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512Y1 - 두피 세정 브러쉬 - Google Patents

두피 세정 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512Y1
KR200422512Y1 KR2020060013539U KR20060013539U KR200422512Y1 KR 200422512 Y1 KR200422512 Y1 KR 200422512Y1 KR 2020060013539 U KR2020060013539 U KR 2020060013539U KR 20060013539 U KR20060013539 U KR 20060013539U KR 200422512 Y1 KR200422512 Y1 KR 2004225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lp
brush
vibrator
main body
brush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35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계수
Original Assignee
김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계수 filed Critical 김계수
Priority to KR20200600135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5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5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5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19/02Hand-actuated implements, e.g. hand-actuated spray head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4/00Hair combs for care of the hair; Accessories therefor
    • A45D24/04Multi-part comb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3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hair brushes, e.g. hair treatment, dyeing, streak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19/00Devices for washing the hair or the scalp; Similar devices for colouring the hair
    • A45D2019/0033Processes for treating the scal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20Additional enhancing means
    • A45D2200/207Vibration, e.g. ultrasound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두피를 자극하는 돌기가 형성된 브러쉬패드를 진동시켜 두피와 모공에 달라붙은 비듬이나 피지 등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두피 세정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는, 일단부에 손잡이(11)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전면으로 개방된 헤드부(12)가 형성된 본체(10), 헤드부의 개방된 전면부에 고정되고 전면에 두피를 자극하는 복수 개의 자극돌기가 형성되며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브러쉬 패드(20), 본체의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브러쉬 패드를 진동시키는 진동기, 본체에 내장되어 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 손잡이에 마련되고 제어부와 연계되어 진동기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61), 제어부와 연계되어 진동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 배터리(50), 및 헤드부의 개방된 전면부를 차폐하여 물이 헤드부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방수고무(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체, 브러쉬 패드, 진동기, 제어부, 온/오프 스위치, 충전 배터리, 방수고무

Description

두피 세정 브러쉬{Scalp cleaning brush}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의 사시도.
도 2는 본체로부터 브러쉬 패드를 분리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배면도.
도 4는 브러쉬 패드의 배면도.
도 5는 브러쉬 패드의 초기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6은 브러쉬 패드의 진동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를 충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 : 두피 세정 브러쉬 10 : 본체
11 : 손잡이 12 : 헤드부
13 : 방수고무 20 : 브러쉬 패드
21 : 자극돌기 22 : 브러쉬고리
30 : 솔레노이드 40 : 본체고리
50 : 충전배터리 60 : 제어부
61 : 온/오프스위치
본 고안은 두피 세정 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를 자극하는 돌기가 형성된 브러쉬패드를 진동시켜 두피와 모공에 달라붙은 비듬이나 피지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는 두피 세정 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피를 세정하기 위해서는 물로 머리카락을 적신 상태에서 샴푸를 머리카락에 묻히고 손끝으로 두피를 마사지하듯이 하여 거품을 생성시키면서 두피나 모공에 붙어 있는 비듬이나 피지 등을 분리시킨 후 물로 헹궈내다.
또한, 샴푸의 거품이 묻은 상태에서 브러쉬로 머리를 빗듯이 하여 두피나 모공에 붙어 있는 비듬이나 피지 등을 분리시킨 후 물로 헹궈낼 수도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손끝으로 두피를 마사지하거나 브러쉬로 머리를 빗어 세정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직접 힘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손목에 힘이 무리하게 갈 뿐만 아니라, 손의 힘에 따라 두피를 마사지하지 강도가 틀리기 때문에 두피를 골고루 세정하기 어렵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두피를 자극하는 돌기가 형성된 브러쉬패드를 진동시켜 두피와 모공에 달라붙은 비듬이나 피지 등을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는 두피 세정 브러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는, 일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전면으로 개방된 헤드부가 형성된 본체, 헤드부의 개방된 전면부에 고정되고 전면에 두피를 자극하는 복수 개의 자극돌기가 형성되며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브러쉬 패드, 본체의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브러쉬 패드를 진동시키는 진동기, 본체에 내장되어 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손잡이에 마련되고 제어부와 연계되어 진동기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 제어부와 연계되어 진동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 배터리, 및 헤드부의 개방된 전면부를 차폐하여 물이 헤드부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방수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진동기는 솔레노이드이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솔레노이드의 선단에는 본체고리가 장착되며, 브러쉬 패드의 배면 중심에는 본체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브러쉬고리가 형성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브러쉬패드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자극돌기는 브러쉬 패드의 중심부로 가면서 그 길이가 짧아진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의 사시 도이고, 도 2는 본체로부터 브러쉬 패드를 분리한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4는 브러쉬 패드의 배면도이며, 도 5는 브러쉬 패드의 초기상태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6은 브러쉬 패드의 진동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를 충전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는, 손잡이(11)와 헤드부(12)로 구성된 본체(10), 헤드부(12)의 전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 패드(20), 헤드부(12)에 설치되어 브러쉬 패드(20)를 진동시키는 솔레노이드(30), 솔레노이드(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모듈, 솔레노이드(3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체(10)의 일단부에는 손잡이(11)가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전면으로 개방된 헤드부(12)가 형성된다. 이 때, 헤드부(12)의 개방된 전면부에는 외부로부터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고무(13)가 부착된다.
그리고 본체(10)의 배면에는 본체(10) 내에 잔류해 있던 수분을 제거하는 수분 제거홀(14)이 형성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브러쉬 패드(20)는 헤드부(12)의 개방된 전면측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으로, 그 전면부에는 두피를 자극하는 복수 개의 두피 자극돌기(21)가 돌출 형성되며, 그 배면 중심에는 후술할 본체고리(40)에 걸리는 브러쉬고리(22)가 형성된다.
이러한 브러쉬 패드(20)는 신축성을 갖는 연질의 고무재로 형성되어 그 중심 부가 솔레노이드(30)의 작동에 의해 전후로 움직여 진동함으로써, 그 전면부에 형성된 자극돌기(21)들이 두피를 자극하게 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솔레노이드(30)는 본체(10)의 헤드부(12) 내에 설치되는 것으로, 미도시된 작동축이 전방으로 돌출되거나 후진됨으로써 브러쉬 패드(20)를 진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솔레노이드(30)의 작동축 선단에는 브러쉬 패드(20)의 브러쉬고리(22)가 걸려 고정되는 본체고리(40)가 장착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전원 공급모듈은 연계되어 솔레노이드(3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본체(10)의 손잡이(11) 내에 설치되고 후술할 제어부(60)와 연계되어 솔레노이드(30)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 배터리(50), 및 본체(10)의 손잡이(11) 단부에 설치되고 충전기(100)의 단자와 접속되어 충전 배터리(50)에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접속단자(51)로 구성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제어모듈은 솔레노이드(30)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손잡이(11) 내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30)로의 전원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60), 및 손잡이(11)의 외측에 설치되어 솔레노이드(30)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61)로 구성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30)는 온/오프 스위치(61)의 동작에 의해 브러쉬 패드(20)를 부드럽게(Soft) 진동시키거나 강하게(High) 진동시키도록 작동이 조정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브러쉬 패드(20)를 본체(10)의 헤드부(12)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브러쉬 패드(20)의 긴 방향으로 손으로 에워싸듯이 잡고 굽힌다. 즉, 브러쉬 패드(20)의 브러쉬 고리(22)를 밀어내는 듯한 느낌으로 굽힌다. 그리고 나서, 브러쉬 고리(22)를 본체고리(40)에 걸어 고정한다.
이처럼 브러쉬 패드(20)를 고정한 후에는, 온/오프스위치(61)를 Soft상태로 두고 작동하여 브러쉬 고리(22)가 본체고리(40)에 올바르게 고정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제대로 고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브러쉬 패드(20)를 다시 분리하여 제대로 고정한다.
전술한 과정을 통해 조립된 두피 세정 브러쉬를 사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머리에 물을 묻히고 손에 샴푸를 따른 후 손으로 머리를 감아 거품을 발생시킨다. 이처럼 거품을 발생시킨 후에는 온/오프 스위치(61)를 Soft상태로 하여 브러쉬 패드(20)를 진동시킨 상태에서 브러쉬 패드(20)의 자극돌기(21)를 두피에 대고 빗질하듯이 빗어준다. 브러쉬 패드(20)의 자극강도는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Soft 또는 High로 설정하면 된다.
진동상태의 브러쉬 패드(20)로 두피를 빗어주면, 두피와 모공에 달라붙어 있는 비듬이나 피지 등이 브러쉬 패드(20)의 진동에 의해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3~4분정도 진행한 후 물로 머리를 헹궈주면 머리카락 및 두피에 묻어있는 거품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공으로부터 분리된 비듬이나 피지등이 말끔하게 제거된다. 물로 헹군 후에는 온/오프스위치(61)를 오프상태로 두어 솔레노이드(3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브러쉬 패드(20)가 진동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온/오프 스위치(61)를 온시켜 솔레노이드(30)에 전원을 인가하면 솔레노이드(30)의 작동축이 전후진되고, 솔레노이드(30)의 작동축 선단에 장착된 본체고리(40)도 동시에 전후진됨으로써, 도 5 및 도 6과 같이 본체고리(40)에 고정된 브러쉬 패드(20)의 중심부가 전후로 움직인다. 이처럼, 브러쉬 패드(20)의 중심부가 전후로 움직이는 동작을 주기적으로 반복함으로써, 진동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두피 세정 브러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 두피 세정 브러쉬에 따르면, 브러쉬패드를 진동시켜 두피와 모공에 달라붙은 비듬이나 피지를 용이하게 분리시키도록 이루어짐으로써 두피를 깨끗하게 세정할 수 있어 청결한 두피를 유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일단부에 손잡이가 형성되고, 타단부에 전면으로 개방된 헤드부가 형성된 본체;
    상기 헤드부의 개방된 전면부에 고정되고, 전면에 두피를 자극하는 복수 개의 자극돌기가 형성되며, 연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신축성을 갖는 브러쉬 패드;
    상기 본체의 헤드부 내에 설치되어 상기 브러쉬 패드를 진동시키는 진동기;
    상기 본체에 내장되어 상기 진동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손잡이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진동기의 작동을 온/오프시키는 온/오프 스위치;
    상기 제어부와 연계되어 상기 진동기에 전원을 인가하는 충전 배터리; 및
    상기 헤드부의 개방된 전면부를 차폐하여 물이 헤드부 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방수고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세정 브러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기는 솔레노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세정 브러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솔레노이드의 선단에는 본체고리가 장착되며, 상기 브러쉬 패드의 배면 중심에는 상기 본체고리에 걸려 고정되는 브러쉬고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세정 브러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패드의 전면부에 형성되는 자극돌기는 브러쉬 패드의 중심부로 가면서 그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세정 브러쉬.
KR2020060013539U 2006-05-19 2006-05-19 두피 세정 브러쉬 KR2004225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39U KR200422512Y1 (ko) 2006-05-19 2006-05-19 두피 세정 브러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3539U KR200422512Y1 (ko) 2006-05-19 2006-05-19 두피 세정 브러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512Y1 true KR200422512Y1 (ko) 2006-07-27

Family

ID=4177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3539U KR200422512Y1 (ko) 2006-05-19 2006-05-19 두피 세정 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51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86B1 (ko) 2006-02-28 2009-01-13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8686B1 (ko) 2006-02-28 2009-01-13 트윈버드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마사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66092B2 (en) Toothbrush with a controlled transmission direction of vibration
JP2008119016A (ja) マッサージ器具
JP6112643B1 (ja) 歯ブラシ兼用美顔器
WO2008054089A1 (en) Hair washer having scalp massage function
KR20030043557A (ko) 개인 휴대용 자동 때밀이 장치
JP2004121327A (ja) トリートメントプローブ
CN204863911U (zh) 电动负离子按摩生发梳
KR101597724B1 (ko) 갈바닉 겸용 브러시 세정장치
KR200422512Y1 (ko) 두피 세정 브러쉬
WO2014201019A1 (en) Cleansing device
JP4235164B2 (ja) ブラシ装置
CN109953678A (zh) 一种磁疗按摩洁面仪
KR200422511Y1 (ko) Led 모공 소닉 브러쉬
JP2006116222A (ja) ブラシ装置
CN210249654U (zh) 一种磁疗按摩洁面仪
CN204070973U (zh) 一种防水电动按摩洗头机
JP2001258974A (ja) マッサージ兼電動洗髪ブラシ
JPH10327936A (ja) 電気動力振動器付ヘアーブラシ
US20090000049A1 (en) Hairbrush
JP2003189942A (ja) マッサージ用ヘアブラシ
CN109527759A (zh) 一种电动洗发仪
KR102342294B1 (ko) 굴곡진 안면에 맞춰 편안한 자세로 용이하게 세안되게 하는 진동 세안기.
KR200327533Y1 (ko) 안면 마사지기
KR20040103601A (ko) 안면 마사지기
KR20120125718A (ko) 교체형 실리콘 모 진동 피부마사지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3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