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2367Y1 - Cheering Instrument - Google Patents

Cheering Instru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2367Y1
KR200272367Y1 KR2020010032083U KR20010032083U KR200272367Y1 KR 200272367 Y1 KR200272367 Y1 KR 200272367Y1 KR 2020010032083 U KR2020010032083 U KR 2020010032083U KR 20010032083 U KR20010032083 U KR 20010032083U KR 200272367 Y1 KR200272367 Y1 KR 2002723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air passage
cheering
body portion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2083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용선
신동찬
Original Assignee
김용선
신동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선, 신동찬 filed Critical 김용선
Priority to KR2020010032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2367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23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2367Y1/en

Link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응원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일측 단부에는 공기가 자유로이 왕래하는 공기통로(1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부(120)가 형성되는 몸체부(100)와; 상기 몸체부(100)의 공기통로(110)와 속이 빈 가이드관(320)의 위치가 일치되게 접속되며 그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된 다수의 관통구멍(310)들이 뚫어지는 덮개부(300)와; 상기 공기통로(110)에 연통된 가이드관(320)의 위치로 설치되어 몸체부(100) 내의 공간부(120)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이동될 때 떨림림 또는 공명현상에 의해 소정의 소리가 발성되는 음향발성수단(200)과; 상기 몸체부(100)와 덮개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부(130)가 구비되어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ooting mechanism, the air passage 1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air to freely move, the inside is formed with a space portion 120 is filled wit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passage 110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part 300 is connect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air passage 110 and the hollow guide tube 320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0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 Vibration or resonance when installed in the position of the guide tube 320 in communication with the air passage 110 is filled in the space 120 in the body portion 100 is moved through the air passage 110 Sound uttering means 200 in which a predetermined sound is uttered by the phenomeno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300 is provided with a coupling portion 130 for detachably fixing.

따라서, 다양한 소리를 발성할 수 있는 음향발성수단(200)이 응원용 기구(10)의 내부에 설치되므로써, 야구, 축구 등의 스포츠 경기장은 물론, 각종 콘서트 등에서 다양하고 다각적인 활용을 통한 응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since the sound utterance means 200 capable of uttering various sounds is installed inside the cheering mechanism 10, the cheering effect through various and various uses in various sports venues, as well as sports stadiums such as baseball and soccer, etc. Can be maximized.

그리고, 기업이나 팀의 고유한 이미지를 관중들에게 제공하므로써,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And by providing the audience with a unique image of the company or team, it is a very useful design, such as to maximize the publicity effect.

Description

응원용 기구 {Cheering Instrument}Cheering Instrument {Cheering Instrument}

본 고안은 다양한 소리의 발성을 통해 다각적이고, 효과적인 응원을 유도할 수 있는 응원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응원용 기구의 내부에 공기의 관통에 따른 다양한 소리를 발성할 수 있는 음향발성수단을 설치하여 경기장이나, 콘서트장소에서의 응원이 효과적이고, 다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eering instrument that can induce multifaceted and effective cheering through the sound of various sounds, and more specifically, an acoustic utterance capable of producing various sounds according to the penetration of air into the cheering apparatus. It is designed to provide effective and diversified support for stadiums and concerts.

일반적으로, 응원은 특정 팀 및 선수를 응원하는 조직적인 행동으로, 이러한 응원을 통하여 상호 유대감 조성 및 소속감을 높이게 된다.In general, cheering is an organizational action that supports specific teams and players, and through such cheering, mutual bonding and a sense of belonging are enhanced.

특히, 각 프로팀들 간의 스포츠경기에서는 다양한 계층의 관중들이 모이게 되고, 이러한 관중들을 혼연 일체화시켜 특정 팀을 격려할 경우 선수들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어 현대 스포츠에서는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고 있다.In particular, in sports games between professional teams, spectators of various classes are gathered, and if they encourage a specific team by integrating these crowds, they can increase the morale of athletes.

그리고, 이러한 응원의 수행하기 위해서는 군중심리를 자극할 수 있는 응원용 기구가 필수적으로 사용되어 지는데, 종래에는 북이나 꽹과리 등이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기업의 홍보 및 팀의 특성을 부각시킬 수 있는 응원용 기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erform such cheer, a cheering apparatus that can stimulate crowd psychology is essential. In the past, drums and gongs have been used a lot, but in recent years, corporate publicity and team characteristics can be highlighted. Cheering equipment is widely used.

상기 응원용 기구로는 장갑, 모자, 칼라봉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응원용 기구를 이용하여 통일된 동작을 다양하게 취하거나, 응원구호를 외치는 형태로 응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관중들의 복장을 통일하여 그 응원의 효과를 배가시키고 있다.The cheering apparatus includes gloves, a hat, a collar rod, and the like, by using the cheering apparatus, various gestures are taken, or cheering is performed in the form of shouting cheering slogans. By unifying the clothes, the effect of the support is doubled.

또한, 관중들의 조직적이고 용의주도한 응원을 유도하기 위하여 내부에 공기가 주입된 막대풍선과 같은 응원용 기구가 등장하여 야구장 또는 축구장의 응원열기를 더해가고 있는 추세이며, 상기 막대풍선을 통한 응원방법으로는 막대풍선을 상호 부딪쳐서 그 특유의 소리를 발생케 하거나, 한손으로 잡고 상하로 반복하여 흔드는 것으로, 통일된 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a cheering device such as a bar balloon with air injected therein has been added to encourage the crowd's organizational and willful cheering. By hitting the bar balloons to generate a unique sound, or by holding one hand and shaking up and down repeatedly, it can produce a unified motion.

따라서, 다양한 응용성을 가미한 응원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상의 편의성과 안정성을 제공하므로, 스포츠 경기장에서는 대중화되어 있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Therefore, support can be made with various applicability, and because it provides convenience and stability in use, it can be said to be a good example that is popularized in the sports stadium.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응원용 기구는 운동장의 열기를 더욱 고조시키고, 선수들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응원용 기구를 이용하여 응원을 할 경우 통일된 동작을 다양하게 취하는 등의 시각적인 효과는 제공하였으나, 청각적인 효과는 크게 기대할 수 없었다.Conventional cheering apparatu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widely used to increase the heat of the playground and promote the morale of the athletes, but when using the conventional cheering equipment to cheer a variety of unified motion, etc. Although the visual effect of the eye was provided, the auditory effect could not be greatly expected.

즉, 청각적인 효과를 누리기 위하여 응원용 기구를 상호 부딪쳐서 그 특유의 소리를 발생케 하였으나, 이는, 다양한 소리를 발성하지 못하고, 획일화된 소리만을 발성하게 되므로, 특정 팀이나 기업의 특성을 부각시킬 수 없었다.That is, in order to enjoy the auditory effect, the cheering devices were bumped into each other to generate a unique sound. However, this did not produce a variety of sounds, but only a uniform sound. Could not.

따라서, 각종 경기장이나 콘서트장소에의 응원이 다각적이고,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획일화되어 경기에 참가한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으며, 응원에 참가한 관중들의 높은 호응도를 유도하지 못하여 수준높은 관중 매너를 기대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Therefore, cheering at various stadiums or concert venues is not diverse and effective, and it is not uniformly helpful for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players who participated in the game, and it is not possible to induce high response of the spectators who participated in the cheering. There was also a problem such as not expecting manners.

이에, 본 고안은 각 기업이나, 팀이 갖는 고유한 이미지를 소리의 발성을 통해 제공하여 선수들의 사기진작 및 관중들의 높은 호등도를 유도할 수 있도록 하였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que image of each company or team through the sound of the voice to induce the morale of the players and the high level of admiration of the audience.

본 고안의 목적은, 다양한 소리를 발성할 수 있는 음향발성수단을 내부에 설치하여 야구, 축구 등의 스포츠 경기장은 물론, 각종 콘서트 등에서 다양하고 다각적인 활용을 통한 응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응원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install a sound vocalization means capable of emitting various sounds inside, such as sports stadiums such as baseball, football, as well as for cheering to maximize the cheering effect through various and various applications in various concerts, etc. To provide an appliance.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음향발성수단을 통해 다양한 소리의 발성시켜 기업이나 팀의 홍보효과를 높일 수 있는 응원용 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heering device that can increase the publicity effect of the company or team by vocalizing various sounds through the sound-producing means.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일부 확대 단면도.Figure 4 is an enlarged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use stat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몸체부 110 - 공기통로100-body 110-air passage

120 - 공간부 130 - 결합부120-space 130-coupling

200 - 음향발성수단 210 - 공기배출구멍200-Sound emitting means 210-Air exhaust holes

300 - 덮개부 310 - 관통구멍300-cover part 310-through ho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일측 단부에는 공기가 자유로이 왕래하는 공기통로(1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부(120)가 형성되는 몸체부(100)와;상기 몸체부(100)의 공기통로(110)와 속이 빈 가이드관(320)의 위치가 일치되게 접속되며 그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된 다수의 관통구멍(310)들이 뚫어지는 덮개부(300)와;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ir passage 110 in which air freely travels and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space portion 120 in whic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passage 110 is filled is formed. Body portion 100 and; The air passage 110 and the hollow guide tube 320 of the body portion 100 is connect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0 are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i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 perforated cover part 300;

상기 공기통로(110)에 연통된 가이드관(320)의 위치로 설치되어 몸체부(100)내의 공간부(120)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이동될 때 떨림림 또는 공명현상에 의해 소정의 소리가 발성되는 음향발성수단(200)과;Shaking or resonance when the air filled in the space 120 in the body part 100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guide tube 320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110 and is moved through the air passage 110. Sound uttering means 200 in which a predetermined sound is uttered by the phenomenon;

상기 몸체부(100)와 덮개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부(130)가 구비되어 구성되어 달성된다.The coupling portion 130 is detachably fixed to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300 is provided and is achieved.

따라서, 본 고안을 양손으로 파지한 상태에서 상호 부딪치는 방법으로 응원을 수행할 경우 몸체부가 수축하게 되고, 이를 통해 공간부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는 공기통로를 통과한 후 덮개부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Therefore, when cheering by the method of bumping each other in the state of hold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both hands, the body part is contracted, through which the air filled in the space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and formed through holes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par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이때, 상기 공기통로에 설치된 음향발성수단은 공기가 공기통로를 통과할 경우 통과된 공기를 통해 소리를 외부로 발성하게 되고, 이 발성된 소리를 이용하여다각적이고, 효과적인 응원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case, when the air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the acoustic uttering means installed in the air passes the sound through the air passing through the air, and by using the uttered sound, it is possible to perform various and effective cheering. will b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분해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의 전체적인 형상을 보이고 있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overall shape of each configuration.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간의 결합상태 및 본 고안의 전체적인 내부 구조를 보이고 있다.Figure 2 shows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between each configuration and the overall interna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사시도로 도시한 것으로, 몸체부의 외주면에 부착된 야광테이프의 형상 및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이고 있다.Figure 3 show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hape of the luminous tape attach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and the state of us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일부 확대 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중앙 일측에 공기통로가 형성된 몸체부와, 내부에 음향발성수단이 설치된 덮개부와의 결합상태를 보이고 있다.4 is a partially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coupling state between a body part in which an air passag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er, and a cover part in which acoustic sounding means is installed therein.

도 5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상태를 측단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음향발성수단의 순차적인 발성을 위한 덮개부의 회전상태를 보이고 있다.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rotation state of the cover portion for the sequential vocalization of the acoustic utterance means.

즉,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응원용 기구(10)를 구성하는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는 공기가 자유로이 왕래하는 공기통로(110)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부(120)가 형성되며, 외주면 일측에는 덮개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130)가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ures 1 to 2,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constituting the cheering mechanism 10 is formed as an air passage 110, the air freely coming and going, the inside of the air passage The space 120 is filled with air is formed through the 110, the coupling portion 130 for detachably coupling the cover portion 30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여기서 결합부(130)의 구성은 도면에서와 같이 걸림턱(131))을 형성하고, 덮개부(300)에는 상기 걸림턱(131)이 삽입되는 걸림홈(132)을 형성하거나 또는 암수 한쌍의 나사를 형성하여 나사 체결하는 구조도 선택될 수 있다.Here, the coupling portion 130 is configured to form a locking jaw 131 as shown in the drawing, and the cover portion 300 forms a locking groove 132 into which the locking jaw 131 is inserted or a pair of male and female. The structure of screwing and screwing may also be selected.

그러나, 반드시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며, 결합부(130)를 통한 몸체부(100)와 덮개부(300) 간의 상호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것은 본 고안의 범주안에 포함된다는 것을 미리 밝혀둔다.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t is noted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30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30 is easily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리고, 상기 몸체부(100)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자유롭게 이루어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공기통로(110)에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가 수축되어 공간부(120)에 충진된 공기가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될 경우 이 배출된 공기에 의해 소리를 발성하는 음향발성수단(200)이 가이드관(320)에 설치된다.In addition, the body portion 100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that is free to shrink and expand by the external pressure, the air passage 11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0 by the external pressure When the body part 100 is contracted so that the air filled in the space part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passage 110, the sound uttering means 200 for uttering sound by the discharged air is provided with a guide tube ( 320).

또한, 몸체부(100)의 일측에는 결합부(130)를 통하여 상기 몸체부(100)와 결합되고, 외주면으로는 음향발성수단(200)을 통하여 발성되는 소리 및 공간부(120) 내에 충진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다수의 관통구멍(310)이 형성된 덮개부(300)가 설치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body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body portion 100 through the coupling portion 130,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filled in the sound and space portion 120 that is spoken through the sound emitting means 200 The cover part 300 having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0 through which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installed.

여기서, 상기 음향발성수단(200)은 몸체부(100)를 강하게 압축하는 것에 의해 공간부(120)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내부를 통과할 경우 소리를 발성하는 수단으로, 본 고안의 실시 예에서는 음향발성수단(200)에 트여진 공기배출구멍(210)으로 공간부(120) 내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이 공기배출구멍(210)을 통과하면서, 떨림 및 공명효과에 의해 소정의 소리를 발성할 수 있는 것이다.이때, 떨림을 이용하는 경우 음향발성수단(200)의 몸체내에 떨림판이 구비되어야 하고, 공명을 이용하는 경우 마치 피리와 같이 공명공간을 갖게 하여 이를 통과한 후 공기배출구멍(210)으로 공기가 이동된 후 관통구멍(310)을 통해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는 것이고 다시 몸체부(100)에 가압하였던 힘을 제거하면, 내부 공간이 복원하는 것에 의해 위와 역으로 공기가 공간부(120)에 채워지는 것을 반복하게 된다.Here, the sound utterance means 200 is a means for uttering sound when the air filled in the space portion 120 passes through the interior by strongly compressing the body portion 10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filled in the space 120 by the air discharge hole 210 opened by the sound emitting means 200 passes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0, so that a predetermined sound can be produced by the shaking and resonance effects. In this case, a vibration plate should be provided in the body of the acoustic sounding means 200 in case of using the vibration, and in case of using resonance, the air is discharged into the air discharge hole 210 after passing through the resonance space as if it is a flute. After the movement of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310 and removes the force pressurized again to the body portion 100, the air to the space portion 120 up and inversely by restoring the internal space is restored. Fill it You will lose repeatedly.

즉, 사용자가 양손에 응원용 기구(10)를 각각 파지한 상태에서 상호 교차시키거나, 부딪쳐서 일정한 박자리듬을 형성하여 응원할 경우 상호 강하게 부딪치게 하거나 조이는 힘에 의해 몸체부(100)는 내측으로 수축하게 되고, 이를 통해, 공간부(120) 내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는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user crosses each other while holding each of the support mechanisms 10 on both hands, or bumps to form a constant rhythm by cheering each other, the body portion 100 is contracted inwards by the strong force or tightening force. Through this, the air filled in the space 1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air passage (110).

이때, 이 배출된 공기는 공기통로(110)를 통과한 후 음향발성수단(200)의 내부에 형성된 공기배출구멍(210)을 통하여 급속하게 빠져나가면서, 소리를 발성하게 되고, 이 발성되는 소리는 덮개부(3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구멍(310)을 통하여 외부로 발성된다.At this time, the discharged air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110, and then rapidly exits through the air discharge hole 210 formed in the acoustic uttering means 200, uttering sound, and the uttered sound. Is utter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through hole 310 formed 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300.

따라서, 응원용 기구(10)를 통한 시각적인 응원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청각적인 응원도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응원효과를 더욱 배가시킬 수 있다.Therefore, visual cheering can be made through the cheering device 10, and at the same time, audible cheering can be made, which can further double the cheering effect.

그리고, 상기 음향발성수단(200)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특정구단의 응원가 또는 응원구호, 로고송 또는 특정 기업의 홍보음 및 호루라기, 피리, 풍금, 새소리, 동물의 울음소리 등을 음향발성장치(200)의 내부에 내장시켜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성시킬 수 있다.And, the sound-producing means 200 may be formed in various forms as necessary, such as cheering or cheering slogan, logo song or a specific company's promotional sound and whistle, flute, poultry, birdsling, animal crying, etc. It may be built into the inside of the sound emitting device 200, and selectively uttered as needed.

이러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공기통로(110)를 중앙 일측에 형성하고, 덮개부(300)에는 몸체부(100)를 따라 회전할 경우 상기 공기통로(110)와 동일위치에 놓여지는 다수개의 가이드관(320)을 형성한 후 각각의 소리를 발성하는 음향발성수단(200)을 상기 가이드관(320)에 설치한다.Such,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ures 4 to 5, the air passage 11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center, the cover portion 300 in the body When rotating along the part 100 is formed a plurality of guide tubes 320 are placed in the same position as the air passage 110 and then the sound pipe means 200 for uttering each sound of the guide tube 320 Install).

이때, 상기 몸체부(100)와 덮개부(300)의 구성은 예로서 나사 체결방법 등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보다 신속한 착탈부 덮개부(300)가 몸체부(100)를 따라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몸체부(100)의 주연부에는 걸림턱(131))을 형성하고, 덮개부(300)에는 상기 걸림턱(131)이 삽입되는 걸림홈(13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At this time, the configura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300 may be used as a screw fastening method, for example, but in order to allow a more rapid removable cover portion 300 to be freely rotatable along the body portion (100) It is preferable to form a locking step (131) on the periphery of the body portion 100, and a locking groove (132) into which the locking step (131) is inserted in the cover (300).

결국, 도 5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음향발성수단(20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성시키기 위해서는 몸체부(100)를 중심으로 덮개부(300)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공기통로(110)와 가이드관(320)이 동일위치에 놓여지게 한다.As a result, as shown in FIG. 5, in order to selectively utter the sound emitting means 200 as necessary, the cover part 300 is rotated to one side with respect to the body part 100 and the air passage 110. The guide tube 320 is placed in the same position.

그러면, 공간부(120) 내에 충진된 공기가 몸체부(100)의 수축에 의해 공기통로(110)를 지나 가이드관(320)을 통과한 후 음향발성수단(200)을 통과하게 되고, 이를 통해, 각각의 소리를 발성하여 응원의 효과 또는 광고의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Then, the air filled in the space 120 passes through the air passage 110 through the guide tube 320 by the contraction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n passes through the sound emitting means 200, through In addition, each sound can be uttered to double the effect of cheering or advertising.

이는, 각 팀이 갖는 고유의 이미지에 따라 선택적으로 음향발성수단(200)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써, 각 팀이 갖는 고유한 이미지를 관중들에게 각인시킴과 동시에 선수들의 사기를 진작시킬 수 있으며, 응원에 참가한 관중들의 호응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is can be used to selectively use the sound-producing means 200 according to the unique image of each team, by imprinting the unique image of each team to the audience and at the same time promote the morale of the players, cheering The audience will be able to increase their response.

한편, 상기 덮개부(300)의 내측에는 흔들림이 발생할 경우 소리를 발성하는 방울(321)을 설치하여 응원용 기구(10)를 양손으로 파지한 후 상, 하, 좌, 우로 반복적으로 흔들어서 응원을 할 경우 응원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ortion 300 is provided with a drop 321 to utter a sound when a shake occurs, holding the support mechanism 10 with both hands, and then shake up, down, left and right repeatedly to cheer. If you do, you can maximize the effect of cheering.

또한, 야간에 경기가 이루어지는 야간경기에서는 주간에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하였다가 야간에 빛을 발하는 야광테이프(140)를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부착시켜 사용할 경우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in a night game where the game is performed at night, the effect of the luminous tape 140 that absorbs ultraviolet rays from the sun during the day and emits light at night is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상기 야광테이프(140)는 도 3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몸체부(100)의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부착시켜 사용할 수 도 있고, 기업이나, 특정팀의 마스코트 등을 별도로 제작하여 부착하여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3, the luminous tape 140 may be attach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00 at regular intervals, or may be manufactured and attached separately to a company or a mascot of a specific team. .

따라서, 동일된 동작을 취하거나, 미리 준비된 매스게임, 카드섹션 형태의 응원이 이루어질 경우 다각적이고, 시각적인 응원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refore, if the same action is taken or the cheering in the form of a mass game or a card section prepared in advance is multifaceted and visually supported.

그러므로, 경기에 참가한 선수는 질높은 경기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경기를 관람하는 관중들로부터는 수준높은 관중매너를 유도할 수 있어, 이를 통하여 국내 스포츠의 활성화를 도모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Therefore, the athletes participating in the game can exhibit a high quality of play and can induce a high level of spectator manners from the spectators who watch the game, thereby promoting domestic sports.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에 의하면, 첫째, 다양한 소리를 발성할 수 있는 음향발성수단을 응원용 기구의 내부에 설치하므로써, 야구, 축구 등의 스포츠 경기장은 물론, 각종 콘서트 등에서 다양하고 다각적인 활용을 통한 응원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first, by installing the sound vocalization means capable of uttering various sounds inside the support mechanism, various and multi-purpose use in various concerts, as well as sports stadiums, such as baseball, football You can maximize the rooting effect through.

둘째, 주간에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하였다가 야간에 빛을 발산하는 야광테이프를 몸체부의 외주면에 부착하므로써, 통일된 동작을 통한 응원이 이루어질 경우 시각적인 효과가 높아질 수 있으며, 음향발성수단을 통하여 기업이나 팀의 고유한 이미지를 관중들에게 제공하므로써, 홍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Second, by attaching a luminous tape that absorbs ultraviolet rays from the sun during the day and emits light at night, the visual effect can be enhanced when cheering through unified movement is achieved. In addition, by providing the audience with a unique image of the team, it is a very useful design such as to maximize the publicity effect.

Claims (4)

일측 단부에는 공기가 자유로이 왕래하는 공기통로(110)가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유입된 공기가 충진되는 공간부(120)가 형성되는 몸체부(100)와;An air passage 110 through which air freely travels is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a body portion 100 having a space 120 filled with air introduced through the air passage 110 therein; 상기 몸체부(100)의 공기통로(110)와 속이 빈 가이드관(320)의 위치가 일치되게 접속되며 그 외주면에 내부와 연통된 다수의 관통구멍(310)들이 뚫어지는 덮개부(300)와;The cover part 300 is connected to match the position of the air passage 110 and the hollow guide tube 320 of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310 communicated with the inside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 상기 공기통로(110)에 연통된 가이드관(320)의 위치로 설치되어 몸체부(100)내의 공간부(120)에 충진되어 있던 공기가 공기통로(110)를 통하여 이동될 때 떨림림 또는 공명현상에 의해 소정의 소리가 발성되는 음향발성수단(200)과;Shaking or resonance when the air filled in the space 120 in the body part 100 is installed at the position of the guide tube 320 connected to the air passage 110 and is moved through the air passage 110. Sound uttering means 200 in which a predetermined sound is uttered by the phenomenon; 상기 몸체부(100)와 덮개부(300)를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결합부(130)가 구비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기구.Cheer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130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fixing the body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300.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300)의 내부에는 흔들림을 통하여 소리를 발성하는 방울(321)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기구.The cheering mechanism of claim 1, wherein a drop 321 for uttering sound through shaking is installed inside the cover part 300.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100)의 외주면에는 주간에 태양으로부터 자외선을 흡수하였다가 야간에 빛을 발산하는 야광테이프(140)가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기구.The apparatus for cheer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luminous tape 140 is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part 100 to absorb ultraviolet rays from the sun during the day and emit light at night. 청구항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발성수단(200)을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발성시킬 수 있도록 몸체부(10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된 공기통로(110)를 중앙 일측에 형성하고, 상기 몸체부(100)와 결합되는 덮개부(300)에는 몸체부(100)를 따라 회전할 경우 상기 공기통로(110)와 동일위치에 놓여지는 다수개의 가이드관(320)을 형성한 후 각각의 소리를 발성하는 음향발성수단(200)을 상기 가이드관(320)에 설치하여 덮개부(300)의 회전에 의해 음향발성수단(200)이 순차적으로 발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응원용 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passage 110 formed at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00 so as to selectively utter the sound utterance means 200 as needed, and the body portion ( The cover portion 300 coupled to the body 100 forms a plurality of guide tubes 320 placed at the same position as the air passage 110 when rotating along the body portion 100 to utter each sound. Cheering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the sound utter means 200 is sequentially uttered by the rotation of the cover portion 300 by installing the sound utter means 200 to the guide tube 320.
KR2020010032083U 2001-10-19 2001-10-19 Cheering Instrument KR200272367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83U KR200272367Y1 (en) 2001-10-19 2001-10-19 Cheering Instru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2083U KR200272367Y1 (en) 2001-10-19 2001-10-19 Cheering Instru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2367Y1 true KR200272367Y1 (en) 2002-04-17

Family

ID=73069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2083U KR200272367Y1 (en) 2001-10-19 2001-10-19 Cheering Instru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2367Y1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enzer Balinese music
US7942108B2 (en) Noisemaker pennant
CN101501758A (en) Drum structures having turn-on drumhead tuning and spherical acoustic chambers
US6525259B2 (en) Cadence-providing conga drum practice pad assembly and method
JP3143895U (en) Blow back goods
US6817922B1 (en) Noise maker configured as a sports article
KR200272367Y1 (en) Cheering Instrument
US20080149018A1 (en) Noisemaker pennant
US6257949B1 (en) Tubular device that produces sound
KR20090006663U (en) An instrument for cheering
JP3099832U (en) Support equipment
KR101969027B1 (en) Flexible, inflatable play instrument
US1148451A (en) Sound-producing amusement device.
US7572966B1 (en) Themed hand held personal noisemaking instrument
KR200420551Y1 (en) Cheering tool using a Ballon
KR200328993Y1 (en) String instrument
KR20000016208U (en) An instrument using SANGMO for cheering in athetics
KR200422259Y1 (en) Pipe for cheering use
KR200217513Y1 (en) A Cheering Handkerchief
JP2023541354A (en) Aerophone instruments that use air-filled objects
KR200319100Y1 (en) Rhythmical touch tool playing compound tones
MARCIA Minimalism and Its Contents
KR200288229Y1 (en) Equipment support
KR200280698Y1 (en) Cheering Apparatus
Neto Musical and performative structure of BT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17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