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4105Y1 - 작업마스크 - Google Patents

작업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4105Y1
KR200424105Y1 KR2020060010774U KR20060010774U KR200424105Y1 KR 200424105 Y1 KR200424105 Y1 KR 200424105Y1 KR 2020060010774 U KR2020060010774 U KR 2020060010774U KR 20060010774 U KR20060010774 U KR 20060010774U KR 200424105 Y1 KR200424105 Y1 KR 200424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
nose
face
filter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77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철
Original Assignee
김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철 filed Critical 김원철
Priority to KR202006001077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4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4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410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 A62B23/025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the filter having substantially the shape of a mas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 작업마스크는 얼굴 중에서 코끝 아래 윗 입술선부터 코 주변과 좌, 우의 양쪽 눈 아래의 광대뼈 부위의 얼굴을 포함한 안면을 여과대(1)로서 가리게 만들어 여과대(1)의 양측단에 귓줄(3)을 부착하여 착용하는 코만 가린 마스크다. 종래 사용되어 온 마스크는 방한용과 직업용 마스크로서 안면 전체를 가리고 있으므로 마스크 착용이 필요한 경우에도 하절기에는 안면이 더워 사용을 기피하고 있다.
현대문명의 발달로 대기오염으로 인한 공해는 인체에 오랜 기간 누적되어 여러 가지 질병을 유발시킨가. 그러므로 도심지에서 일상적인 업무나 작업에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인체를 보호하는 공해방지용 마스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었으나 적합한 마스크가 없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만들어진 본 고안 작업마스크다. 본 고안 마스크는 여과대(1), 흡입면적확장기(도 3), 콧등조임기(4), 귓줄(3)로 구성되어 있다. 여과대(1) 안면부쪽 면에 콧등심(5), 광대심(6), 고정심(7)을 요소로하여 마스크 기능을 향상시킨 흡입면적확장기(도 3)를 부착한 비 산업용에 적합한 마스크다.
여과대(1)의 배면상단인 가로측 테두리 중간의 아랫부분에 콧등조임기(4)가 소정의 너비와 길이로 직선으로 가공하여 부착되어 있으며 마스크 착용시에는 콧등조임기(4)를 손으로 눌러 착용자에게 맞게 콧등과 동일한 굴곡으로 가공하여 코로 흡입시 매연과 미세한 먼지, 바이러스가 인체의 코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먼지가 많은 건설현장 종사원 , 환경미화원, 도심지내 오토바이 운전자, 교통단속 종사원, 먼지 속에서 작업하는 사람에게 꼭 필요한 새로운 형태로 고안한 인체를 보호하는 공해방지용 작업마스크다.
여과대(1), 귓줄(3), 흡입면적확장기(도 3), 콧등심(5), 광대심(6), 고정심(7), 콧등조임기(4), 확장심(도 5)

Description

작업마스크 {Job. Tamis Mask}
도 1은 본 고안 작업마스크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흡입면적확장기를 부착한 후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흡입면적확장기 구성품의 정면도
도 4는 본 고안 콧등조임기의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확장심의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여과대 2 : 테두리부 3 : 귓줄 4 : 콧등조임기 5 : 콧등심
6 : 광대심 7 : 고정심
종래 직사각형 모양의 섬유천으로 된 마스크는 대부분 방한용으로 코와 입을 포함한 안면을 가린 마스크이나 본 고안 마스크는 얼굴 중에서 코끝 아래 윗 입술선부터 코 주변과 좌, 우의 양쪽 눈 아래의 광대뼈 부위의 얼굴을 포함한 안면을 가리어 코만 가린 마스크로서 종래마스크 크기에 비하여 절반 정도로서 대화를 자유롭게 하는 종래에 없는 새로운 형태의 마스크다.
산업현장에서 사용하고 있는 안전마스크를 분진이 발생되는 곳에서 사용할 수 있겠으나 입과 코 및 턱부분까지 가리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하절기나 열대지방에서는 안면이 더워 마스크 사용을 대부분 기피하는 것이 현실이다. 일상적인 생활에서 분진이 발생하는 작업현장, 매연이 심한 도심지의 도로변과 오토바이 운전자에게 적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비 산업용 마스크가 필요하였지만 대부분 방한용, 직업용, 산업안전용으로 전부가 코와 입, 턱을 가린 마스크로서 대화가 자유롭지 못하고 안면이 더워 비 산업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본 고안 마스크는 방한용, 직업용 마스크가 아닌 사계절 사용하는 비 산업용 용도로서 도심지 매연, 황사, 분진이 발생하는 곳에서 편리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일상적인 생활용이며 공해방지용 마스크다. 종래 마스크는 마스크내에 자신의 코김과 입김이 혼재되어 안면이 덥고 불쾌한 냄세가 나고 대화하기에 불편하며 하절기에는 얼굴에 땀까지 차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서는 여과대(1)가 입을 가리지 않게 하고 여과대(1)의 안면부쪽 면에 흡입면적확장기(도 3)를 부착하여 여과대(1) 배면이 타원형 형태로 형성되므로 흡입시 여과대(1)의 흡입여과면적은 종래 마스크보다 크게 구성되고 마스크내에는 코김 뿐이므로 장시간 착용시라도 덥지 않고 착용감이 좋다.
본 고안 작업마스크의 흡입면적확장기(도 3)라 함은 콧등심(5), 광대심(6), 고정심(7)의 3가지 구성요소를 갖고 여과대(1)의 안면부쪽 면에 붙여진 것으로 흡입시 콧등심(5)은 여과대(1)의 여과포가 코끝과 접촉되는 부분이 빨려들지 않도록 한 것이며, 광대심(6)은 여과대(1)의 배면이 타원형태로 볼록하게 형성되게하여 흡입면적을 넓혀주게 한 것이며, 고정심(7)은 여과대(1)의 세로측 길이를 적합하게 고정시키므로서 마스크가 입을 가리지 않도록 붙여진 장치를 말한다.
여과대(1) 배면상단의 콧등이 덮히는 중간지점 부분의 테두리부(2)밑에 콧등조임기(4)를 부착하여 콧등조임기(4)가 여과대(1)와 콧등부분의 밀착을 극대화하여 코로 흡입시 매연 또는 미세한 먼지나 바이러스의 침입을 최소화시켜 인체를 보호하는 공해방지 마스크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 작업마스크의 흡입면적확장기(도 3)를 부착한 후면 사시도로서, 그 구성은 크게 여과대(1), 콧등조임기(4), 콧등심(5), 광대심(6), 고정심(7) 및 귓줄(3)로 구성된다.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을 명확하게 하기위해 본 고안 마스크의 귓줄을 제외한 부분을 여과대(1)라고 하며, 여과대(1)의 가로측과 세로측이라고 하면 마스크를 착용했을 시 가로측과 세로측 방향을 표시하는 것이고, 여과대(1) 여과포가 안면피부와 접촉되는 쪽을 안면부쪽 면이라고 하고, 여과대(1) 배면이라고 하면 안면부쪽의 반대편인 바깥부분의 여과포의 면을 표시하는 것이다. 여과대(1)의 여과포는 면포, 화학섬유, 부직포를 소재로하여 구성되고 여과대(1)의 테두리부(2) 및 귓줄(3)은 종래 마스크와 같이 면포와 화학섬유로 된 신축성이 있는 천과 끈으로 되어있다. 본 고안은 인체의 코끝 아래 윗 입술선부터 코 주변과 양쪽 눈 아래 광대뼈 부위의 얼굴을 포함한 안면을 가릴 수 있는 여과대(1)로 구성되고 여과대(1) 가로측인 상, 하단과 세로측인 좌, 우측의 테두리에 신축성있는 직포를 붙여 안면과 밀착이 용이하도록 테두리부(2)로 구성되고, 귓줄(3)은 여과대(1)의 가로측 상, 하단의 좌, 우측 측단에 테두리부(2)를 구성한 천을 연이어서 끈 형태로 하여 좌, 우측 귀까지 신체구조에 맞는 소정의 길이로 서로 연결하여 귀의 후측 연골 부분에 걸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고안 여과대(1) 안면부쪽 면의 여과포에 붙여진 흡입면적확장기(도 3)를 구성하는 콧등심(5), 광대심(6), 고정심(7)의 3가지 요소는 특정 할 수 없는 소정의 형태와 형식과 규격으로서 안면부쪽 면의 여과포의 규격에 적합토록 여과대(1)의 세로측 방향으로 붙여 구성된다.
콧등심(5), 광대심(6)의 소재는 부직포인 탄력성이 있는 망사천, PVC 소재를 이용하여 망사천과 유사하게 구멍을 뚫어 가공한 제품을 소재로 하고, 고정심(7)은 보드럽고 얇은 면포, 화학섬유, 부직포를 소재로 한다.
흡입면적확장기(도 3)의 구성을 도 2를 보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콧등부분과 접촉되는 여과대(1)의 안면부쪽 면에 콧등심(5)을 붙일 때는 여과대(1)의 가로측 배면상단의 중간 테두리부분의 밑 콧등조임기(4)를 붙일 소정의 너비를 비워놓고 콧등의 콧날이 뻗은 방향으로 코끝보다 돌출되게 붙여 흡입시 코끝의 여과포가 코끝에 붙어 빨려들지 않게하고, 확장심(도 5)은 광대심(6)과 고정심(7)을 결합시킨 것으로서,
고정심(7)은 광대심(6)보다 길이가 짧으므로 도 5와 같이 고정심(7)과 광대심(6)의 긴 부분의 양쪽 끝단을 결합하여 붙이면 고정심(7)은 직선형태이며 광대심(6)은 타원형태로 된다. 고정심(7)의 길이는 여과대(1)의 세로측 길이보다 같거나 짧으며 여과대(1)가 입을 가리지 않는 길이로 한다.
광대심(6)을 붙이는 위치는 콧등심(5)과 좌, 우측 여과대(1)의 세로측 측단과의 절반되는 지점에서 세로측 방향으로 좌, 우에 각각 붙인다.
확장심(도 5)을 붙일 때는 콧등심(5)을 기준하여 콧등심(5)과 평행되게 동일한 간격으로 하여 양쪽 눈 아래 광대뼈 부위의 얼굴을 가린 여과대(1)의 안면부쪽 면에 세로측으로 수직되게 각각 확장심(도 5)의 긴부분 양쪽 끝단을 붙이는데 확장심(도 5)의 상단 끝단은 콧등심(5)이 붙은 상단과 수평되는 지점의 좌, 우측에 각각 붙이고 하단쪽은 가로측 테두리가 봉제된 곳에 각각 붙인다.
확장심(도 5)을 붙임으로서 여과대(1) 배면이 광대심(6)의 기능으로 타원형으로 볼록 튀어나와 흡입시 여과포가 빨려들어 얼굴 피부에 접촉되지 않고 흡입면적을 확장시킨다.
여과대(1)의 세로측 길이를 길게하여 좌, 우측 끝단에서 한번 또는 두번 접어 여과대(1) 세로측 테두리를 붙여주므로서 여과포와 여과면적을 넓히고 마스크의 적정한 모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코가 낮은 사람에게는 여과포의 신축성으로 접을 필요가 없겠으나 코가 높은 서양인에게는 여과포를 접어야 한다.
콧등조임기(4)는 여과대(1)에서 콧등이 덮히는 가로측의 배면 상단인 중간부분 테두리부(2)의 밑 여과대(1)에 붙여 구성되고, 콧등조임기(4)는 도 4와 같이 뚜께가 얇은 함석판을 너비가 좁고 바닥이 수평인 것을 소정의 너비와 길이로 직선으로 가공한다. 착용시는 마스크 사용자가 콧등의 좌, 우쪽 틈새를 막도록 콧등조임기(4)를 손으로 눌러 콧등 굴곡면과 동일하게 가공하여 착용하면 된다.
상기 완성된 본 고안 마스크의 착용방법은 종래 마스크의 착용방법과 동일하나, 모양에 있어서 입을 가리지 않고 여과대(1)에 흡입면적확장기(도 3)가 붙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마스크는 입, 코 및 턱을 가리므로서 방한용과 직업용으로는 적합하나 일상적인 생활 환경의 대기오염이나 도심지 공해를 방지하여 인체를 보호하기에는 안면이 덥고 대화를 하기에 불편하다. 그러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마스크가 요구되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것이 없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 코만 가린 본 고안 마스크에 의하면 여과대(1)에 흡입면적확장기(도 3)를 부착하므로서 흡입시 여과면적을 넓혀주고 대화를 자유롭게 하며 덥지않고 불쾌한 냄세가 없는 일상적인 생활에서 사용하는 비 산업용 공해방지 마스크다. 하절기 도심지를 주행하는 오토바이 운전자, 지정된 곳에서 장시간 교통질서를 단속하는 교통경찰, 먼지 속에서 작업하는 사람들, 대기오염, 공해환경이 나쁜 곳에서 인체를 보호하는 마스크다.

Claims (2)

  1. 얼굴의 코끝 아래 윗 입술선부터 코 주변과 양쪽 눈 아래 광대뼈 부위의 얼굴을 포함한 안면을 가린 마스크로서 이를 안면에 착용하기 위하여 여과대(1) 가로측의 상, 하단 의 좌, 우측 측단에 끈이 붙어 귀 후면의 연골부에 걸치게하는 귓줄(3)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과대(1)의 안면부쪽 면에 흡입면적확장기(도 3)를 붙여 여과대(1)의 흡입여과면적을 넓혀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마스크.
  2. 제1항에 있어서 흡입면적확장기(도 3)는 여과대의 크기에 따라 소정의 형태와 규격으로 만들어 콧등부분을 가린 여과대(1)의 안면부쪽 면에 콧등의 안경을 걸치는 지점에서 코끝 쪽으로 콧등의 콧날이 뻗은 방향으로 코끝보다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게하여 붙여진 콧등심(5), 양쪽 눈 아래 광대뼈 부위의 얼굴을 가린 여과대(1)면의 콧등심(5)을 기준으로 좌, 우측의 광대심(6)이 동일한 간격으로 콧등심(5)과 평행되게 하여 여과대(1)의 상, 하단 가로측 테두리가 붙여진 곳에서 광대심(6)의 긴부분 양쪽 끝단을 여과대(1)의 세로 방향 수직으로 각각 붙여진 광대심(6), 광대심(6)이 붙여진 곳에 고정심(7)의 긴부분 양쪽 끝단을 각각 같이 붙여 흡입면적확장기(도 3)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마스크.
KR2020060010774U 2006-04-18 2006-04-18 작업마스크 KR200424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74U KR200424105Y1 (ko) 2006-04-18 2006-04-18 작업마스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774U KR200424105Y1 (ko) 2006-04-18 2006-04-18 작업마스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4105Y1 true KR200424105Y1 (ko) 2006-08-16

Family

ID=41772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774U KR200424105Y1 (ko) 2006-04-18 2006-04-18 작업마스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410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52976A1 (en) Face mask
KR100510163B1 (ko)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JP3157770U (ja) マスク
KR200408139Y1 (ko) 닥터마스크
KR200424105Y1 (ko) 작업마스크
CN204467014U (zh) 一种交警用口罩
JP3116947U (ja) マスク
KR200433854Y1 (ko) 일회용 방진 마스크
US20030217751A1 (en) Washable dust mask
CN215270751U (zh) 一种带有软骨鼻梁结构的口罩
KR101249610B1 (ko) 상용마스크
KR20150145520A (ko) 코마스크
KR102624660B1 (ko) 마스크
CN212994588U (zh) 一种杯型口罩
CN215531817U (zh) 一种呼吸护罩
JP3121985U (ja) 襞付き立体マスク
KR200301993Y1 (ko) 상하 융출부를 갖는 일회용 방진마스크
CN213785510U (zh) 一种一次性使用医用口罩
CN216753614U (zh) 一种可塑性好的欧式杯型防尘口罩
KR20200001348U (ko) 기능 가변형 마스크
CN210445767U (zh) 一种环保口罩
CN216853877U (zh) 一种防护面罩
JP3227500U (ja) マスクカバー
CN212414835U (zh) 一种佩戴舒适的口罩
CN213848875U (zh) 一种防尘清凉型口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