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600Y1 - 석탄 보일러 - Google Patents

석탄 보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600Y1
KR200423600Y1 KR2020060005426U KR20060005426U KR200423600Y1 KR 200423600 Y1 KR200423600 Y1 KR 200423600Y1 KR 2020060005426 U KR2020060005426 U KR 2020060005426U KR 20060005426 U KR20060005426 U KR 20060005426U KR 200423600 Y1 KR200423600 Y1 KR 2004236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l
combustion
hot water
switc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54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수영
Original Assignee
윤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수영 filed Critical 윤수영
Priority to KR20200600054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6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6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60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60/00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 F23B60/02Combustion apparatus in which the fuel burns essentially without moving with combustion air supplied through a gr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HGRATES; CLEANING OR RAKING GRATES
    • F23H15/00Cleaning arrangements for grates; Moving fuel along gr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02Casings; Cover lids; Ornamental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3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 F24H9/1845Arrangement or mounting of combustion heating means, e.g. grates or burn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5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solid fu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olid-Fuel Combus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소연료로 석탄을 사용해서 난방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연소실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제1 연도 및 제2 연도를 통과하면서 2차 연소시킬 수 있고, 온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줄여서 불씨를 유지하며, 온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일 경우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증가시켜서 석탄의 연소를 촉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탄의 연소열에 의해 상기 연소실 상부에 공급된 석탄을 예열시킨 후에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시킬 수 있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석탄 보일러

Description

석탄 보일러{COAL BOILER}
도 1은 종래의 석탄 연소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조도,
도 2는 도 1에서 전자석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에서 전자석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석탄 보일러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6은 도 5에서 연소실 상부를 제거한 요부의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석탄 보일러를 제어하는 제어 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를 냉수도입부재를 개재해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화살표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82:베어링 100:온수탱크
101:단열재 102:냉수공급관
102A:밸브 103:냉수탱크
104:냉수도입부재 105:금속판
105A:도어 106:가열실
108:온수배출부재 109:온수배출관
109A:배출제어밸브 129:도어
129A:투시창 130:연소실
132:예열실 148:받침대
150:연돌 151:제1 연도
152:제2 연도 160:탄재배출유닛
162:축 164:탄재저장탱크
164A:도어 164B:손잡이
165:탄재 배출구 170:기어드 모터
180:동력전달유닛 182:구동스프래킷
184:종동스프래킷 186:체인
190:연소공기 저류탱크 191:재받이
192:제1 공기구멍 194:제2 공기구멍
200:연소공기 배출부재 202:연소공기 배출구멍
210:송풍팬 220:온도검출센서
240:제어판넬 241:전원 입력스위치
242:전원 입력차단스위치 243:기어드 모터 구동스위치
244:기어드 모터 정지스위치 245:송풍팬 온 스위치
246:송풍팬 오프 스위치 251:설정온도 표시기
252:온수온도 표시기 253:전류 표시기
254:전원 인가 표시램프 255:기어드 모터 구동 표시램프
256:송풍팬 구동 표시램프 259:비상경보수단
260:도어 260A:시건부재
270:화력투입도어 272:손잡이
본 고안은 석탄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소연료로 석탄을 사용해서 난방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연소연료를 절감할 수 있음과 동시에,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며, 온도 센서에 의해 탄재의 온도를 검출하여 완전연소된 후에 탄재를 외부로 배출함으로서 연소 연료의 소비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자동으로 불씨를 유지하며,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석탄을 연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의해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도록 석탄을 2차연소시킬 수 있는 석탄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사용되고 있는 석탄 연소장치로서는 한국 특허공보의 공고번호 제90-002883호(공고일자 ; 1990년 05월 01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특허공보의 공고번호 제90-002883호에 개시되어 있는 석탄 연소장치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코일(11)에 전원을 인가하면 철심(12)→계철(13)→가동편(14)→공극(가동편(14)과 극편(15) 사이)→극편(15)→철심(12)로 구성되는 자기회로가 자화되어 가동편(14)→공극→극편(15)의 자기회로에서 흡인력이 발생하고 이 흡인력이 가동편(14)에 착설된 연결핀(16)과 인장레버(17)를 통해서 회전 로스톨(2)에 전달되어 회전 로스톨(2)이 회전되면서 석탄을 공급한다.
다시 말하면, 인장레버(17)에 연결된 전자석(1)에 전원이 인가되면 자기회로가 형성되어 전자석에서는 흡인력이 발생하게 되므로 가동편(14)이 흡인되면서 이 가동편(14)에 연결된 인장레버(17)가 당겨지게 되고, 인장레버(17)의 끝단에 연결된 구동레버(6)가 당겨지면서 그의 끝단이 마찰판(8)을 압압함과 동시에 마찰판(8)을 시계방향으로 일정각도만큼 회전시킨다.
이때 동축(9)상에 축설된 회전로스톨(2)이 회동하면서 타고 남은 탄재는 자연 낙하되고 석탄통(10)으로부터 새로운 석탄을 공급받아 계속적석탄을 연소시킨다.
상기 회전로스톨(2)의 원주면에 다수 횡설된 횡간(도시 생략) 위에 쌓여 있던 석탄이 연소되면 회전로스톨(2)의 간헐적인 회전으로 인하여 탄재는 밑으로 떨어지고 상기 회전로스톨(2)의 상부에 다시 석탄이 석탄통(10)으로부터 흘러내려 지속적으로 석탄을 연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코일(11)에 공급되던 전류가 일시적으로 차단되면 자기회로의 흡인력이 소멸되면서 자동편(14)은 스프링(18)의 반발력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고, 동시에 상기 자동편(14)에 인장레버(17)를 개재해서 연결된 구동레버(6)도 원위치된다. 이때 측면판(7)이 마찰판(9)에 유착되어 있는 관계로 측면판(7)은 역회전하여 원위치되지만 마찰판(8)은 역회전을 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석탄 연소장치는 석탄을 완전 연소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간헐적으로 전자석(1)에 전원을 인가하여 회전로스톨(2)을 회전시켜서 탄재를 하부로 낙하시킴과 동시에, 상기 회전로스톨(2) 상에 연소시킬 석탄을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구조가 복잡하다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연소연료로 석탄을 사용해서 난방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석탄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연소실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제1 연도 및 제2 연도를 통과하면서 2차 연소시킬 수 있는 석탄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온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줄여서 불씨를 유지하며, 온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일 경우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증가시켜서 석탄의 연소를 촉진시켜서 제어할 수 있는 석탄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석탄의 연소열에 의해 상기 연소실 상부에 공급된 석탄을 예열시킨 후에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시킬 수 있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석탄 보일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외주면이 단열재 및 금속판에 의해 피복되며, 냉수공급관을 통해 도입되는 냉수를 냉수탱크 및 냉수도입부재를 개재해서 받아 가열실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실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배출부재를 통해 받아 저류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와 가열실(106) 사이에 형성된 연소실과, 상기 온수탱크 하부에 설치된 예열실 내에 석탄을 투입함과 동시에 예열실 내부를 관찰하도록 투시창이 형성된 개폐가능한 석탄투입 도어와, 예열실 내에 투입된 석탄을 상기 연소실에서 받아 석탄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를 수집해서 제1 및 제2 연도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온수탱크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연돌과, 상기 연소실에 공급된 석탄을 연소시키도록 화력을 투입함과 동시에,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화력투입도어와, 상기 연소실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탄재를 탄재 배출구를 통해서 탄재저장탱크로 배출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축에 고정설치된 탄재배출유닛과, 상기 축을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와, 상기 기어드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축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과, 재받이에 형성된 다수의 제1 공기구멍을 통해서 연소공기를 상기 연소실로 분출하도록 연소공기를 저류하는 연소공기 저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 내측에 동심되게 배설되며,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에 저류된 연소공기를 상기 재받이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제2 공기구멍을 통해서 공급받아 연소공기 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연소실로 배출하는 원통형상의 연소공기 배출부재와, 팬모터의 구동에 연동되어서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과, 상기 온수탱크 내에 배설되어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와, 상기 온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각각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 및 이들 다수의 스위치가 스위칭 온 상태임을 각각 표시하는 제어판넬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석탄 보일러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석탄 보일러의 종단면도이, 도 5는 도 4에서 화살표 A-A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연소실 상부를 제거한 요부의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A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서 화살표 B-B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석탄 보일러를 제어하는 제어 판넬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5의 B부분을 확대해서 도시한 단면도,
도 11은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를 냉수도입부재를 개재해서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종단면도,
도 12는 도 11에서 화살표 C-C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석탄 보일러는 외주면이 단열재(101) 및 금속판(105)에 의해 피복되며, 냉수공급관(102)을 통해 도입되는 냉수를 냉수탱크(103) 및 냉수도입부재(104)를 개재해서 받아 가열실(106)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실(106)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배출부재(108)를 통해 받아 저류하는 온수탱크(100)와, 상기 온수탱크(100)와 가열실(106) 사이에 형성된 연소실(130)과, 상기 온수탱크(100) 하부에 설치된 예열실(132) 내에 석탄을 투입함과 동시에 예열실(132) 내부를 관찰하도록 투시창(129A)이 형성된 개폐가능한 석탄투입 도어(129)와, 예열실(132) 내에 투입된 석탄을 상기 연소실(130)에서 받아 석탄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를 수집해서 제1 및 제2 연도(151,15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온수탱크(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연돌(150)과, 상기 연소실(130)에 공급된 석탄을 연소시키도록 화력(예를 들면, 번개탄)을 투입함과 동시에,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화력투입도어(270)와, 상기 연소실(130)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탄재를 탄재 배출구(165)를 통해서 탄재저장탱크(164)로 배출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축(162)에 고정설치된 탄재배출유닛(160)과, 상기 축(162)을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170)와,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구동력을 상기 축(16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180)과, 재받이(191)에 형성된 다수의 제1 공기구멍(192)을 통해서 연소공기를 상기 연소실(130)로 분출하도록 연소공기를 저류하는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와, 상기 온수탱크(100) 내측에 동심되게 배설되며,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에 저류된 연소공기를 상기 재받이(19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제2 공기구멍(194)을 통해서 공급받아 연소공기 배출구멍(202)을 통해 상기 연소실(130)로 배출하는 원통형상의 연소공기 배출부재(200)와, 팬모터(도시하지 않음)의 구동에 연동되어서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210)과, 상기 온수탱크(100) 내에 배설되어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220)와, 상기 온도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각각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 및 이들 다수의 스위치가 스위칭 온 상태임을 각각 표시하는 제어판넬(24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어판넬(240)은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스위치(241)와, 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전원 입력차단스위치(242)와, 상기 기어드 모터(170)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어드 모터 구동스위치(243)와,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어드 모터 정지스위치(244)와, 상기 송풍팬(210)을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송풍팬 온 스위치(245)와, 상기 송풍팬(21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송풍팬 오프 스위치(246)와, 설정온도를 증가시키는 설정온도 증가버튼(도시하지 않음) 및 설정온도를 감소시키는 설정온도 감소버튼(도시하지 않음)을 구비한 설정온도 표시기(251)와, 상기 온도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100)내에 저류된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수온도 표시기(252)와, 상기 전원 입력스위치(241)의 스위칭 온시에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표시하는 전류 표시기(253 ; 암페어 미터라고도 함)와, 상기 전원 입력스위치(241)의 스위칭 온시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녹색으로 표시하는 전원 인가 표시램프(254)와, 상기 기어드 모터 구동스위치(24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기어드 모터(170)가 회전되고 있음을 녹색으로 표시하는 기어드 모터 구동 표시램프(255)와, 상기 송풍팬 온 스위치(245)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송풍팬(210)이 구동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송풍팬 구동 표시램프(256)와, 이상 상태발생시에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경광등을 점멸하는 비상경보수단(25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동력전달유닛(180)은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회전축(172)에 설치된 구동스프래킷(182)과, 상기 축(162)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축(162)의 외주면에 설치된 종동스프래킷(184)과, 상기 축(16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스프래킷(182)과 상기 종동스프래킷(184) 사이에 현가되어 상기 구동스프래킷(182)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스프래킷(184)에 전달하는 체인(18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비상경보수단(259)은 경광등 또는 비상벨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있어서, 미설명부호 82는 상기 축(16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베어링이고, 148은 본 고안의 석탄 보일러의 받침대이고, 109는 상기 온수탱크(100)에 저류된 온수를 배출제어밸브(109A)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는 온수배출관이고, 102A는 상기 냉수공급관(102)에 설치되어 상기 냉수 온수탱크(103)에 냉수의 공급을 단속하는 밸브이다.
105A는 상기 연소실(130) 내부를 점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연도(151,152) 내를 청소할 경우에 사용되는 상기 연소실(130)의 하부에 도시하지 않은 힌지를 개재해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이고, 164A는 상기 탄재저장탱크(164) 내에 수집된 탄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도시하지 않은 힌지를 개재해서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도어로서, 상기 도어(164A)의 외측에는 손잡이(164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272는 상기 화력투입도어(270)의 외측에 설치된 손잡이이고, 260A는 상기 제어판넬(240)의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부착된 도어(260)의 개폐를 단속하는 시건부재이다.
상기 제2 연도(152)의 외주면에는 열을 보온하도록 단열재(101) 및 금속판이 순차적으로 배설되어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석탄 보일러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어판넬(240)의 전원 입력스위치(241)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전원 입력스위치(241) 자체에 내설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가 점등되어 전원이 입력되고 있음을 표시하고, 이때 상기 전류 표시기(253)가 흐르는 전류량을 지침으로 표시하고, 또한 상기 전원 인가 표시램프(254)가 특정 색, 예를 들면 녹색으로 점등된다.
다음에, 상기 송풍팬 온 스위치(245)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송풍팬 온 스위치(245) 자체에 내설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가 점등되어 상기 송풍팬(210)이 구동되고 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송풍팬 구동 표시램프(256)가 특정 색, 예를 들면 녹색으로 점등된다.
이때, 상기 송풍팬 온 스위치(245)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송풍팬(210)이 구동되면서, 연소용 공기를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에 공급하여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의 상부판, 즉 재받이(191)에 형성된 다수의 제1 공기구멍(192)을 통해서 상기 연소실(13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고, 또한 상기 재받이(19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제2 공기구멍(194)을 통해서 상기 연소공기 배출부재(20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함으로서, 상기 연소공기 배출부재(200)에 형성된 다수의 연소공기 배출구멍(202)을 통해서 상기 연소실(13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한다.
다음에, 상기 설정온도 표시기(251)에 설치되어 있는 온도설정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사용하여 난방할 실내온도를 설정하면, 상기 설정온도 표시기(251)에 설정된 온도가 표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설정온도 표시기(251)에 설정된 온도가 표시되고 나서, 상기 석탄투입 도어(129)를 개방하여 온수탱크(100) 하부에 설치된 예열실(132) 내에 석탄을 투입하면 상기 연소실(130), 즉 로스터 역할을 겸하는 냉수도입부재(104) 및 제2 연도(152)상에 석탄이 떨어진다.
그 후에, 상기 화력투입도어(270)의 손잡이(272)를 잡아당겨서 상기 화력투입도어(270)를 개방하여 화력(예를 들면, 번개탄)을 투입하고 나서 상기 화력투입도어(270)를 닫으면, 상기 번개탄의 화력에 의해 상기 연소실(130) 내의 석탄이 연소되기 시작한다.
상기 연소실(130) 내의 석탄이 연소됨에 따라 생성되는 재(애쉬)는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의 상부판, 즉 재받이(191)에 떨어지며, 이들 재를 탄재 배출구(165)를 통해서 탄재저장탱크(164)로 배출하기 위하여 상기 기어드 모터 구동스위치(243)를 스위칭 온하면 상기 기어드 모터 구동 스위치(243)에 내설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가 점등되어 상기 기어드 모터(170)가 정회전 구동되고 있음을 표시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드 모터 구동 표시램프(255)가 특정 색, 예를들면 녹색으로 점등된다.
상기 연소실(130) 내의 석탄이 연소됨에 따라 생성되는 연소가스, 즉 연기는 상기 제1 연도(151), 상기 제2 연도(152)를 통과하면서 다시 연소되어 깨끗한 연기가 상기 연돌(150)을 통해서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연소실(130) 내의 석탄이 연소됨에 따라 상기 온수탱크(100)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온수)의 온도는 온도 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되어서 상기 온수온 도 표시기(252)에 표시되고, 또한 상기 연소실(130) 내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탄재는 상기 기어드 모터(17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회전축(172)과 상기 축(162)에 설치된 동력전달유닛(180)을 개재하여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구동력이 상기 축(162)에 전달되어 상기 축(162)가 회전되기 시작함에 따라 상기 탄재배출유닛(160)이 회전되면서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의 상부판, 즉 재받이(191) 상에 쌓여 있는 탄재를 상기 탄재 배출구(165)를 통해서 상기 탄재저장탱크(164)로 배출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연소실(130) 내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탄재는 상기 기어드 모터(170)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회전축(172)에 설치된 상기 구동 스프래킷(182)이 회전되고, 상기 구동 스프래킷(182)의 회전력은 체인(186)을 통해서 상기 축(162)의 외주면에 고정설치된 종동스프래킷(184)에 전달됨에 따라 상기 축(162)가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축(162)에 고정설치된 상기 탄재배출유닛(160)이 회전되면서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의 상부판, 즉 재받이(191) 상에 쌓여 있는 완전 연소된 탄재를 상기 탄재 배출구(165)를 통해서 상기 탄재저장탱크(164)로 배출하므로, 연소 효율을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도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온수탱크(100) 내에 저류되어 있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210)의 구동속도를 느리게 구동하여 상기 연소실(100)내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줄여서 불씨를 유지하며, 상기 온도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상기 온수탱크(100) 내에 저류되 어 있는 온수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송풍팬(210)의 구동속도를 빠르게 구동하여 상기 연소실(100)내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증가시켜서 석탄의 연소를 촉진시켜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석탄의 소모량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소실(130) 내의 석탄이 모두 연소되어 더 이상 연소시키고 싶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기어드 모터 정지스위치(244) 및 상기 송풍팬 오프스위치(246)를 오프시키면, 상기 기어드 모터(170) 및 상기 송풍팬(210)의 구동이 정지되며, 상기 기어드 모터 구동스위치(243)에 내설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가 소등됨과 동시에, 상기 기어드 모터 구동 표시램프(255)가 소등되고, 또한 상기 송풍 팬 온 스위치(24)에 내설되어 있는 도시하지 않은 램프가 소등됨과 동시에, 상기 송풍팬 구동 표시램프(256)가 소등된다.
상기 탄재저장탱크(164)에 저류된 탄재는 상기 도어((164A)의 외부에 부착된 손잡이(164B)를 잡고 상기 도어((164A)를 개방하여 외부로 배출한다.
한편, 본 고안의 석탄 보일러에 이상 발생시, 예를들면 온수탱크(100) 내에 저류된 온수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에는 상기 비상경보수단(259)에서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경광등을 점멸하여 이상이 발생되었음을 알리며, 본 고안의 석탄 보일러에 있어서 전장부, 예를들면 전기회로부에 이상이 발생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시건부재(260A)의 시건상태를 해제한 후에, 상기 도어(260)를 열고 도시하지 않은 전기회로부를 점검하거나 또는 수리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연소연료로 석탄을 사용함으로서 난방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연소실(130)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가스는 상기 제1 연도 및 제2 연도를 통과하면서 완전 연소시킬 수 있으며, 온수탱크(100)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에서는 자동으로 불씨를 유지하며, 일정 온도 이하에서는 자동으로 석탄을 연소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음과 동시에, 연소가스에 의해 공해를 유발시키지 않도록 석탄을 2차연소(연소열에 의해 상기 연소실(130) 상부의 석탄을 예열시킨 후에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 상에서 다시 연소)시킬 수 있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석탄 보일러에 의하면, 연소연료로 석탄을 사용해서 난방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고, 연소실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연소가스를 상기 제1 연도 및 제2 연도를 통과하면서 2차 연소시킬 수 있고, 온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일 경우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줄여서 불씨를 유지하며, 온도검출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 내에 저류되어 있는 물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하일 경우에 연소용 공기의 공급을 증가시켜서 석탄을 연소를 촉진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석탄의 연소열에 의해 상기 연소실 상부에 공급된 석탄을 예열시킨 후에 상기 연소실에서 연소시킬 수 있어 연소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외주면이 단열재(101) 및 금속판(105)에 의해 피복되며, 냉수공급관(102)을 통해 도입되는 냉수를 냉수탱크(103) 및 냉수도입부재(104)를 개재해서 받아 가열실(106)에서 가열하고, 상기 가열실(106)에서 가열된 온수를 온수배출부재(108)를 통해 받아 저류하는 온수탱크(100)와, 상기 온수탱크(100)와 가열실(106) 사이에 형성된 연소실(130)과, 상기 온수탱크(100) 하부에 설치된 예열실(132) 내에 석탄을 투입함과 동시에 예열실(132) 내부를 관찰하도록 투시창(129A)이 형성된 개폐가능한 석탄투입 도어(129)와, 예열실(132) 내에 투입된 석탄을 상기 연소실(130)에서 받아 석탄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연소가스를 수집해서 제1 및 제2 연도(151,152)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하도록 상기 온수탱크(100)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연돌(150)과, 상기 연소실(130)에 공급된 석탄을 연소시키도록 화력을 투입함과 동시에, 내부를 점검하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된 화력투입도어(270)와, 상기 연소실(130)에서 석탄의 연소에 따라 발생되는 탄재를 탄재 배출구(165)를 통해서 탄재저장탱크(164)로 배출하도록 회전가능하게 축(162)에 고정설치된 탄재배출유닛(160)과, 상기 축(162)을 회전시키도록 회전구동력을 발생하는 기어드 모터(170)와,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구동력을 상기 축(162)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유닛(180)과, 재받이(191)에 형성된 다수의 제1 공기구멍(192)을 통해서 연소공기를 상기 연소실(130)로 분출하도록 연소공기를 저류하는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와, 상기 온수탱크(100) 내측에 동심되게 배설되며,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에 저류된 연소공기를 상기 재받이(191)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다수의 제2 공기구멍(194)을 통해서 공급받아 연소공기 배출구멍(202)을 통해 상기 연소실(130)로 배출하는 원통형상의 연소공기 배출부재(200)와, 팬모터의 구동에 연동되어서 상기 연소공기 저류탱크(190)에 연소용 공기를 공급하는 송풍팬(210)과, 상기 온수탱크(100) 내에 배설되어 온수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검출센서(220)와, 상기 온도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온도를 각각 표시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하는 스위치 및 이들 다수의 스위치가 스위칭 온 상태임을 각각 표시하는 제어판넬(2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보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판넬(240)은 전원을 입력하는 전원 입력스위치 (241)와, 전원의 입력을 차단하는 전원 입력차단스위치(242)와, 상기 기어드 모터(170)를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어드 모터 구동스위치(243)와,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기어드 모터 정지스위치(244)와, 상기 송풍팬(210)을 구동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송풍팬 온 스위치(245)와, 상기 송풍팬(210)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명령을 입력하는 송풍팬 오프 스위치(246)와, 설정온도를 증가시키는 설정온도 증가버튼 및 설정온도를 감소시키는 설정온도 감소버튼을 구비한 설정온도 표시기(251)와, 상기 온도검출센서(220)에 의해 검출된 온수탱크(100)내에 저류된 온수의 온도를 표시하는 온수온도 표시기(252)와, 상기 전원 입력스위치(241)의 스위칭 온시에 전류가 흐르고 있음을 표시하는 전류 표시기(253)와, 상기 전원 입력스위치(241)의 스위칭 온시에 전원이 인가되고 있음을 녹색으로 표시하는 전원 인가 표시램프(254)와, 상기 기어드 모터 구동스위치(243)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기어드 모터(170)가 회전되고 있음을 녹색으로 표시하는 기어드 모터 구동 표시램프(255)와, 상기 송풍팬 온 스위치(245)의 스위칭 온시에 상기 송풍팬(210)이 구동되고 있음을 표시하는 송풍팬 구동 표시램프(256)와, 이상 상태발생시에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또는 경광등을 점멸하는 비상경보수단(259)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보일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180)은 상기 기어드 모터(170)의 회전축(172)에 설치된 구동스프래킷(182)과, 상기 축(162)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축(162)의 외주면에 설치된 종동스프래킷(184)과, 상기 축(162)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구동 스프래킷(182)과 상기 종동스프래킷(184) 사이에 현가되어 상기 구동스프래킷(182)의 구동력을 상기 종동스프래킷(184)에 전달하는 체인(186)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탄 보일러.
KR2020060005426U 2006-02-28 2006-02-28 석탄 보일러 KR2004236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26U KR200423600Y1 (ko) 2006-02-28 2006-02-28 석탄 보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5426U KR200423600Y1 (ko) 2006-02-28 2006-02-28 석탄 보일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600Y1 true KR200423600Y1 (ko) 2006-08-09

Family

ID=41772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5426U KR200423600Y1 (ko) 2006-02-28 2006-02-28 석탄 보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600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93B1 (ko) * 2006-11-17 2007-09-18 현주한 석탄가스 버너장치
KR100832886B1 (ko) 2007-10-25 2008-05-28 정산이앤티 주식회사 고체 연료의 연소 방법 및 연소 장치
KR100932994B1 (ko) * 2008-08-01 2009-12-21 장길환 다목적보일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593B1 (ko) * 2006-11-17 2007-09-18 현주한 석탄가스 버너장치
KR100832886B1 (ko) 2007-10-25 2008-05-28 정산이앤티 주식회사 고체 연료의 연소 방법 및 연소 장치
KR100932994B1 (ko) * 2008-08-01 2009-12-21 장길환 다목적보일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3600Y1 (ko) 석탄 보일러
CN103900103A (zh) 一种鼓风式燃烧器的控制方法
US3273625A (en) Stack damper and control assembly for furnaces
SE426981B (sv) Anordning vid en gasdriven apparat
US3236284A (en) Monitoring system for a combustion apparatus and the like
JP4099285B2 (ja) 開放型ガス燃焼器具
US2021647A (en) Control mechanism for burners
JP5746482B2 (ja) 調理器及び調理器の安全システム
WO2011083591A1 (ja) 難燃性試験装置
KR200399497Y1 (ko) 석탄 보일러
WO2023008560A1 (ja) 有機物低温分解装置
KR20070012949A (ko) 석탄 보일러
CN100484436C (zh) 家用电气产品存放箱
JP2007042354A (ja) 燃料電池の発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ガスバーナ並びにそのガスバーナを備えたガス器具
CN208058927U (zh) 一种带气体检测预警功能的燃气灶
KR100268001B1 (ko) 가스온풍기의 공기공급관 연결상태 감지장치
CN100529578C (zh) 暖风机
CN201000195Y (zh) 暖风机
CN204228189U (zh) 自然排气式燃气热水器有风状态试验装置
JP6173161B2 (ja) 燃焼装置
JP4299770B2 (ja) 弁装置
KR200213229Y1 (ko) 보일러
KR950000931B1 (ko) 온풍난방기
CN206816520U (zh) 一种能自动清洗过滤网的助燃风机
EP0457232A1 (en) Improvements in the control and monitoring circuit of a conversion bur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