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877Y1 -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 Google Patents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877Y1
KR200423877Y1 KR20060013472U KR20060013472U KR200423877Y1 KR 200423877 Y1 KR200423877 Y1 KR 200423877Y1 KR 20060013472 U KR20060013472 U KR 20060013472U KR 20060013472 U KR20060013472 U KR 20060013472U KR 200423877 Y1 KR200423877 Y1 KR 2004238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losing plate
backflow
odo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0134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규
Original Assignee
김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규 filed Critical 김규
Priority to KR2006001347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8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8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8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5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n odour se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2Arrangements of means against overflow of water, backing-up from the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2005/0416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with an odour se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수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 및 해충을 방지하고,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에서 역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개폐판이 형성되는 차단기의 하단에 원통형의 케이스를 고정설치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판의 연장된 단부를 케이스 내부면과 접촉되도록 동일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하고, 그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스프링을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탄지장치를 형성하므로서,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폐판의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수구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한 악취 및 역류를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있어서, 하단에 배수공(21')이 형성되는 차단기(21)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22)와; 상기 차단기(21)의 배수공(21')을 개폐하는 개폐판(24)의 일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2) 내부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지지부(26)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회동홈(27)이 요입형성되는 회동부(25)와; 상기 개폐판(24)에 형성되는 회동부(25)의 지지부(26)에 일측단부가 지지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회동부(25) 타측면의 회동홈(27)에 결합되어 개폐판(24)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ELASTIC SUPPORT DEVICE OF AUTOMATIC APPARATUS FOR PREVENTING BACK FLOW ANDSTINK IN SEWAGE PIPE}
도 1은 종래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를 보인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를 보인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의 사용을 보인 저면에서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단장치 20 ; 탄지장치
21 ; 차단기 22 ; 케이스
22 ; 체결공 23 ; 체결볼트
24 ; 개폐판 25 ; 회동부
26 ; 지지부 27 ; 회동홈
30 ; 스프링
본 고안은 하수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 및 해충을 방지하고,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역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개폐판이 형성되는 차단기의 하단에 원통형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판의 연장된 단부를 케이스 내부에 접촉되도록 결합하고, 그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스프링을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탄지장치를 형성하므로서,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폐판의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거지역의 생활도로나 공유지, 공장, 아파트단지의 지하에는 각종 하수가 배출되는 하수관이 매설되어 있으며, 이러한 하수관이 설치된 지면에는 일정간격마다 노면의 유수가 지하의 하수관으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수구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하수구는 사용시간이 경과되면서 하수구 내부에서 이물질이 썩거나하여 내부의 악취가 발생하게 되었으며, 이러한 악취는 하수구 상부를 통해 주변환경을 오염시키게 되었고, 하수의 유입이 많거나, 우기시에 우수의 유입이 많은 경우에는 그 하수구를 통해 유입되는 우수 및 하수가 역류되는 현상 또한 발생하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수구의 하단에 하수구를 통한 악취 및 역류를 방지할 수 있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가 다수 제안된 바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100)에 의하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수구의 단턱에 안착되도록 플랜지부(201)를 갖으며, 하단으로는 배수공(202)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차단기(200)와; 그 차단기(200)의 일측단부에 축설되는 스프링(205)을 통해 탄력지지되면서 배수공(202)을 개폐하는 개폐판(204);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그 작동은 하수구를 통해 물을 배수하게 되면, 수압에 의해 개폐판(204)이 개방되면서 물이 배수되도록 하고, 배수가 끝난 후에는 개폐판(204)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05)의 복원력에 의해 개폐판(204)이 닫혀지면서 하수구를 통한 악취 및 역류를 차단하게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100)에 의하면, 개폐판(204)을 탄력지지하면서 개폐시키기 위한 스프링(205)과, 그 스프링(205)을 지지하는 축(206)이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어 있어, 하수 및 오수가 통과하게 되는 하수구의 특성상, 습기 및 하수, 우수 등에 의해 쉽게 녹이 스는 등의 부식현상이 발생하게 되어 개폐판(204)을 개폐하는 데 어려움이 발생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개폐판(204)의 개폐가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게 될 경우에는 차단기(200)과 개폐판(204)과의 틈새를 통해 하수구의 악취 및 역류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또한, 차단기(200)의 배수공(202)을 차단하는 개폐판(204)이 차단기(200)과 분리되어 스프링(205)을 통해 탄력지지되게 설치되므로서, 스프링(205)의 오랜 사 용 또는 탄지력이 약화되었을 경우 차단기(200)에 대한 개폐판(204)의 차단이 정확하게 이뤄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 또한 발생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된 목적으로는 하수구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해 배출되는 악취 및 해충을 방지하고, 하수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에서 역류를 차단하기 위하여 개폐판이 형성되는 차단기의 하단에 원통형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판의 연장된 단부를 케이스 내부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케이스의 내부면과 동일형상으로 형성하여 결합하고, 그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스프링을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탄지장치를 형성하므로서,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폐판의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하수구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한 악취 및 역류를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있어서,
하단에 배수공이 형성되는 차단기의 저면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와;
상기 차단기의 배수공을 개폐하는 차단부의 일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지지부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회동홈이 요입형성되는 회동부와;
상기 개폐판 회동부의 지지부에 일측단부가 지지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회동부 타측면의 회동홈에 결합되어 개폐판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즉,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에서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의 하단에 원통형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판의 연장된 단부를 케이스 내부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결합하고, 그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스프링을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탄지장치를 형성하므로서,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폐판의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를 보인 절개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를 보인 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탄지장치의 사용을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는 도 3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하수구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한 악취 및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에서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배수공(21')이 형성되는 차단기(21)의 하단 일측에 원통형상의 케이스(22)를 복수 개 설치하고, 그 케이스(22)의 내부에는 배수공(21')을 개폐하면서 차단하는 개폐 판(24)의 일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회동부(25)를 케이스(22) 내부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한다.
이때, 차단기(21)의 저면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22)는 차단기(21)의 배수공(21') 일측에 설치하되, 케이스(22)의 양측에 형성되는 체결공(23a)에 체결볼트(23b)를 이용하여 차단기(21)에 체결고정토록 한다.
또한, 개폐판(24)의 일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2) 내부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케이스(22)의 내부면과 동일형상으로 형성되는 회동부(25)의 일측에는 지지부(26)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타측면에는 회동홈(27)을 요입형성토록 한다.
이어, 상기 개폐판(24)의 회동부(25)에는 개폐판(24)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0)을 설치하되, 스프링(30)의 일측단부는 회동부(25)의 지지부(26)에 지지되게 결합하고, 타측단부는 회동부(25) 타측면의 회동홈(27)에 결합하여 오수 및 우수의 배출에 따라 개폐판(24)을 열리도록 하고, 배출이 끝나면 스프링(30)의 복원력으로 개폐판(24)을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에 의하면, 도로의 양측에 설치되는 하수구의 내부에 차단기(21)이 안착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하수구를 통해 도로에서의 오수 또는 우수가 흘러들어가게 되면, 오수 및 우수의 힘에 의해 개폐판(24)이 열리게 되는 데, 이때 작동은 케이스(22) 내부와 접촉되게 결합된 상태의 개폐판(24)의 회동부(25)가 개폐판(24)에 가해지는 수압에 의해 하방으로 작동되면서 배수공(21')을 열게되고, 이에 따라 회동부(25)의 지지 부(26) 및 회동홈(27)에 양단부가 결합된 상태의 스프링(30)이 회전되면서 개폐판(24)의 열림을 탄력지지하게 된다.
상기 작동에 따라 개폐판(24)을 통해 도로에서의 우수 및 오수의 배출이 끝나게 되면, 스프링(30)의 원상복귀력에 따라 스프링(30)이 상기 작동의 역순으로 회동되면서 개폐판(24)을 통해 차단기(21)의 배수공(21')을 닫게 되어 하수구를 통한 악취 및 오수 및 우수의 역류를 완벽하게 차단시킬 수 있게 된다.
즉, 개폐판(24)을 개폐시키기 위한 스프링(30)이 차단기(21)의 저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케이스(22) 내부에 설치되므로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스프링(3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스프링(30)의 부식으로 인한 개폐판(24)의 개폐력 약화를 방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른 악취 및 역류의 방지를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판(24) 단부의 회동부(25)가 케이스(22) 내부에서 내부면과 접촉되어 배출되는 수압에 따라 개폐판(24)의 개폐와 동시에 스프링(30)과 같이 회전되므로서, 차단기(21)의 배수공(21')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어 개폐판(24)이 차단기(21)의 배수공(21')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의 일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개폐판(24)이 차단기(21)의 양측으로 열리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에도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사상에 있어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 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에서 역류를 차단하기 위한 차단기의 하단에 원통형의 케이스를 형성하고, 그 케이스의 내부에 개폐판의 연장된 단부를 케이스 내부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결합하고, 그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사용되는 스프링을 케이스 내부에 수용되도록 하여 탄지장치를 형성하므로서, 스프링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개폐판의 작동을 더욱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하수구에 설치되어 하수구를 통한 악취 및 역류를 방지하는 데 사용되는 악취 및 역류차단장치의 개폐판을 개폐하는 데 있어서,
    하단에 배수공(21')이 형성되는 차단기(21)의 저면 일측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스(22)와;
    상기 차단기(21)의 배수공(21')을 개폐하는 개폐판(24)의 일측단부에 연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22) 내부의 내주면과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일측에 지지부(26)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회동홈(27)이 요입형성되는 회동부(25)와;
    상기 개폐판(24)에 형성되는 회동부(25)의 지지부(26)에 일측단부가 지지되게 결합되고, 타측단부는 회동부(25) 타측면의 회동홈(27)에 결합되어 개폐판(24)을 탄력지지하는 스프링(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KR20060013472U 2006-05-19 2006-05-19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KR2004238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3472U KR200423877Y1 (ko) 2006-05-19 2006-05-19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60013472U KR200423877Y1 (ko) 2006-05-19 2006-05-19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877Y1 true KR200423877Y1 (ko) 2006-08-11

Family

ID=40364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013472U KR200423877Y1 (ko) 2006-05-19 2006-05-19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87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171A1 (en) * 2007-04-23 2008-10-30 Soon-Lee June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0171A1 (en) * 2007-04-23 2008-10-30 Soon-Lee June Vacuum clip apparatus and vacuum pack us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14939B1 (ko) 도로의 맨홀 역류방지시설구조
KR100915632B1 (ko) 하수구 악취 방지장치
KR200423877Y1 (ko) 악취 및 하수역류차단장치의 탄지장치
KR20070050886A (ko) 빗물받이 구체용 악취 차단장치
KR20090013258U (ko) 배수구의 악취차단구
KR101848543B1 (ko) 스틸 그레이팅의 악취 방지 덮개
KR20100012980U (ko) 하수구용 배수트랩
KR20110025595A (ko) 개폐식 배수구 덮개
KR200448229Y1 (ko) 맨홀의 방취, 배수 및 역류 허용 장치
KR100887243B1 (ko) 하수구용 악취 및 역류 방지장치
KR200437874Y1 (ko) 배수점검구
KR200338840Y1 (ko) 악취 차단장치가 구비된 맨홀 덮개
KR20050015310A (ko) 스프링덮개를 이용한 그레이팅 자동개폐장치
KR101758362B1 (ko) 하수도관의 친환경 악취제거 장치
KR200208323Y1 (ko) 하수관의 악취 역류 방지용 역지변
KR100923020B1 (ko) 하수 배출 장치
KR200333411Y1 (ko) 악취역류방지장치
KR200416119Y1 (ko) 트랜치 커버용 악취방지구조.
KR200338761Y1 (ko) 맨홀용 악취 차단장치
KR200422006Y1 (ko) 상하수도용 카운터 웨이트를 갖는 자동비
KR100826869B1 (ko) 역류시 동작 가능한 배수구 개폐장치
KR200163755Y1 (ko) 하수역류및악취차단장치
KR101352381B1 (ko) 우수토실의 토사유입 방지를 위한 밀폐형 개폐판
KR200338590Y1 (ko) 하수관 및 기타 용수관용 역지밸브
KR101742189B1 (ko) 이물질 유입 차단 부재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부재를 갖춘 맨홀 뚜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