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243Y1 -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 Google Patents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243Y1
KR200423243Y1 KR2020060006730U KR20060006730U KR200423243Y1 KR 200423243 Y1 KR200423243 Y1 KR 200423243Y1 KR 2020060006730 U KR2020060006730 U KR 2020060006730U KR 20060006730 U KR20060006730 U KR 20060006730U KR 200423243 Y1 KR200423243 Y1 KR 200423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getation
water
vegetation box
box
microbi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0673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 학 김
Original Assignee
(주) 일신네이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일신네이쳐 filed Critical (주) 일신네이쳐
Priority to KR202006000673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1/00Soilless cultivation, e.g. hydroponics
    • A01G31/02Special apparatu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removing specified dissolved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0Packings; Fillings; Grids
    • C02F3/109Characterized by the sha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2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animals or plants used, e.g. alga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003/001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using granular carriers or supports for the microorganis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05Phosphorus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1/00Nature of the contaminant
    • C02F2101/10Inorganic compounds
    • C02F2101/16Nitrogen compounds, e.g. ammoni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20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in agriculture, e.g. CO2
    • Y02P60/21Dinitrogen oxide [N2O], e.g. using aquaponics, hydroponics or efficiency meas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식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류수를 이송하는 콘크리트 개거수로, 하천형 수로 또는 작은 하천의 상부에 인공적으로 수생식물과 미생물 접촉여재를 포함한 식생상자를 설치하여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질소와 인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하고 미생물 접촉여재에 의해 수중의 유기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는,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을 형성한 바닥판과 전·후·좌·우 측판을 일체형으로 구성한 식생상자와, 상단은 상기 식생상자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바닥판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상기 바닥판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중량체가 고정된 다수의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와, 상기 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수로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식생상자를 지지하는 식생상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와 같이 구성한 본 고안은, 미생물 접촉여재와 중량체가 일체화된 식생상자에 의해 식생 장치를 설치할 때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식생상자에 식재한 수생식물의 성장에 따라 수초대 형성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인과 질소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으며 수중 생물체가 살아갈 수 있는 생태환경의 활성화가 용이하다.
그리고, 생장한 수생식물이 방류수로의 상부를 덮으며, 수중의 미생물 접촉 여재에 의한 미생물 보유량 증대는 하천형 수로의 수질정화력을 향상시키고, 수생식물 및 미생물 접촉여재에 서식하는 물벼룩 등과 수생식물이 형성하는 수초대가 햇빛을 차단하여 녹조억제력이 뛰어나다.
수로, 하천, 수로 식생 장치, 수생식물, 정화, 친환경.

Description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Waterway plant apparatus}
도 1은 종래 하천 바닥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하천형 수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형 수로에 설치한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3(a)(b)(c)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의 식생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 접촉여재를 부착한 식생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의 식생상자 지지체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를 콘크리트 개거수로에 설치한 것을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를 설치한 하천형 수로의 개략적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101 : 수생식물
102 : 식생기반재 110 : 식생상자
111 : 바닥판 112 : 측판
120 : 식생상자 지지체 121 : 수직기둥
122 : 수평받침틀 123 : 고정부재
130 : 미생물 접촉여재 140 : 중량체
본 고안은 식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류수를 이송하는 콘크리트 개거수로, 하천형 수로 또는 작은 하천의 상부에 인공적으로 수생식물과 미생물 접촉여재를 포함한 식생상자를 설치하여 식재된 수생식물에 의해 질소와 인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하고 미생물 접촉여재에 의해 수중의 유기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처리장에서 처리된 방류수는 작은 하천이나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수로를 통해 큰 하천 또는 강으로 유입되고 하천이나 강의 자정작용에 의해 정화되어 자연스럽게 하천수와 섞여 흐르게 된다. 그러나, 이송되는 방류수에 포함된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이 하천이나 강의 자정능력을 넘지 않을 경우에는 하천 생물체의 먹이가 되어 자연정화가 가능하지만, 영양염류와 유기물질의 양이 하천이나 강의 자정능력을 넘을 경우에는 여러가지 환경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방류수를 이송하는 수로의 경우 하천 생물체가 살기 힘들고 별도의 정화능력이 없이 시간의 흐름에 따른 수질 정화 처리에 의존하기 때문에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일반적으로 방류되는 방류수는 자연상태의 물보다 온도가 높고 화학적 반응을 일으키기 때문에 수온이 올라가고 pH 또한 올라간다. 그리고, 미생물들이 유기물을 분해할 때 필요한 BOD와 COD가 높아지며 부유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물이 흐려진다. 또한, 하수처리장을 거쳐 배출되는 과정에서 거품 등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인과 질소 등의 영양염류가 많이 함유되어 부영영화를 일으키게 되며 이에 따라 식물성 플랑크톤인 녹조류가 크게 늘어나 녹조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하기 위해 하천 또는 수로의 바닥에 습지대에서 잘 자라는 갈대, 물망초, 부들 등과 같은 수생식물을 식재하여 정화력을 높이는 방법이 개발되고 있는데, 하천형 수로에 사용하는 종래의 방법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하천이나 하천형 수로(10)는 수생식물(21)을 이용한 정화력을 높이기 위해 하천 바닥을 성토한 후 상기 수생식물(21)을 식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하천형 수로나 하천의 바닥(15)은 자갈이나 쇄석(30) 등이 깔려 있으며 이를 성토한 후 그 위에 수생식물(21)이 식재될 수 있도록 식물성 매트(20)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식재한 수생식물(21)은 성장하면서 수초대를 형성하게 되고 수중 의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등 정화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수생식물이 식재된 바닥에는 수중의 미생물들이 쇄석이나 자갈(30)에 들러붙어 미생물층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미생물층에 의해 유기물질이 제거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하천형 수로(10)의 유속이 조금만 세도 식물이 유실되기 쉽고 수위가 높은 경우는 수생식물(21)의 식재가 불가능하다. 또한, 토사가 쌓이는 등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하천의 중간에 식재하는 것은 공사비용이나 작업의 어려움이 커 용이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미생물층을 형성한 바닥의 쇄석이나 자갈(30)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폐색되어 수중의 오염도를 증가시키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류수를 이송하는 수로의 정화력을 높이기 위해 방류수로의 상부 즉, 수면 아래에 수생식물을 식재한 식생상자와 미생물 접촉여재가 위치하도록 식생상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한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류수로의 수위에 관계없이 수생식물에 의한 수초대의 형성이 가능하고 하천이나 방류수로의 상부를 덮어 햇빛을 차단하고 녹조 억제력이 우수한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는, 개거수로나 하천형 수로에 설치되어 하천수나 하·페수 처리장의 방류수 등의 오염 된 물을 정화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일체형의 전·후·좌·우 측판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에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생상자와, 상단이 상기 식생상자의 관통구멍을 관통해 식생상자의 바닥판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식생상자의 하부로 미생물 층을 형성하는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와,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식생상자의 바닥판과 같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중량체와, 상기 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수로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식생상자를 지지하는 식생상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는 쇄석, 자갈 등의 식생기반재에 수생식물을 식재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구멍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바닥판과, 전·후·좌·우 측판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구성되는데, 상기 식생상자의 측판은 물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흐름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의 하부에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형성되는데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의 상단은 상기 식생상자의 관통구멍을 통해 상기 바닥판에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중량체에 고정된다.
이러한 식생상자는 상기 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식생상자 지지체에 의해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수로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위치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상기 중량체는 다수의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자형 중량체이고, 상기 식생상자와 중량체 사이에는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이 어를 포함하여 설치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상기 중량체는 관통구멍이 뚫린 바닥판과 측판으로 구성된 식생상자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뒤집어서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는 상단부가 갈고리 구조를 가지는 "ㄷ"자 형상의 연결고리에 상단과 하단이 묶이고, 상기 연결고리의 상단부가 식생상자와 중량체의 관통구멍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위치된다.
또한, 콘크리트 개거수로에서 식생상자 지지체는 상기 개거수로의 양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그 상부에 다수의 식생상자가 안착되는 걸림턱이다.
그리고, 하천형 수로에서 상기 식생상자 지지체는 바람직하게 바닥을 따라 고정된 다수개의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그 상부에 식생상자를 안착하는 수평받침틀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이때, 상기 식생상자 지지체의 수평받침틀은 다수개의 식생상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가이드가 격자형으로 설치된 것으로, 상기 돌출가이드가 형성하는 격자는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의 하단에 고정된 중량체는 통과하고 상단에 고정된 식생상자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를 가지고 형성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식생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하천형 수로에 설치한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를 보여 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a)(b)(c)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의 식생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며, 도 4(a)(b)는 본 고안에 따른 미생물 접촉여재를 부착한 식생상자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또한, 도 5(a)(b)는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의 식생상자 지지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100)는 수생식물(101)이 식재된 식생상자(110)와, 상기 식생상자(110)를 지지하는 식생상자 지지체(12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식생상자(110)에는 모래와 쇄석 등의 식생기반재(102)가 채워지고, 상기 식생기반재(102)에는 수중에서도 쉽게 생장이 가능한 수생식물(101)이 식재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110)는 수생식물(101)이 유속에 떠밀려 가지 않고 안정적으로 자랄 수 있도록 바닥판(111)과 전·후·좌·우 측판(112)으로 이루어져 상기 바닥판과 측판이 형성하는 내부공간에 상기 식생기반재(102)와 수생식물(101)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식생상자(110)는 식재된 수생식물의 생장이 용이하도록 상기 수로(10)의 상부 즉,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위치하고 상기 식생상자(110)의 바닥판에는 식재된 수생식물(101)의 뿌리가 생장함에 따라 하부 방향으로 뻗어 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구멍(114)을 일정 간격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110)의 하부에는 필요에 따라 로프형의 미생물 접촉여재(130)가 일체형으로 포함되어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형성된 미생물 접촉여재 (130)에 의해 수중의 미생물 보유량이 증대되어 미생물에 의한 수질정화력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수생식물이 형성하는 수초대와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에 서식하는 물벼룩 등에 의해 녹조가 방제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는 상단이 식생상자의 바닥판에 고정되고 하단은 중량체(140)에 고정되어 상기 식생상자(110)와 일체형을 이룬다.
또한, 상기 식생상자 지지체(120)는 이송되는 방류수의 흐름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상기 식생상자(110)가 하천형 방류수로(10)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지지하는 것으로 식생상자(110)가 흐르는 유속에 떠밀려 가지 않게 방류수로(10)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다수개의 수직기둥(121)과 상기 수직기둥(121) 사이를 연결한 수평받침틀(122)로 이루어진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직기둥(121)은 수평받침틀(122)과 수생식물을 식재한 식생상자(11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천형 수로(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바닥에 고정되는데 필요에 따라 일부가 바닥에 박혀 고정되거나 앙카 등의 고정부재(123)에 의해 바닥면과 단단히 고정된다. 또한, 상기 수직기둥(121)은 하천형 방류수로(10)의 수심의 깊이를 고려하여 상기 식생상자(110)가 하천형 방류수로의 상부측 즉, 수면 아래에 위치하고 미생물 접촉여재(130) 또한 수면 아래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다수개의 수직기둥(121) 사이에는 수평받침틀(122)이 연결되어 있는데, 상기 수평받침틀(122)은 상기 수직기둥(121)과 일체형으로 상부에 식생상자(110)가 안착된다. 이때 상기 수평받침틀(122)은 식생상자(110)에 식재된 수생식 물(101)의 뿌리가 하부로 생장할 수 있도록 하부가 개구된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격자형태를 가진다. 따라서, 식생상자(110)의 하부판을 통과해 자라난 수생식물(111)은 수평받침틀(122)을 통과해 하부로 뿌리가 생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식생상자 지지체(120)에 의해 상기 식생상자(110)는 하천형 방류수로(10)의 상부에 바닥면과 소정높이를 가지고 이격되게 수면 아래에 위치하며 하부에 미생물 접촉여재(130)를 일체형으로 형성하고, 하천형 수로의 상부측 방류수는 상기 식생상자(110)를 통과하고 나머지는 식생상자(110)의 하부로 식생상자 지지체(120)를 지나치며 이송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100)에 식재된 수생식물(101)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성장하여 상기 하천형 방류수로(10)의 상부를 덮게 된다. 이에 따라 성장한 수생식물(101)은 수초대를 형성하여 햇빛을 차단하고 수중의 인과 질소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하며 수중 생물체가 살아갈 수 있는 생태환경을 조성한다. 즉, 처리장에서 배출된 방류수를 한번 더 정화함으로써 수질오염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로 식생 장치(100)의 식생상자(110)를 도 3(a)(b)(c)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상자(110)는 바닥판(111)과 전·후·좌·우 측판(11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닥판(111)은 식생기반재(102)에 식재된 수생식물(101)의 뿌리가 하부방향으로 뻗어나갈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구멍(114)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3(b)(c)를 참조하면, 상기 관통구멍(114)은 일정 간격으로 형성 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격자형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식생상자의 측판(112)에는 수로의 방류수가 흐르는 방향으로 전·후 또는 좌·우 측판에 다수개의 관통된 흐름구멍(113)을 형성하는데 필요에 따라 사방에 관통된 흐름구멍(113)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다수개의 흐름구멍(113)을 형성한 식생상자(110)의 측판(112)에 의해 식재된 수생식물(101)은 식생 초기에 식생기반재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흐름구멍(113)을 통해 흐르는 물에 의해 산소의 공급을 충분히 받아 생장이 원활하게 된다. 또한, 흐름구멍(113)을 통과하는 물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식생기반재(102)가 폐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110)의 하부에는 도 4(a)를 참조하면, 다수개의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가 층을 형성하며 일체로 포함된다.
이때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는 상단이 다수의 식생상자 관통구멍(114)을 통해 상기 식생상자의 바닥판(111)에 엮여 일체로 고정되고 하단은 수중에 넓게 퍼질 수 있도록 길게 형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몇가닥씩 짝을 지어 묶어 하단부에 추형태의 중량체를 설치하거나, 하단부에 격자형태의 중량체(140)를 설치하고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가 일직선이 되도록 구성해 접촉되는 표면적을 넓게 형성한다.
이때, 상기 중량체(140)는 다수개의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를 고정할 수 있도록 다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자형 중량체이고, 상기 식생상자의 바닥판(111) 크기보다 작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110)와 중량체(140) 사이에는 하중에 의해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중량체(14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와이어(141)를 더 포함하여 설치한다. 이때, 상기 연결된 와이어(141)는 미생물 접촉여재(130)의 길이와 동일하거나 더 짧도록 형성해 상기 미생물 접촉여재는 안정적으로 식생상자의 하부에 고정되고 끊어지지 않게 한다.
따라서, 상기 와이어(141)에 의해 중량체(140)는 상기 식생상자의 바닥판(111)과 와이어(141)길이 즉, 미생물 접촉여재(130) 길이 만큼의 간격을 가지고 위치된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중량체(140)는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일체형의 전·후·좌·우 측판으로 상기 식생상자(110)와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수생식물이 식재되지 않은 식생상자(110)를 이용하는데 바닥판이 상부에 위치되게 한다. 이때, 상부에 위치되는 식생상자(110)는 바닥판(111)에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중량체(140)는 상기 식생상자(110)를 뒤집어 사용된다. 그리고, 상부의 식생상자 관통구멍(114a)과 하부의 중량체 관통구멍(114b)을 관통하는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가 미생물 층을 형성하며 일체로 포함된다.
또한, 상기 식생상자(110)와 중량체(140) 사이에는 하중에 의해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중량체(140)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와이어(141)를 더 포함하여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는 연결고리(141)를 이용해 식생 상자(110)와 중량체(140)를 관통하며 고정되는데, 상기 연결고리(141)는 "ㄷ"자 형상으로 끝부분은 갈고리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하부에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를 묶어 고정하고 상기 갈고리 형상의 상부를 식생상자(110)와 중량체(140)에 형성된 관통구멍(114a, 114b)에 끼워 고정함으로써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는 식생상자와 중량체 사이에 안정적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식생상자(110)를 지지하는 식생상자 지지체(120)를 도 5(a)(b)를 참조하여 자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5(a)에서 상기 식생상자 지지체(120)는 상부에 식생상자(110)가 안착되고 상기 식생상자(110)가 수로(1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다수개의 수직기둥(121)과 상기 수직기둥(121)을 수평으로 연결한 수평받침틀(122)로 구성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직기둥(121)과 수평받침틀(122)은 조립과 설치가 용이한 스텐레스 앵글로 제작되는데 방류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수직기둥(121)의 일부는 하천형 방류수로(10)의 바닥에 박혀 고정되거나 하부에 앙카 등의 고정부재(123)를 이용해 바닥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수평받침틀(122)은 식생상자(110)가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한 격자형 수평받침틀(122)로서 상기 하나하나의 단일 격자에 상기 수생식물(101)을 식재한 식생상자(110)를 안착하는데, 이때, 상기 식생상자(110)와 일체형으로 구성된 중량체(140)는 상기 격자의 크기보다 작기 때문에 격자의 통과가 자유롭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110)는 하부에 형성된 중량체(140)에 의해 물의 흐름 에 따른 힘에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상기 수평받침틀(122)의 상부에 위치한다.
도 5(b)는 물의 유속이 보다 빠른 곳에서 안정적으로 식생상자(110)를 지지할 수 있는 식생상자 지지체(120)로 상기 수직기둥(121)의 상부측 일부가 수평받침틀(122)의 상부로 연장되어 안착되는 식생상자(110)의 이탈을 방지하고 측면을 지지하는 돌출지지부(121a)를 형성한다. 이때 상기 돌출지지부(121a)는 수평받침틀(122)을 고정할 수 있도록 수직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측면가이드(122b)와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지지부(121a) 길이를 제외한 수직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위치하는 수평받침틀(122)은 상기 이웃하는 수직기둥과 수직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한 측면가이드(122b)에 걸리게 설치한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측면가이드(122b)와 일체형으로 하나의 상자형태로 구성하거나, 하나의 판형상으로 격자 형태의 수평받침틀(122)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평받침틀(122)은 하부면에 다수개의 구멍을 천공하여 형성한 일체형의 다공판으로 목재나 스텐레스를 이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측면가이드(122b)는 상·하·좌·우 측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받침틀(122)과 측면가이드(122b)가 형성하는 공간은 상기 식생상자가 안착되는 식생상자 안착부(122c)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가이드(122b)는 상기 수직기둥(121)이 연장된 돌출지지부(121a)의 높이와 동일한 높이를 가지거나, 바람직하게는 식생상자(110)가 외부력에 의해 외부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지지력을 가질 수 있는 높이를 가지며 연장되어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식생상자 안착부(112c)에 안착되는 식생상자(110)는 서로 맞닿아 이웃하게 안착하기도 하지만 필요에 따라 수생식물(101)의 생장을 고려하여 소정의 여유공간을 가지고 안착하는 바 상기 식생상자(110)가 좌·우로 흔들려 이탈되지 않도록 식생상자(110)가 끼워질 수 있게 격자를 따라 돌출가이드(122d)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수평받침틀(122)의 측면가이드(122b)와 돌출가이드(122d)가 형성하는 하나의 격자에 식생상자(110)가 끼워져 안착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100)를 콘크리트 개거수로(10')에 설치한 것으로, 이때 상기 식생상자(110)는 상기 콘크리트 개거수로의 양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된 걸림턱(125)을 식생상자 지지체(120)로 이용해 지지된다.
상기 개거수로의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25)의 상부에 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식생상자(110)가 안착되며, 바람직하게 하나의 식생상자(110)는 양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25)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걸림턱(125)에 수생식물(101)이 식재된 식생상자(110)를 위치하고, 이에 따라 수생식물(101)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개거수로(10')의 상부를 덮게 되고 수중의 영양염류를 제거하는 등 정화작용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식생상자(110)의 하부에는 다수의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130)가 중량체(140)에 의해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하천형 수로(10)나 콘크리트 개거수로(10')에 설치되는 수 로 정화용 식생 장치(100)는 수로의 상부를 덮거나 수생식물(101)의 생장을 고려하여 약간의 여유공간을 가지고 설치된다. 도 7을 살펴보면 상기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100)의 식생상자 지지체(120)는 하천형 수로(10)의 측부(16)를 제외한 수면부를 거의 포함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수초대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식생상자(110) 또한 식생상자 지지체(120)에 안착될 때 필요에 따라 소정의 여유공간을 가지고 설치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100)에 식재된 수생식물(111)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생장하고 수초대를 형성하여 수중의 질소와 인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한다. 또한, 수중의 미생물 접촉여재(130)에 의한 미생물 보유량 증대는 하천형 방류수로의 수질정화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100)의 식생상자(110)는 하부에 상기 식생상자의 바닥판보다 크기가 작은 중량체(140)를 이용하여 미생물 접촉여재(130)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개거수로(10')나 하천형 수로(10)에 식생 장치(100)를 설치할 때 중량체와 미생물 접촉여재가 일체화된 식생상자(110)만 설치하면 되므로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중량체(140)는 식생상자보다 작기 때문에 식생상자 지지체(120)의 격자를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생상자(110)를 안착하는 수평받침틀(122)에 식생상자를 고정하는 부분이 없더라도 하부에 형성된 중량체(140)에 의해 상기 식생상자는 이탈되지 않고 위치가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에 의하면, 식생상자에 식재한 수생식물의 성장에 따라 수초대 형성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인과 질소 등의 영양염류를 제거할 수 있으며 수중동물등이 살아갈 수 있는 생태환경의 활성화가 용이하다.
또한, 수중의 미생물 접촉여재에 의한 미생물 보유량 증대는 하천형 방류수로 또는 하천의 수질정화력을 향상시키고, 수생식물 및 미생물접촉여재에 서식하는 물벼룩 등과 수생식물이 형성하는 수초대가 햇빛을 차단하여 녹조억제력이 뛰어나다.
그리고, 미생물 접촉여재와 중량체가 일체화된 식생상자에 의해 식생 장치를 설치할 때 작업이 용이하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Claims (9)

  1. 개거수로나 하천형 수로에 설치되어 하천수나 하·페수 처리장의 방류수 등의 오염된 물을 정화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에 있어서,
    다수개의 관통구멍이 형성된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과 일체형의 전·후·좌·우 측판으로 구성되어 내부공간에 수생식물이 식재되는 식생상자와;
    상단이 상기 식생상자의 관통구멍을 관통해 식생상자의 바닥판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식생상자의 하부로 미생물 층을 형성하는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와;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의 하단이 고정되고 상기 식생상자의 바닥판과 같거나 작은 크기를 가지는 중량체와;
    상기 수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수로의 수면 아래에 위치하도록 상기 식생상자를 지지하는 식생상자 지지체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상자의 측판에 물의 흐름이 용이하도록 다수개의 흐름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다수의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고정될 수 있도록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격자형 중량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는 관통구멍이 뚫린 바닥판과 측판으로 구성된 식생상자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상기 바닥판이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5.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는 상단부가 갈고리 구조를 가지는 "ㄷ"자 형상의 연결고리에 상단과 하단이 묶이고, 상기 연결고리의 상단부가 식생상자와 중량체의 관통구멍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6. 제 1항, 제 3항 또는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상자와 중량체 사이에는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와이어를 포함하여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상자 지지체는 콘크리트 개거수로의 양 측면을 따라 내측으로 돌출 되게 설치되어 그 상부에 다수의 식생상자가 안착되는 걸림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생상자 지지체는 상기 하천형 수로의 바닥을 따라 고정된 다수개의 수직기둥과, 상기 수직기둥 사이에 수평으로 설치되어 그 상부에 식생상자를 안착하는 수평받침틀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받침틀은 다수개의 식생상자가 안착될 수 있도록 돌출가이드가 격자형으로 설치되고, 상기 돌출가이드는 로프형 미생물 접촉여재의 하단에 고정된 중량체는 통과하고 상단에 고정된 식생상자는 통과하지 못하는 크기의 개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KR2020060006730U 2006-03-13 2006-03-13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KR200423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30U KR200423243Y1 (ko) 2006-03-13 2006-03-13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06730U KR200423243Y1 (ko) 2006-03-13 2006-03-13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243Y1 true KR200423243Y1 (ko) 2006-08-04

Family

ID=4177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06730U KR200423243Y1 (ko) 2006-03-13 2006-03-13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2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612B1 (ko) 2008-01-29 2010-07-27 김연각 수생 동ㆍ식물 생육 및 하상 쇄굴방지를 위한 구조물
KR101374622B1 (ko) * 2011-12-19 2014-03-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612B1 (ko) 2008-01-29 2010-07-27 김연각 수생 동ㆍ식물 생육 및 하상 쇄굴방지를 위한 구조물
KR101374622B1 (ko) * 2011-12-19 2014-03-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침하방지 기능을 구비한 가로수목 식재 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3067B1 (ko) 생태공학적 수처리 시스템
JP3302227B2 (ja) 排水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方法
JP2007209969A (ja) 水中設置型植物栽培容器体
KR100375052B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촉진방법 및 그 장치
JP3787610B2 (ja) 有用植物を用いた水質浄化方法及びその装置
JP4299382B2 (ja) 水処理用人工湿地
KR200423243Y1 (ko) 수로 정화용 식생 장치
KR100561171B1 (ko) 무동력 수로형 인공습지 및 이를 이용한 자연형하천정화공법
KR100419959B1 (ko)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와 오·폐수의 처리방법 및 그 처리 시스템
KR200417720Y1 (ko) 습지를 이용한 완충 저류시설
KR100906260B1 (ko) 식생수로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614394B1 (ko) 미생물과 식물을 이용한 다용도 수질정화 장치
JP2001198593A (ja) 植生箱及び該植生箱を使用した水辺地の浄化方法
KR200251872Y1 (ko) 인공습지를 이용한 자연정화 장치
KR102195887B1 (ko) 식생수로형 고도 수질정화시스템
CN111943434A (zh) 一种微污染饮用水水源生物生态修复系统及方法
KR100893674B1 (ko) 내부 순환형 식생 여과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여과시스템
JPH01228598A (ja) 水生植物による水処理装置
KR101860758B1 (ko) 폐양액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047454B1 (ko) 생태계 순환을 이용한 인공습지
KR20050090520A (ko) 폭기식 인공습지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수, 오수,폐수등의 고도 처리 방법
CN209906553U (zh) 一种农村污水水质净化系统
KR20100134461A (ko) 부유형 식물모판을 이용한 수질오염 저감장치
JP3100102U (ja) 水生植物水質浄化安定装置
KR200273571Y1 (ko) 미생물접촉과 식물을 이용한 하수, 하천수 와 오·폐수의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