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510Y1 - Pressure Gauge - Google Patents
Pressure Gau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24510Y1 KR200424510Y1 KR2020060013806U KR20060013806U KR200424510Y1 KR 200424510 Y1 KR200424510 Y1 KR 200424510Y1 KR 2020060013806 U KR2020060013806 U KR 2020060013806U KR 20060013806 U KR20060013806 U KR 20060013806U KR 200424510 Y1 KR200424510 Y1 KR 20042451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xed
- contact
- tube
- pressure gauge
- brond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2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7/00—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 G01L7/02—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 G01L7/04—Measuring the steady or quasi-steady pressure of a fluid or a fluent solid material by mechanical or fluid pressure-sensitive elements in the form of elastically-deformable gauges in the form of flexible, deformable tubes, e.g. Bourdon gaug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태엽형상의 브르돈관이 구비되며, 상기 브르돈관의 단부에 절연부착되는 이동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에 절연재의 전면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하도록 전면커버의 평면부에 관통 고정되는 제1,2고정접점부가 구비되는 압력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접점부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브르돈관의 단부에 장착되며, 유체의 압력이 변화하는 변위량에 따라 회전하여 제1,2고정접점에 접촉되면서 압력을 측정하는 이동접점부가 구비되는 것으로, 지지편이 형성된 고정부재에 지침부재를 안착시켜 접착제로 이탈되지 않게 고정하므로 조립이 간편할 뿐만 아니라 생산성이 증대되는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case having an open front surface, a spring-shaped brondon tube is provided in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a mobile contact is provided with an insulation attached to the end of the brondon tube, the front opening of the case In the pressure gauge is provided with a front cover of the insulating material, the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 portion is fixed to the planar portion of the front cover to contact the moving contact,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 portion It is mounted to the end of the brondon tube to maintain, and the moving contact portion for measuring the pressure while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s in accordance with the displacement amount of the fluid pressure is provided, the guide member It is related to a pressure gauge that not only eases assembly but also increases productivity since it is secured not to be separated by an adhesive.
Description
도 1은 종래의 압력스위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essure switch
도 2는 종래의 압력스위치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essure switch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압력게이지의 단면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gau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압력게이지의 평면도5 is a plan view of the pressure gau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이동접점부 110: 고정부재 100: moving contact portion 110: fixed member
111: 지지편 120: 지침부재111: support piece 120: guide member
121: 지침 122: 절연체121: Instruction 122: Insulator
130: 접착제130: adhesive
본 고안은,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편이 형성된 고정부재에 지침부재를 접착제로 고정하므로 조립이 간편한 압력게이지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ssure gauge, and relates to a pressure gauge that is easy to assemble because the guide member is fixed to the fixing member on which the support piece is formed with an adhesive.
일반적으로 압력게이지는 용기나 관로내의 기체나 유체의 압력크기에 따라 변화하는 변위량을 검출하는 기계로서, 보통 다이아프램(Diaphragm)이나 브르돈rourdon)튜브 또는 스파이럴(Spiral)튜브 등과 같은 탄성의 튜브가 기체나 유체의 압력에 의하여 변형하는 것을 지침과 같은 표시장치에 의하여 압력을 표시하는 것이다. In general, the pressure gauge is a machine that detects a displacement amount that varies depending on the pressure of a gas or a fluid in a vessel or a pipeline, and an elastic tube such as a diaphragm, a briddon tube, or a spiral tube is usually used. Deformation by the pressure of a gas or a fluid is to indicate the pressure by a display device such as a guide.
상기 압력게이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가 부착되어 있는 지지체(11)에 태엽형상의 브르돈관(12)이 기밀이 유지되게 결합되고, 상기 브르돈관(12)의 선단이 연장되거나 고정부착되는 연결편(15)이 구비되며, 상기 연결편(15)의 상부에 일측에는 원형이 타측에는 좁고 긴형상의 지침(14)을 절연체(16)로 보호하여 부착하되 지침(15)의 선단이 브르돈관(12)보다 일정거리 돌출되게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3)의 개방부에 절연재질의 전면커버(17)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지침(15)의 중앙에 접촉되도록 핀형상의 접점(18a)이 형성된 제1고정접점(18)이 전면커버(17)의 중앙에 관통되어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접점(18)과 일정간격 이격된 상부에 핀형상의 접점(19a)이 형성된 제2고정접점(19)이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으로, 검출압력의 변화에 따라 지침(15)이 이동하여 제1,2고정접점(18)(19)에 접촉되면 전류가 흐르도록 고안된 것이다.As shown in FIG. 1, the pressure gauge is coupled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압력게이지는, 브르돈관의 단부에 고정된 연결편에 이 동접점을 절연체로 고정하므로 제1고정접점을 지침의 중심에 일치시키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조립이 어려워 조립시간이 연장되기 때문에 제조단가가 상승하여 비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Since the pressure gauge configured as above is fixed to the connecting piece fixed to the end of the brondon tube with an insulator, it is not only difficult to match the first fixed contact point to the center of the guideline, but also difficult to assemble, thereby increasing the assembly time. There was an uneconomical problem due to the rising unit price.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결함을 감안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그 목적은 중앙 외주면에 절연체가 형성된 지침부재가 고정부재에 접착제로 절연/고정하므로 조립이 간편하여 생산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인건비가 절감되어 경제적인 압력게이지를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made in view of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defects, the purpose is that the guide member with an insulator formed on the center outer peripheral surface is insulated / fixed with an adhesive to the fixing member, the assembly is easy, productivity is increased as well as labor costs Is reduced, providing economic pressure gaug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내부 중앙에 태엽형상의 브르돈관이 구비되며, 상기 브르돈관의 단부에 절연부착되는 이동접점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의 전면 개방부에 절연재의 전면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접점과 접촉하도록 전면커버의 평면부에 관통 고정되는 제1,2고정접점부가 구비되는 압력게이지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ront is provided with a case, the inner center of the case is provided with a briddon tube of the shape, and the mobile contact is provided with an insulation attached to the end of the brdon tube In the pressure gauge is provided with a front cover of the insulating material in the front open portion of the case, the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 portion is fixed through the planar portion of the front cover to contact the moving contact,
상기 제1,2고정접점부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브르돈관의 단부에 장착되며, 유체의 압력이 변화하는 변위량에 따라 회전하여 제1,2고정접점에 접촉되면서 압력을 측정하는 이동접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t is mounted on the end of the Bourdon tube to maintain a predetermined interval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 portion, the moving contact portion for measuring the pressure while rotating in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ixed contact by rotating the pressure of the fluid change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provided.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압력게이지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압력게이지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sure gau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ure 5 shows a plan view of the pressure gaug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본 고안은, 전면이 개방된 케이스(13)가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3)의 내부 중앙에 태엽형상의 브르돈관(12)이 구비되며, 상기 브르돈관(12)의 단부에 절연부착되는 이동접점(14)이 구비되고, 상기 케이스(13)의 전면 개방부에 절연재의 전면커버(17)가 구비되며, 상기 이동접점(14)과 접촉하도록 전면커버(17)의 평면부에 관통 고정되는 제1,2고정접점(18)(19)가 구비되는 압력게이지에 있어서, 상기 제1,2고정접점부(18)(19) 사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도록 브르돈관(12)의 단부에 장착되며, 유체의 압력이 변화하는 변위량에 따라 회전하여 제1,2고정접점(18)(19)에 접촉되면서 압력을 측정하는 이동접점부(100)가 구비되는 것으로,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상기 이동접점부(100)는, 상기 브르돈관(12)의 단부에 절곡되게 고정되어 브르돈관(12)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양측에 지지편(111)이 돌출된 고정부재(110)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상면에 안착고정되며 변위량에 따라 브르돈관(12)의 탄성력으로 변형을 일으켜 제1,2고정접점(18)(19)에 접촉하는 지침부재(120)가 구비되며, 상기 지침부재(120)를 고정부재(110)에 절연/고정하는 접착제(130)가 구비된다.The
상기 지침부재(120)는, 도체로 이루어진 막대형상의 지침(121)이 구비되고, 상기 지침(121)의 중앙 외주면에 절연체(122)가 구비된다.The
상기 접착제(130)는, 에폭시로 형성된다.The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조립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3)의 내부에 장착된 브르돈관(12)의 단부에 고정부재(110)를 브르돈관(12)의 중심과 직각방향으로 위치시켜 고정하고, 상기 고정부재(110)의 지지편 내측에 접착제(130)를 도포한 후, 지침부재(120)의 절연체(122)를 접착제(130) 위에 위치시켜 고정하고, 전면커버(17)를 케이스(13)의 개방부를 폐쇄하면서 고정한다.Next, referring to the assembly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first, as shown in Figure 3, the
또한, 상기 전면커버(17)의 표면에 제1,2고정접점(18)(19)을 관통시켜 고정하되, 상기 지침부재(120)가 제1,2고정접점(18)(19) 사이에 위치하도록 고정된다.In addition, the first and second
상기와 같이 조립된 압력게이지는, 유체의 압력이 브르돈관(12)으로 전달되면 브르돈관(12)이 탄성변형을 하게 되고, 지침부재(120)가 브르돈관(12)의 변형에 의하여 지시하는 위치가 변경되는 것에 비례하여 표시된 눈금을 읽어서 압력을 측정하는 것이다.The pressure gauge assembl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pressure of the fluid is transferred to the
이상에서 상술한 본 고안은, 중앙 외주면에 절연체가 형성된 지침부재를 고정부재에 접착제로 절연/고정하므로 조립이 간편하여 인건비가 절감되고 생산성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가 저하되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because the insulator is formed on the center outer peripheral surface with an adhesive to the fixing member insulated / fixed, the assembly is easy, labor costs are reduced, productivity is increased, and manufacturing costs are reduced, there is an economic advantage .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3806U KR200424510Y1 (en) | 2006-05-23 | 2006-05-23 | Pressure Gau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60013806U KR200424510Y1 (en) | 2006-05-23 | 2006-05-23 | Pressure Gaug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24510Y1 true KR200424510Y1 (en) | 2006-08-23 |
Family
ID=41773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060013806U KR200424510Y1 (en) | 2006-05-23 | 2006-05-23 | Pressure Gau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24510Y1 (en) |
-
2006
- 2006-05-23 KR KR2020060013806U patent/KR200424510Y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220803B2 (en) | Depth gauge having a pressure sensor having a diaphragm and the same pressure sensor | |
US11422050B2 (en) | Temperature-pressure integrated sensor with improved assembly and processing | |
JP5825520B2 (en) | Liquid level detector | |
KR101395850B1 (en) |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 |
KR20120065940A (en) | Semiconductor pressure sen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5819096B2 (en) | Contact terminal device | |
JP2016091888A (en) | Caulking structure | |
JP2013015476A (en) | Temperature sensor, and integrated sensor for detecting temperature and pressure | |
KR200424510Y1 (en) | Pressure Gauge | |
KR20160133227A (en) | Pressure sensor for vehicle | |
JP2013137232A (en) | Temperature sensor device | |
KR20170106526A (en) | Deflection Bend Sensor | |
KR102437952B1 (en) | pressure sensor | |
JP5648590B2 (en) | Sensor device | |
KR100414148B1 (en) | Pressure Switch By Wound Bourdon Tube For Pressure Gauge | |
JP6249570B2 (en) | Capacitive pressure sensor | |
CN105206470A (en) | Sulfur hexafluoride gas density relay | |
KR20150131439A (en) |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 |
KR200181641Y1 (en) | Pressure switch by wound bourdon tube for pressure gauge | |
KR20160001364A (en) | Device for measuring pressure | |
JP5291517B2 (en) | Inner dimension measuring instrument | |
JP6389088B2 (en) | Vibration sensor with thermocouple | |
JP2017116275A (en) | Solid electrolyte sensor | |
CN104515641A (en) | Pressure sensor for pressure cooking utensil, and pressure cooking utensil | |
KR101395851B1 (en) | Structure of flan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T201 |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 ||
EXTG | Extinguishment | ||
T601 |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