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399Y1 -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399Y1
KR200424399Y1 KR2020060007844U KR20060007844U KR200424399Y1 KR 200424399 Y1 KR200424399 Y1 KR 200424399Y1 KR 2020060007844 U KR2020060007844 U KR 2020060007844U KR 20060007844 U KR20060007844 U KR 20060007844U KR 200424399 Y1 KR200424399 Y1 KR 2004243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fluff
vacuum cleaner
remov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78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수
Original Assignee
김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수 filed Critical 김계수
Priority to KR20200600078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3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3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3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풀외의 다른 조직에 손상을 주지않고 보풀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는, 진공청소기(1)에 연결되는 본체(10)와,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20)과, 회전팬의 날개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팬과 더불어 회전하면서 본체 내로 흡입되는 보풀을 커팅하는 커팅날(30), 및 본체의 개방부에 장착되어 커팅날이 의류나 이불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보풀이 흡입되는 복수 개의 보풀 흡입홀(40a)이 배열 형성된 보호망(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체, 회전팬, 커팅날, 보호망

Description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Fluffy remover using vacuum cleane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보풀 제거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2의 측면도.
도 5는 사용시 본체커버가 열린 모습을 보인 도면.
도 6은 사용후 본체커버가 닫힌 모습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체에 먼지떨이용 커버를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
도 8은 본체에 먼지떨이용 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를 이용해 보풀을 제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 본체 13 : 연결부
14 : 고정핀 고정부 15 : 나사 결합부
20 : 회전팬 21 : 회전축
22 : 회전날개 23 : 강판날개
30 : 커팅날 40 : 보호망
50 : 본체커버 60 : 먼지떨이용 커버
70 : 조인트 80 : 조인트 커버
90 : 팬부쉬 100 : 고정핀
본 고안은 보풀 제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진공청소기에 연결하여 보풀을 제거하도록 된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모터의 동력을 이용하여 회전 칼날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의류나 이불 등의 표면위로 나와있는 보풀을 제거하는 보풀 제거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보풀 제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의 전단부에 설치되어 보풀을 제거하기 위해 회전하는 회전 칼날부(4)와, 본체(3)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회전 칼날부(4)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모터(5)와, 본체(3)의 소정위치에 내장되어 회전 칼날부(4)의 회전에 의해 제거된 보풀을 집진하는 보풀 집진부(6)와, 회전 칼날부(4)의 회전속도를 조정하는 조정버튼(7), 및 본체(3)의 전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회전 칼날부(4)를 보호하는 조절캡(8)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종래의 보풀 제거기를 사용하여 의류나 이불 등의 표면위로 나와있는 보풀을 제거하고자 할 때에는, 사용자가 본체(3)의 조정버튼(7)을 눌러 구동모터(5)를 구동시키면 회전 칼날부(4)가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 칼날부(4)의 회전력에 의해 조절캡(8)과 접촉하고 있는 의류나 이불 등으로부터 보풀등이 조절캡(8)을 통해 본체(3) 내로 흡입됨과 동시에 회전 칼날부(4)에 의해 보풀들이 절단된 후 보풀 집진부(6)로 포집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보풀 제거기는 회전 칼날부의 회전시 발생되는 회전력으로 인해 보풀을 본체내로 흡입하게 되는 바, 그 흡입력이 약하기 때문에 사용시 의류나 이불의 표면을 필요이상으로 누르게 되며, 그에 따라 보풀 이외의 조직들이 조절캡을 통해 본체 내로 유입됨에 따라 옷감이나 이불이 회전 칼날부에 의해 손상될 염려가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풀외의 다른 조직에 손상을 주지않고 보풀만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는, 진공청소기에 연결되는 본체와,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과, 회전팬의 날개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팬과 더불어 회전하면서 본체 내로 흡입되는 보풀을 커팅하는 커팅날, 및 본체의 개방부에 장착되어 커팅날이 의류나 이불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보풀이 흡입되는 복수 개의 보풀 흡입홀이 배열 형성된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보풀 제거기는, 일단부가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진공청소기의 호스 단부가 연결되는 조인트, 및 진공청소기의 연결부 직경보다 조인트의 직경이 작을 경우 조인트의 외측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양한 직경의 조인트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보풀 제거기는, 본체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호망을 통한 보풀의 흡입강도를 조정하는 본체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보풀 제거기는, 본체의 보호망 바깥쪽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떨이용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5는 사용시 본체커버가 열린 모습을 보인 도면이며, 도 6은 사용후 본체커버가 닫힌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7은 본체에 먼지떨이용 커버를 장착하는 과정을 보인 도면이며, 도 8은 본체에 먼지떨이용 커버를 장착한 모습을 보인 도면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를 이용해 보풀을 제 거하는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는, 진공청소기(1)에 연결되는 본체(10)와, 본체(10)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팬(20)과, 회전팬(20)에 장착되어 본체(10) 내로 흡입되는 보풀을 커팅하는 커팅날(30)과, 본체(10)에 장착되어 의류나 이불이 커팅날(30)과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하는 보호망(40)과, 본체(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본체커버(50)와, 의류나 이불에 묻어 있는 먼지를 떨때 사용되는 먼지떨이용 커버(60), 및 본체(10)와 진공청소기(1)를 연결하는 조인트(7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0)는 보풀 제거기의 골격을 형성하는 것으로, 좌우측 몸체(11)(12)가 나사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회전팬(20) 등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설치공간(10a)이 형성되며, 그 하단부에는 진공청소기(1)가 연결되는 연결부(13)가 일체로 형성되고, 그 전면부에는 보호망(40)이 설치되는 개방부(10b)가 형성된다.
이 때, 좌우측 몸체(11)(12)의 내측 중심에는 회전팬(20)의 회전축(21) 양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고정 지지하는 팬부쉬(90)가 각각 삽입 고정되는 팬부쉬 고정홈부(10c)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우측 몸체(11)의 외측에는 회전팬(20)의 회전을 정지시키기 위한 고정핀(100)이 삽입 고정되는 고정핀 고정부(14)가 돌출 형성된다.
한편, 본체(10)의 배면부에는 복수 개의 공기조절홀(10d)이 일정간격으로 배 열 형성되며, 본체(10)의 전면부 하단에는 좌우측 몸체(11)(12)를 서로 결합하기 위한 나사 결합부(15)가 각각 돌출 형성된다.
공기조절홀(10d)의 경우에는 본체커버(50)에 의해 개폐가 조정되는 것으로, 진공청소기(1) 작동시 후술할 보호망(40)의 보풀 흡입홀(40a)과 더불어 외부의 공기가 분산 흡입된다.
그리고, 본체(10)의 전면부 양측에는 후술할 먼지떨이용 커버(60)가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홈(10e)이 각각 형성되며, 가이드홈(10e)의 소정위치에는 먼지떨이용 커버(60)로부터 돌출되는 고정돌부(61)가 삽입되는 고정홈(10f)이 형성된다.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회전팬(20)은 진공청소기(1) 작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것으로, 회전축(2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개의 회전날개(22)가 방사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회전팬(20)의 회전날개(22)들은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나, 소정위치에는 강판으로 제작된 강판날개(23)가 추가로 장착된다.
한편, 합성수지재로 된 회전날개(22)와 강판날개(23)의 단부는 일방향으로 절곡 형성됨으로써, 진공청소기(1)의 작동시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회전팬(20)이 일방향으로만 회전하게 된다.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커팅날(30)은 강철로 제작된 것으로, 회전팬(20)의 합성수지재로 된 회전날개(22)의 단부에 장착되어 회전팬(20)과 함께 회전하면서 본체(10) 내로 흡입되는 보풀들을 커팅한다. 이러한 커팅날(30)은 보호망(4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보풀을 커팅하게 된다.
도 2, 도 3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호망(40)은 얇은 강판으로 제작되어 본체(10)의 전면부에 형성된 개방부(10b)에 보호망 고정커버(41)에 의해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의류나 이불등이 커팅날(30)과 직접적으로 접촉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커팅날(30)과 더불어 보풀을 커팅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보호망(40)에는 보풀이 흡입되는 복수 개의 보풀 흡입홀(40a)들이 일정한 형태로 배열 형성된다.
따라서, 의류나 이불의 보풀들은 보호망(40)의 보풀 흡입홀(40a)을 통해 본체(10) 내로 흡입된 후 보호망(40)과 커팅날(30)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커팅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커버(50)는 본체(10)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보풀을 커팅하지 않을 경우에는 본체(10)의 전방으로 회동하여 보호망(40)을 커버링하고, 보풀을 커팅하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10)의 후방으로 회동하여 보호망(40)을 개방함과 동시에 본체(10)의 배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공기조절홀(10d)을 커버링한다.
따라서, 본체커버(50)를 본체(10)의 배면부로 회동시켜 공기조절홀(10d)의 폐쇄정도를 높게 하면, 보풀 흡입홀(40a)을 통해 더 많은 공기가 흡입됨에 따라 보풀 흡입홀(40a)을 통한 보풀의 흡입력 또한 강해지며, 반대로 본체커버(50)를 본체(10)이 전면부로 회동시켜 공기조절홀(10d)의 개방정도를 높게 하면, 보풀 흡입홀(40a)을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흡입량이 약해져 보풀 흡입홀(40a)을 통한 보풀의 흡입력 또한 약해진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체(10)의 양측면에 일정간격으로 새겨진 보풀의 흡입강도를 나타내는 숫자가 새겨져 있으며, 본체커버(50)의 양측에는 보풀의 흡입강도를 나타내는 숫자를 가르키는 눈금돌기(51)가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눈금돌기(51)가 가르키는 숫자에 맞게 본체커버(50)를 회동시킴으로써 보풀의 흡입강도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먼지떨이용 커버(60)는 본체(10)의 전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의류나 이불에 묻어 있는 먼지를 떨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그 전단부에는 진공청소기(1) 작동시 먼지가 흡입되는 복수 개의 먼지 홉입홀(60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그 후단부 양측에는 본체(10)의 가이드홈(10e)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됨과 더불어 고정홈(10f)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돌부(61)가 각각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먼지떨이용 커버(60)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그 바깥쪽에는 의류나 이불의 표면을 눌러주어 먼지가 잘 일어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돌기(62)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먼지떨이용 커버(60)는 사용시 보호망(40)을 커버링함으로써, 먼지떨이용 커버(60)의 먼지 홉입홀(60a)을 통해 흡입되는 먼지는 보호망(40)을 보풀 흡입홀(40a)들 통해 본체(10) 내로 흡입된 후, 진공청소기(1)로 이송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조인트(70)는 본체(10)와 진공청소기(1)를 연결하는 관으로서, 그 일단부는 본체(10)의 연결부(13)에 탈거 가능하게 삽입되고, 그 타단부는 진공청소기(1)에 연결된다.
이러한 조인트(70)의 외측에는 진공청소기(1)의 연결부 내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구비되는 조인트 커버(80)가 탈거 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진공청소기(1)의 연결부 내경이 조인트(70)의 외경보다 클 경우 조인트 커버(80)를 이용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사용자는 진공청소기(1)의 연결부에 맞는 조인트 커버(80)를 조인트(70)의 외측에 끼운 후, 조인트(70)를 진공청소기(1)의 연결부에 연결한다. 경우에 따라 조인트 커버(80) 없이 조인트(70)를 직접 진공청소기(1)의 연결부에 연결할 수도 있다.
이 때, 조인트(70)의 규격은 정해져 있으며, 조인트 커버(80)는 다양한 직경으로 형성됨에 따라 진공청소기(1)의 연결부 내경에 따라 조인트 커버(80)를 선택적으로 끼우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보풀 제거기를 진공청소기(1)에 연결한 후에는 보풀을 제거하고자 하는 의류나 이불 등을 다리미대나 책상, 테이블 등과 같이 평평한 곳에 펼쳐 놓는다.
그리고나서, 진공청소기(1)를 작동시키고, 본체커버(50)를 후방으로 회동시켜 보풀을 제거하고자 하는 천의 종류에 따라 보풀 흡입강도를 조정한 후, 보호망(40)이 의류나 이불 등에 닿도록 한 다음 보풀 제거기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보풀을 제거하게 된다.
이처럼 보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의류나 이불이 접혀지지 않도록 평평하게 펴주어야 하며, 너무 많은 힘을 주어 보풀 제거기를 누르지 말아야 한다. 만일, 너무 많은 힘을 주어 보풀 제거기를 누르게 되면 보풀 뿐만 아니라 의류나 이불의 다른 천조직들도 본체(10) 내로 흡입되므로 불필요한 부분까지 손상을 줄 우려가 있다.
보풀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본체커버(50)를 자유롭게 회동시켜 보풀의 흡입강도를 조정할 수 있으며, 진공청소기(1)의 흡입강도를 조정함에 의해서도 보풀의 흡입강도를 조정할 수도 있다.
한편, 진공청소기(1)의 전원을 온시켜 진공청소기(1)를 작동시키게 되면, 진공청소기(1)로부터 발생되는 흡입력에 의해 보호망(40) 및 본체(10)에 형성된 보풀 흡입홀(40a) 및 공기조절홀(10d)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본체(10) 내로 유입되며, 흡입되는 공기가 회전팬(20)의 회전날개(22) 및 강판날개(23)에 부딪히면서 날개(22)(23)들이 회전하게 된다.
이처럼, 회전팬(20)의 날개(22)(23)들이 회전함과 동시에 보호망(40)의 보풀 흡입홀(40a)을 통해 의류나 이불의 보풀들이 본체(10) 내로 흡입되며, 흡입된 보풀들은 날개(22)(23)와 함께 회전하는 커팅날(30)과 보호망(40)과의 상호관계에 의해 커팅된다.
커팅된 보풀들은 진공청소기(1)의 흡입력에 의해 본체(10)의 연결부(13), 조인트(70) 및 호스(2)를 통해 진공청소기(1)의 필터에 모아진다.
만일, 보풀대신 의류나 이불의 표면에 묻어 있는 먼지를 흡입하기 위해서는 본체커버(50)를 본체(10)의 배면부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본체(10)의 전면부에 먼지떨이용 커버(60)를 장착한 후 진공청소기(1)를 작동시키면 된다.
진공청소기(1)를 작동시키고 먼지떨이용 커버(60)를 의류나 이불의 표면에 대고 좌우로 움직이면, 먼지떨이용 커버(60)의 배면에 형성된 돌기(62)들이 의류나 이불의 표면을 긁어 먼지가 쉽게 일어나게 되며, 일어나 먼지들은 먼지떨이용 커버(60)의 먼지 홉입홀(60a)과 보호망(40)의 보풀 흡입홀(40a)을 통해 본체(10)로 흡입된 후 보풀과 마찬가지로 진공청소기(1)의 필터로 이송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에 따르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보풀을 흡입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종래에서처럼 회전팬을 회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수단이 필요치 않을 뿐만 아니라,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크기 때문에 보풀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흡입속도로 빠르며, 커팅된 보풀이 진공청소기로 이송되므로 종래에서처럼 별도의 보풀 집진부가 필요치 않다.
특히,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이 크기 때문에, 보풀 제거기를 의류나 이불등에 필요 이상으로 누르지 않아도 보풀의 흡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의류나 이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호망의 보풀 흡입홀보다 큰 보풀들도 보풀 흡입홀을 통해 원활히 흡입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커버를 회동시키거나 진공청소기의 강약을 조정하여 보풀을 제거하고자 하는 의류나 이불의 소재에 따라 보풀의 흡입강도를 조정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보풀의 제거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먼지떨이용 커버를 이용해 의류나 이불에 묻어 있는 먼지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제거된 먼지도 별도의 집집기 없이 진공청소기로 이송할 수 있다.

Claims (4)

  1. 의류나 이불 등에 발생되는 보풀을 제거하는 보풀 제거기에 있어서,
    진공청소기에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복수 개의 날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팬;
    상기 회전팬의 날개 단부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팬과 더불어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 내로 흡입되는 보풀을 커팅하는 커팅날; 및
    상기 본체의 개방부에 장착되어 상기 커팅날이 의류나 이불에 직접 닿지 않도록 보호해주며, 보풀이 흡입되는 복수 개의 보풀 흡입홀이 배열 형성된 보호망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부가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조인트; 및
    상기 진공청소기의 연결부 내경보다 상기 조인트의 직경이 작을 경우 상기 조인트의 외측에 탈거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양한 직경의 조인트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형성된 공기조절홀의 폐쇄정도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보호망을 통한 보풀의 흡입강도를 조정하는 본체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보호망 바깥쪽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먼지떨이용 커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KR2020060007844U 2006-03-23 2006-03-23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KR2004243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44U KR200424399Y1 (ko) 2006-03-23 2006-03-23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7844U KR200424399Y1 (ko) 2006-03-23 2006-03-23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399Y1 true KR200424399Y1 (ko) 2006-08-25

Family

ID=4177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7844U KR200424399Y1 (ko) 2006-03-23 2006-03-23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39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608B1 (ko) * 2020-05-07 2020-07-20 김동규 카펫 자동 마감처리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5608B1 (ko) * 2020-05-07 2020-07-20 김동규 카펫 자동 마감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84980B1 (ko) 회전 브러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전기 기구
US7712183B2 (en) Electric vacuum cleaner
JP2008006045A (ja) 洗濯乾燥機
JP5172307B2 (ja) 電気掃除機
JP3937405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み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US5904160A (en) Method of removing lint from clothes dryers using a magnetically mountable hand held vacuum cleaner
KR200424399Y1 (ko)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보풀 제거기
JP2008104633A (ja) 清掃装置及びフィルタを有する機器
JP6037150B2 (ja) 空気調和機
CN217830902U (zh) 除尘机外壳及除尘机
JP2011163722A (ja) 空気調和機
JP3677260B2 (ja) 洗濯乾燥機
JP4879776B2 (ja) 電気掃除機
KR200473299Y1 (ko) 청소기 결합식 보풀 제거기
KR100208136B1 (ko) 업라이트청소기
JP5644708B2 (ja) 手乾燥装置
KR200270575Y1 (ko) 먼지 제거 기능을 갖는 보풀 제거기
KR20010018411A (ko) 진공 청소기용 보풀 제거기
KR950004471B1 (ko) 진공청소기용 흡입기의 물걸레 착탈장치
CN219306602U (zh) 清理装置
CN216092710U (zh) 过滤网组件
US20230392317A1 (en) Drying appliance having an accessory port for providing external airflow for powered accessories
JP2021016688A (ja) 掃除機用ノズル装置
KR20110003531U (ko) 머리카락 청소기능을 구비한 헤어 드라이기
JP2005342298A (ja) 乾燥機能付き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