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587Y1 -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 Google Patents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587Y1
KR200423587Y1 KR2020060014531U KR20060014531U KR200423587Y1 KR 200423587 Y1 KR200423587 Y1 KR 200423587Y1 KR 2020060014531 U KR2020060014531 U KR 2020060014531U KR 20060014531 U KR20060014531 U KR 20060014531U KR 200423587 Y1 KR200423587 Y1 KR 2004235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cover
busbar
busbars
bus bar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5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수상
양정규
Original Assignee
정수상
양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수상, 양정규 filed Critical 정수상
Priority to KR20200600145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5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5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58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02Single bars, rods, wires, or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07Butt joining of bus-bars by means of a common bolt, e.g. splice joi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5/00Installations of bus-bars
    • H02G5/06Totally-enclosed installations, e.g. in metal casing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가 개시된다. 개시된 보호커버는,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볼트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돌출된 기물에 걸쳐 전후진을 억제하기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며, 굴곡부에는 다른 기물의 양측면에 걸쳐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가이드부가 형성된다. 이러한 보호커버는, 부스바의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위한 판스프링 및 볼트가 설치되는 구조를 마련하며, 전후진 및 좌우유동을 억제하는 구조적인 강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부스바, 접속장치, 보호커버

Description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A PROTECTING COVER FOR CONNECTING BUS BAR}
도 1은 종래의 부스바 연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보호커버가 설치된 접속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보호커버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판스프링의 사시도,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접속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부스바 110: 스페이서
112: 홈 120: 보호커버
122: 관통공 124: 굴곡부
126: 측면가이드부 130: 판스프링
132: 부싱 134: 가이드부
140: 볼트 142: 머리
150: 너트
본 고안은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스바의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위한 판스프링 및 볼트가 설치되는 구조를 마련하며, 전후진 및 좌우유동을 억제하는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전달하는 매개체로 예전에는 케이블(CABLE)을 많이 사용해 왔으나, 최근에는 케이블(CABLE)의 대체품으로 부스바(bus bar)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부스바(bus bar)는 케이블(CABLE)과 같은 도체이지만 많은 양의 전기 에너지를 전달할 때 유리한 장점이 있다.
예전에 비해서 지금의 건축물의 시스템은 점점 크고 다양한 용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추어 안전하고 에너지 손실이 적은 부스바의 장점이 인식되면서 급속한 사용이 증가되고 있다.
예컨대, 부스바는 공장, 빌딩, 아파트, 대형 할인마트, 오피스텔, 연구단지, 백화점, 골프장, 터널 반도체, LCD공장, 화학, 정유, 제철, 초고층빌딩, 초고압 변전소, LNG인수기지, 신공항, 항만 등에 다양한 분야에 다각도로 공급되고 있다.
한편, 케이블(CABLE)은 도체를 보호하거나 절연하기 위하여 비닐이나 고무를 사용하지만, 부스바는 고압의 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절연체로서 직접 보호하기 어렵기 때문에, 절연체를 부스바에 피복함과 동시에 부스바를 금속덕트(Steel Housing)에 내장시켜 부스바를 보호하고 있다.
이러한 부스바에 관한 기술로서, 실용신안등록20-0319529에 부스바 및 부스바용 덕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내화절연된 부스바의 접속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부스덕트(20, 30)를 통과하는 내화절연된 부스바(1a, 1b 1c 1d, 1e, 1f, 1g, 1h)를 서로 접속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일측 부스덕트(20)는 4개의 내화절연된 부스바(1a, 1b, 1c, 1d) 중 외측의 내화절연된 부스바(1a, 1b)가 바깥으로 굽어지며, 타측 부스덕트(30)는 4개의 내화절연된 부스바(1e, 1f, 1g, 1h)중 2개의 내화절연된 부스바(1e, 1f)는 우측으로 굽어지고, 나머지 2개의 내화절연된 부스바(1g, 1h)는 좌측으로 굽어져 있다. 각각의 부스바(1a, 1b 1c 1d, 1e, 1f, 1g, 1h)에는 서로간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절연용 스페이서(25, 26, 27)가 설치되며, 중앙에는 볼트(24)가 가로지를 수 있도록 홈(29)이 형성되어 있다.
일측 부스덕트(20)의 내화절연된 부스바(1a, 1b 1c 1d)의 외측에는 부스바(1a, 1b 1c 1d, 1e, 1f, 1g, 1h)를 밀착시키기 위해 가압판(21)이 형성되고, 가압판(21)의 바깥으로 디스크 와셔(22), 가압대(23) 및 볼트(24)가 설치된다. 디스크 와셔(22)는 가압판(21)에 직접 접촉하며, 디스크 와셔(22)와 볼트(24) 사이에는 바형상의 가압대(23)가 개재된다.
볼트(24)는 양측 가압판(21)에 결합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볼트를 볼트(24)는 내화절연된 부스바(1a, 1b 1c 1d, 1e, 1f, 1g, 1h) 중앙의 홈(29)을 가로질러 양쪽의 가압판(21)에 메인터넌스 프리 너트(50)를 통해 결합되어 있다. 타측 부스덕트(30)의 외측에는 가압판(21)의 디스크 와셔(22)가 삽입될 수 있는 와셔 삽입홈(32)이 형성된 결합판(31)이 설치된다.
접속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보호하기 위해 접속부 커버(40, 41)가 각 부 스덕트(20, 30)에 볼트로 고정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접속구조는 볼트(24)의 인장력으로서 부스바(1a, 1b 1c 1d, 1e, 1f, 1g, 1h)와 스페이서(25,26,27)를 가압하여 결합력을 발생시키는 구조이다.
이에 따라 볼트(24)가 한정된 부분에만 가압력을 발생시켜 부스바(1a, 1b 1c 1d, 1e, 1f, 1g, 1h)의 접속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접속구조는 볼트(24)를 통과시키기 위하여 부스바(1a, 1b 1c 1d, 1e, 1f, 1g, 1h)와 스페이서(25,26,27)에 홈(29)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구조적으로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스바의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위한 판스프링 및 볼트가 설치되는 구조를 마련하며, 전후진 및 좌우유동을 억제하는 구조적인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의 부스바가 접속되는 부분에서 상기 부스바 및 상기 부스바를 절연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외부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볼트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돌출된 기물에 걸쳐 전후진을 억제하기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에는 다른 기물의 양측면에 걸쳐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인 부스바 접속용 스페이서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인 보호커버가 설치된 접속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한 보호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한 판스프링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한 접속장치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부스바(100)의 연결부위에는, 다수의 부스바(100)와, 각각의 부스바(100)의 사이에 삽입되는 절연재질의 스페이서(110)와, 부스바(100)의 외측면을 각각 덮는 보호커버(120)가 준비된다.
부스바(100)들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장치는, 상하의 보호커버(120)의 외측면에 각각 놓여지는 판스프링(130); 부스바(100)와 스페이서(110)와 압착판(120)의 양측면에서 상하의 판스프링(130)에 각각 체결되어 인장력을 발생시키는 볼트(140) 및 너트(150)로 이루어진다.
보호커버(120)는 양측면 가장자리에 볼트(140)가 통과되는 관통공(122)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돌출된 기물에 걸쳐 전후진을 억제하기 위한 굴곡부(124)가 형성되며, 굴곡부(124)에는 다른 기물의 양측면에 걸쳐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가이드부(126)가 형성된다.
볼트(140)는 보호커버(120)에 형성된 관통공(122)에 결합됨으로써, 볼트(140)의 위치가 고정된다.
그리고 스페이서(110)의 양측면에는 볼트(140)가 일부 삽입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홈(112)이 형성된다.
판스프링(130)은 각각의 압착판(120)에 2개씩 배치시킨다. 각각의 판스프링(130)은 양측단부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지도록 형성된다. 판스프링(130)은 볼트(140)로부터 인장력이 발생하면 펴지면서 압착판(120)을 고르게 누른다.
판스프링(130)에는 볼트(140)를 통과시키기 위한 부싱(132)이 각각 형성된다. 일측의 판스프링(130)에 형성된 부싱(132)에는 볼트(140)의 머리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부(134)가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스페이서의 작용을 설명한다.
연결하고자 하는 다수의 부스바(100)의 사이에 스페이서(110)를 끼우고, 각각의 외측의 부스바(100)에 보호커버(120)를 결합한다. 그리고 외측판의 외측면에 각각 판스프링(130)을 위치시키고 볼트(140)를 판스프링(130)의 부싱(132)으로 통과시고, 보호커버(120)의 관통공(122)으로 통과시킨다.
보호커버(120)의 굴곡부(124)는 덕트측의 돌출된 기물에 걸치고, 측면 가이드부(126)는 덕트측의 다른 기물의 양측면에 걸친다.
초기의 판스프링(130)은 양측단부가 외측방향으로 휘어져 있으나, 너트(150)를 회전시키면 볼트(140)의 머리가 가이드부(134)에 걸려 회전이 방지되므로, 볼트 (140)에 인장력이 발생하여 각각의 판스프링(130)의 가장자리를 당기게 된다.
이에 따라 판스프링(130)이 펴지면서 압착판(120)을 고르게 누른다. 따라서 압착판(120)의 내부에 위치하는 다수의 부스바(100)와 스페이서(110)가 고르게 압박을 받으며, 부스바(100)는 양호한 접속이 이루어진다.
보호커버(120)의 관통공(122)은 통과된 볼트(140)를 가이드 하여 볼트(140)의 유동을 방지하고, 굴곡부(124)는 돌출된 기물에 걸쳐 보호커버(120)의 전후진을 방지하며, 측면 가이드부(126)는 다른 기물의 양측면에 걸쳐 보호커버(120)의 좌우 유동을 방지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보호커버는, 부스바의 넓은 면적을 균일하게 지지하기 위한 판스프링 및 볼트가 설치되는 구조를 마련하며, 전후진 및 좌우유동을 억제하는 구조적인 강도가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한 실시예로써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다수의 부스바가 접속되는 부분에서 상기 부스바 및 상기 부스바를 절연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외부에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커버에 있어서,
    양측면 가장자리에는 볼트가 통과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후방에는 돌출된 기물에 걸쳐 전후진을 억제하기 위한 굴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굴곡부에는 다른 기물의 양측면에 걸쳐 좌우 유동을 방지하기 위한 측면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KR2020060014531U 2006-05-30 2006-05-30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KR2004235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531U KR200423587Y1 (ko) 2006-05-30 2006-05-30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531U KR200423587Y1 (ko) 2006-05-30 2006-05-30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8539A Division KR100764596B1 (ko) 2006-05-30 2006-05-30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587Y1 true KR200423587Y1 (ko) 2006-08-08

Family

ID=41772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531U KR200423587Y1 (ko) 2006-05-30 2006-05-30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5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94B1 (ko) 2012-12-17 2014-07-04 주식회사 신화기전 부스바 조인트 커버
US11398718B2 (en) * 2018-04-16 2022-07-26 Abb Schweiz Ag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wo laminated multi-phase busbars and switchgear cabinet including such an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13994B1 (ko) 2012-12-17 2014-07-04 주식회사 신화기전 부스바 조인트 커버
US11398718B2 (en) * 2018-04-16 2022-07-26 Abb Schweiz Ag Apparatus for electrically interconnecting two laminated multi-phase busbars and switchgear cabinet including such a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7881B1 (en) Busbar joint
KR102195372B1 (ko) 신축형 부스덕트 접속부
US3004097A (en) Busway system
KR101209892B1 (ko) 분기 부스바, 부스바 결합용 구조체, 및 분기 부스바 키트
KR200423587Y1 (ko)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CN101728780B (zh) 金属铠装移开式高压开关柜接地装置
KR100764595B1 (ko) 부스바 접속장치
KR100758197B1 (ko) 부스바 접속용 스페이서
JPWO2004055954A1 (ja) 絶縁母線システムおよびその母線ユニットの連結方法
KR100764596B1 (ko) 부스바 접속용 보호커버
KR200423795Y1 (ko) 부스바 접속장치
KR200423586Y1 (ko) 부스바 접속용 스페이서
KR20110061724A (ko) 통전율 증가를 위한 부스덕트 접속부재
KR100971334B1 (ko) 조립 정밀성과 열팽창 흡수성이 향상된 버스 바 조인트
CN213367351U (zh) 一种母线槽接头插接结构
KR20110054540A (ko) 반금속 가스켓을 이용한 부스 덕트 접속부
KR102375263B1 (ko) 화재예방에 효과적인 부스덕트 연결구
KR200423796Y1 (ko) 부스바용 덕트
KR100752235B1 (ko) 부스바의 적층식 절연구조를 갖는 수배전반
KR20170037360A (ko) 부스덕트 접속부 및 그 접속방법
JP4825045B2 (ja) バスダクトの分岐装置
KR20090056030A (ko) 절연 성능이 향상된 부스 덕트용 조인트 키트
CN205248740U (zh) 一种耦合器连接端子
CN213071029U (zh) 一种万能式断路器
CN220896075U (zh) 一种环网柜二次接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5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