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2259Y1 - Pipe for cheering use - Google Patents

Pipe for cheering u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2259Y1
KR200422259Y1 KR2020060012767U KR20060012767U KR200422259Y1 KR 200422259 Y1 KR200422259 Y1 KR 200422259Y1 KR 2020060012767 U KR2020060012767 U KR 2020060012767U KR 20060012767 U KR20060012767 U KR 20060012767U KR 200422259 Y1 KR200422259 Y1 KR 20042225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eering
present
flute
horizontal plate
air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2767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신기수
Original Assignee
신기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수 filed Critical 신기수
Priority to KR20200600127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2259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22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2259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7/00General design of wind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DSTRINGED MUSICAL INSTRUMENTS; WIND MUSICAL INSTRUMENTS; ACCORDIONS OR CONCERTINAS; PERCUSSION MUSICAL INSTRUMENTS; AEOLIAN HARPS; SINGING-FLAME MUSICAL INSTRUMENTS; MUSICAL INSTRU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D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wind musical instru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스포츠 경기 관람에서 사용되는 응원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으로 부는 것만으로 특이한 소리를 낼 수 있어 응원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목걸이 밴드나 핸드폰용 줄과 같은 걸이 줄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단가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기념품이나 광고용 증정품 등으로도 부담없이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응원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ol for cheering used in watching sports events,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make a peculiar sound by simply blowing it, improving the cheer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such as a necklace band or a cell phone str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cheering tool that can be used as a souvenir or advertising gift because it is very easy to carry and use and can be manufactured at a low cost due to its simple structure.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응원용 피리는, 속이 빈 원형 파이프 형상의 피리몸체와; 상기 피리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흐름공이 관통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막음판 및 상기 수평판 위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흐름공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 얇은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발성체; 및, 상기 피리몸체의 한쪽 끝에 연결 설치된 걸이 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The cheering frill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uffy body of a hollow circular pipe shape;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ute body, the horizontal plate formed through the air flow hole and the semicircular blocking plat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on each end of the horizontal plate and one end is fixed on the horizontal plate to cover the air flow hole A spoken body comprising a thin diaphragm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nd a hanger cor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body.

응원, 피리, 목걸이, 핸드폰 줄 Cheer, flute, necklace, cellphone strap

Description

응원용 피리 {PIPE FOR CHEERING USE}Cheering Flute {PIPE FOR CHEERING USE}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응원용 피리의 전체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heering flu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2는 본 고안의 응원용 피리의 몸체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ortion of the cheering flut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발성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in more detail the configuration of the voiced body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피리몸체 20 : 발성체10: pyribody 20: voiced body

21 : 수평판 21' : 공기흐름공21: horizontal plate 21 ': air flow ball

22a, 22b : 막음판 25 : 진동판22a, 22b: blocking plate 25: diaphragm

30 : 걸이 줄(목걸이 밴드)30: string line (necklace band)

본 고안은 스포츠 경기 관람에서 사용되는 응원용 도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 욱 상세하게는 입으로 부는 것만으로 특이한 소리를 낼 수 있어 응원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목걸이 밴드나 핸드폰용 줄과 같은 걸이 줄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며,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단가로 제조가 가능하므로 기념품이나 광고용 증정품 등으로도 부담없이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응원용 도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ering tool used in watching sports events, and more specifically, it can make a peculiar sound by simply blowing it, improving the cheer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such as a necklace band or a cell phone strap.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ew type of cheering tool that can be used as a souvenir or advertising gift because it is very easy to carry and use, and the structure is simple and can be manufactured at low cost.

일반적으로 축구나 야구, 농구 등과 같은 각종 스포츠 경기를 관전함에 있어 관중은 자신이 좋아하는 팀 또는 선수를 격려하고 사기를 북돋아 줌과 동시에, 경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으로 응원을 하게 된다. 이러한 응원을 함에 있어서는 단순히 함성을 지르고 손뼉을 치거나 응원가를 부르는 방식에 의해서도 이루어질 수 있지만 최근 들어서는 응원 자체가 경기 관람의 주요 요소를 차지함에 따라 더욱 효과적이고 다채로운 응원을 위해 막대 풍선, 피리, 카드, 리본 등과 같은 개인용 응원 도구를 활용한 대규모의 조직적인 응원 문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in spectating sports events such as soccer, baseball, basketball, etc., the audience encourages and encourages their favorite teams or players, and supports them in various ways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game and relieve stress. Will be This support can be achieved by simply shouting, clapping, or singing a cheerleader, but in recent years, the support itself has become a major element of watching the game. Large-scale organizational cheering culture using personal cheering tools such as ribbons is rapidly spreading.

상기와 같은 응원용 도구로는 현재 다양한 종류의 것들이 나와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 최근 가장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막대 풍선을 이용한 응원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한 막대 풍선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긴 튜브 내에 공기를 불어 넣어 만든 막대 모양의 응원 도구로서, 이러한 막대 풍선을 이용하여 응원을 함에 있어서는 2개의 막대 풍선을 양손에 하나씩 쥐고 이들을 서 로 맞부딪쳐 경쾌한 타격음을 냄으로써 응원을 하거나 혹은 막대 풍선을 흔들어 멀리서 볼 때 시각적으로 두드러진 응원 효과를 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a tool for cheering, various kinds of things are currently used, and one of the most actively used among them can be called a cheering method using a bar balloon. The rod balloon, as is well known, is a rod-shaped cheering tool made by blowing air into a long tube. When cheering using such a rod balloon, two sticky balloons are held in each hand and hit each other. By cheering, or shaking the bar balloon, you can visually stand out from the crowd.

그런데, 이와 같은 막대 풍선의 경우 청각적, 시각적으로 응원 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무게가 가벼워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여 부담없이 구매하거나 기업 홍보용 등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이는 기본적으로 풍선의 형태이므로 내구성이 약하다는 단점 및, 부피가 상당히 크므로 휴대나 보관이 불편하여 실질적으로 재사용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bar balloon, such as audible and visually excellent cheering effect and light weight, anyone can use it easily, and the price is relatively low, so it can be easily purchased or used for corporate promotion. This is basically a form of a balloon has a disadvantage of weak durability, and because the volume is so large that it is inconvenient to carry or storage, practically not suitable for reuse.

또한, 상기와 같은 막대 풍선 이외에도 예전부터 여러 가지 종류의 응원 도구들(예컨대, 피리, 깃발, 캐스터네츠, 나팔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었지만, 이러한 응원 도구들은 기존부터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거나 그다지 특이한 소리를 내지 못해 식상한 느낌을 주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독특하고 차별화된 응원을 원하는 관람객들의 욕구를 충분히 만족시켜 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따라서, 기존의 응원 도구와는 다른 신선하고 강력한 느낌을 주는 새로운 응원용 도구의 출현이 요구되고 있다고 할 수 있는바, 이에 본 고안자는 이를 감안하여 다음과 같은 형태의 응원용 피리를 개발하게 되었다. In addition, in addition to the bar balloon as described above, various kinds of cheering tools (for example, flutes, flags, castanets, trumpets, etc.) have been widely used, but these cheering tools have been used for a long time or have unusual sounds. It gave a feeling of being hungry, and thus did not fully satisfy the desires of visitors who wanted unique and differentiated support.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emergence of a new cheering tool that gives a fresh and powerful feeling different from the existing cheering tools, the present inventors have developed the following types of cheering flutes in view of this.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응원 도구들에서의 단점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스포츠 경기의 관람에서 응원을 위해 사용되는 응원 용구로서 입으로 부는 것만으로 인상적인 소리를 낼 수 있어 응원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목걸이 밴드나 핸드폰용 줄과 같은 걸이 줄이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휴대 및 사용이 매우 간편하며, 구조가 간단하고 저렴한 단가로 대량 제조가 가능하여 기념품이나 광고/홍보용 증정품 등 마케팅 수단으로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응원용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e disadvantages of the conventional support tools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eering tool used for cheering in watching sports events, it can make an impressive sound just by blowing it into the mouth. At the same time, it is very easy to carry and use, and it is easy to carry and use as it is equipped with a hanger string such as a necklace band or a cell phone strap. Providing a new type of support tool that can be appropriately used as a means is a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응원용 피리는, 속이 빈 원형 파이프 형상의 피리몸체와; 상기 피리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흐름공이 관통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막음판 및 상기 수평판 위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흐름공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 얇은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발성체; 및, 상기 피리몸체의 한쪽 끝에 연결 설치된 걸이 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그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Cheering for piling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technical problem, the hollow body of the hollow pipe shape; It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ute body, the horizontal plate formed through the air flow hole and the semicircular blocking plat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on each end of the horizontal plate and one end is fixed on the horizontal plate to cover the air flow hole A spoken body comprising a thin diaphragm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And a hanger cord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pe body.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응원용 피리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spect to the rooting che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도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응원용 피리의 전체 외관을 도 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고안의 응원용 피리의 몸체 부분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3은 본 고안에서 사용되는 발성체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게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cheering flu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body portion of the cheering flut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voice body in more detail.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응원용 피리는 외관상으로 볼 때, 원통형의 피리몸체(10)의 일단에 걸이 줄(30)이 일체로 연결된 형태를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피리몸체(10)와 상기 피리몸체(10)의 내부에 삽입 설치된 발성체(20) 및, 걸이 줄(3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임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rooting support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form in which the hook string 30 is integr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ylindrical pyramid body 10, as a whole. 10) and the voice body 20 inserted into the pipe body 10 and the hanger string 30 may be understood to be configured.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있어서, 피리몸체(10)는 응원시에 관람객이 입에 물고 불어 소리를 내는 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속이 빈 원형 파이프의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피리몸체(10)로는 예컨대 스텐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 재질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실제 제조에 있어서는 긴 금속관을 필요한 길이만큼 잘라 내는 방식에 의해 비교적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하지만, 반드시 금속 재질일 필요는 없으며, 플라스틱도 사용이 가능하다)In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lute body (10) corresponds to the site where the visitors bite and blow sound when cheering, which has the shape of a hollow circular pipe as shown.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or aluminum may be preferably used as the pyramid body 10. In actual manufacture, the pyramid body 10 may be manufactured relatively easily by cutting a long metal tube to a required length. (However,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metallic, and plastic can also be used.)

상기 피리몸체(10)는 응원시에 관람객이 입에 물고 불기에 적합한 정도의 사이즈를 가지는데, 직경의 경우 대략 1cm 정도로 하고 길이는 4cm 내외로 하면 적당하다. The flute body (10) has a size that is suitable for visitors to bite and blow at the time of cheering, in the case of diameter is about 1cm and length is about 4cm is appropriate.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피리몸체(10)의 내부에는 소리를 내기 위한 발성 체(20)가 삽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발성체(20)는 도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전체적으로 수평판(21)의 양쪽 단부를 상하로 절곡하여 반원형의 막음판(22a, 22b)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엇갈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수평판의 상부에는 진동판(25)이 부착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ounding body 20 for making a sound is inserted into the flute body 10. As shown in FIG. 2, the speaker 20 is bent up and dow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21 as a whole, and semicircular blocking plates 22a and 22b are alternately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The diaphragm 25 is attach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판(21)에는 중간 부분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관통된 공기흐름공(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흐름공(21')의 상부측에는 진동판(25)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진동판(25)은 얇은 금속 박판으로 제작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정확하게는 공기가 들어오는 반대측 단부)이 상기 수평판(21) 상에 고정되어 사용자가 숨을 불어 넣을 경우 떨림에 의해 소리를 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크기는 대략 상기 공기흐름공(21')을 덮을 수 있을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3, the horizontal plate 21 is formed with an air flow hole 21 ′ longly penet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diaphragm (upper side) of the air flow hole 21 ′. 25) is fixed. The diaphragm 25 is made of a thin metal sheet, and one end (exactly the opposite end to which air enters) is fixed on the horizontal plate 21 so that the user can make a sound by shaking when the user inhales breath. And the size is large enough to cover the air flow hole 21 '.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피리몸체(10)를 사용자가 입에 물고 불면, 파이프 형태의 피리몸체(10)가 상하로 엇갈려 형성된 반원형의 막음판(22a, 22b)에 의해 앞뒤로 절반씩 폐쇄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불어 넣은 공기가 수평판(21)의 공기흐름공(21')을 통과하여 빠져나가게 되며, 이와 같이 공기가 공기흐름공(21')을 통해 나가면서 상기한 진동판(25)을 진동시킴으로써 마치 금관악기나 하모니카에서와 같은 독특한 소리가 발생하여 청각적으로 응원에 활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By this configuration, when the user blows the pipe body 10 into the mouth, the pipe body pipe body 10 is closed half by the front and rear by the semi-circular blocking plate (22a, 22b) formed up and down alternately. Air is blown out through the air flow hole (21 ') of the horizontal plate 21, as the air exits through the air flow hole (21') as described above by vibrating the diaphragm 25 Unique sounds, such as brass instruments and harmonicas, are produced and can be used for cheering.

또한, 본 고안의 구성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피리몸체(10)의 반대측 단부에는 걸이 줄(30)이 일체로 부착되어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은 걸이 줄(30)에 대한 바람직한 일예로서 목걸이 밴드를 예시하고 있다. 다만, 이러한 걸이 줄(30)로서 목걸이 밴드는 본 고안의 실시에 대한 바람직한 일례일 뿐으로, 이외에도 핸드폰 줄 등과 같이 신체 또는 물품에 고정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하는 고리와 유사한 형태의 것들에 대해서도 극히 용이하게 대체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명백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anger string 30 is integrally attached to the opposite end of the pipe body 10 as described above,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as a preferred example for such a hanger string 30 Illustrates a necklace band. However, the necklace band as the hanger string 30 is not only a preferable exampl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also extremely easily for those in a similar form to a hook that can be fixed to a body or an article such as a cell phone strap.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lternatives may be applied.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의 응원용 피리는 목걸이 밴드(30) 등이 달려 있음으로써 목에 걸고 다닐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할 뿐 아니라 분실의 위험을 없애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목걸이와 같은 형태로 착용하므로 관람 도중 원하는 때에 가슴 부위에 매달린 피리몸체(10)를 바로 입에 물어 불 수 있고 불고 난 후에는 손에 들고 있을 필요가 없으므로 번거로움 없이 매우 자유로운 응원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게 된다.As mentioned above, the cheering frill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it can be carried around the neck by removing the necklace band 30 and the like, so that it is easy to carry and eliminates the risk of loss. Wearing the flute body (10) hanging on the chest when desired during the viewing can be blown directly into the mouth, and after blowing it does not have to be held in the h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upport very freely without any hassle.

상기 목걸이 밴드(3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천 소재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밖에도 금속줄이나 가죽끈 등 기타 목걸이 줄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나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목걸이 밴드(30)에는 필요에 따라 기업의 상품광고 문구나 도안, 영화/공연 등의 홍보 문구 등을 인쇄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이와 같은 인쇄가 용이하도록 납작한 띠의 형태로 목걸이 밴드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도1에 있어서 미설명 식별부호 15는 상기한 목걸이 밴드(30)를 피리몸체(10)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고리를 도시한 것이다.The necklace band 30 may be made of a variety of materials,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using a cloth material, but any other that can be used as other necklace strings such as metal straps or leather straps can be used without any particular limitation. At this time, the necklace band 30 may be used to print the promotional text, such as product advertising phrases, designs, movies / performances, etc., if necessary, in the case of the illustrated embodiment of the flat band to facilitate such printing It forms a necklace band in the form. Meanwhile, reference numeral 15 in FIG. 1 illustrates a ring used to connect the necklace band 30 to the flute body 10.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capable of various substitutions, additions and modific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described above. As a matter of cours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uch modified embodiments also fall within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by the utility model registration scope attached below.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본 고안의 응원용 피리는, 진동판의 떨림 및 공명에 의해 기존의 응원용 피리 등에서와는 다른 중후한 느낌의 소리를 냄으로써 다수의 관중들이 함께 불었을 때 매우 강하고 인상적인 응원이 가능하여 응원 효과를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새로운 느낌의 응원 도구를 원하는 관중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cheering physiqu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detail above is capable of a very strong and impressive cheering when a large number of spectators are blown together by making a sound of a different feeling from the existing cheering flutes due to vibration and resonance of the diaphragm. It can increase the cheering effect and at the same time it can satisfy the desire of the audience who wants a new feeling of cheering tools.

또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응원용 피리의 경우 목걸이 밴드가 구비되어 있음으로써 휴대가 간편하고 혼잡한 경기장 내에서도 분실의 위험이 없으며, 목걸이와 같은 형태로 착용할 경우 관람 도중 원하는 때에 가슴으로부터 바로 입에 물어 불어 사용할 수 있고 불고 난 후에는 손에 들고 있을 필요가 없이 내려 놓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자유로운 응원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flut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necklace band, which is easy to carry and there is no risk of loss even in a crowded stadium. You can use it by blowing it, and after blowing, you do not have to hold it in your hand.

또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응원용 피리의 경우, 그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단가로 대량 제조가 가능하므로 기업/상품 광고용 증정품, 영화 홍보용 증정품 등 홍보/마케팅 수단으로도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heering flute provided by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rit that it can be appropriately used as a promotion / marketing means such as a gift for a company / product advertisement or a gift for a movie promotion because the structure thereof is simple and mass production is possible at a low price. .

Claims (2)

속이 빈 원형 파이프 형상의 피리몸체;A flute body of a hollow circular pipe shape; 상기 피리몸체의 내부에 삽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공기흐름공이 관통 형성된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의 양단에 각각 반대 방향으로 형성된 반원형의 막음판 및, 상기 수평판 위에 일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공기흐름공을 덮을 수 있도록 설치된 얇은 진동판을 포함하여 구성된 발성체; 및,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flute body, a horizontal plate formed through the air flow hole and a semi-circular blocking plat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respectively, on both ends of the horizontal plate, and one end is fixed on the horizontal plate and the air flow ball A spoken body comprising a thin diaphragm installed to cover; And, 상기 피리몸체의 한쪽 끝에 연결 설치된 걸이 줄;A hook string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lute body; 를 포함하여 구성된 응원용 피리.Cheering flute consisting of.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 줄은 목걸이 밴드 또는 핸드폰용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피리.The cheering flut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anger string is a necklace band or a cell phone string.
KR2020060012767U 2006-05-12 2006-05-12 Pipe for cheering use KR200422259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67U KR200422259Y1 (en) 2006-05-12 2006-05-12 Pipe for cheering u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2767U KR200422259Y1 (en) 2006-05-12 2006-05-12 Pipe for cheering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2259Y1 true KR200422259Y1 (en) 2006-07-25

Family

ID=41770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2767U KR200422259Y1 (en) 2006-05-12 2006-05-12 Pipe for cheering u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2259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141438A1 (en) Decorative face mask for use at sporting events
KR101886770B1 (en) A mute equipment capable of controlling a breath pressure and an adapter thereof
KR101903780B1 (en) Simple Half for beginners whose volume is controlled
KR200422259Y1 (en) Pipe for cheering use
JP5294106B2 (en) Phosphorus
WO2002049469A3 (en) Multi-purpose headgear
CN203882596U (en) Na-Du-Wu folk wind instrument
US6257949B1 (en) Tubular device that produces sound
US20090253340A1 (en) Multi-function cheering tool
KR200416068Y1 (en) A glove balloon for cheering
Rycroft Friction chordophones in south-eastern Africa
CN201156417Y (en) Sounding tube
JP7270871B2 (en) sports support equipment
CN211604655U (en) Suona horn
CN102347018A (en) Orchestral instrument
CN213339624U (en) Novel improved celesta
CN202855282U (en) New type piston type clarinet
KR200272367Y1 (en) Cheering Instrument
CN105845104B (en) Mouth spring
JP3125921U (en) Support goods for sound production
CN110691528B (en) Inflatable headwear including a wind instrument
JP3166792U (en) Blow rifle
JP2023541354A (en) Aerophone instruments that use air-filled objects
JP3191282U (en) A stool that can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vertical shinobue
CN202205445U (en) Fure urh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