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576Y1 -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 Google Patents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576Y1
KR200422576Y1 KR2020060012457U KR20060012457U KR200422576Y1 KR 200422576 Y1 KR200422576 Y1 KR 200422576Y1 KR 2020060012457 U KR2020060012457 U KR 2020060012457U KR 20060012457 U KR20060012457 U KR 20060012457U KR 200422576 Y1 KR200422576 Y1 KR 20042257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push rod
tightening
plate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4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광석
Original Assignee
박광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광석 filed Critical 박광석
Priority to KR20200600124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57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57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57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2Hand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고안은 눈이나 오물등을 일측으로 밀어내기 위한 밀대에 관한 것으로 밀판과 자루가 간단한 조립으로 분리결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나. 고안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현재 사용되는 밀대의 밀판은 일정한 각도로 잘곡되거나 만곡되어진 상태에서 그 양변이 개구되어진 상태에서 그 중앙으로 자루가 결합되어지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자루가 삽입된 상태에서 자루와 결합부가 조임이나 못 등을 이용한 박음고정에 의하게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판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또는 사용도중의 부주의나 사용환경에 의하여 밀판이나 자루가 쉽게 파손되어질 경우에 멀쩡한 자루나 밀판도 동시에 버려야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본 고안의 해결방법 요지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밀판과 자루가 간단한 분리결합에 의하여 조립토록 함으로서 손상되어지는 부분만을 간단하게 교환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라. 고안의 중요한 용도
눈 치우는 밀대
밀판, 자루, 분리결합

Description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a map with coupler}
도 1은 본 고안의 밀대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 2는 밀대의 조립상태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분리결합상태의 확대사시도.
도 4는 자루의 결합상태의 분리단면도.
도 5는 자루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0: 밀판 11: 결합부
12: 내공간 13: 나사산
14: 경사면 15: 절개부
20: 자루 30: 조임링
31: 일방향걸림돌기테 32,32a: 맞물림경사면
40: 조임너트 41: 가압턱
42: 가압경사면
본 고안은 길거리나 마당 등 또는 각종 공공의 장소에서 눈이나 또는 각종 오물등을 일측으로 밀어낼 경우에 사용되어지는 밀대에 관한 것으로 밀대의 밀판과 자루 간단한 조립으로 분리결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현재 사용되는 밀대의 밀판은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거나 만곡되어진 상태에서 그 양변이 개구되어지고 그 상태에서 밀판의 중앙으로는 자루가 결합되어지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에 자루가 삽입되거나 끼워지는 상태에서 자루와 결합부가 조임이나 못 등을 이용한 박음고정에 의하게 고정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판의 반복적인 사용에 의하여 또는 사용도중의 부주의나 사용환경에 의하여 밀판이나 자루가 쉽게 파손되어질 경우에 멀쩡한 자루나 밀판도 동시에 버려야 된다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최근에 결합부에 절개부를 형성하고 그 외측면으로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결합부에 자루를 삽입토록 한 후 결합부를 조임너트에 의하여 조임가압함으로서 결합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의하여 각각으로 분리되어진 절개편이 자루를 가압토록 하면서 결합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러한 것은 반드시 그 직경이 정확하게 맞아야 한다는 것이고 만일 맞지 못할 경우에는 조임너트의 조임에 의하여도 자루가 잡아주는 부분이 약하여 쉽게 빠짐이 발생되고 특히 여름철에 팽창되어질 경우에는 더욱 쉽게 빠짐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러한 밀판과 자루가 간단한 분리결합에 의하여 조립토록 함으로서 손상되어지는 밀판이나 자루만을 간단하게 교환이 가능토록 한 것이고, 또한 분리결합이 조임링에 의하여 자루를 강하게 조임토록 하고 조임너트에 의하여 자루와 삽부를 연결토록 함으로서 사용도중에 유동이나 어떠한 비틀림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구성은 만곡되어지거나 또는 일정한 각도로 절곡되어진 밀판(10)의 양변으로는 개구부(16)가 형성되고 밀판(10)에는 보강살(17)이 형성되며 상기 밀판(10)의 상단으로는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자루(20)가 결합되어지는 결합부(11)는 내공간(12)을 형성하여 내공간(12)에 자루(20)가 어느 정도 깊이로 삽입토록 하고, 상기 결합부(11)는 외측으로 나사산(13)을 형성하며 결합부(11)의 내벽 외주연의 선단으로는 내측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지면서 일정한 깊이로 경사면(14)이 형성되고, 상기 내공간(12)에 삽입되는 자루(20)에는 내벽으로 일방향 걸림돌기테(31)가 형성되고, 일측이 개구되어진 조임링(30)이 장착되고 상기 조임링(30)의 후방으로는 조임링(30)을 감쌀 정도로 수용부를 갖는 조임너트가 가압턱에 의하여 조임링(30)을 가압하면서 결합부의 나사산과 조임결합되어지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조임링(30)을 외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수용하면서 자루(20)가 끼워져 밀판(10)의 결합부(11)의 나사산(13)과 조임토록 되는 가압턱(41)에는 내측면으로 조임링(30)의 맞물림경사면(32a)과 맞물리도록 가압경사면(42)이 형성되는 것 이고 상기 조임링의 양변으로는 맞물림경사면(32,32a)이 형성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결합부(11)는 일정간격으로 절개부(15)가 형성되어 조임너트(40)로 조임토록 할 경우에 자루(20)의 직경과 결합부(11)의 내공간(12)을 형성하는 내경과 서로 다른 직경으로 인하여 긴밀한 밀착이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에도 조임에 의하여 조임토록 되면서 동시에 조임링(30)으로 동시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좀더 긴밀한 결합이 가능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밀판(10)의 결합부(11)에 조임링(30)과 조임너트(40)가 끼워진 자루(20)를 삽입토록 한 후 조임너트(40)를 결합부(11)의 나사산(13)과 맞물리게 조임토록 하면 조임링(30)이 결합부(11)의 경사면(14)과 밀착되면서 조임링(30)의 개구되어진 부분이 조임되어지면서 조임링(30)의 일방향걸림테(31)가 자루(20)를 가압하게 됨으로 자루(20)와 밀판(10)이 서로 결합되어지는 것이고 이러한 조임링(30)은 조임너트(40)의 가압부(41)에 의하여 조임되면서 좀더 가압되어짐으로 긴밀하고 강력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조임링(30)에 형성된 맞물림경사면(32,32a)과 조임너트(40) 및 결합부(11)에 형성된 가압경사면(42)과 경사면(14)은 조임링(30)이 동시에 동일하게 조임이 이루어지도록 안내하게 되는 것이어서 자루(20)를 강한 조임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이다.
또한 자루(20)와 밀판(10)의 결합부(11)의 내공간(12)이 서로 맞지 않을 경우에도 결합부(11)의 절개부(15)로 인하여 조임너트(40)의 조임에 의하여 조임이 이루어짐으로 강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하여 사용한 이후에도 밀판(10) 또는 자루(20)가 많은 사용에 의하여 훼손되었을 경우에는 조임너트(40)를 풀고 밀판(10) 또는 자루(20)만을 교환토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낭비요인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임링과 조임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밀판과 자루가 간단하게 분리결합이 이루어짐으로 밀판이나 자루만을 교환토록 함으로서 불필요한 낭비요인을 제거하게 되는 것이고, 자루와 결합부의 결합이 헐렁할 경우에도 결합부의 절개부로 인하여 조임너트의 조임에 의하여 조임이 이루어지게 됨으로 다양한 자루에 적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5)

  1. 양변이 개구되어지고 일정각도로 기울어진 밀판의 상단에 일정한 직경과 길이를 갖는 자루가 결합되어지는 결합부는 내공간을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의 외측으로 나사산을 형성하며 나사산이 형성된 결합부의 내벽의 외주연의 선단으로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내공간에 삽입되는 자루에는 일측이 개구되어진 조임링과 가압턱을 갖는 조임너트가 연속으로 끼워져 조임너트가 결합부의 나사산과 맞물리게 되면서 조임링이 자루를 가압하면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일정간격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가압링과 조임너트로 자루가 조임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너트로 조임토록 되는 조임링의 내벽으로는 일방향 걸림돌기테가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을 가압하는 조임너트의 가압턱은 내측면에서 맞물림경사면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5.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조임링의 양변으로는 모두 맞물림경사면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KR2020060012457U 2006-05-10 2006-05-10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KR20042257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57U KR200422576Y1 (ko) 2006-05-10 2006-05-10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457U KR200422576Y1 (ko) 2006-05-10 2006-05-10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576Y1 true KR200422576Y1 (ko) 2006-07-27

Family

ID=4177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457U KR200422576Y1 (ko) 2006-05-10 2006-05-10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576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83Y1 (ko) 2011-02-23 2013-11-06 유은심 청소도구 연결장치
KR200493705Y1 (ko) 2021-03-15 2021-05-24 정혜영 지붕용 제설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9783Y1 (ko) 2011-02-23 2013-11-06 유은심 청소도구 연결장치
KR200493705Y1 (ko) 2021-03-15 2021-05-24 정혜영 지붕용 제설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90079A1 (en) Dispensing device comprising a stopper and locking ring with bayonet coupling means
US7152285B2 (en) Shoe lace fastening device
US7685683B2 (en) Clamp
WO2012009731A1 (en) Pipe fitting
KR100946658B1 (ko) 관 연결용 압륜 조립체
KR20100093394A (ko) 주름 파이프용 연결 장치
WO2006094310A3 (en) T-bolt clamp quick attach latch
US6783364B1 (en) Fast connector of a water-spray tooth cleaner
KR200422576Y1 (ko)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밀대
KR100981565B1 (ko) 파이프 접속용 조인트
WO2011030693A1 (ja) 取付バンド
KR200422237Y1 (ko) 건물 실내 바닥의 물기제거를 위한 밀대
US20090173762A1 (en) Detachable Fastening Apparatus
US20100181758A1 (en) Connector
KR200436107Y1 (ko) 보일러의 연도관 연결구조
KR100739228B1 (ko) 관 연결용 소켓
KR200422810Y1 (ko)
JP3875717B1 (ja) 袋内内容物排出用の着脱可能な開閉型キャップ
KR100953158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926361B1 (ko) 관이음부재의 패킹 결합구조
US6899000B1 (en) Wrench open end having a pushing tongue
GB2547210A (en) Releasable fastener
KR200422809Y1 (ko) 연결구에 의하여 분리결합수단을 갖는 갈쿠리
KR101218818B1 (ko) 퀵 클램핑 어셈블리
KR200491688Y1 (ko) 콘크리트폼 체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