition, the connecting ring 510 and the side covers 52 and 54 may mutually support each other horizontally. When the rear cover 17 is closed, the connection shaft inserting portion 511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main body frame rear surface 15c by the elasticity of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한편 상기와 같이 사이드 커버(52,54)와 더불어 연결 고리(510) 일부가 본체프레임(15) 외부로 이탈되거나 원위치 되는 동안, 상기 롤 탄성장치(58)는 본체 프레임(15) 내부 일측에 끼어서 좌우로 움직이지 않게끔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while the side cover (52, 54) as well as part of the connecting ring 510 is separated or retracted outside the main frame 15, the roll elastic device 58 is sandwiched on one side inside the main frame 15 It is configured not to move from side to side.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작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연결고리 축삽입부(511; 도 15와 16 참조)는 원형으로 형성되어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원활하게 회전하도록 지지하면서도, 좌우로 이격되지 않게끔 사이드커버 축부(53,55)에 결합된다. 반면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롤 탄성장치(58)의 내륜(58a) 축삽입부는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회전할 때 같이 회전되게끔 사이드커버 축부(53,55)와 동일한 다각구조로 형성되되,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원활히 빠져나가는 이격작동을 허용할 수 있는 구조로 결합된다.Therefore, in order to enable the above operation, the connecting shaft insert 511 (see Figs. 15 and 16) is formed in a circular shape while supporting the side cover shafts 53 and 55 to rotate smoothly,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side to side. It is coupled to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so as not to. On the other hand, referring to Figure 12, the inner ring (58a) shaft insertion portion of the roll elastic device 58 is the same angle as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to rotate as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Is formed in the structure,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is coupled to the structure that allows the separation operation to smoothly escape.

아울러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는, 상기 롤 탄성장치(58)의 축삽입부에 삽입되어서 이격 작동되는 부분은 전술된 롤바디 축삽입부(51a)에 삽입되는 부분과 마찬가지로 다각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고리 축삽입부(511)가 결합되는 부분만큼은 원형으로 형성되게 된다. In addition,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53, 55) is inserted into the shaft insertion portion of the roll elastic device 58 and the spaced apart operation is in the same polygonal structure as the portion inserted into the roll body shaft insertion portion (51a) described above. It is formed, as much as the portion to which the connecting ring shaft insertion portion 511 is coupled is to be formed in a circular shape.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반드시 상기와 같은 결합 구조가 아니더라도, 상기 사이드 커버(52,54) 내면과 상기 연결고리 축삽입부(511) 사이에 행주 롤기구(50)가 장착되는 본체프레임 후측면(15c)이 통과되게 하고, 이 장착 부분에 상기 사이드커버 양 축부(53, 55)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구성할 수도 있다.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 even if the coupling structure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described above, the rear frame 15c of the main body frame in which the cloth roll mechanism 50 is mounted between the inner surfaces of the side covers 52 and 54 and the connecting shaft insert 511 is provided. ) And a shaft support portion for rotatably supporting the side cover both shaft portions 53 and 55 on the mounting port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10)에서 롤 행주(70)는, 상기 리어 커버(17)를 내려서 완전히 닫았을 때, 리어 커버의 하단부와 본체 프레임(15) 하단부 사이의 틈새로 배출되게 되는데,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행주가 배출되는 본체 프레임(15)의 상기 하단부에는 행주배출 덮개(5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n the steam hang cy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oll cloth 70 is discharged into a gap between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and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15 when the rear cover 17 is completely closed. 20 and 21, it is preferable that the cloth discharging cover 550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frame 15 through which the roll cloth is discharged.

도 20을 참조하면, 이 행주배출 덮개(550)는 봉 구조의 롤러(551)와, 본체 프레임(15)의 양 측부(15c)에서 상기 롤러(551)를 지지하는 지지대(553)와, 상기 지지대의 뒤쪽 끝단부에서 지지대(55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55)로 구성된다. 따라서 행주 배출덮개(550)의 상기 롤러(551)는 본체 프레임(15) 하단부에 붙었다 떨어졌다 이격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20, this cloth for discharging the lid 550 includes a roller 551 having a rod structure, a support 553 supporting the roller 551 at both side portions 15c of the main frame 15, and It is composed of an elastic member 555 for providing an elastic force to the support 553 at the rear end of the support. Therefore, the roller 551 of the cloth discharge cover 550 is attached to the lower end of the main frame 15 and is installed in a structure capable of spaced apart operation.

이러한 행주배출 덮개(550)는, 도 21에서와 같이, 롤 행주(70)가 배출될 때 롤러(551)가 동반 회전하기도 하면서 롤 행주가 배출된 틈새를 막아, 롤 바디(51) 에 감겨진 롤 행주가 스팀에 젖거나, 행주 롤기구(50) 내부 장치들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As shown in FIG. 21, the cloth discharging cover 550 is wound on the roll body 51 by blocking the gap in which the roll cloth is discharged while the roller 551 rotates together when the roll cloth 70 is discharged. It prevents the roll cloth from getting wet or the devices inside the cloth roll mechanism 50 are corroded.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롤 행주가 배출되게 되는 상기 리어 커버(17)의 하단부에도 동일한 구조의 행주배출 덮개가 설치되어, 상기 행주배출 덮개(550)와 마주하면서, 배출된 롤 행주를 사이에 두고 상대 회전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리어 커버(17)를 내려서 닫게 되면, 상기 행주 롤기구(50)는 이 두 개의 배출 덮개에 의해 롤 행주 두께를 제외하고는 거의 밀폐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a cloth discharging cover having the same structure is also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ar cover 17 from which the roll cloth is to be discharged, facing the dish discharging cover 550 with the rolled cloth being discharged.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In this case, when the rear cover 17 is lowered and closed, the cloth roll mechanism 50 may be configured to be almost sealed by the two discharge covers except for the thickness of the roll cloth.

상기 행주배출 덮개(550)는 실시 조건에 따라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dishcloth discharge cover 550 may not be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한편,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커버(52,54)가 본체 프레임(15) 내면으로 숨은 부분에 직접 형성된 것으로 예시된 상기 톱니 플레이트(56)는, 실시 조건에 따라, 양쪽 사이드 커버가 아니라 한쪽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직접 형성되지 않고 별도의 장치로 형성되어, 사이드 커버(52,54)나 그 축부(53,55)에 결합되거나 조립될 수도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12, the tooth plate 56 illustrated as the side covers 52 and 54 are directly formed in a portion hidden by the inn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5 is not both side cover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may be formed only on one side. In addition, it may be formed as a separate device, not directly formed, and may be coupled or assembled to the side covers 52 and 54 or the shaft parts 53 and 55 thereof.

실시 조건에 따라, 상기 롤 탄성장치(58)도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에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한쪽 축부에만 하나가 설치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wo roll elastic devices 58 may not be formed at the side cover both shaft parts 53 and 55 one by one, but may be installed at only one shaft part.

또한 사이드커버 양 축부(53,55)가 다 롤바디 축삽입부(51a)로부터 이격되는 것이 아니라, 한쪽 축부만 이격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탈장착 탄성부재(530)와 더불어 연결 고리(510)도 한쪽만 설치될 수 있고, 연결고리 접촉부(513)와 접촉하는 상기 리어커버 접촉부(17a) 역시 한쪽만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ide cover both shaft parts 53 and 55 may be configur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oll body shaft insertion part 51a, but only one shaft part. In this case, in addition to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only one side of the connection ring 510 may be installed, and only one side of the rear cover contact portion 17a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ring contact portion 513 may be formed.

지금까지 본 실시예에서 예시된 행주 롤기구(50)는 축부(53,55)가 양쪽으로 나누어진 구조로 예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본체 프레임(15) 일측에 지지되는 단일 축부에 상기 롤 바디(51) 및 롤 탄성장치(58), 톱니 플레이트(56)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드 커버(52, 54)는 한쪽만 설치될 수도 있고, 양쪽 모두 삭제된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롤 바디(51)가 상기 본체 프레임(15)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되고, 상기 롤 탄성장치(58)와 톱니 플레이트(56)에 의해 장력 및 회전제한기능이 실현된다면,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So far, the cloth roll mechanism 50 illustr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has been exemplified in a structure in which shaft portions 53 and 55 are divided into two sides. Howev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roll part 50 is supported on a single shaft portion suppor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5. The body 51, the roll elastic device 58, the tooth plate 56,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At this time, only one side of the side cover (52, 54) may be installed, or both may be of a structure deleted. That is, if the roll body 51 is rotated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body frame 15, and the tension and rotation limiting function is realized by the roll elastic device 58 and the tooth plate 56, Various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ly.

다음, 상기 행주 고정기구(60)에 대하여 도 4, 도 8 및 도 22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Next, the cloth fixing mechanism 6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8 and 22 to 23.

행주 고정기구(60)는, 고정바(62), 고정 탄성부재(66), 롤러(64R) 및 작동 레버(61)로 구성되어, 상기 작동 레버(61) 상단부를 누르면 상기 롤러(64R)가 밀려나면서 상기 고정바(62)를 밀어내게 되고, 반면 상기 작동 레버(61)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고정 탄성부재(66)에 의해 고정바(62)가 원위치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The dishcloth fixing mechanism 60 is composed of a fixing bar 62, a fixing elastic member 66, a roller 64R, and an operating lever 61. When the upper end of the operating lever 61 is pressed, the roller 64R is pressed. While being pushed out to push the fixed bar 62, while releasing the force to press the operating lever 61, the fixed bar 62 is made by the fixed elastic member 66 is configured to the original position.

상기 고정바(62)는 상기 고정 탄성부재(66)를 지지하는 지지바(63)와, 상기 롤러(64R)가 설치되는 연결바(64)가 포함되어 구성되고, 고정바(62)의 뒤쪽 양 끝단부에는 전술한 행주 롤기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제한 레버(65)가 형성된다.The fixing bar 62 includes a support bar 63 for supporting the fixing elastic member 66 and a connection bar 64 on which the roller 64R is installed, and the rear of the fixing bar 62. At both ends, a limiting lever 65 is provided which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dish towel roll mechanism 50 described above.

먼저 상기 고정바(62)는 본체 프레임(15) 내부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밀착되거나 이격되어, 롤 행주(70)의 끝부분을 본체 프레임(15)에 고정시킨다. 이 고정바(62)의 적어도 한쪽 끝단부, 바람직하게는 양쪽 끝단부에는 전술한 행주 롤기구(50)의 톱니 플레이트(56)와 맞물리는 제한 레버(65)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 프레임(15)에 밀착될 때는 상기 롤 행주(70)를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상기 행주 롤기구(50)의 회전도 제한하게 된다. 반면 본체 프레임(15)에서 이격될 때는 롤 행주(70)의 전면부 고정도 해제시키면서 행주 롤기구(50)의 회전도 허용하게 돼, 사용자가 자유롭게 롤 행주(70)를 잡아당길 수 있게 한다. First, the fixing bar 62 slides along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5 to be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apart from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frame 15 to fix an end portion of the roll cloth 70 to the main body frame 15. At least one end of the fixing bar 62, preferably both ends, is provided with a limiting lever 65 that engages with the tooth plate 56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described above, so that the main frame 15 ), The roll cloth 70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5, and the rotation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is also limited. On the other hand, when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frame 15, while also fixing the front portion of the roll cloth 70, and also allows the rotation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the user can freely pull the roll cloth 70.

이러한 고정바(6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5) 내부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본체 프레임(15) 외부에 형성되어 외부 측면을 따라 슬라이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반드시 슬라이딩되는 구조가 아니더라도,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밀착 이격되면서 롤 행주(70)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라면,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 가능하겠다.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ar 62 is preferably slid along the inn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5, but may be formed outside the main body frame 15 and slid along the outer sid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have. In addition, even if the structure is not necessarily sliding, if the structure can be fixed to the roll cloth 70 while being closely spaced to the main body frame 15, it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한편 전술한 행주 롤기구(50)의 톱니 플레이트(56)에 맞물리면서 행주 롤기구(50)의 회전을 제한하는 상기 제한 레버(65)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바(62)의 양 끝단부에 그리고, 직접 형성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한 쪽 끝단부에 형성될 수도 있고, 또 직접 형성되지 않고 별도로 구성되어, 상기 고정바(62) 끝단부에 결합될 수도 있겠다. 아니면, 상기 고정바(62)의 양측부(62b)를 연결하는 상기 지지바(63)나 연결바(64)와 같은 또 하나의 바를 형성하고 그 바에, 상기 행주 롤기구(50)의 톱니 플레이트(56)와 맞물리게끔, 적어도 한 개 이상 의 제한 레버를 설치하는 구성도 가능하다.On the other hand, the limiting lever 65 which engages with the tooth plate 56 of the above-mentioned cloth roll mechanism 50 and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is both ends of the fixing bar 62 in this embodiment. And, although it is shown as being formed directly, it may be formed at one e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and may be configured separately without being formed directly, may be coupled to the end of the fixing bar 62. Alternatively, another bar such as the support bar 63 or the connection bar 64 connecting both side portions 62b of the fixing bar 62 is formed, and the tooth plate of the dish roll mechanism 50 is formed thereon.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at least one limiting lever to engage with (56).

다음, 상기 고정 탄성부재(66)는 상기 고정바 전면부(62a)를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밀착시켜, 롤 행주(70)를 고정시키게끔 탄성을 가하는 장치이다. 이 고정 탄성부재(66)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고정바(62)의 양쪽 측면부(62b) 사이에는 바 구조의 지지바(6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 탄성부재(66)는 이 지지바(63)와 본체 프레임(15)의 내면 사이에 연결되게 설치된다.Next, the fixing elastic member 66 is an apparatus for applying elasticity to fix the roll bar 70 by bringing the fixing bar front part 62a into close contact with the main body frame 15 front part. In order to support the fixed elastic member 66, a support bar 63 having a bar structure is formed between both side portions 62b of the fixed bar 62. The fixed elastic member 66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between the support bar 63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body frame 15.

상기 고정 탄성부재(66)는 본 실시예에서 두 개가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 그 개수는 다양할 수 있다. Although two fixed elastic members 66 are shown as being installed in this embodiment, the number may vary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한편 상기 고정바 전면부(62a)의 내면과 본체 프레임(15) 전면부는, 롤 행주(70)를 고정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게 실리콘 소재 등으로 마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호 맞물리는 톱니나 요철 구조로 형성되어, 롤 행주(70)의 고정력을 높일 수도 있겠다.Meanwhile,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bar front part 62a and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frame 15 may be made of a silicon material or the like so as to increase the effect of fixing the roll cloth 70. Depending on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may be formed with the tooth or uneven structure which meshes mutually, and the fixing force of the roll cloth 70 may be raised.

상기 롤러(64R)는 상기 작동 레버(61)를 아래로 미는 힘을, 고정바(62)가 앞으로 슬라이딩되게끔 수평힘으로 전환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로서, 고정바(62)의 양쪽 측면부(62b)를 연결하는 봉 구조의 연결바(64)에 설치된다. 최소한 상기 작동 레버(61)와 접촉하는 면은 둥근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회전 가능하면서도, 작동 레버(61)와의 접촉 범위를 벗어나서 연결바(64)를 따라 좌우 이동하는 것은 불가능하게 구성된다. 롤러(64R)의 상기 원통형 구조와 회전성은 작동레버 하단부(61a)와 접촉하면서 받는 저항과 마찰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이며, 상기 측면 이 동 불가능성은 작동레버 하단부(61a)와의 접촉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이다.The roller 64R is a device for facilitating the force of pushing the operation lever 61 down to a horizontal force so that the fixed bar 62 slides forward. Both side portions of the fixed bar 62 62b) is installed in the connecting bar 64 of the rod structure. At least the surface in contact with the actuating lever 61 is formed in a round cylindrical shape, while being rotatable, it is impossible to move left and right along the connecting bar 64 outside the contact range with the actuating lever 61. The cylindrical structure and rotation of the roller 64R are for minimizing the resistance and frictional force received while contacting the lower end portion 61a of the actuating lever, and the lateral movement impossibility is to ensure contact stability with the lower end portion 61a of the actuating lever. .

다음 상기 작동 레버(61)는 막대형 구조를 갖추고 있는데, 상기 롤러(64R)와 상호 접촉하는 하단부(61a)는 도면과 같이 빗면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본체 프레임(15) 상면으로 돌출된 상단부(61b)를 아래로 밀면, 하강하면서 상기 롤러(64R)를 회전시킴과 더불어 밀어내게 되고, 아울러 롤러가 결합되어 있는 연결바(64)를 앞쪽으로 밀어내어, 결과적으로 고정바 전면부(62a)를 본체 프레임(15)으로부터 이격되게 한다. 반면 작동레버 상단부(61b)를 누르던 힘을 해제하면, 상기 고정 탄성부재(66)의 탄성에 의해 지지바(63)가 원위치되게 되고, 일체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고정바 전면부(62a)는 본체 프레임(15)에 다시 결합되면서 상기 롤러(64R)도 작동 레버(61)를 밀어 올려 원위치 시키게 된다. 상기 작동 레버(61)는 상하로 형성된 터널 구조의 홈에 삽입되어 승강 작동을 하게 되며, 상기 돌출된 상단부(61b)는 본체 프레임(15)에 감춰지는 내부보다 외경이 작게 형성되어서, 작동 레버(61) 자체가 손잡이 상면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Next, the operation lever 61 has a rod-like structure, and the lower end portion 61a in contact with the roller 64R is formed in a slanted surface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upper end portion 61b protrude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5. ), The roller 64R is pushed down while being lowered and pushed down, and the connecting bar 64 to which the roller is coupled is pushed forward, and as a result, the fixed bar front part 62a is moved to the main body. Spaced apart from the frame 15. On the other hand, when releasing the force applied to the upper lever 61b, the support bar 63 is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by the elasticity of the fixed elastic member 66, and the fixed bar front part 62a, which is integrally coupled, The roller 64R also pushes the operation lever 61 back to the main frame 15 so as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The operation lever 61 is inserted into the groove of the tunnel structure formed up and down to perform the lifting operation, and the protruding upper end portion 61b has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inside hidden in the main body frame 15, so that the operation lever ( 61) It is preferable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it does not escap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64R)가 한 개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 하단부(61a)와 접촉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두 개나 세 개 등, 수개의 롤러(64R)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61)도 상단부는 한 개지만 하단부는 상기 수 개의 롤러(64R)와 접촉되게끔 동일한 개수로 분리되어, 상기 작동레버 상단부(61b)를 누르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one roller 64R is formed and contacted with the lower end portion 61a of the operating lever. However, depending on the working conditions, several rollers 64R, such as two or three, are formed. 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61 also has an upper end, but the lower end is separated by the same number to contact the several rollers 64R, and may be configured to disperse the pressing force of the operating lever upper end 61b. hav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롤러(64R)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롤러(64R)가 설치된 상기 연결바(64) 자체를 회전 가능 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roller 64R is rotatably configured, but the connecting bar 64 itself having the roller 64R installed may be rotatably configured.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롤러(64R)나 연결바(64)는 회전되지 않는 방식도 구성 가능한데, 이 경우 상기 롤러(64R)는 원통형이 아니어도 무방하며, 최소한 상기 작동레버 하단부(61a)와 접촉하는 면만 곡면 또는 빗면 구조이면 되겠다.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the roller 64R or the connecting bar 64 may also be configured in a non-rotating manner. In this case, the roller 64R may not be cylindrical, and at least the lower end portion 61a of the actuating lever. Only the surface that is in contact with it should be curved or inclined.

또한, 상기 작동레버 하단부(61a)의 빗면도 오목한 곡면이나 볼록한 곡면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In addition, the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end portion 61a of the operating lever can also be configured as a concave curved surface or a convex curved surface.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바(64)에 롤러(64R)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이와는 반대로 상기 작동레버 하단부(61a)에 원통형 구조의 회전 가능한 롤러를 설치하고, 상기 연결바(64)에는 빗면 구조를 갖는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상호 접촉하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it is illustrated that the roller 64R is preferably installed in the connecting bar 64, but on the contrary, a rotatable roller having a cylindrical structure is installed at the lower end 61a of the operating lever, and the connecting bar 64 is provided. ) Can be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installing a separate device having a sloped structure.

그리고 상기 작동 레버(61)는 도면과 같이 반드시 상단부(61b)와 하단부(61a)가 일체인 막대 구조가 아니라, 상단부(61b)와 하단부(61a)를 독립적으로 구성하고, 이를 봉이나 탄성부재, 또는 둘 다를 이용해서 연결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In addition, the operation lever 61 is not necessarily a bar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end 61b and the lower end 61a are integrally formed as shown in the drawing, and independently constitute the upper end 61b and the lower end 61a, and the rod or elastic member, Or it is also possible to connect using both.

상기와 같이 롤 행주(70) 앞부분은 고정바 전면부(62a)에 의해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고정되어 있고, 롤 행주 뒷부분은 전술한 행주 롤기구(50)의 톱니 플레이트(56)와 맞물린 제한 레버(65)에 의해 회전이 제한되면서도, 상기 행주 롤기구(50)의 롤 탄성장치(58)에 의해 장력을 제공받기 때문에, 롤 행주(70)는 행주기(10) 바닥면에 팽팽히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행주기(10)를 전후좌우로 밀고 당겨도 충분한 안정성을 보장받게 된다. 아울러 전술한 바처럼 분사 플레이 트(19)가 실리콘 소재 등으로 마감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롤 행주(70)는 행주기(10) 밑바닥에 팽팽하게 밀착된 상태로 식탁이나 책상을 닦을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front part of the roll cloth 70 is fix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5 by the fixing bar front part 62a, and the rear part of the roll cloth is formed with the tooth plate 56 of the above-mentioned cloth roll mechanism 50. While the rotation is limited by the engaged limit lever 65, the tension is provided by the roll elastic device 58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so that the roll cloth 70 is taut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cloth cycle 10. The unfolded state is maintained and sufficient stability is ensured even when the row cycle 10 is pushed and pulled in front, rear, left and right. In addition, since the injection plate 19 is made of a silicon material or the like, as described above, the roll cloth 70 may wipe the table or the desk in a state of being tightly attached to the bottom of the hang cycle 10.

롤 행주(70)의 사용된 부분을 빼내고 새 부분을 행주기(10) 바닥부에 위치시키기 위해서, 상기 작동레버 상단부(61b)를 엄지로 누르면, 상기 고정바 전면부(62a)는 본체 프레임(15)으로부터 이격되게 되고, 상기 고정바(62) 뒤쪽의 제한 레버(65)도 상기 행주 롤기구(50)의 톱니 플레이트(56)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기 때문에, 이제는 회전되는 롤 행주(70)의 끝을 잡고 일정 부분 상기 고정바(62) 위로 빼낸 후 상기 작동 레버(61)를 누르던 엄지 힘을 해제시키면, 다시 롤 행주(70)는 행주기(10) 앞뒤에 고정되면서 상기 롤 탄성장치(58)의 장력 때문에 행주기(10)의 바닥부에 팽팽하게 펼쳐지게 된다. In order to pull out the used part of the roll cloth 70 and to place the new part at the bottom of the hang cycle 10, by pressing the operating lever upper end 61b with a thumb, the fixing bar front part 62a is a main frame ( 15), and the engagement lever 65 behind the fixing bar 62 is also disengaged from the tooth plate 56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so that the roll cloth 70 is now rotated. When holding the end portion of the fixed bar 62 is pulled out to release the thumb force pressing the operation lever 61, the roll cloth 70 is fix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hang cycle 10 while the roll elastic device ( Due to the tension of 58, it is stretched to the bottom of the row cycle 10.

그 후 사용된 롤 행주 부분을 절단해서 버리면 되는데, 이 절단의 용이성을 위해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는 커터형 톱날(15a; 도 2 및 도 14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용이하게 절단되게끔 제작시 점선으로 절단된 형상의 롤 행주(70)를 사용하는 경우 등에는, 실시 조건에 따라 상기 커터형 톱날(15a)을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다. Thereafter, the used roll cloth portion may be cut off, and a cutter-type saw blade 15a (see FIGS. 2 and 14) may be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frame 15 for ease of cutting. When using the rolled cloth 70 of the shape cut | disconnected with the dotted line at the time of manufacture so that it may be cut easily, the said cutter type saw blade 15a may not be comprised according to implementation conditions.

롤 행주(70)를 다 소모하고 새 롤 바디(51)를 행주 롤기구(50)에 끼운 후에도, 상기 작동레버 상단부(61b)를 엄지로 누른 후 롤 행주(70) 끝을 잡아당겨서 행주기(10) 바닥면에 두른 뒤, 고정바(62)와 본체 프레임(15) 전면부 사이로 빼내고, 작동레버 상단부(61b)를 누르던 엄지 힘을 해제하면, 롤 행주(70)는 행주기(10)에 앞뒤로 고정되면서도 상기 롤 탄성장치(58)에 의해 팽팽히 펼쳐지게 된다.Even after exhausting the roll cloth 70 and inserting the new roll body 51 into the cloth roll mechanism 50, the upper end portion 61b of the operating lever is pressed with a thumb and the end of the roll cloth 70 is pulled out. 10) After putting on the bottom surface, pulled out between the fixing bar 62 and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frame 15, and releases the thumb force which pressed the operating lever upper end 61b, the roll cloth 70 hangs 10 While being fixed back and forth to the roll elastic device 58 is stretched out taut.

한편, 상기와 같이 고정바 전면부(62a)와 본체 프레임(15) 전면부 사이로 롤 행주(70) 끝을 끼우거나 빼내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 상기 고정바 전면부(62a)는, 가운데 부분이 삭제된 개방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고정바 전면부(62a) 일부를 삭제함으로써 롤 행주(70)를 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으며, 따라서 롤 행주(70) 교체를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와 같이 삭제하지 않는 구성도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ertion or withdrawal of the end of the roll cloth 70 between the fixing bar front part 62a and the main body frame 15 front part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ar front part 62a has been removed from the center part. It is preferred to have an open structure. That is, by deleting a part of the fixed bar front part 62a, a user's finger holding the roll cloth 70 may be easily passed, and thus, the roll cloth 70 may be easily replaced. Of cours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a configuration not deleted as described above is also possibl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10)에서, 도 3을 참조하면, 행주 롤기구(50)로부터 빠져나온 롤 행주(70b)는 스팀 행주기(10)의 분사 플레이트(19) 바닥을 지나고, 끝부분(70c)이 행주기(10)의 앞쪽에서 행주 고정기구(60)의 고정바(62)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된다.In the steam rinsing cy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referring to FIG. 3, the roll rinsing 70b exiting from the rinsing roll mechanism 50 is the spray plate 19 of the steam rinsing cycle 10. After passing through the bottom, the end portion 70c is held in a state of being fixed by the fixing bar 62 of the dish fixing mechanism 60 in front of the row period 1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행주 장착부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econd embodiment of the dish towel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행주 장착부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도 24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참고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 유사한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자세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A second embodiment of the dishcloth mounting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4 to 30. For reference,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as those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행주 장착부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행주 장착부와는 달리, 구동모터에 의한 자동식 구조로 행주 롤기구(50)와 행주 고정기구(60)를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Unlike the dishcloth mounting portion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he dishcloth mounting por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operate the dishcloth roll mechanism 50 and the dishcloth fixing mechanism 60 in an automatic structure by a driving motor. It is composed.

제 2 실시예의 경우, 행주 고정기구(60)는 제 1 실시예의 고정바 전면 부(62a)가, 톱니기어 구조의 고정 롤러(610)로 대체되고,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는 이 고정 롤러(610)와 맞물리는 유사한 구조의 프레임 롤러(620)가 형성되어, 이 두 롤러가 서로 맞물려서 롤 행주를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고정하게끔 구성된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cloth fixing mechanism 60 is replaced with the fixing bar front part 62a of the first embodiment by the fixing roller 610 of the gear gear structure, and this fixing roller is provided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frame 15. A frame roller 620 having a similar structure that is engaged with 610 is formed so that the two rollers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o fix the roll cloth to the front surface of the body frame 15.

먼저, 상기 고정 롤러(610)는 제 1 실시예의 고정바 전면부(62a)와 마찬가지로, 롤 행주 끝부분을 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도록 개방된 형상을 갖기 위해, 좌우 두 부분으로 나누어져 형성된다. 고정 롤러(610)는 고정틀(630)에 설치된다. 이 고정틀(630)에는 선형 기어부(631)가 형성되어 있어서, 후술될 장착 모터(640)의 축에 구비된 웜(641)이 회전하면, 고정틀(630) 자체가 앞뒤로 이동하면서 상기 고정 롤러(610)를 프레임 롤러(620)에 탈착시키게끔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 롤러(610)는 롤러 커버(635)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롤러 커버(635)는 상기 고정틀(630)에 형성된 지지부(633)에 결합되고, 고정 롤러(610)는 이 롤러 커버(635)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First, the fixing roller 610, like the fixing bar front portion 62a of the first embodiment, to have an open shape so that a user's finger holding the roll cloth end portion can be easily passed, the left and right two parts It is formed separately. The fixing roller 610 is installed in the fixing frame 630. The fixed frame 630 is formed with a linear gear portion 631, when the worm 641 provided on the shaft of the mounting motor 64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xed frame 630 itself moves forward and backward while the fixed roller ( 610 is configured to detach from the frame roller 620. The fixing roller 610 is preferably installed inside the roller cover 635. The roller cover 635 is coupled to the support part 633 formed in the fixing frame 630, and the fixing roller 610 is rotatably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roller cover 635.

상기 프레임 롤러(620)는 본체 프레임(15) 전면부로 드러나는 부분은 상기 고정 롤러(610)와 맞물리게끔 두 부분으로 형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본체 프레임(15) 내부에서는 단일 축으로 형성되어 있다. 양 측부는 본체 프레임(15) 내부에 형성된 축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 프레임 롤러(620)는 후술될 배출 모터(650)가 구동되면 회전하면서, 맞물린 상기 고정 롤러(610)도 상대 회전시켜, 행주기(10A) 앞쪽에서 롤 행주를 앞으로 배출하거나 뒤로 되감기게 한다.The frame roller 620 may appear to be formed in two parts to be engaged with the fixing roller 610 while the part exposed to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frame 15 is formed in a single axis inside the main body frame 15. Both sides are rotatably coupled to the axial support formed in the body frame 15. The frame roller 620 rotates when the discharge motor 65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driven, and also rotates the fixed roller 610 that is engaged to discharge or roll the roll cloth forward or backward in front of the row cycle 10A.

상기 고정 롤러(610)와 프레임 롤러(620)는 톱니기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롤 행주를 고정하는 효과에 따라서 요철구조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구성 재질 역시 롤 행주를 고정하는 효과를 고려해서, 실리콘재나 합성수지재 등 다양한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Although the fixing roller 610 and the frame roller 620 are preferably formed in a tooth gear structure, the fixing roller 610 and the frame roller 620 may be formed in various structures such as an uneve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ffect of fixing the roll cloth. The constituent material may also use various materials such as silicone or synthetic resin in consideration of the effect of fixing the roll cloth.

상기 두 롤러(610, 620)가 각기 두 부분으로 분리됨에 따라, 그 사이로 개방되는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는, 후술될 장착 모터(640)를 구동시켜서,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에 밀착되게 하는 장착 스위치(미도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롤 행주 끝부분을 쥔 손가락으로 사용자가 간편하게 상기 장착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이다. As the two rollers 610 and 620 are separated into two parts,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frame 15 opened therebetween is driven by a mounting motor 64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fixing roller 610 is a frame roller. It is preferable that a mounting switch (not shown) to be in close contact with 620 be provided. This is to allow the user to easily operate the mounting switch with a finger holding the end of the roll cloth.

이제, 상기한 두 개의 구동 모터 및 이를 통한 자동 작동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Now, the two drive motors and the automatic operation structure through the same will be described.

먼저 장착 모터(640)는 고정 롤러(610)를 상기 프레임 롤러(620)에 분리시키거나 밀착시켜서, 롤 행주를 행주기(10A) 앞쪽에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First, the mounting motor 640 separates or fixes the fixing roller 610 to the frame roller 620 to serve to fix the roll cloth to the front of the row cycle 10A.

이 장착 모터(640)는 전방으로 축이 형성되고, 이 축에는 웜(641)이 구비되어, 축이 회전하면 상기 고정틀(630)의 선형 기어부(631)와 접촉해서 고정틀 자체를 밀어내거나 잡아당기게 되어있다. 장착 모터(640)는 전술된 리어 커버(17)를 올리면 구동되어, 상기 고정 롤러(610)를 프레임 롤러(620)로부터 분리시키게끔 작동된다. 반면 상기 장착 스위치를 누르면, 반대 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에 밀착되게끔 작동된다. The mounting motor 640 has a shaft formed forward, the shaft is provided with a worm 641, when the shaft rotates in contact with the linear gear portion 631 of the fixed frame 630 to push or hold the fixed frame itself To pull. The mounting motor 640 is driven by raising the above-described rear cover 17 to operate to separate the fixing roller 610 from the frame roller 620. On the other hand, when the mounting switch is pressed, it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so that the fixing roller 6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roller 620.

다음, 배출 모터(650)는, 행주기 앞쪽에서는 상기 프레임 롤러(620)를 회전 시키고, 행주기 뒤쪽에서는 사이드 커버(52,54)를 회전시켜서, 롤 행주를 배출시키거나 되감게 하는 역할을 한다.Next, the discharge motor 650 rotates the frame roller 620 in front of the hang cycle, and rotates the side covers 52 and 54 at the back of the hang cycle, thereby discharging or rewinding the roll cloth. .

이 배출 모터(650)는 전방과 후방으로 양 축이 형성되고, 이 양 축의 끝단부에는 전방 웜(651)과 후방 웜(65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 웜(651)은 상기 프레임 롤러(620)에 형성된 기어부와 직접 치합되어 프레임 롤러(620)를 상대 회전시키게 된다. 반면 상기 후방 웜(652)은, 연결 기어(655)에 치합되어 이 연결 기어(655)를 상대 회전시킴으로써 사이드 커버(52,54)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제 2 실시예의 행주 롤기구(50)에는 자신이 회전되면 사이드 커버(52,54)를 회전시키게 되는 기어 플레이트(660)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배출 모터(650)가 구동되면 상기 후방 웜(652)이 회전하게 되고, 치합되어 있는 상기 연결 기어(655)가 회전하면서 상기 기어 플레이트(660)를 회전시켜, 결과적으로 사이드 커버(52,54)가 회전하면서 롤 행주를 배출시키거나 되감기게 한다. 이 기어 플레이트(660)는 제 1 실시예의 롤 탄성장치(58) 중 외륜(58c; 도 13 참조)을 대체해서 구성된다.The discharge motor 650 has both shafts formed forward and rearward, and the front worm 651 and the rear worm 652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two shafts. The front worm 651 is directly engaged with the gear part formed on the frame roller 620 to relatively rotate the frame roller 620. The rear worm 652, on the other hand, is configured to rotate the side covers 52 and 54 by being engaged with the coupling gear 655 and relatively rotating the coupling gear 655. That is, the cloth roll mechanism 50 of the second embodiment has a gear plate 660 which rotates the side covers 52 and 54 when it is rotated. When the discharge motor 650 is driven, the rear worm ( 652 rotates and the engaged gear 655 rotates to rotate the gear plate 660, resulting in side covers 52 and 54 rotating to eject or rewind the roll cloth. . The gear plate 660 is configured to replace the outer ring 58c (see FIG. 13) of the roll elastic device 58 of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배출 모터(650)는 후술될 배출 스위치(미도시)를 조작하면 구동되어, 상기 사이드 커버(52,54)와 프레임 롤러(620)를 정방향이나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리어 커버(17)를 내려도 자동으로 롤 행주를 배출하는 방향으로 구동되어, 갈아 끼운 롤 바디(51)의 행주 끝부분이 상기 고정 롤러(610)와 프레임 롤러(620) 사이에 끼워질 수 있을 정도까지는 롤 행주가 자동으로 배출되게끔 구성된다.The discharge motor 650 is driven when the discharge switch (not shown) to be described later is operated to rotate the side covers 52 and 54 and the frame roller 620 in the forward direction or the reverse direction. In addition, even when the rear cover 17 is lowered, it is driven in the direction of discharging the roll cloth automatically, so that the end of the cloth of the rolled body 51 that is fitted can be fitted between the fixing roller 610 and the frame roller 620. To the extent possible, the roll cloth is configured to be ejected automatically.

상기 배출 모터(650)를 구동시키는 상기 배출 스위치는, 제 1 실시예에서 전 술된 작동 레버(61)가 설치되던 손잡이(13) 앞쪽에 대체 설치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scharge switch for driving the discharge motor 65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handle 13 in which the operation lever 61 described above in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and may be configured to be easily operated by a user. .

상기 연결 기어(655)는, 본체 프레임(15) 내 양 측부에 하나씩 두 개가 형성되어 단일 회전축(656)으로 연결되고, 이 두 연결 기어(655)는 양 사이드 커버(52,54) 안쪽에 형성된 기어 플레이트(660)에 각각 치합되어 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 상기 연결 기어(655)는, 상기 배출 모터(650)가 설치된 쪽의 본체 프레임(15) 측부에 하나만 형성되고, 이에 치합되는 기어 플레이트(660)도 하나만 형성될 수도 있다.Two connecting gears 655 are formed at both sides of the body frame 15, one at each side thereof and connected to a single rotating shaft 656, and the two connecting gears 655 are formed at both side covers 52 and 54. It is meshed with the gear plate 660,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nly one connection gear 655 may be formed at th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5 on the side where the discharge motor 650 is installed, and only one gear plate 660 may be formed.

제 1 실시예의 롤 탄성장치(58) 중 외륜(58c)을 대체해서 구성되는 상기 원형의 기어 플레이트(660) 내측에는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륜(58a)과 태엽 스프링(58b)이 구성된다(도 12와 도 13 참조).Inside the circular gear plate 660 configured to replace the outer ring 58c of the roll elastic device 58 of the first embodiment, an inner ring 58a and a spring spring 58b are form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See Figures 12 and 13).

먼저 상기 내륜(58a)은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다각 구조의 축삽입부가 형성되어 사이드커버 축부(53,55)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상기 태엽 스프링(58b)은 한쪽 끝이 상기 기어 플레이트(660) 하면에 고정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내륜(58a) 상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기어 플레이트(660)는 상기 내륜(58a)과 분리되어 있으면서도 상기 태엽 스프링(58b)을 둘러싸게끔 구성되어, 스프링 케이스 역할도 수행한다.First, as in the first embodiment, the inner ring 58a is formed with a shaft insertion portion having a polygonal structure and fitted to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One end of the mainspring spring 58b is fix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ear plate 660, and the other end of the main spring 58b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inner ring 58a. The gear plate 660 is configured to surround the spring spring 58b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inner ring 58a, and also serves as a spring case.

따라서 제 2 실시예의 롤 탄성장치(58A)는, 상기 배출 모터(650)가 구동되어 기어 플레이트(660)가 회전하면, 상기 태엽 스프링(58b)이 내륜(58a)을 회전시키게 되고, 결과적으로 사이드커버 축부(53,55)를 회전시켜서 롤 행주가 배출되거나 되 감기게끔, 기어 플레이트(660)와 사이드커버 축부(53,55)를 연결하는 기능을 1차적으로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태엽 스프링(58b)은 상기 기어 플레이트(660)가 회전되면 즉각적으로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를 회전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빡빡한 장력을 제공하기 위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을 갖출 필요성이 있다. 또한 행주기(10A)를 밀고 당기면서 식탁 등을 닦을 때, 롤 행주 뒷부분이 태엽 스프링(58b) 때문에 느슨해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도, 빡빡한 장력을 갖출 필요성이 있다. Accordingly, in the roll elastic device 58A of the second embodiment, when the discharge motor 650 is driven and the gear plate 660 rotates, the spring spring 58b rotates the inner ring 58a, and as a result, By rotating the cover shafts 53 and 55 so that the roll cloth is discharged or rewound, the function of connecting the gear plate 660 and the side cover shafts 53 and 55 is primarily performed. Here, the spring spring 58b needs to have a relatively high elastic force in order to provide tight tension in order to enable the side plate shaft parts 53 and 55 to immediately rotate when the gear plate 660 is rotated. There is this. In addition, when wiping the table or the like while pushing and pulling the row cycle 10A, it is necessary to have a tight tension so that the rear part of the roll cloth is not loosened due to the spring spring 58b.

한편, 다 쓴 롤 바디(51)를 행주 롤기구(50)로부터 빼내고 새 롤 바디(51)로 갈아 끼운 후와 같이, 롤 행주 끝부분을 고정 롤러(610)와 프레임 롤러(620) 사이에 끼워 넣고 고정시킬 때는, 사용자가 롤 행주 끝부분을 다소 잡아당길 수도 있다. 이 경우 롤 행주는 다소는 풀려질 수 있으면서도, 사용자가 손을 놓으면 되감겨져서 느슨하지 않게 행주기(10A)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상기 롤 탄성장치(58A)는 다소 풀려진 상기 롤 행주에 되감겨지는 장력을 제공해서, 팽팽하게 장착되게 하는 2차적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Meanwhile, the end of the roll cloth is sandwiched between the fixing roller 610 and the frame roller 620, such as after removing the used roll body 51 from the cloth roll mechanism 50 and replacing it with a new roll body 51. When inserting and securing, the user may pull the end of the roll cloth slightly. In this case, although the roll cloth may be loosened somewhat, it is preferable that the roll cloth be mounted on the hang cycle 10A so that it is rewound when the user releases the hand, and thus the roll elastic device 58A is placed on the roll cloth which is somewhat loosened. It provides a rewinding tension to perform the secondary function of tensioning.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롤 탄성장치(58A)의 태엽 스프링(58b)과 내륜(58a)을 형성하지 않고, 상기 기어 플레이트(660)에 축 삽입부를 형성해서 여기에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직접 끼워지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출된 롤 행주를 행주기(10A) 전면부에 고정시킬 때는, 롤 행주 끝부분을 사용자가 팽팽하게 잡아당겨서 팽팽하게 장착해야 바람직할 것이다. 아니면 상기 장착 스위치를 눌러서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에 맞물려 롤 행주가 고정된 직후 에, 자동으로 상기 배출 모터(650)가 롤 행주를 일정 부분 되감기게 구동해서, 롤 행주가 팽팽하게 장착되도록 할 수도 있겠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conditions, without forming the spring spring 58b and the inner ring 58a of the roll elastic device 58A, the shaft insertion part is formed in the gear plate 660, and the side cover shaft parts 53 and 55 are attached thereto.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directly. In this case, when fixing the rolled cloth rolled ou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hanger 10A,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rolled cloth rolled up tightly by the user. Alternatively, immediately after the fixing roller 610 is engaged with the frame roller 620 by pressing the mounting switch to fix the roll cloth, the discharge motor 650 automatically drives the roll cloth to rewind a portion of the roll cloth, It can also be tightened.

한편, 제 2 실시예는, 도 17을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의 행주 롤기구(50)에 구성되던 전술한 톱니 플레이트(56)와 피니언기어 세트(520)는 형성되지 않아도 되고, 연결 고리(510)는 설치되되, 연결 고리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기어 세트(520)와 맞물리던 랙 기어(515)는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second embodiment, referring to Fig. 17, the aforementioned tooth plate 56 and the pinion gear set 520, which are constituted in the cloth roll mechanism 50 of the first embodiment, do not have to be formed, and the connecting ring ( The 510 is installed, but the rack gear 515, which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ring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set 520, does not have to be formed.

또한 고정바(62)가 고정 롤러(610) 및 고정틀(630)의 구성으로 대체되면서, 제 1 실시예의 행주 고정기구(60)에 구성되던 제한 레버(65), 고정 탄성부재(66), 롤러(64R) 및 작동 레버(61)는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In addition, while the fixing bar 62 is replac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fixing roller 610 and the fixing frame 630, the limit lever 65, the fixing elastic member 66, the roller that was configured in the dish fixing mechanism 60 of the first embodiment 64R and the operation lever 61 do not need to be formed.

이렇게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팀 행주기(10A)는 다 쓴 롤 바디(51)를 새 롤 바디(51)로 보다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게 하며, 아울러 사용된 롤 행주(70) 부분을 깨끗한 부분으로 보다 손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steam hang cycle 10A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ier to replace the used roll body 51 with a new roll body 51, and the used roll cloth ( 70) Makes it easier to replace the part with a clean part.

먼저 다 쓴 롤 바디(51)를 새 롤 바디로 교체할 경우, 상기 리어 커버(17)를 올리게 되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리어커버 접촉부(17a)가 연결고리 접촉부(513)를 접촉해서 밀어내게 됨으로써,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롤바디 축삽입부(51a)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동시에 상기 장착 모터(640)도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로부터 분리되고 롤 행주 끝부분이 밑으로 빠질 수 있게 되어, 사용이 완료된 롤 바디(51)를 행주기(10A)로부터 제거할 수 있게 된다. 그 다음 새 롤 바디(51)를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에 걸치고 리어 커버(17)를 내리게 되면,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탈장착 탄성부재(530)의 탄성 에 의해 상기 사이드커버 축부(53,55)가 롤바디 축삽입부(51a)에 삽입되면서 결합되게 된다. 직후에 상기 배출 모터(650)가 자동으로 구동되어 상기 롤 바디(51)를 회전시켜서, 롤 행주가 일정 부분 배출된다. 이 배출된 롤 행주의 끝부분을 다소 잡아당기면서 상기 고정 롤러(610)와 프레임 롤러(620) 사이에 끼워 넣고, 동일한 손가락으로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 설치된 상기 장착 스위치를 누르게 되면, 상기 장착 모터(640)가 구동해서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에 결합되고, 롤 행주는 장력까지 작용해서 팽팽하게 행주기(10A)에 장착되게 된다. 이로써 새로운 롤 바디(51)로의 교체가 완료되게 된다.When the used roll body 51 is replaced with a new roll body, when the rear cover 17 is raised, the rear cover contact part 17a contacts the contact ring contact part 513 as in the first embodiment. By pushing out, the side cover shaft parts 53 and 55 are spaced apart from the roll body shaft insertion part 51a. At the same time, the mounting motor 640 is also automatically driven, so that the fixed roller 610 can be separated from the frame roller 620 and the end of the roll cloth can be pulled out, so that the used roll body 51 is finished. It becomes possible to remove from 10A. Then, when the new roll body 51 is put on the side cover shaft portions 53 and 55 and the rear cover 17 is lowered, the side cover shaft portion is caused by the elasticity of the detachable elastic member 5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53 and 55 are coupled to the roll body shaft insert 51a. Immediately afterwards, the discharge motor 650 is automatically driven to rotate the roll body 51 so that the roll cloth is discharged to some extent. When the end of the roll roll is slightly pulled in and sandwiched between the fixing roller 610 and the frame roller 620, and pressing the mounting switch installed on the front part of the body frame 15 with the same finger, The mounting motor 640 is driven so that the fixing roller 610 is coupled to the frame roller 620, and the roll cloth is tensioned to be mounted on the row cycle 10A. This completes the replacement with the new roll body 51.

다음, 행주기(10A)를 사용하면서 롤 행주(70)의 사용된 부분을 빼내고 깨끗한 부분으로 교체하는 경우, 상기 배출 스위치를 누르면 누르는 동안 상기 배출 모터(650)가 계속 구동되고, 상기 사이드 커버(52,54)와 상기 프레임 롤러(620)가 회전하여, 롤 행주는 항상 팽팽한 상태로 배출되게 된다. 그 다음 사용된 롤 행주 부분을 전술한 커터용 톱날(15a; 도 2 및 도 14 참조) 등을 이용해서 절단해 버리면 된다.Next, when the used portion of the roll cloth 70 is removed and replaced with a clean portion while using the row cycle 10A, the discharge motor 650 is continuously driven while pressing the discharge switch, and the side cover ( 52, 54 and the frame roller 620 is rotated, so that the roll cloth is always discharged in a tight state. What is necessary is just to cut the used roll cloth part using the cutter saw blade 15a (refer FIG. 2 and FIG. 14) etc. which were mentioned above.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배출 스위치를 한번 누를 때마다 일정 부분 상기 배출 모터(650)가 구동되어, 일정 부분만큼 롤 행주가 배출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each time the discharge switch is pressed once, the discharge motor 650 may be driven to a certain portion so that the roll cloth is discharged by a predetermined portion.

한편 상기 장착 스위치는 전술된 바처럼,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에 밀착되게끔 상기 장착 모터(640)를 구동시키기도 하지만, 아울러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로부터 분리되게끔 구동시킬 수도 있도록 구성 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switch may drive the mounting motor 640 such that the fixing roller 6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rame roller 620, but the fixing roller 610 may be connected to the frame roller 620.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driven apart from it.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배출 모터(650)의 전방 축 끝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전방 웜(651)과, 상기 프레임 롤러(620)에 형성되는 기어부는 서로 직접 접촉하여 상대 회전하지 않고, 둘 사이에 상기 연결 기어(655)와 유사한 매개체를 별도로 설치하여 각기 상대 회전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front worm 651 formed at the front shaft end of the discharge motor 650 and the gear portion formed at the frame roller 620 do not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by directly contacting each other. A similar medium similar to the connection gear 655 may be separately installed on each other so as to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또한 실시 조건에 따라서 상기 프레임 롤러(620)는,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서 좌우로 분리될 뿐만 아니라 상하로도 분리된 총 네 부분으로 노출되어,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상하로 분리된 프레임 롤러(620) 사이에 상기 고정 롤러(610)가 맞물려서, 삼각구조를 형성해서 롤 행주(70)를 고정하는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ame roller 620 is not only separated from the left and right i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frame 15, but also exposed to a total of four parts separated up and down, and rotates in the same direction with each other, it is separated up and down The fixing roller 610 is engaged between the frame rollers 620, thereby forming a triangular structure to enhance the effect of fixing the roll cloth 70.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장착 모터(640)와 장착 스위치를 구성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따라서 이 장착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에 탈착되는 기능은 삭제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행주기(10A)에는 제 1 실시예의 행주 고정기구(60)를 구성하던 장치들이 그대로 구성되어, 전술된 작동 레버(61)를 눌러서 상기 고정 롤러(610)를 프레임 롤러(620)에 탈착시키게 된다. 다만 1 실시예의 톱니 플레이트(56)와 맞물려서 행주 롤기구(50)의 회전을 제한하던 제한 레버(65)는 구성되지 않아도 되며, 전술되었듯 고정바(62)는 전면부(62a)가 상기 고정 롤러(610)로 대체되게 된다.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mounting motor 640 and the mounting switch may not be configured. Therefore, the function of driving the mounting motor to detach the fixing roller 610 from the frame roller 620 may be deleted. . In this case, in the hang cycle 10A, the devices that constituted the hanger fixing mechanism 6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configured as they are, and the pressing roller 61 is detached from the fixing roller 610 to the frame roller 620 by pressing the operation lever 61 described above. Let's go. However, the limiting lever 65, which is engaged with the tooth plate 56 of the first embodiment and restricts the rotation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does not have to be configured, and as described above, the fixing bar 62 has the front portion 62a fixed thereto. To be replaced by a roller 610.

또한 실시 조건에 따라서 상기 배출 모터(650)는, 상기와 같이 사이드 커버(52,54)와 프레임 롤러(620) 둘 다를 회전시키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롤러(620) 만을 회전시켜서 롤 행주를 배출시키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프레임 롤러(620)는 롤 행주를 뒤로 되감지는 못하게 구성되며, 제 1 실시예의 행주 롤기구(50)에 설치되던 롤 탄성장치(58A)가 그대로 설치되어, 배출되는 롤 행주에 장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또한, 제 1 실시예의 행주 고정기구(60)의 제한 레버(65)와 행주 롤기구(50)의 톱니 플레이트(56)가 그대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 롤러(610)가 프레임 롤러(620)에 밀착되면, 상기 제한 레버(65)가 톱니 플레이트(56)에 맞물려서 행주 롤기구(50)의 회전을 제한하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discharge motor 650 to rotate the frame roller 620 only to discharge the roll cloth, not to rotate both the side cover (52, 54) and the frame roller 620 as described above. It may be configured. In this case, the frame roller 620 is configured not to rewind the roll cloth, the roll elastic device 58A installed in the cloth roll mechanism 50 of the first embodiment is installed as it is, the tension on the roll cloth discharged It can be configured to provide. In this case, the limit lever 65 of the cloth fixing mechanism 60 and the tooth plate 56 of the cloth rolling mechanism 50 of the first embodiment are formed as it is, so that the fixing roller 610 is the frame roller 620. ), It is preferable that the limit lever 65 is configured to engage the tooth plate 56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cloth roll mechanism 50.

실시 조건에 따라서 상기 배출 모터(650)는 양측으로 두 개로 형성되어, 상기 프레임 롤러(620)와 양 사이드 커버(52,54)를 각각 회전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two discharge motors 650 may be formed at both sides, and may be configured to rotate the frame rollers 620 and both side covers 52 and 54, respectively.

롤 행주 끝부분을 쥔 사용자의 손가락이 용이하게 통과될 수 있게끔, 본체 프레임(15) 전면부에서 각기 두 부분으로 나누어졌던 상기 고정 롤러(610)와 프레임 롤러(620)는,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나누어지지 않을 수도 있다.The fixing roller 610 and the frame roller 620, which were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front part of the main frame 15 so that a user's finger holding the end of the roll cloth, can be easily pass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may not be divid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조작(제어) 구조 및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an operation (control) structure and a control method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도 2와 도 4를 참조하면, 물 저장통(20)과 행주 롤기구(50) 사이에는 손잡이(13)가 구성된다. 2 and 4, a handle 13 is configured between the water reservoir 20 and the dish roll mechanism 50.

이 손잡이(13) 상면에는 스팀을 발생시키면서 행주기(10,10A)를 사용자가 간 편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작동 스위치(171)가 설치되며, 가열 표시등, 충전 램프 및 물보충 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작동상태 알림부(175)가 설치될 수 있다.An operation switch 171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le 13 so that the user can easily operate the row cycles 10 and 10A while generating steam. The operation consists of a heating indicator lamp, a charging lamp, and a water replenishment lamp. Status notification unit 175 may be installed.

먼저, 상기 작동 스위치(171)는 전술한 스팀 발생부(40)가 스팀을 발생시키게끔 제어 회로부(30)에 신호를 입력하는 장치로서, 준비(READY), 발생(STEAM) 및 중지(PAUSE)의 세 단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operation switch 171 is a device for inputting a signal to the control circuit unit 30 to cause the above-described steam generator 40 to generate steam, READY, STEAM and PAUS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ree stages are configured to be selectable.

먼저, 준비 단계는 스팀 챔버(45) 내부로 물은 공급되지 않지만, 상기 스팀 챔버(45)의 챔버 가열체(41)를 충분히 가열시켜서 물만 닿으면 스팀이 발생되게끔 준비시키는 단계이다. First, a preparation step is a step in which water is not supplied into the steam chamber 45, but is sufficiently heated by heating the chamber heater 41 of the steam chamber 45 so that steam is generated when only water is touched.

다음, 발생 단계는 상기 준비 단계처럼 챔버 가열체(41)를 가열시키기도 하지만, 스팀 챔버(45)내로 물 공급까지 시킴으로써, 가열된 스팀 챔버(45)에 물이 닿아 스팀이 발생하게 되는 단계이다.Next, the generating step is to heat the chamber heating element 41 as in the preparation step, but by supplying water into the steam chamber 45, the water reaches the heated steam chamber 45 to generate the steam.

마지막 중지 단계는 상기 스팀 챔버(45) 내로의 물공급도 중단되고, 챔버 가열체(41)의 가열도 중지되는 단계이다. The last stop step is to stop the water supply to the steam chamber 45, the heating of the chamber heater 41 is also stopped.

상기와 같이 세 단계로 작동 스위치(171)를 조작하면, 상기 제어 회로부(30)는 각 단계에 상응하는 신호를 입력받아 해당되는 장치들을 작동시키게 된다. 이렇게 세 단계로 구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행주기(10,10A, 이하 10으로 통일)를 사용하면서도 중간 중간에 스위치를 조작하여, 필요한 경우에만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When the operation switch 171 is operated in three stages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circuit unit 30 receives a signal corresponding to each stage to operate the corresponding devices. In this three-step configuration, the user can generate steam only when necessary by operating the switch in the middle while using the row cycles (10, 10A, unified in the following 10).

실시 조건에 따라서 상기 준비나 발생 단계로 작동 스위치(171)를 조작하게 되면, 스팀발생이 충분한 일정 온도에 스팀 챔버(45)가 도달될 때까지는, 배터리 전원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전류를 상기 챔버 가열체(41)에 공급되게 해서 신속히 스팀발생이 가능하도록 하고, 이 일정 온도에 도달된 후부터는 그 온도로 유지만 시키게끔 가열과 일시 중단을 반복한다든지, 아니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류가 공급되게끔 회로를 구성할 수 있겠다. When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171 in the preparation or generation step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until the steam chamber 45 reaches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fficient to generate steam, a relatively large current is supplied to the battery power by the chamber heating element The circuit is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41) so that steam can be generated quickly and the heating and suspend may be repeated to maintain only the temperature after reaching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or to supply a relatively small current. I can do it.

중지 단계에서 준비 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발생 단계로 스위치를 조작할 수도 있겠는데, 온도감지 센서(43)를 설명하면서 전술된 바와 같이, 이 경우 스팀 챔버(45)가 스팀을 발생시킬 정도로 충분히 가열됐을 때만 스팀 챔버(45) 안으로 물이 공급되게끔 구성해서, 기화되지 않은 물이 분사홀(19a) 밑으로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It is also possible to operate the switch directly to the generation step without going through the preparation step in the stopping step. As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the temperature sensor 43, in this case, the steam chamber 45 may have been heated enough to generate steam. Only when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chamber 45, it is preferable to prevent the unvaporized water flows down the injection hole (19a).

상기 작동 스위치(171)의 인근에는 두 개의 가열 표시등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전술한 물 저장통(20)의 수온감지 센서(230)와 스팀 챔버(45)의 온도 감지센서(43)가 독립적으로 감지하는 온도변화에 각각 감응해서 정도나 밝기가 변화되면서 점등되어, 상기 저장통(20) 물과 스팀 챔버(45)의 가열 정도를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게끔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가열 표시등의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wo heating indicators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operation switch 171.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230 of the water reservoir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43 of the steam chamber 45 are independently In response to the sensed temperature changes, respectively, the degree or brightness is turned on, so that the reservoir 20 may be configured to visually show the degree of heating of the water and the steam chamber 45. Of course, the position of the heating indicator may vary.

다음, 상기 손잡이(13) 상부 일측에는 충전 램프와 물보충 램프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충전램프는 행주기(10) 일측에 구비되는 배터리(35)의 전기 충전량이 충분한지, 또는 충전 중인지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장치이고, 물보충 램프는 전술한 수위 센서(240; 도 5 참조)의 감지 결과에 따라 저장통(20)의 물이 저수위 단자(242) 밑까지 소모되면, 켜지면서 물 보충 필요성을 시각적으로 경고해주 는 장치이다.Next, it is preferable that a charging lamp and a water replenishment lamp ar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handle 13, and the charging lamp has sufficient electric charge of the battery 35 provided at one side of the row cycle 10, or is being charged. Is a device that visually shows the water, and the water refill lamp turns on when the water in the reservoir 20 is consumed below the low water level terminal 242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above-described water level sensor 240 (see FIG. 5). It is a visual warning device.

다음, 상기 손잡이(13)의 하측 부분에는 배터리(35)가 장착될 수 있는바, 이 배터리는,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 안착된 상태에서는 거치대로부터 제공되는 전기로 자동 충전되고, 거치대(100)에서 분리되는 시점부터는 행주기(10)의 각 구성 장치들에 지속적으로 전원을 제공하면서, 스팀발생 및 기타 모든 제어와 작동을 가능하게 한다.Next, a battery 35 may be mount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andle 13, and the battery is automatically charged with electricity provided from the holder in a state where the row cycle 10 is seated on the holder 100. From the point of separation from the cradle 100, while continuously providing power to each component of the row cycle 10, it enables steam generation and all other control and operation.

한편, 행주기(10)에는, 모드선택 스위치가 구비될 수 있다. 모드선택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에서 수행되는 거치예열모드와 거치가열모드를 선택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row period 10 may be provided with a mode selection switch. Preferably,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configured to perform a function of selecting a preheating mode and a deferred heating mode performed in a state where the row cycle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00.

먼저, 상기 거치예열모드는 거치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물 저장통(20)의 물 가열체(220)를 가열시켜서, 물이 끓기 이전의 일정 온도까지만 예열시키는 모드이다. First, the fermentation preheating mode is a mode in which the water heating element 220 of the water reservoir 20 is he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thereby preheating only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efore the water boils.

반면, 상기 거치가열모드는 거치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물 가열체(220)와 스팀 챔버(45)의 챔버 가열체(41) 둘 다를 순간 가열시켜서, 상기 물 저장통(20)에서는 물이 끓게 되고, 스팀 챔버(45)에서는 언제든지 물만 닿으면 스팀발생 가능하게 되는 모드이다.On the other hand, the fermentation heating mode instantaneously heats both the water heater 220 and the chamber heater 41 of the steam chamber 45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lder, so that the water is boiled in the water reservoir 20. In the steam chamber 45 is a mode in which steam can be generated by touching only water at any time.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는 일정 온도에 도달될 때까지는 순간적으로 많은 전류를 해당 가열체(220, 41)에 공급되게 해서 신속히 예열되거나 순간가열 되도록 하고, 일정 온도에 도달된 후부터는 그 온도로 유지만 시키게끔 가열과 일시 중단을 반복한다든지, 아니면 상대적으로 적은 전류만 공급되도록 회로 구성할 수도 있겠다.  In some embodiments, the preheating preheating mode or the preheating heating mode allows a large amount of current to be instantaneously supplied to the corresponding heating elements 220 and 41 until a predetermined temperature is reached, so that the preheating mode or the preheating mode is rapidly heated. Once reached, the heating and suspend may be repeated to maintain only that temperature, or the circu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relatively little current.

또한, 상기 거치가열모드의 경우는 거치예열모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전류를 상기 물 가열체(220)와 챔버 가열체(41)에 공급되게 해서, 순간적으로 높은 온도에 도달되게 구성할 수도 있겠다.In addition, the fermentation heating mode may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the water heater 220 and the chamber heater 41 in a relatively high temperature compared to the fermentation preheating mode to reach a high temperature instantaneously. .

한편, 상기 두 모드는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서 분리되면, 거치대로부터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자동으로 종료되게 된다. 그런데 거치가열모드의 경우, 행주기(10)가 분리되어 자동으로 종료되지 않고 순간 가열이 계속 진행된다면, 과열의 위험과 더불어 많은 전원 소비가 우려될 것이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거치가열모드는, 상기 물 저장통(20)의 수온감지 센서(230)와 스팀 챔버(45)의 온도감지 센서(43)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다가 스팀발생이 충분한 일정 온도에 도달되었음을 감지한 후부터 일정 시간 동안만 진행되게 구성되고, 일정 시간이 지나도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서 분리되지 않는다면, 자동으로 거치예열모드로 전환되거나, 아니면 상기 두 가열체(220, 41)에 제공되던 전원이 차단되게끔 제어 회로부(3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On the other hand, the two modes are automatically terminated when the row cycle 10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100, becaus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is cut off. However, in the heating heating mode, if the row cycle 10 is separated and not automatically terminated and the instant heating is continued, a lot of power consumption will be concerned with the risk of overheating. In order to prevent this, the heating mode, at least one of the water temperature sensor 230 of the water reservoir 20 and the temperature sensor 43 of the steam chamber 45, preferably both of the predetermined temperature sufficient to generate steam It is configured to procee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fter detecting that the time has been reached, and if the row cycle 10 is not separated from the cradle 100 even after a certain time, it is automatically switched to the preheating mode, or the two heating elements 220 It is preferable to configure the control circuit unit 30 to cut off the power provided to the, 41.

상기와 같은 거치가열모드나 거치예열모드가 진행되다가 행주기(10)가 거치대에서 분리되면, 이 후 행주기(10)는 별도로 조작하지 않는 한, 자동으로 전술된 작동 스위치(171)의 준비(READY) 단계로 진행되게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가 진행되던 중이었다면, 상기 물 가열체(220)나 챔버 가열체(41) 중 적어도 하나는 예열되거나 순간 가열되던 중이었기 때문에, 적어도 챔버 가열체(41)를 스팀발생이 충분한 일정 온도로 가열과 유지를 반복하는 준비 단계로 자동 진행되는 것이, 재가열에 소요되는 시간과 배터리 전원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처럼, 상기 두 모드가 진행되다 행주기(10)가 분리되면 자동으로 진행되는 준비 단계에 있다가, 스팀발생이 필요할 때 상기 작동 스위치(171)를 발생(STEAM) 단계로 전환시키거나, 스팀발생이 필요 없으면 중지(PAUSE) 단계로 전환하면 되겠다. When the row cycle 10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while the column heating mode or the column preheating mode is per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row cycle 10 is automatically prepared unless the operation cycle 107 is operated separately. READY) step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roceed. If the stationary preheating mode or the stationary heating mode is in progress, at least one of the water heating body 220 and the chamber heating body 41 is being preheated or instantaneously heated, so that at least the chamber heating body 41 is steamed. Automatically proceeding to the preparatory stage of repeating heating and maintenance to a constant temperature enough to occur because the time required for reheating and battery power consumption can be minimized. As such, when the two modes are in progress and the cycle period 10 is separated, the operation is automatically performed in a preparation stage, and when the steam generation is required, the operation switch 171 is switched to the STEAM stage or steam is generated. If you don't need it, you can switch to the PAUSE step.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는 실시 조건에 따라 거치대(100)에 설치될 수도 있겠다. The mode selection switch may be installed in the holder 10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또한 모드선택 스위치는 상기 거치예열과 거치가열모드 선택 기능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장치의 일부나 모든 구성 장치들에 전원을 차단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도록, 전원 ON/ OFF 모드도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ode selection switch includes a power on / off mode so as to perform a function of disconnecting power to some or all components of the steam dishwas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he function of the preheating and the heating heating mode selection. Can be configured.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모드선택 스위치는 거치예열과 거치가열 두 모드 선택 기능만 그대로 수행하게 하고, 상기 전원 ON/ OFF 모드를 수행하는 별도의 스위치를 행주기(10)나 거치대(100) 중 적어도 한 곳에 구성할 수도 있겠다.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the mode selection switch performs only the two mode selection functions of the preheating and the fermentation heating, and a separate switch for performing the power on / off mode is performed at least in the row cycle 10 or the cradle 100. It could be organized in one place.

한편, 행주기(10)의 일측에는 외부전원 잭(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는바, 이는 시거 잭 등의 차량 전원에 연결하여 행주기(10)를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Meanwhile, an external power jack (not shown)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row cycle 10, which is configured to use the row cycle 10 by connecting to a vehicle power source such as a cigar jack.

이 외부전원 잭에 차량 전원 등을 연결할 경우, 행주기(10)는 거치대(100) 없이 배터리(35)를 충전시킬 수도 있고, 전술한 모드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여 예열 및 순간 가열될 수도 있으며, 더불어 상기 작동 스위치(171)를 조작하여 준비(READY) 단계나 발생(STEAM) 단계로 진행시킬 수도 있게끔 구성된다.When the vehicle power is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jack, the row cycle 10 may charge the battery 35 without the cradle 100, may be preheated and instantaneously heated by operating the mode selection switch described above.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171 is configured to proceed to the READY stage (STEAM) stage.

또한 가용한 배터리 전원이 고갈된 경우 등에는, 상기 외부전원 잭에 외부 A/C 전원을 연결하여 상기와 같은 충전, 예열, 순간 가열, 스팀 발생 등의 모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실시 조건에 따라, 행주기(10)에 별도의 전원변환 장치가 구비되거나, 제어 회로부(30)에 전원변환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available battery power is depleted, the external A / C power source may be connected to the external power jack so that all functions such as charging, preheating, instant heating, and steam generation may be performed. . In this case, a separate power convers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row period 10 or the power conversion circuit may be included in the control circuit unit 30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

도 1 및 도 17에서 행주기(10)의 뒤 쪽에 설치된 것으로 도시된 단자(31)는, 거치대(100)의 후술될 전원 연결부(115)와 접속되어 거치대로부터 전원을 제공받고 각종 제어신호를 주고받는 전원연결 단자(31)이다. 1 and 17, the terminal 31 illustrated as installed on the rear side of the row cycle 10 is connected to a power connection unit 115 to be described later of the holder 100 to receive power from the holder and provide various control signals. The receiving power connection terminal 31.

다음, 도 31 내지 도 37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행주기(10)가 거치되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100A)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Next, various embodiments of the holder 100 (100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row cycle 10 as described above is mount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1 to 37.

도 31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제 1 실시예인 싱글타입 거치대(100)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도 31은 전면 방향 사시도, 도 32는 평면도, 도 33은 내부 구조가 도시된 전면 방향 사시도, 도 34는 내부 구조가 도시된 배면 방향 사시도, 도 35는 출수꼭지 승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31 to 35 are views showing a single type cradle 100 as a first embodiment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FIG. 32 is a top view, and FIG. 33 is a front direction in which the internal structure is shown. 3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nternal structure, and FIG. 3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ap water lifting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싱글타입 거치대(100)는 그 외형이 기본적으 로 받침대(110)와 커버(120)의 결합 구조로 이루어지고, 이 결합 구조 중 적어도 일측이 개방되어, 본 발명의 스팀 행주기(10, 10A ; 이하 10으로 통일함)를 삽입하여 안착시킬 수 있는 거치부(101)가 형성된다.Single hanger 100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ically made of a coupling structure of the pedestal 110 and the cover 120, at least one side of the coupling structure is opened, A cradle portion 101 is formed to insert and insert steam hang cycles 10 and 10A;

여기서 상기 거치부(101)는 상기 받침대(110) 상면에 행주기(10)의 하부가 안착되는 안착부(112)와, 상기 받침대(110) 테두리에 행주기(10) 테두리가 치합되어 거치되는 받침벽(113)과, 상기 안착부(112)의 상부 일측에 상기 커버(120)의 적어도 일면이 개방되어 행주기(10)의 일부가 끼워지는 결합부(121)로 구성된다.Here, the mounting portion 101 is a seating portion 112, the lower portion of the row cycle 10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edestal 110, and the row cycle 10 edge is engaged with the border of the pedestal 110 is mounted At least one surface of the cover 120 is opened to a support wall 113 and an upper side of the seating part 112, and a coupling part 121 into which a part of the row cycle 10 is fitted.

또한 상기 거치대(100)는 외부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행주기(10)의 물 저장통(20)에 공급하는 물 공급부(103)와, 상기 행주기(10)의 전원 연결단자(31)와 접속되는 전원 연결부(115)와, 행주기(10)의 제어 회로부(30)와 교신하면서 해당 제어 요소들을 제어하는 제어 회로부(116)로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holder 100 is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unit 103 for supplying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water reservoir 20 of the row cycle 10,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31 of the row cycle 10 And a control circuit portion 116 which communicates with the power supply connection portion 115 and the control circuit portion 30 of the row period 10 and controls the corresponding control elements.

상기 물 공급부(103)의 끝에는 자동으로 행주기의 급수부(21)에 삽입되는 상기 출수 꼭지(160)가 결합된다.At the end of the water supply unit 103, the water tap 160 inserted into the water supply unit 21 of the row cycle is coupled.

먼저, 상기 물 공급부(103)는, 도 1에서와 같이, 호스용 밸브(V)가 연결되어 수도관 등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수도 라인(135)과, 페트병 등 물병(B)으로부터 물을 공급받는 물병 라인(131)과, 상기 수도 라인(135)과 물병 라인(131)이 합류하는 지점에 구비된 절환 밸브(140)와, 상기 절환 밸브(140)와 상기 출수 꼭지(160) 사이를 연결하는 출수관(162)과, 상기 출수관(162)의 일측에 구비되어 행주기(10)로의 물공급을 제어하는 물공급 제어밸브(150)로 구성된다.First, the water supply unit 103, as shown in Figure 1, the hose valve (V) is connected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supply line 135 and the water bottle (B), such as a PET bottle is supplied with water from a water pipe, etc. A water bottle line 131, a switching valve 140 provided at a point where the water line 135 and the water bottle line 131 join, and connecting between the switching valve 140 and the water tap 160. It is composed of a water supply pipe 162 and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150 provided on one side of the water outlet pipe 162 to control the water supply to the row cycle (10).

상기 수도 라인(135)은 도 1의 호스용 밸브(V)가 연결되어 수도관 등으로부 터 물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거치대 일측에 형성되는 수도 연결부(136)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절환 밸브(140)까지가 된다.The water line 135 is connected to the valve valve (V) of FIG. 1 is connected to the switch valve 140 starting from the water connection portion 136 formed on one side of the cradle to receive water from the water pipe, etc. Becomes

상기 물병 라인(131)은, 커버(120)의 상부에 페트병(B) 등을 꽂아서 장착할 수 있는 오목한 구조의 물병 결합부(122)의 중앙에 돌출되거나 함몰되어 형성되는 입수관으로부터 시작되어 상기 절환 밸브(140)까지가 된다.The water bottle line 131 starts from an inlet pipe formed by protruding or recessed in the center of the water bottle coupling part 122 having a concave structure that can be mounted by inserting a PET bottle B on the upper part of the cover 120. Up to the switching valve 140.

상기 절환 밸브(140)는,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노출홀(125)을 통해 외부로 노출된 절환 레버(145)를 조작하여, 상기 수도 라인(135) 또는 물병 라인(131)으로부터의 물의 유입 방향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이다.As shown in FIG. 32, the changeover valve 140 operates the changeover lever 145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ever exposure hole 125, and thus, from the water line 135 or the water bottle line 131. It is a device configured to select the inflow direction of the water.

상기 출수관(162)은,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절환 밸브(140)와 상기 출수 꼭지(160) 사이를 연결하면서 물이 통과되는 관인데, 그 일측에 상기 물공급 제어밸브(150)가 구비된다. 끝에 상기 출수 꼭지(160)가 결합되는 상기 출수관(162)은, 승강 작동되는 상기 출수 꼭지(160)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게끔, 융통성 있는(Flexible) 소재와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34, the water supply pipe 162 is a pipe through which water passes while connecting between the switching valve 140 and the water tap 160, and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150 is provided at one side thereof. It is provided. At the end, the outlet pipe 162 to which the outlet tap 160 is coupled is preferably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a structure so as to allow movement of the outlet tap 160 to be elevated.

상기 출수 꼭지(16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급수부(21)의 출수홀(25a)을 통해 물 저장통(20) 내부로 물을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끝단부가 일부 삭제되거나, 도 35에서와 같이 다수의 홀(16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utlet faucet 160, the end portion is partially removed so as to smoothly supply the water into the water reservoir 20 through the outlet hole 25a of the water supply unit 21 as shown in Figure 6, or Figure 35 As in the plurality of holes 161 is preferably formed.

한편, 상기 출수 꼭지(16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 거치되거나 분리되면, 자동으로 승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바, 이를 위해서 다양한 방식의 출수꼭지 승강장치(180)가 거치대(100)에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ater tap 16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automatically lift when the row cycle 10 is mounted or separated on the cradle 100 as described above, for this purpose tap water lifting device 180 of various methods ) May be configured in the cradle 100.

출수꼭지 승강장치(180)는, 한 가지 실시예를 들자면 도 35를 참조하듯이, 거치대의 상기 받침벽(113) 내부에 설치되어, 행주기(10)를 거치부(101)에 안착시켜 누르면 하강하고, 행주기를 안착부(112)로부터 분리시키면 원상태로 상승하는 수평틀(181, 182)과, 이 수평틀(181, 182)을 원상태로 상승하게끔 탄성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83)와, 상기 수평틀(181)의 양측부에서 위쪽 커버(120) 내부로 연결되어 상기 수평틀(181)이 승강 작동을 하면 동반 승강 작동을 하는 두 개의 수직틀(185)과, 상기 두 개의 수직틀(185) 상단부를 연결하면서 일측에 상기 출수 꼭지(160)가 결합되는 승강틀(187)로 구성될 수 있다.The tap water elevating device 180 is installed inside the support wall 113 of the mounting base, as shown in FIG. 35 for one embodiment, and presses the row cycle 10 to the mounting portion 101. A horizontal frame 181, 182 which is lowered and is separated from the seating portion 112 by rising, and an elastic member 183 which provides elasticity to raise the horizontal frame 181, 182 to its original state, Two vertical frames 185 are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upper cover 120 at both sides of the horizontal frame 181 to perform the accompanying lifting operation when the horizontal frame 181 moves up and down, and the two vertical frames ( 185) while connecting the upper end may be composed of a lifting frame 187 is coupled to the water extraction faucet 160 on one side.

이 경우, 상기 출수 꼭지(160)와 더불어 상기 승강틀(187)을 수직이나, 아니면 의도한 일정한 각도로 승강되게 유도하는 별도의 가이드 장치가 구성될 수도 있다. In this case, a separate guide device may be configured to guide the lifting frame 187 together with the water extraction faucet 160 to be elevated vertically or at an intended constant angle.

이와 같은 출수꼭지 승강장치(180)는 거치대(100)에 행주기(10)가 장착되면, 행주기(10)가 걸림돌기(181a)를 누르면서 수평틀(181,182)을 하강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수직틀(185) 및 승강틀(187)이 하강하면서 출수 꼭지(160)가 행주기(10)의 급수부(21)에 결합되게 된다.When the water tap elevating device 180 is equipped with a row cycle 10 on the holder 100, the row cycle 10 lowers the horizontal frames 181 and 182 while pressing the stop protrusion 181a, and thus vertically. As the mold 185 and the lifting frame 187 are lowered, the water tap 160 is coupled to the water supply part 21 of the row cycle 10.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구동 모터를 장착하여 상기 출수 꼭지(160)를 자동으로 승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거치대(100)에 행주기(10)가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별도의 감지 센서를 설치하거나, 아니면 행주기(10)의 상기 전원연결 단자(31)에 거치대(100)의 전원 연결부(115)가 접속되는지를 감지해서, 행주기(10)가 거치될 때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출수 꼭지(160)가 하강되도록 구 성하고, 행주기가 분리되면 반대 방향으로 상기 구동 모터가 구동되어 상기 출수 꼭지(160)가 상승되도록 구성할 수 있겠다. 이 경우 행주기(10)가 거치될 때는 다소 늦게 상기 출수 꼭지(160)가 하강되고, 행주기가 분리될 때는 즉시 상승되게끔 상기 구동 모터가 제어되도록 회로 구성할 수도 있겠다.In some embodiments, a driving motor may be mounted to automatically lift the water tap 160. In this case, a separate detection sensor is installed to detect whether the row period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00, or the power connection unit of the holder 100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31 of the row period 10. When the row period 10 is mounted, the driving motor is driven to configure the outlet tap 160 to descend, and when the row period is separated, the driving motor is driven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detect the connection. The water tap 160 may be configured to be raised. In this case, when the row cycle 10 is mounted, the discharge tap 160 may be lowered somewhat later, and the driving motor may be controlled to be raised immediately when the row cycle is separated.

또한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탄성 부재를 갖추는 등의 별도의 레버 장치를 설치하고, 이 레버 장치를 조작하여 출수 꼭지(160)가 승강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겠다.In additi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another lever device, such as having an elastic member, may be provided, and the lever device may be configured to move up and down by operating the lever device.

한편, 상기 출수관(162)은 출수 꼭지(160)를 포함하여 그 일부나 전체에 열선 등의 가열체를 설치하여, 행주기(10)로 공급되는 물이 상기 출수관(160)을 거치면서 어느 정도 예열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outlet pipe 162 is provided with a heating element such as a heating wire in a part or the whole, including the outlet tap 160, while the water supplied to the row cycle 10 passes through the outlet pipe 160 It may be configured to be preheated to some extent.

상기 물공급 제어밸브(150)는 전술한 물 저장통(20) 내 만수위 단자(241)가 물에 잠기기 전까지는 자동으로 행주기(10)의 급수부(21)로 물을 공급하게끔 제어되며, 만수위 단자(241)가 물에 잠겨서 만수위 단자(241)와 공통 단자(243) 간에 전류가 통하게 되면 급수부(21)로의 물 공급을 중지시키게끔 제어된다(도 5 참조). 상기 물공급 제어밸브(150)는 솔레노이드 밸브나 다른 전자식 제어밸브 등을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하여 사용할 수 있겠다.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150 is controlled to automatically supply water to the water supply unit 21 of the row cycle 10 until the above water level terminal 241 in the water reservoir 20 is immersed in water, and the water level When the terminal 241 is submerged in water and current flows between the high water level terminal 241 and the common terminal 243, the terminal 241 is controlled to stop the water supply to the water supply 21 (see FIG. 5).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 150 may be used by variously adopting a solenoid valve or other electronic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한편 실시 조건에 따라, 상기 물 공급부(103)에는 수도라인(135) 없이 물병 라인(131)만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에 상기 절환 밸브(140), 레버 노출홀(125) 및 절환 레버(145)는 구성되지 않겠다.Meanwhi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nly the water bottle line 131 may be configured in the water supply unit 103 without the water line 135. Of course, in this case, the switching valve 140, the lever exposure hole 125 and the switching lever 145 will not be configured.

다음, 상기 전원 연결부(115)는 상기 거치부(101)의 받침벽(113) 일측에 형성되는데, 행주기(10)의 상기 전원 연결단자(31)와 접속되어 행주기(10)에 전원을 공급하고, 각종 제어신호를 입출력하는 연결부이다.Next, the power connection unit 115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support wall 113 of the mounting unit 101, and is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31 of the row cycle 10 to supply power to the row cycle 10. It is a connection part for supplying and inputting / outputting various control signals.

상기 거치대의 제어 회로부(116)는 상기 전원 연결부(115)를 통해 행주기(10)와 각종 제어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거치대(100)와 행주기(10)의 제어 요소들을 상호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 제어 회로부(116)에는 외부 전원코드(114)를 통해 유입되는 A/C 전원을 D/C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변환 회로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외부의 전원변환 장치를 미리 거쳐서 거치대(100)에 D/C 전원이 유입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어 회로부(116)에 전원변환 회로가 포함되지 않아도 되겠다.The control circuit unit 116 of the cradle is configured to mutually control the control elements of the cradle 100 and the row cycle 10 while exchanging various control signals with the row cycle 10 through the power connection unit 115. The control circuit unit 116 may include a power conversion circuit for converting the A / C power flowing through the external power cord 114 to the D / C power.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 when the D / C power is introduced into the holder 100 via an external power converter in advance, the power converter may not be included in the control circuit unit 116.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거치대(100) 물 공급부(103) 일측에 가열체를 장착한 별도의 물 저장통을 설치해서, 이 물 저장통에서 이미 예열된 후 물이 행주기(10)로 공급되게끔 구성하여, 신속한 스팀 발생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거치대(100)의 물 저장통에는 상기 행주기(10)의 물 저장통(20)과 마찬가지로 물 가열체, 수위 센서, 수온감지 센서 및 증기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거치대(100)의 물 공급부(103)에는 두 개의 물공급 제어밸브(150), 즉 상기 거치대(100) 물 저장통으로의 물 유입을 자동 조절하는 물공급 제어밸브와, 이 거치대(100) 물 저장통으로부터 행주기(10) 물 저장통(20)으로의 물 공급을 자동 조절하는 물공급 제어밸브(150)가 각각 별도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a separate water reservoir having a heating body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radle 100 of the water supply unit 103 may be preheated in the water reservoir, and then the water may be cycled.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be supplied, to enable rapid steam generation. In this case, a water heater, a water level sensor, a water temperature sensor, and a steam outlet may be formed in the water reservoir of the holder 100, similarly to the water reservoir 20 of the row cycle 10.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unit 103 of the cradle 100 has two water supply control valve 150, that is, a water supply control valve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inflow of water into the cradle 100 water reservoir, and the cradle ( 100)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water supply control valves 150 for automatically adjusting the water supply from the water reservoir to the row cycle 10 water reservoir 20 is installed separately.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100)의 받침벽(113) 네 면 중 적어도 한 면은 형성되지 않고 개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받침벽(113)의 일측에 형성되던 상기 전원 연결부(115)와, 또 이 전원 연결부에 접속되는 행주기(10)의 전원 연결단자(31)의 형성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And at least one of the four surfaces of the base wall 113 of the cradl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pened without being formed. In this case, the position at which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115 formed on one side of the support wall 113 and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31 of the row cycle 10 connected to the power connection portion may be different.

본 실시예에서 상기 거치대(100)는 행주기(10)가 전면부터 삽입되어 거치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측면이나 후면부터 삽입되어 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행주기(10)의 전면 일부가 거치대의 상기 결합부(121)에 결합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측면 일부나 후면 일부가 결합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radle 100 is illustrated as being inserted into the row cycle 10 from the front side, but may be configured to be inserted from the side or rear sid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n addition, although a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row period 10 is illustrated as being coupled to the coupling part 121 of the holder, a part of the side surface or a portion of the rear surface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실시 조건에 따라 상기 거치대(100)의 안착부(112)나 받침벽(113) 일측에는, 행주기(10)가 거치된 상태에서 분사 플레이트(19)로 유출될 수도 있는 스팀을 거치대 외부로 무난히 배출하기 위해, 스팀 유출로나 유출홀이 형성될 수도 있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ne side of the mounting portion 112 or the support wall 113 of the holder 100 may be steamed to the outside of the holder, which may be leaked to the injection plate 19 in a state where the row cycle 10 is mounted. In order to discharge, a steam outlet or an outlet hole may be formed.

이하, 설명될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는 멀티타입 거치대(100A)로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싱글타입 거치대(1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면서도 두 개의 행주기(10)를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be described below is a multi-type cradle (100A), while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the single-type cradle (10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to mount two row cycles (10) It is configured to be.

도 36은 멀티타입 거치대(100A)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37은 멀티타입 거치대(100A)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 3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ulti-type holder 100A, and FIG. 3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multi-type holder 100A.

본 발명의 멀티타입 거치대(100A)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받침대(110A)와 커버(120A)에 두 개의 행주기 거치부(101A)가 형성된 구조로 구성된다. The multi-type holder 100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row cycle holders 101A are formed on one pedestal 110A and the cover 120A.

이 멀티타입 거치대(100A)의 물 공급부(103A)는 출수관(162A)이 두개로 분리되고, 출수 꼭지(160A)도 두 개가 형성된다. 또한 물공급 제어밸브(150A)가 두 개 형성되어, 두 행주기의 물 저장통(20) 수위 센서(240)로부터 각각 신호를 입력받아 독립적으로 물 공급을 제어하게 된다. The water supply part 103A of the multi-type holder 100A has two water outlet pipes 162A, and two water outlet faucets 160A are also formed. In addition, two water supply control valves 150A are formed to receive the signals from the water level sensor 240 of the water reservoir 20 of two row cycles, respectively, to independently control the water supply.

전원 연결부도 두 행주기(10)의 전원연결 단자에 각각 접속되게끔 두 개로 구성되며, 제어 회로부(116)는 하나가 형성되되, 두 개의 행주기(10)와 제어 신호를 주고받으면서 상호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ower connection part is also composed of two so as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s of the two row periods 10, one control circuit 116 is formed, so as to control each other while exchanging control signals with the two row periods (10) It is preferred to be configured.

또한, 상기 출수 꼭지(160A)를 승강시키는 출수꼭지 승강장치(180A) 역시 두 개가 독립적으로 구성된다. 그 외 모든 기능과 구조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의 싱글타입 거치대(100)와 동일하거나 유사하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the two tap water elevating device 180A for elevating the water tap 160A is also configured independently. Since all other functions and structures are the same as or similar to the single type holder 100 of the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동일한 원리로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행주기(10)를 수 개 거치할 수 있는 멀티타입 거치대도 얼마든지 구성 가능하다.In the same principl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any number of multi-type holders that can mount several rows of cycles 10 can be configured.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스팀 행주기와 그것의 거치대를 이용한 다양한 제어 방법을 부연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various control methods using the steam hang cycle as described above and its cradl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장치는 스팀이 발생되기까지 대기시간을 최소화하면서도, 배터리 전원으로 충분한 시간 동안 스팀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eam towe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generate steam for a sufficient time with battery power while minimizing a waiting time until steam is generated.

사용자는 전술한 모드선택 스위치(미도시)와 작동 스위치(171)를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조합해서 조작함으로써, 신속히 스팀을 발생시키면서도 충분한 시간 동안 행주기(10)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The user can operate the row cycle 10 for a sufficient time while generating steam quickly by operating the combination of the above-described mode selection switch (not shown) and the operation switch 171 in the following manner.

참고로 상기 두 스위치의 기능을 부연 설명하자면, 먼저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조작해서 거치예열모드를 택하는 것은, 거치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행주기(10)의 상기 물 가열체(220)를 가열시켜서, 물이 끓기 전의 일정 온도까지만 물 저장통(20)의 물을 예열시키는 것이 된다. 반면, 거치가열모드를 택하는 것은 거치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상기 물 가열체(220)와 챔버 가열체(41) 둘 다를 순간 가열시켜서, 상기 물 저장통(20)에서는 물이 끓고, 스팀 챔버(45)에서는 언제든지 물만 유입되면 스팀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 된다.For reference, the functions of the two switch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First, by selecting the stationary preheating mode by operating the mode selection switch, the water heater 220 of the row cycle 10 is heated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lder. , Preheats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only to a certain temperature before the water boils. On the other hand, the stationary heating mode is to heat both the water heater 220 and the chamber heater 41 by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lder, so that the water boils in the water reservoir 20, the steam chamber 45 ) At any time, if only water is introduced, steam is generated.

다음, 상기 작동 스위치(171)를 조작해서 준비(READY) 단계를 택하는 것은,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챔버 가열체(41)를 일정 온도까지 가열시켜서, 물만 공급되면 스팀이 발생되게끔 준비시키는 것이 된다. 반면, 발생(STEAM) 단계를 택하는 것은,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준비(READY) 단계처럼 챔버 가열체(41)를 가열시키기도 하지만, 상기 스팀 챔버(45)가 일정 온도에 도달되었다면 스팀 챔버(45) 내로 물 공급까지 시킴으로써, 가열된 스팀 챔버(45)에 물이 닿아 스팀이 발생되는 것이 된다.Next, by selecting the READY step by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171, the chamber heating body 41 is heated to a predetermined temperature by a battery power source, so that steam is generated when only water is supplied. On the other hand, selecting the STEAM step also heats the chamber heater 41 as the READY step with battery power, but if the steam chamber 45 reaches a certain temperature, the steam chamber 45 By supplying water to the inside, wat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heated steam chamber 45 to generate steam.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가 진행되다가 행주기(10)가 거치대(100,100A ; 이하 100으로 통일)에서 분리되면, 거치대에서 공급되던 전원이 차단되기 때문에 두 모드는 자동으로 종료되며, 이 후 행주기(10)는 상기 작동 스위치(171)의 준비(READY) 단계로 자동으로 진행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row preheating mode or the column heating mode is performed and the row cycle 10 is separated from the cradle 100, 100A (hereinafter referred to as 100), the two modes are automatically cut off because the power supplied from the cradle is cut off. After that, the row cycle 10 automatically proceeds to the READY stage of the operation switch 171.

사용자가 상기와 같은 모드선택 스위치와 작동 스위치를 조합해서 조작할 수 있는 방식은 다음과 같다. The user can operate the combination of the mode selection switch and the operation switch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첫 번째 방식은,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거치예열모드에 위치시켜 상기 물 저장통(20)의 물을 예열시키고 있다가, 필요할 때 거치가열모드로 전환시켜 상기 두 가열체(220, 41)를 동시에 순간 가열시킨 후, 상기 작동 스위치(171) 밑의 가열 표시등이 점등되는 정도를 봐서 행주기를 분리하여, 이 후부터는 자동으로 준비 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상기 작동 스위치(171)를 조작하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스팀을 발생시키기까지 배터리 전원을 최소로 소모하기 때문에, 가장 장시간 스팀을 발생시키면서 행주기(10)를 사용할 수 있는 방식이다. 식당과 같이 수시로 식탁 청소를 해야 하는 상황에 적합한 방식으로서, 예열을 하고 있다가 필요한 경우에 단시간에 순간 가열만 시켜서 행주기(10)를 사용하기 때문에, 스팀발생까지의 대기시간도 최소화되는 방식이기도 하다.In the first method,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placed in the fermentation preheating mode to preheat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and when necessary, the two heating elements 220 and 41 are instantaneously switched to the fermentation heating mode. After heating, the row cycle is separated by looking at the level of the heating indicator light below the operation switch 171, and after that, steam is generated while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171, which is automatically being prepared. . Since this method consumes a minimum of battery power until steam is generated, the row cycle 10 can be used while generating steam for the longest time. As a method suitable for a situation where the table should be cleaned frequently, such as a restaurant, when the preheating is necessary, since the heating cycle 10 is used by only heating at a short time, the waiting time until steam generation is also minimized. Do.

두 번째 방식은, 거치예열모드를 거치지 않고,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바로 거치가열모드에 위치시켜서 상기 두 가열체(220, 41)를 동시에 순간 가열시킨 후, 상기 가열표시등의 점등 정도를 봐서 행주기(10)를 분리하여, 이 후부터는 자동으로 준비 단계가 진행되고 있는 작동 스위치(171)를 조작하면서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수시로 행주기(10) 사용이 필요하지 않는 가정이나 사무실에 적합한 방식이다. 첫 번째 방식과 비교시, 모드선택 스위치를 거치가열모드로 조작한 후부터 스팀이 발생되기까지 다소의 대기시간은 소요되지만, 거치대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충분한 순간가열을 한 후에 배터리 전원으로 스팀을 발생시키기 때문 에, 배터리 전원 소모는 첫 번째 방식처럼 최소화되어 장시간 스팀을 발생시키면서 행주기(10) 사용이 가능한 방식이다.In the second method, without passing through the preheating mode, the mode selection switch is placed directly in the post heating mode, and the two heating elements 220 and 41 are instantaneously heated at the same time. Separation (10) is a method of generating steam while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171 in which the preparation step is automatically proceeding thereafter. This method is suitable for homes or offices that do not need to use the row cycle 10 from time to time. Compared with the first method, it takes some time to wait until steam is generated after operating the mode selection switch in the heating mode, but after generating sufficient instant heating wit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lder, steam is generated by battery power. Because of this, battery power consumption is minimized like the first method, so that the row cycle 10 can be used while generating steam for a long time.

세 번째 방식은, 거치예열모드로 물 저장통(20)의 물만 예열하고 있다가, 거치가열모드는 거치지 않고 바로 거치대에서 행주기를 분리시켜 사용하는 방식으로서,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스팀 챔버(45)를 가열하고, 여기에 순간 가열되지 않아서 끓지 않은 물을 닿게 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식당 등에서 예열하고 있던 중에, 거치가열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잊고 사용하거나, 아니면 조급하게 행주기(10)를 사용하는 방식이 되겠다. 스팀발생까지의 대기시간도 상대적으로 길고, 배터리 전원 소모도 상대적으로 빨라지겠다.The third method is to preheat only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in the preheating mode, and use the row cycles directly from the pedestal without using the pedestal heating mode. The steam chamber 45 is heated by battery power. This is a method of generating steam by touching the unboiled water because it is not heated at this moment. While preheating at a restaurant or the like, forgetting to switch to the fermentation heating mode, or use the row cycle (10) in a hurry. The standby time until steam generation is relatively long, and battery power consumption will be relatively quick.

네 번째 방식은, 상기 방식들처럼 모드선택 스위치를 조작하지 않고, 따라서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를 거치지 않고, 바로 작동 스위치(171)를 준비 단계나 발생 단계로 조작해서, 상기 챔버 가열체(41)만 가열시켜 스팀을 발생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식은 배터리 전원으로 상기 스팀 챔버(45)만 가열시켜서, 여기에 예열되지 않거나 순간 가열되지 않은 물을 닿게 하여 기화시키기 때문에, 배터리 전원 소모량이 커져서 스팀발생 시간이 단축되며, 스팀발생까지 대기시간도 상대적으로 길겠다. 거치대(100)에 거치시키지 못한 상태에서 행주기(10)를 바로 사용하는 경우가 해당되는 방식인데, 물론 물 저장통(20)의 물이 한번이라도 예열되거나 순간 가열되었다가 보온되고 있는 상태라면, 스팀발생 시간 단축 문제는 크지 않을 수 있겠다. The fourth method does not operate the mode selection switch like the above methods, and thus, does not go through the preheating preheating mode or the postheating heating mode, and directly operates the operation switch 171 in the preparation step or the generating step, and thus the chamber heater ( 41) Only steam is generated by heating. This method heats only the steam chamber 45 with battery power, and vaporizes water that is not preheated or momentarily heated, and thus vaporizes the battery power consumption, thereby shortening steam generation time and waiting time until steam generation. Even relatively long. This is the case that the row cycle 10 is used directly in the state that did not mount on the cradle 100, of course, if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is once preheated or heated at a moment, and warmed, steam The problem of shortening time may not be big.

한편 지금까지 본 실시예에서 모드선택 스위치를 조작해서 거치예열모드를 택하는 것은, 상기 물 가열체(220)만 가열해서 물 저장통(20)의 물만 예열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챔버 가열체(41)만 예열하거나, 아니면 상기 두 가열체(220, 41)를 다 예열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거치예열모드는 상기 두 가열체(220, 41) 중 적어도 하나를 예열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selecting the preheating mode by operating a mode selection switch has been exemplified as heating only the water heater 220 to preheat only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Only the chamber heater 41 may be preheated or the two heaters 220 and 41 may be preheated. In other words, the preheating mode may be configured to preheat at least one of the two heating elements (220, 41).

그리고 거치가열모드를 택하는 것은 상기 물 가열체(220)와 챔버 가열체(41) 둘 다를 순간 가열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으나,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두 가열체(220, 41) 중 어느 하나만을 순간 가열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즉 거치가열모드는 상기 두 가열체(220, 41) 중 적어도 하나를 순간 가열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And the choice of the heating heating mode is illustrated as instantaneous heating of both the water heating body 220 and the chamber heating body 4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only one of the two heating body (220, 41) instantaneous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heat. That is, the deferred heating mode may be configured to instantaneously heat at least one of the two heating elements 220 and 41.

또한 지금까지 본 실시예에서 상기 행주기(10)는, 거치된 상태에서 모드선택 스위치 조작에 따라, 전술된 전원 OFF 모드는 논외로 하고, 거치예열과 거치가열 두 모드를 수행할 수 있는 것으로 예시되었다. 하지만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두 모드 중 어느 하나만을 수행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모드선택 스위치는 상기 두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w cycle 10 according to the mode selection switch operation in the mounted state, except that the above-described power OFF mode, and can perform the two modes of the preheating and the fermentation heating. It became. However,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only one of the two modes. That is, the mode selection switch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two modes.

또한 지금까지 본 실시예에서 작동 스위치(171)를 준비(READY) 단계나 발생(STEAM) 단계로 조작하는 것은, 상기 챔버 가열체(41)만 가열하는 것으로 예시되었지만,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물 가열체(220)만 가열하거나, 아니면 두 가열체(220, 41)를 다 가열하게끔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작동 스위치(171)는 상기 두 가열체(220, 41) 중 적어도 하나를 가열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operating the operation switch 171 in the READY stage or the STEAM stage has been exemplified by heating only the chamber heater 41, but depending on the conditions, the water Only the heating body 220 may be heated, or may be configured to heat both heating bodies 220 and 41. That is, the operation switch 171 may be configured to heat at least one of the two heating elements 220 and 41.

또한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를 없애고 그 기능을 작동 스위치(171)가 대신 수행하게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상기 작동 스위치는 전술한 준비(READY), 발생(STEAM), 중지(PAUSE)의 세 단계뿐만 아니라, 상기 모드선택 스위치가 수행하던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더 수행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It is also possibl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to remove the mode selection switch and configure the function to perform the function by the operation switch 171 instead. That is, the operation switch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preheating mode or the preheating heating mode which the mode selection switch performed as well as the three stages of the above-described preparation, generating, and stopping. It may be.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작동 스위치(171)가 추가로 수행하게 되는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준비(READY) 단계에 통합시키는 구성도 가능하다. 즉 똑같이 상기 작동 스위치(171)를 준비 단계로 조작하더라도, 행주기(10)가 거치대(100)에 거치된 상태라면, 상기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가 수행되고, 행주기(10)가 거치대에서 분리된 상태라면, 상기 준비 단계가 수행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본 발명의 스팀 행주장치는, 행주기(10)가 거치대에 거치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구비되거나, 행주기(10)의 전원연결 단자(31)가 거치대(100)의 전원 연결부(115)에 접속되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끔 구성되어야 하겠다.In this case, at least one of the preheating preheating mode and the preheating heating mode, which the operation switch 171 additionally performs, may be integrated into the READY stage. In other words, even if the operation switch 171 is operated in the preparation step, if the row cycle 10 is mounted on the holder 100, the holder preheating mode or the holder heating mode is performed, and the row cycle 10 is holder If separated from, it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the preparation step. Of course, in this case, the steam dishwash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ensing sensor for detecting whether the hanger 10 is mounted on the cradle, or the power connection terminal 31 of the hanger 10 is powered by the cradle 100. Should be configur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connected to the connection (115).

이 외에도, 상기와 같이 행주기(10)가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될 수 있고, 거치대에서 분리된 상태에서는, 상기 준비(READY), 발생(STEAM), 중지(PAUSE)의 세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면, 스위치의 개수나 구성은 실시 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채택 가능하겠다.In addition, in the state in which the row cycle 10 is mounted on the cradle as described above, at least one of the cradle preheating mode or cradle heating mode may be performed, and in the state of being separated from the cradle, the preparation (READY) may occur. If three stages (STEAM) and PAUSE can be performed, the number or configuration of the switches can be variously adopte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지금까지 예시된 본 발명의 스팀 행주장치에서, 거치시에 거치대(100)로부터 행주기(10)에 공급되는 전원은, A/C 전원이 전원변환 회로나 장치를 거쳐서 변환된 D/C 전원이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A/C 전원이 행주기(10)에 직접 공급되게끔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행주기(10)에는 전원변환 회로나 장치가 구비되어, 거치대로부터 유입된 A/C 전원이 D/C로 변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In the steam rins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llustrated so far,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lder 100 to the row cycle 10 at the time of mounting is a D / C power source in which A / C power is converted via a power conversion circuit or device. .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A / C power supply to be directly supplied to the row period 10. In this case, the row cycle 10 is provided with a power conversion circuit or device, the A / C power introduced from the cradle can be converted to D / C used.

또한 상기와 같이 거치대로부터 A/C 전원이 행주기(10)에 공급되는 경우라도, 상기 물 가열체(220)는 거치시에만 A/C 전원으로 가열되고, 상기 챔버 가열체(41)는 거치시에는 A/C 전원이 전원변환 회로나 장치를 거쳐 D/C로 변환되어 가열되며, 분리시에는 배터리 전원으로 가열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even when the A / C power is supplied to the row cycle 10 from the holder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heater 220 is heated by the A / C power only when mounted, and the chamber heater 41 is mounted. At the time, A / C power is converted to D / C through a power conversion circuit or device and heated, and when separated, it can be configured to be heated by battery power.

이와 같이 거치시 거치대(100)에서 행주기(10)로 공급되는 전원과, 또 행주기(10)의 두 가열체(220, 41)를 가열시키는 전원은 실시 조건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겠다.As such, the power supplied from the holder 100 to the row cycle 10 and the power to heat the two heaters 220 and 41 of the row cycle 10 may be variously configured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conditions. .

한편,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장치의 실시예는, 도 4를 참조하면, 물 저장통(20)에서 물이 스팀 챔버(45)로 공급되어, 스팀이 발생되는 방식이었다.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물이 아니라, 저장통(20)의 물이 끓어서 발생되는 증기가 스팀 챔버(45) 내로 공급되거나 분사 플레이트(19)로 직접 분사되어, 스팀이 발생되는 방식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embodiment of the steam dishwash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referring to Figure 4, the water is supplied to the steam chamber 45 from the water reservoir 20, the steam is generated. Depending o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am generated by boiling water in the reservoir 20 may be supplied into the steam chamber 45 or directly injected into the spray plate 19 to generate steam.

또한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물 저장통(20)의 물이 스팀 챔버(45)로 공급되어 스팀이 발생되기도 하지만, 거치예열모드나 거치가열모드로 예열되거나 순간 가열되면서 물 저장통(20)에서 발생되고, 또 전술한 증기 배출구(210)를 통해 배출되기 도 하던 증기도, 상기 작동 스위치(171)를 발생(STEAM) 단계로 조작하게 되면, 스팀 챔버(45) 내부로 유입되거나 아니면 분사 플레이트(19)로 직접 분사되게 하여, 결과적으로 분사되는 스팀의 양이 증가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겠다. In addition,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is supplied to the steam chamber 45 to generate steam, but is generated in the water reservoir 20 while being preheated or momentarily heated in the fermentation preheating mode or the fermentation heating mode. In addition, when the steam, which was also discharged through the aforementioned steam outlet 210, is operated in the step of generating (STEAM), the steam flows into the steam chamber 45 or the injection plate 19. It can also be configured to increase the amount of steam injected as a result of direct injection.

여하튼간에 상기와 같이 물 저장통(20) 내의 물이 끓거나, 예열 또는 순간 가열되면서 발생되는 증기를 스팀 챔버(45) 내부로 유입시키거나 분사 플레이트(19)로 직접 분사시키기 위해서는, 물 저장통(20) 상부 일측을 통해서 스팀 챔버(45)나 분사 플레이트(19)로 통하는 스팀 유출로가 형성되어야 하겠다. 또한 상기 증기 배출구(210; 도 7a 및 7b 참조)의 위치나 구조가 바뀔 수 있으며, 팬이나 스팀공급 조절기와 같은 별도의 스팀유출 장치가 구성될 수도 있다. In any case, in order to inject steam generated while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20 is boiled, preheated, or momentarily heated into the steam chamber 45 or directly injected into the spray plate 19, the water reservoir 20 The steam outflow path to the steam chamber 45 or the injection plate 19 through the upper one side should be formed. In addition, the position or structure of the steam outlet 210 (see FIGS. 7A and 7B) may be changed, and a separate steam outlet device such as a fan or a steam supply regulator may be configured.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스팀 챔버(45)에 물이 공급되지 않고 스팀이 공급되는 방식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10)를 구성할 경우에는, 스팀 챔버(45)에 설치되던 챔버 가열체(41)나 온도감지 센서(43)가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고, 더더욱 스팀 챔버(45) 자체가 구성되지 않을 수도 있겠다.In particular, when the steam hang cy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such a manner that steam is supplied without water being supplied to the steam chamber 45 as described above, a chamber heater (that is, installed in the steam chamber 45) ( 41 or the temperature sensor 43 may not be configured, and furthermore, the steam chamber 45 itself may not be configured.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10)는 본체 프레임(15) 뒤쪽에 위치된 행주 롤기구(50)에서 롤 행주(70)가 제공되고, 분사 플레이트(19)를 거쳐 본체 프레임(15) 앞쪽에서 행주 고정기구(60)에 의해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하지만 실시 조건에 따라서는 반드시 이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행주 롤기구(50)를 본체 프레임(15)의 앞쪽이나 옆쪽에 형성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체 프레임(15)의 뒤쪽이나 다른 옆쪽에서 롤 행주(70) 끝이 행주 고정기구(60)에 의해 고정되게끔 구성할 수도 있겠다. Finally, in the steam hang cycl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roll cloth 70 is provided in the cloth roll mechanism 50 positioned behind the body frame 15, and the body frame 15 is passed through the spray plate 19. It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as being secured by a cloth fixing mechanism 60 in the front.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uch a structure depending on implementation condition, The said cloth roll mechanism 50 can also be formed in front o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5, Therefore, it rolls in the back or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15, The end of the cloth 70 may be configured to be fixed by the cloth fixing mechanism (60).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에 안착된 상태가 도시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ated on a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가 도시된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를 하부에서 본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een from below;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측단면도,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물 저장통 내부 구조를 보인 투영도,5 is a projection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water reservoir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물 저장통에 구비되는 급수부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ter supply unit provided in the water reservoir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a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물 저장통에 구비되는 증기 배출구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7a and 7b is a view showing a steam outlet provided in the water reservoir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 내지 도 23은 본 발명의 스팀 행주기에 구비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행주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8 to 23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h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provided in the steam hang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스팀 행주기의 행주 장착부를 보인 사시도,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ish mounting portion of the steam hang cycle,

도 9는 스팀 행주기의 스팀 발생부를 보인 사시도,   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eam generating unit of the steam row cycle,

도 10은 스팀 행주기의 분사 플레이트 및 리어 커버를 보인 사시도,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pray plate and the rear cover of the steam hang cycle,

도 11은 도 10의 리어 커버 쪽 단면도,   11 is a sectional view of the rear cover side of FIG. 10;

도 12는 스팀 행주기의 행주 롤기구를 보인 분해 사시도,   1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loth roll mechanism of a steam hang cycle;

도 13은 행주 롤기구에 포함되는 롤 탄성장치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roll elastic device included in the cloth roll mechanism;

도 14는 행주 롤기구의 전체 구조를 보인 주요부 사시도,   14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showing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loth roll mechanism;

도 15 및 도 16은 행주 롤기구의 회전 제한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15 and 16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rotation limit structure of the towel roll mechanism;

도 17 내지 도 19는 행주 롤기구의 연결고리 어셈블리의 구성 및 작동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   17 to 19 are views showing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linkage assembly of the towel roll mechanism,

도 20 및 도 21은 행주배출 덮개의 설치 구조를 보여주는 투영도 및 저면 방향 사시도,   20 and 21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towel discharge cover,

도 22 및 도 23은 행주 고정기구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22 and 23 are views showing the structure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towel fixing mechanism.

도 24 내지 도 30은 본 발명의 스팀 행주기에 구비되는 제 2 실시예에 따른 행주 장착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로서,24 to 30 are views for explaining a dish mounting uni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provided in the steam hang cyc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4 및 도 25는 행주 고정기구 및 행주 롤기구의 설치 구조 및 작동 상태를 보인 내부 사시도,   24 and 25 are internal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the operating state of the dish fixing fixture and dish towel roll mechanism;

도 26 및 도 27은 행주 고정기구 및 행주 롤기구를 보여주는 하부 방향의 사시도,   26 and 27 are perspective views in the lower direction showing the dishcloth fixing mechanism and the dishcloth roll mechanism;

도 28은 행주 고정기구 및 행주 롤기구만을 나타낸 사시도,   2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only the dishcloth fixing mechanism and the dishcloth roll mechanism;

도 29 및 도 30은 스팀 행주기에 롤 행주가 끼워진 상태의 사시도들이다.   29 and 30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a roll cloth fitted in a steam hang cycle.

도 31 내지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스팀 행주기의 거치대가 도시된 도면들이다.31 to 37 are views showing the cradle of the steam hang cy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1 내지 도 35는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일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31 to 35 are views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hol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1은 거치대의 전면 방향 사시도,     3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도 32는 거치대의 평면도,     32 is a plan view of the mount,

도 33은 거치대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전면 방향 사시도,     3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lder;

도 34는 거치대의 내부 구조가 도시된 배면 방향 사시도,     34 is a rear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holder;

도 35는 거치대의 출수꼭지 승강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Figure 35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lifting faucet lifting device is shown.

도 36 내지 도 37은 본 발명에 따른 거치대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들로서, 36 to 37 are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crad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6은 거치대의 사시도,     3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er,

도 37은 거치대의 내부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3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cradle.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스팀 행주기 13 : 손잡이 15 : 본체 프레임 17 : 리어 커버10: steam hang cycle 13: handle 15: body frame 17: rear cover

17a : 리어커버 접촉부 19 : 분사 플레이트17a: rear cover contact 19: spray plate

20 : 물 저장통 21 : 급수부20: water reservoir 21: water supply

22 : 입수구 23 : 누름 마개22: inlet 23: push stopper

24 : 탄성 부재 25 : 출수구24: elastic member 25: water outlet

26 : 수량 조절기 27 : 물 공급관26: quantity regulator 27: water supply pipe

30 : 제어 회로부 31 : 전원연결 단자30: control circuit part 31: power connection terminal

35 : 배터리 40 : 스팀 발생부35: battery 40: steam generator

41 : 챔버 가열체 43 : 온도감지 센서41: chamber heating element 43: temperature sensor

45 : 스팀 챔버 47 : 증기실 45: steam chamber 47: steam chamber

50 : 행주 롤기구 51 : 롤 바디50: cloth roll mechanism 51: roll body

52, 54 : 사이드 커버 53, 55: 사이드커버 축부52, 54: side cover 53, 55: side cover shaft

56 : 톱니 플레이트 58, 58A : 롤 탄성장치56: tooth plate 58, 58A: roll elastic device

59 : 회전 제한바 60 : 행주 고정기구59: rotation limit bar 60: dishcloth fixing mechanism

61 : 작동 레버 62 : 고정바61: operating lever 62: fixed bar

62a : 고정바 전면부 63 : 지지바62a: front of the fixing bar 63: support bar

64 : 연결바 64R : 롤러 64: connecting bar 64R: roller

65 : 제한 레버 66 : 고정 탄성부재65 limiting lever 66 fixed elastic member

70 : 롤 행주 100 : 거치대 70: roll cloth 100: holder

101 : 거치부 103 : 물 공급부101: mounting portion 103: water supply

110 : 받침대 114 : 외부 전원코드110: pedestal 114: external power cord

115 : 전원 연결부 116 : 제어 회로부115: power connection unit 116: control circuit unit

120 : 커버 120: cover

122 : 물병 결합부 125 : 레버 노출홀122: water bottle coupling portion 125: lever exposure hole

131 : 물병 라인 135 : 수도 라인 131: water bottle line 135: water line

136 : 수도 연결부 140 : 절환 밸브136: water connection 140: switching valve

145 : 절환 레버 150 : 물공급 제어밸브145: switching lever 150: water supply control valve

160 : 출수 꼭지 162 : 출수관160: exit tap 162: exit pipe

171 : 작동 스위치171: operation switch

175 : 작동상태 알림부 180 : 출수꼭지 승강장치175: operation state notification unit 180: tap water lifting device

181, 182 : 수평틀 183 : 탄성부재181, 182: horizontal frame 183: elastic member

185 : 수직틀 187 : 승강틀185: vertical frame 187: lifting frame

210 : 증기 배출구210: steam outlet

220 : 물 가열체 230 : 수온감지 센서 220: water heater 230: water temperature sensor

240 : 수위 센서 500 : 연결고리 어셈블리240: water level sensor 500: connection assembly

510 : 연결 고리 511 : 축삽입부510: connecting ring 511: shaft insert

513 : 연결고리 접촉부513: connection contact

515 : 랙 기어 520 : 피니언기어 세트 515: rack gear 520: pinion gear set

530 : 탈장착 탄성부재 550 : 행주배출 덮개530: removable elastic member 550: dishcloth cover

610 : 고정 롤러 620 : 프레임 롤러610: fixed roller 620: frame roller

630 : 고정틀 631 : 선형 기어부630: fixed frame 631: linear gear

635 : 롤러 커버 640 : 장착 모터 635: roller cover 640: mounting motor

641 : 웜 650 : 배출 모터641: worm 650: discharge motor

651, 652 : 웜 655 : 연결 기어651, 652: worm 655: connecting gear

660 : 기어 플레이트 660: Gear Plate

Claims (12)

티슈 구조의 롤 행주를 장착하여 연속 이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롤 행주에 스팀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팀 행주기와;A steam hang cycle configured to allow continuous use by mounting a roll cloth of a tissue structure, the steam hang cycle being configured to provide steam to the roll cloth; 상기 스팀 행주기와 분리되어 필요에 따라 거치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스팀 행주기가 거치될 때, 스팀 행주기에 물 또는 전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거치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 장치.I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as needed separately from the steam hang cycle, and when the steam hang cycle, steam hanger device comprising a cradle configured to supply at least one or more of water or electricity to the steam hang cycle . 청구항 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거치대는, 상기 스팀 행주기 사용시에 스팀 발생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팀 행주기가 거치대에 거치된 상태에서 스팀 행주기의 스팀 발생부 또는 스팀 발생부에 제공되는 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열하는 예열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 장치.The cradle is configured to heat at least one of the water provided in the steam generator or the steam generator of the steam hang cycle in a state where the steam hang cycle is mounted on the cradle so that steam is generated quickly when the steam hang cycle is used. Steam dishwasher device having a preheating function. 하부에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 플레이트를 갖는 본체 프레임과; 티슈 구조의 롤 행주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된 행주 롤기구에 롤 구조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분사 플레이트의 밑면을 거쳐,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된 행주 고정기구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구성되는 행주 장착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는 물 저장통과;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물 저장통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상기 분사 플레이트를 통해 밖으로 공급하는 스팀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A main frame having an injection plate on which steam is injected; The roll cloth of the tissue structure is rolled around the cloth roll mechanism locat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can be fixed by the cloth fixing mechanism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through the bottom surface of the spray plate. A dish towel mounting portion; A water reservoir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comprises a steam generating unit for converting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into steam to supply out through the injection plate, 상기 행주 장착부의 행주 고정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면서 롤 행주의 끝단부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하는 고정 바와, 이 고정 바와 본체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어 고정 바가 본체 프레임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고정 탄성부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The hanger fixing mechanism of the hanger mounting unit is a fixing bar for fixing the end of the roll hanger to the main body frame while being in close contact with or spaced from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Steam hang cycle comprising a fixed elastic member to provide. 청구항 3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행주 롤기구는, 롤 행주가 감겨진 롤 바디의 양쪽에 결합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양쪽 사이드 커버와, 상기 양쪽 사이드 커버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에 결합되어 상기 롤 바디에 감겨진 롤 행주가 풀리면서 배출될 때 롤 행주에 장력을 제공하는 롤 탄성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The cloth roll roll mechanism is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roll body in which the roll cloth is wound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main body frame side, and coupled to at least one of the both side covers and wound around the roll body. A steam hang cycle comprising a roll resilient device providing tension to the roll cloth as it is released as it is released. 청구항 4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상기 양쪽 사이드 커버에는, 외력에 의해 사이드 커버를 양쪽으로 벌려주거나 모아주는 연결고리 어셈블리가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Steam hang cycle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h side cover, the connecting ring assembly for opening or collecting the side cover to both sides by an external force is connected. 청구항 5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5, 상기 본체 프레임에는, 상기 롤 바디를 덮어주는 리어 커버가 구비되고, The body frame is provided with a rear cover to cover the roll body, 상기 연결고리 어셈블리는, 상기 리어 커버를 개방할 때, 양쪽 사이드 커버를 양쪽으로 벌려주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And said linkage assembly is configured to open both side covers to both sides when opening said rear cover.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상기 스팀 행주기는, 상기 행주 고정기구가 롤 행주를 고정할 때 함께 연동되어 행주 롤기구의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 기구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The steam hanger, the steam hanger further comprises a rotation limiting mechanism for interlocking when the hanger fixing mechanism to fix the roll hanger to limit the rotation of the washcloth roll mechanism. 삭제delete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6, 상기 행주 고정기구는,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 바를 상기 본체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The hanger fixing mechanism, the steam hang cycle, characterized in that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on lever which is provided on the main body frame to be spaced apart from the main body frame. 하부에 스팀이 분사되는 분사 플레이트를 갖는 본체 프레임과; 티슈 구조의 롤 행주가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롤 구조로 감긴 상태에서 상기 분사 플레이트의 밑면을 거쳐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행주 장착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에 구비되는 물 저장통과; 상기 본체 프레임 내에 구비되고, 상기 물 저장통의 물을 스팀으로 변환시켜 상기 분사 플레이트를 통해 밖으로 공급하는 스팀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A main frame having an injection plate on which steam is injected; A dish cloth mounting portion for fixing the roll cloth of the tissue structure to the other side of the body frame via the bottom surface of the spray plate in a state in which the roll cloth is rolled on one side of the body frame; A water reservoir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It is provided in the main body frame, and comprises a steam generator for converting the water in the water reservoir into steam to supply through the injection plate, 상기 행주 장착부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일측에 위치되어 롤 행주가 감겨 있는 행주 롤기구와, 상기 본체 프레임의 타측에 위치되어 상기 행주 롤기구에서 제공된 롤 행주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하는 행주 고정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The dishcloth mounting portion includes a dishcloth roll mechanism position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frame and wound with a roll dishcloth, and a dishcloth fixing mechanism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f the main body frame to fix the roll dishcloth provided by the dishcloth roll mechanism to the main body frame. Composed of, 상기 행주 롤기구와 행주 고정기구는, 전동 모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면서 분사 플레이트 밑면에 새로운 롤 행주를 제공함과 아울러 롤 행주를 본체 프레임에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The dish towel roll mechanism and the dish fixer are automatically operated by an electric motor to provide a new roll dish on the bottom of the spray plate and to fix the roll dish to the main frame.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청구항 10 중 어느 하나의 스팀 행주기를 거치하기 위한 것으로서,Claims 1 to 6, 10 for passing through the steam cycle of any one of, 일측이 개방된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스팀 행주기를 삽입하여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거치부와, 외부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상기 스팀 행주기의 물 저장통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물 공급부와, 상기 스팀 행주기에 전원을 제공하거나 제어 신호를 입출력하기 위한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의 거치대.One side is formed in an open structure and the mounting portion made to insert the steam hang cycle to be seated, the water supply portion configured to receive water from the outside to supply water to the water reservoir of the steam hang cycle, and the steam row Stand for steam hang cycl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power connection for supplying power to the cycle or input and output control signals. 청구항 11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1, 상기 물 공급부에는, 상기 스팀 행주기의 물 저장통에 물을 공급하는 출수 꼭지가 포함되고,The water supply unit includes a water tap for supplying water to the water reservoir of the steam row cycle, 상기 거치대에는, 상기 스팀 행주기가 거치되거나 분리될 때, 상기 출수 꼭지를 자동으로 승강시키는 출수꼭지 승강장치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팀 행주기의 거치대.The cradle is a cradle of the steam hang cycle,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water tap faucet lifting device for automatically raising and lowering the water tap when the steam hang cycle is mounted or separated.
KR1020070081381A 2007-08-13 2007-08-13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KR10090312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81A KR100903129B1 (en) 2007-08-13 2007-08-13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1381A KR100903129B1 (en) 2007-08-13 2007-08-13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94A KR20090016994A (en) 2009-02-18
KR100903129B1 true KR100903129B1 (en) 2009-06-16

Family

ID=40685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1381A KR100903129B1 (en) 2007-08-13 2007-08-13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03129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480A1 (en) *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티케이케이 Steam cleaner to be docked with hot water providing crad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548Y1 (en) 2001-07-27 2001-12-01 주식회사 써모텍 Electromotive Steam Wiping Cleaner
KR200403071Y1 (en) * 2005-09-26 2005-12-07 김홍락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200424524Y1 (en) * 2006-06-01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3548Y1 (en) 2001-07-27 2001-12-01 주식회사 써모텍 Electromotive Steam Wiping Cleaner
KR200403071Y1 (en) * 2005-09-26 2005-12-07 김홍락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KR200424524Y1 (en) * 2006-06-01 2006-08-23 삼정크린마스터(주) A mop with a cartridge and a push stick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63480A1 (en) * 2021-10-14 2023-04-20 주식회사 티케이케이 Steam cleaner to be docked with hot water providing crad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6994A (en) 2009-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96577B (en) Cleaning machine
KR102429717B1 (en) Self-cleaning coffee machine
US20110017073A1 (en) Drink preparing machine including a built-in container for cleaning using steam nozzle
JPWO2009072198A1 (en) Dishwasher
JP2007007178A (en) Dishwasher
KR101450566B1 (en) Cooker and Control process of the same
JP5258373B2 (en) Water discharge device
JP5649041B2 (en) Sanitary washing device
WO2012068291A1 (en) Washing apparatus and method with spiral air flow for drying
KR100903129B1 (en)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KR20090016999A (en) Steam wiping device, its rest device, and steam wiping system comprising them
JP4522891B2 (en) Dishwasher
US8403578B2 (en) Portable dishwashing apparatus
KR100528316B1 (en) A water saving apparatus for sink
KR100720937B1 (en) A water saving apparatus for sink
KR20090108328A (en) Steam cleaner for dining table
US20170065145A1 (en) Automatic washer for receptacles
KR20140022372A (en) Portable toilet
CN220686225U (en) Integrated water tank
CN208301616U (en) Cleaning machine
KR20090101787A (en) Steam cleaner for kitchen towel
US20220287541A1 (en) Tableware hydro-cleaning apparatus
JPH08289868A (en) Dish washer
CN215191163U (en) Hand washing machine
JP2004275267A (en) Dish washing and dry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